KR102009327B1 -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27B1
KR102009327B1 KR1020180170795A KR20180170795A KR102009327B1 KR 102009327 B1 KR102009327 B1 KR 102009327B1 KR 1020180170795 A KR1020180170795 A KR 1020180170795A KR 20180170795 A KR20180170795 A KR 20180170795A KR 102009327 B1 KR102009327 B1 KR 10200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symptom
informatio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김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성 filed Critical 김용성
Priority to KR102018017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 정보(이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라 한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수신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etary adjusting service}
본 발명은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형 식단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고 적절한 음식 섭취량을 제시할 수 있는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소화 불량증이나 과민성 장증후군 같은 기능성 소화기 질환 환자들은 상복부 불편감, 팽만감, 복통, 변비, 설사 등의 반복적이고 다양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며, 이런 기능성 위장관 증상들은 흔히 음식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된다. 기능성 위장관 질환은 객관적 진단 방법이 없어 증상으로만 진단을 하나 기준이 복잡하여 외래에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
기능성 위장관 질환은 지방성분이 많은 음식이나 FODMAP(Fermentable Oligo-, Di-, Monosaccharide And Polyos, 흡수가 잘 되지 않는 단당류) 성분이 많은 음식들이 증상 유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음식을 조절하는 치료가 효과적이다. 그러나, 음식 상담을 통한 치료는 전문영양사가 필요하고, 제한된 진료시간내에 환자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기 어렵다.
외국의 경우 각 음식 안에 포함된 FODMAP양을 제공해주는 앱이 개발되어 환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나, 한국 및 동양의 음식에 대한 정보는 없으며, 한국 음식의 경우 김치나 찌개와 같이 여러 성분이 섞인 음식들이 많아 정확한 성분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국음식 중 당류에 대한 정보 자체가 없는 것이 한국형 FODMAP앱 또는 음식 안내앱을 만들 수 없는 근본 이유이다.
또한, 각 음식에 들어있는 성분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각 개별 환자들에게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것이 어려워 개인에 따른 맞춤형 정보와 처방이 중요하다. 또, 환자들이 특정 음식을 먹고 증상이 생겼을 때의 경험에 따라 음식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 역시 기억이 명확하지 않은 회상 오류(Recall Bias)로 효과적이지 않다.
국내 공개특허 10-2012-0097432호(2012.09.04.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국형 음식에 따른 소화기질환을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관적인 일상 생활 단위에 따라 진단할 수 있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 정보(이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라 한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일시(日時)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의 종류 및 음식 양을 추정한 후, 상기 사용자에게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여 상기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경험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수신되면 진단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일정 기간 및 일정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면, 상기 진단된 진단명과 상기 축적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한다.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선택받는 복부 UI와, 상기 복부 UI에서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는 주증상 UI와, 상기 주증상 UI에서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세부 증상 UI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세부 증상 UI에서 입력되는 세부 증상을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으로서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부터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기초하여 진단되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시키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수신하여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와, 상기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주관적인 단위를 기준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를 생성하고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에서 입력되는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들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기본 신체 정보에 매핑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빅데이터화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음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음식 조절 매뉴얼을 작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신체 정보는,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및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소화기 증상을 입력받아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상기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소화기 증상에 기반한 진단기준에 따라 상기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서 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과 상기 수신된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에 부합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가이드라인 작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라인 작성부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더 수신하면, 상기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에 더 부합하는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음식의 섭취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음식의 섭취 가능 여부 및 섭취 가능한 양을 상기 음식 조절 매뉴얼에 근거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시한다.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처음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키, 소화 증상, 동반되는 질환 및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받는 기본 신체 정보 UI와,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다수의 UI들과, 상기 다수의 UI들을 통해 입력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근거하여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상기 입력된 기본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라인 작성부에서 작성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 UI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제1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 정보(이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라 한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A) 단계로부터 수신되는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일시(日時)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2)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의 종류 및 음식 양을 추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B2) 