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081B1 -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 Google Patents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081B1
KR102007081B1 KR1020170095508A KR20170095508A KR102007081B1 KR 102007081 B1 KR102007081 B1 KR 102007081B1 KR 1020170095508 A KR1020170095508 A KR 1020170095508A KR 20170095508 A KR20170095508 A KR 20170095508A KR 102007081 B1 KR102007081 B1 KR 10200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seam
heating
heat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477A (ko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국전자
Priority to KR102017009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0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4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zigzag layout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재선에 의하여 발열선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발열에 의하여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는 보온 공간을 구비하는 전기요를 제안한다. 본 발명 전기요는, 상부 및 하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표면(12) 및 하부표면(22),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충진재(14) 및 하부충진재(24), 상기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고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는 발열선(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표면(12)에서 하부표면(22)에 이르는 전체가 봉제선(6)으로 한 번에 봉제된다. 이러한 봉제선(6)은 발열선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가지는 발열선 유지부분(6A)과, 상기 발열선 유지부분에서 발열선에서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며 보온 기능을 가지는 보온부분(6B)을 만든다. 이러한 발열선 유지부분과 보온부분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

Description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Electrical mats having effective heat reservance}
본 발명은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선을 가지는 전기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같이 발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더워진 공기를 내부에서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보온 기능을 충분히 향상시킨 전기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요는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선을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열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야 하는데, 발열선의 재그 배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선형상의 봉제선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요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부 및 하부를 다시 봉제에 의하여 일체화시켜서 전체적인 전기요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를 가지는 전기요에서는 봉제선은 단순히 발열선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고, 이러한 봉제선을 이용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선에서의 봉제선은 이와같이 발열선의 지그재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심미관의 측면에서도 디자인화 정도가 부족하다고 밖에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지그재그 배열되는 발열선을 정확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발열선에서 발생한 열기를 전기요의 내부에서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기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요는, 상부 및 하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 상기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고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는 발열선, 그리고 상기 발열선의 상측 또는 하측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망사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표면에서 하부표면에 이르는 전체가 봉제선으로 한 번에 봉제되어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에 의한 다공성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봉제선은 발열선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가지는 발열선 유지부분과, 상기 발열선 유지부분에서 발열선에서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며 보온 기능을 가지는 보온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온부분은 내부의 충진재에 의하여 형성된 다공성 공간이 보온 공간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발열선 유지부분과 보온부분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지그재그 배열되는 발열선이 180도 휘어지는 부분의 봉제선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내부에는 보온 기능을 가지는 일정한 영역으로 형성되는 벤딩지지부로 구성되어, 180도 벤딩된 발열선의 지지 및 보온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봉제선을 이용하여 발열선의 전체적인 위치 유지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더욱이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봉제선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온부분은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 등에 의하여 따뜻한 공기를 내부에 품고 있을 수 있는 다공성 공간으로 형성되어, 더워진 공기를 품고 