단계에서 추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여 상기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들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기본 신체 정보에 매핑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는 단계; (D)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빅데이터화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음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음식 조절 매뉴얼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신체 정보는,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및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E) 제2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사용하는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된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를 분석하여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D) 단계에서 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과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와 상기 (F) 단계에서 진단된 상기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비교 검색하여, 상기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에 부합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소화기질환의 진단에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ROME 기준에 따라 한국형 음식에 따른 소화기질환을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관적인 단위(또는 주관적인 음식량)에 따라 진단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관련된 누적된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면서 정확하게 식이 조절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 사용자가 UI들을 통해 기존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입력하면, 이에 근거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명과 처음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근거한 음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처음 사용자는 서비스 사용 시작 시점 이후 전향적으로(prospective) 소화불량증상 등의 위장관 증상과 증상을 유발시키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모으지 않더라도 간편모드로 서비스를 처음에 제공받고, 사용자가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계속 입력하여 축적하면 이를 토대로 개인별 증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복부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부 UI에서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는 주증상 UI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주증상 UI에서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세부 증상 UI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용자 별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 UI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받는 기본 신체 정보 UI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처음 사용자의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 UI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들(10, 100)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생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장치들(10, 100)은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들(10, 10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사용자 단말기들(10~30) 및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사용자 단말기들(10~30)은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용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등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와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기초하여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에 따라 이미 논문 등의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알려진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 목록'과 '표준 가이드 라인'을 우선 제시하고, 사용자가 위장관 증상이 있을 때마다 섭취한 음식을 계속 기록 및 분석한 후, 적합한 음식과 섭취량을 포함하는 개별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서비스하는 모드이다.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일으킨 음식의 종류와 사용자가 실제 섭취한 양(즉,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을 기록하도록 하고, 또한 섭취한 음식 중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일으키지 않은 음식의 종류와 양도 선택적으로 기록하도록 하며, 이를 분석하여 향후 섭취 가능한 음식(즉,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음식)과 섭취 권고량을 사용자의 식습관을 참고하여 산출한 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여 음식 조절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사용자들로부터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할 때마다 섭취한 음식 정보(이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라 한다)를 제공받아 빅데이터화하고, 성별, 연령, 체중, 증상 등의 특성에 따른 한국인 환자의 공통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 증상을 빅데이터로부터 분석 및 학습하여 음식 조절 매뉴얼을 작성한 후,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 또는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서비스하는 모드이다.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는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이전에 기록 및 저장한 이력이 없으므로, 처음 사용자의 기존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근거한 진단과, 식습관과 기본 신체 정보가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단을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되어 실행 중인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의 단위로서 '1그램, 100ml, 1T스푼' 등의 공용화된 표준 단위가 아닌, 한국에서 사용하는 주관적인 일상 생활 단위, 예를 들어, '1그릇, 1공기, 1대접, 1컵, 1숟가락, 1잔'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마다 1그릇의 실제 용량은 다를지라도 사용자 개인에게는 객관화된 단위가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섭취한 음식량을 기록하는데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한다.
서버(10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수신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에서 입력되는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는,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장내 세균 분석 결과,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유발시킨 음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는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는 복부 위치, 주증상, 세부증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후술할 음식 조절 매뉴얼과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이용한 진단과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에 부합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작성된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술한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와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 빅데이터 분석부(130) 및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를 포함한다.
DB(110)는 의학 정보 매뉴얼 저장부(112),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 및 음식 조절 매뉴얼 저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의학 정보 매뉴얼 저장부(112)에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종류, 각 기능성 위장관 질환에 따른 증상, 질환에 유익한 음식 및 무익한 음식, 질환에 유익한 운동과 생활습관 등 질환과 관련된 의학 정보(예를 들어, ROME 기준)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일시(日時)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전에 발생한 기능성 위장관 증상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DB(110)에 저장된 의학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의 종류 및 음식 양을 추정한 후, 사용자에게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여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가 이전에 경험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수신되면 진단기준(ROME)에 따라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정해진 횟수만큼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 축적되면,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 축적된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최종적으로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여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받고 그에 적합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DB(1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들(20~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들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사용자들 각각의 기본 신체 정보에 매핑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기본 신체 정보는 사용자가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회원가입시 입력할 수 있으며, 변경될 때마다 과거의 정보와 현재 업데이트된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사용자의 신체 증상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빅데이터 분석부(130)는 빅데이터화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음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음식 조절 매뉴얼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은 DB(110)의 음식 조절 매뉴얼 저장부(116)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에서 입력된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가 수신되면,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ROME 기준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음식 조절 매뉴얼 저장부(116)에 저장된 음식 조절 매뉴얼과 처음 사용자의 과거 증상에 기초한 기능성 위장관 질환 진단과 기본 신체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기본 신체 정보에 부합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수 있다.
이는, 음식 조절 매뉴얼은 기존에 알려진 각 진단 별 대표 증상 악화 음식과, 성별, 연령, 체중, 증상 등의 기본 신체 정보 특성에 따른 한국인 환자의 공통된 특징을 분석하여 일반화시킨 매뉴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음식 조절 매뉴얼은,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DB(110)에 축적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처음 사용자의 기존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기존 소화기 증상을 통해 내린 진단과 기본 신체 정보에 준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더 수신되면,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에 더 부합하는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특정 음식의 섭취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특정 음식의 섭취 가능 여부 및 섭취 가능한 양을 음식 조절 매뉴얼을 토대로 판단 또는 검색하여 처음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사용자가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한 후, '우유' 섭취를 해도 괜찮은지 검색하거나 질의하면,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사용자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본 신체 정보에 매핑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권고 음식 종류와 섭취량 등을 검색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복부 UI(2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부 UI(200)에서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는 주증상 UI(300)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주증상 UI(300)에서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세부 증상 UI(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도 5는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용자 별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 UI(7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뉴에서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도 2와 같은 복부 UI(200)를 생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복부 UI(200)에서 불편한 부위를 하나 이상 선택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낄 수 있는 다수의 주증상들을 보여주는 주증상 UI(3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주증상 UI(300)는 도 2에서 상복부가 선택되어, 상복부에서 느낄 수 있는 주증상들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주증상 UI(300)에서 하나 이상의 주증상을 선택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증상 UI(4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세부증상 UI(400)는 도 3에서 '3.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다'가 선택되어,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른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증상 질의항목을 보여주고 있다. 세부증상 질의항목은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보다 정확히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세부증상 UI(400)에서 각 질의항목 별로 응답을 완료하여 세부 증상을 입력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UI들(200~400)에서 입력된 세부 증상을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으로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의학 정보 매뉴얼(예를 들어, ROME 기준)을 기초로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의학 정보 매뉴얼에서 검색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은 별도의 객관적인 자료(예를 들어, 논문)로부터 각 진단에 따라 검색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증상에 대해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에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으로서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라는 진단과 함께, 일반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식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에 표시된 음식 중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주의 음식에 대한 증상 유발 여부가 선택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에서 선택된 결과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의 DB(110)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에서 선택된 음식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을 질의하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에 음식을 섭취한 일시 정보를 기재하고, 섭취한 음식과 섭취량을 기재한다. 이 때,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단위는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단위로서, 단위의 실제 양(kg, ml 등)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나, 각 사용자에게는 정형화된 객관적인 단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섭취한 음식의 양을 저울과 같은 도구로 실제로 측정하지 않고도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신만의 단위로 일관성 있게 기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단위는 주관적인 일상 생활 단위이기는 하나 1g 등의 음식정보단위가 아닌 일상 생활에서의 단위를 이용하므로, 전체 데이터를 빅데이터화는 과정에서 공통단위의 데이터(또는 기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에 크기를 알 수 있는 용기(맥주 500cc컵, 소주잔, 밥그릇, 국그릇, 어른 숟가락 등)를 이미지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하는 용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에 기재된 음식과 섭취량을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로서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의 DB(110)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에 기재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도 2 내지 도 6과 같은 UI들(200~600)을 통해 사용자가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할 때마다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기록하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114)에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축적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또한, 축적 저장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주기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그에 적합한 음식의 종류와 섭취 권고량을 추정 또는 산출하여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제시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 UI(700)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받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처음 사용자의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 UI(9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뉴에서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가 처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도 8과 같은 기본 신체 정보 UI(800)를 생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한다.
처음 사용자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처음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처음 사용자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기본 증상 정보 입력 메뉴(810)를 선택하여 기존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 증상 정보 입력 메뉴(810)가 선택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도 2 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UI들(200~400)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증상 유발 정보 입력 메뉴(820)를 선택하여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음식의 종류와 양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음식 검색 메뉴(830)를 선택하여 특정 음식의 섭취 가능 여부에 대해 검색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입력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의 사용자 정보 분석부(120)는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ROME를 이용하여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입력된 정보와 기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조심해야 할 음식과 섭취량, 섭취가능한 음식과 섭취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 UI(9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증상 유발 정보 입력 메뉴(820)를 선택하여 각 음식 별로 증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양, 즉,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100)의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입력된 정보와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와 음식 조절 매뉴얼을 비교 분석하여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식 검색 메뉴(830)를 선택하여 특정 음식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면, 서버(100)의 가이드라인 작성부(140)는 특정 음식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여부와, 어느 정도 섭취하면 증상이 없는지 알려주는 적정 섭취량과, 같이 섭취하면 좋은 음식의 종류와 양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음식 조절 매뉴얼을 토대로 검색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 특히, 누적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없는 사용자에게도 유사한 조건을 갖는 다른 사용자들의 증상을 기초로 적합한 음식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서버(100)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뉴에서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가 선택되면(S1005),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복부 UI(200)를 표시한다(S1010).
사용자가 복부 UI(200)에서 불편한 부위를 하나 이상 선택하면(S1015),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낄 수 있는 다수의 주증상들을 보여주는 주증상 UI(300)를 표시한다(S1020).
사용자가 주증상 UI(300)에서 하나 이상의 주증상을 선택하면(S1025),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증상 UI(400)를 표시한다(S1030).
사용자가 세부증상 UI(400)에서 각 질의항목 별로 세부 증상을 입력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S1005단계 내지 S1030단계에서 입력된 증상을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으로서 서버(100)로 전송한다(S1035).
서버(100)는 S1035단계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DB(110)에 저장하고, 의학 정보 매뉴얼을 기초로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한다(S1040).
그리고, 서버(100)는 S1040단계에서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의학 정보 매뉴얼에서 검색 및 작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045, S1050).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S1050단계로부터 수신된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을 표시한다(S1055).
사용자가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에서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실제 음식을 선택하면(S1060),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결과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1065).
서버(100)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500)에서 선택된 음식 정보를 DB(110)에 저장한다(S1070).
이와 함께,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을 질의하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를 표시한다(S1075).
사용자가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600)에 증상 유발 음식과 실제 섭취한 양을 입력하면(S1080),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기재된 음식과 섭취량을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로서 서버(100)로 전송한다(S1085).
서버(100)는 수신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DB(110)에 저장한다(S1090).
그리고, 서버(100)는 수신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와 의학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유익한 음식 조절 가이들라인을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전송한다(S1095, S1097).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UI(700)에 표시한다(S1099)..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뉴에서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가 선택되면(S1105),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기본 신체 정보 UI(800)를 표시한다(S1110).
처음 사용자가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기본 신체 정보와 처음 사용자의 과거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와 선택적으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입력하면(S1115),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입력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와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1120). S1115단계에서 사용자가 기본 증상 정보 입력 메뉴(810)를 선택하면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UI들(200~400)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능성 위장관 성능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S1115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의 입력을 생략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수신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와 ROME 기준을 비교하여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한다(S1125).
그리고, 서버(100)는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수신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조심해야 할 음식과 섭취량, 섭취가능한 음식과 섭취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130, S1135). 사용자가 S1115단계에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서버(100)는 S1130단계 및 S1135단계에서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기본/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 UI(9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1140).
또한, 사용자가 기본 신체 정보 UI(800)에서 특정 음식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특정 음식 검색 요청을 서버(100)에게 전송한다(S1145, S1150).
서버(100)는 검색 요청된 특정 음식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여부와, 적정 섭취량 등의 정보를 음식 조절 매뉴얼을 토대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155, S1160).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된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S116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10~30: 제1 내지 제3사용자 단말기들
100: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120: 사용자 정보 분석부
130: 빅데이터 분석부
140: 가이드라인 작성부

Claims (12)

  1.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 정보(이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라 한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선택받는 복부 UI와, 상기 복부 UI에서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는 주증상 UI와, 상기 주증상 UI에서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세부 증상 UI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세부 증상 UI에서 입력되는 세부 증상을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으로서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부터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기초하여 진단되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시키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수신하여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와, 상기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주관적인 단위를 기준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를 생성하고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에서 입력되는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에서 제공하는 주관적인 단위는, 사용자 별로는 정형화된 객관적인 단위로 사용될 수 있도록, 1그릇, 1공기, 1대접, 1컵, 1잔 및 1인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는 상기 주관적인 단위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용기를 이미지로 더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들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기본 신체 정보에 매핑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빅데이터화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음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음식 조절 매뉴얼을 작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신체 정보는,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및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일시(日時)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의 종류 및 음식 양을 추정한 후, 상기 사용자에게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여 상기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경험한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수신되면 진단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가 일정 기간 및 일정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면, 상기 진단된 진단명과 상기 축적된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소화기 증상을 입력받아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는,
    상기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소화기 증상에 기반한 진단기준에 따라 상기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서 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과 상기 수신된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에 부합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가이드라인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작성부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더 수신하면, 상기 처음 사용자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에 더 부합하는 맞춤형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음식의 섭취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음식의 섭취 가능 여부 및 섭취 가능한 양을 상기 음식 조절 매뉴얼에 근거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처음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및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받는 기본 신체 정보 UI와,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다수의 UI들과, 상기 다수의 UI들을 통해 입력된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근거하여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상기 입력된 기본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라인 작성부에서 작성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 UI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A) 제1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별 상세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섭취한 음식 정보(이하,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라 한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A) 단계로부터 수신되는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들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및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기본 신체 정보에 매핑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빅데이터화된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음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음식 조절 매뉴얼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신체 정보는, 성별, 연령, 체중, 키, 동반되는 질환 및 장내 세균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복부 중 불편한 부위를 선택받는 복부 UI를 표시하는 단계;
    (A2) 상기 표시된 복부 UI에서 불편한 부위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불편한 부위에서 느끼는 주증상을 선택받는 주증상 UI를 표시하는 단계;
    (A3) 상기 표시된 주증상 UI에서 선택된 주증상과 관련된 세부 증상을 입력받는 세부 증상 UI를 표시하는 단계;
    (A4) 상기 표시된 세부 증상 UI에서 입력되는 세부 증상을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으로서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5)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부터 상기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기초하여 진단되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시키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을 수신하여 보여주는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를 표시하는 단계;
    (A6) 상기 표시된 일반적 증상 유발 음식 목록 UI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주관적인 단위를 기준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A7) 상기 표시된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에서 입력되는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에서 제공하는 주관적인 단위는, 사용자 별로는 정형화된 객관적인 단위로 사용될 수 있도록, 1그릇, 1공기, 1대접, 1컵, 1잔 및 1인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 UI는 상기 주관적인 단위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용기를 이미지로 더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과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일시(日時)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2)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기능성 위장관 증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사용자별 증상 유발 음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유발하는 음식의 종류 및 음식 양을 추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B2) 단계에서 추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권고할 음식 종류 및 섭취량을 판단하여 상기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E) 제2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이 빅데이터 간단 서비스 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음식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사용하는 처음 사용자로부터 기본 신체 정보와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질환 진단 및 음식 조절 서버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된 처음 사용자의 기능성 위장관 증상 정보를 분석하여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D) 단계에서 작성된 음식 조절 매뉴얼과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와 상기 (F) 단계에서 진단된 상기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비교 검색하여, 상기 처음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에 부합하는 기본 음식 조절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70795A 2018-12-27 2018-12-27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95A KR102009327B1 (ko) 2018-12-27 2018-12-27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95A KR102009327B1 (ko) 2018-12-27 2018-12-27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27B1 true KR102009327B1 (ko) 2019-08-09

Family

ID=6761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95A KR102009327B1 (ko) 2018-12-27 2018-12-27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456A (ko) * 2021-04-02 2022-10-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보고 기반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완화를 위한 맞춤형 식품정보 및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432A (ko) 2010-10-13 2012-09-04 조재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앱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KR20140068726A (ko) * 2012-11-28 2014-06-09 (주)웰티즌 건강 정보 기반 맞춤형 식이 적합률 제공 방법
KR101674150B1 (ko) * 2015-05-15 2016-11-08 성낙봉 원스톱 u-헬스 케어 시스템
KR20170071687A (ko) * 2015-12-15 2017-06-26 주식회사 아이센스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KR20180043790A (ko) * 2015-07-22 2018-04-30 바이오메리카인코포레이티드 식품 민감도 시험에 근거하여 식품 권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432A (ko) 2010-10-13 2012-09-04 조재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앱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KR20140068726A (ko) * 2012-11-28 2014-06-09 (주)웰티즌 건강 정보 기반 맞춤형 식이 적합률 제공 방법
KR101674150B1 (ko) * 2015-05-15 2016-11-08 성낙봉 원스톱 u-헬스 케어 시스템
KR20180043790A (ko) * 2015-07-22 2018-04-30 바이오메리카인코포레이티드 식품 민감도 시험에 근거하여 식품 권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1687A (ko) * 2015-12-15 2017-06-26 주식회사 아이센스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456A (ko) * 2021-04-02 2022-10-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보고 기반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완화를 위한 맞춤형 식품정보 및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27753B1 (ko) * 2021-04-02 2024-01-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보고 기반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완화를 위한 맞춤형 식품정보 및 식단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005B2 (en) Location enabled food database
US2022009212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alimentary instruction sets
RU261698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держки принятия клинических решений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терапии с помощью логического рассуждения на основе прецедентов
US20240112818A1 (en) Structured medical data class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remediating treatment risks
US10971270B2 (en) Treatment recommendation decision support using commercial transactions
JP2020184349A (ja) ヘルストラッキングデバイス
US11081213B2 (en) Personalizing patient pathways based on individual preferences, lifestyle regime, and preferences on outcome parameters to assist decision making
KR101006799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616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assification to prognostic labels using expert inputs
US20190006040A1 (en) Cognitive diabetic regulator
US115683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ranging transport of alimentary components
US113156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limentary instruction sets based on vibrant constitutional guidance
US113928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generated alimentary instruction sets based on vibrant constitutional guidance
US20190156953A1 (en) Statistical analysis of subject progress and responsive generation of influencing digital content
KR102009327B1 (ko)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증상 조절을 위한 자가완성형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음식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JP6999403B2 (ja) 健診結果出力装置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US20190189281A1 (en) Medical checkup result output apparatus,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9099998A1 (en) Connected system for information-enhanced test results
KR101807853B1 (ko)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운동량을 고려한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JP7349759B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US202300519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ngitudinal patient information presentation
JP2001318991A (ja) 情報システムを用いた栄養管理システム
US112227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limentary instruction sets based on vibrant constitutional guidance
Howell et al. Understanding barriers to timely identification of infants at risk of neonatal opiate withdrawal syndrome
EP3496105A1 (en) Statistical analysis of subject progress and responsive generation of influencing digital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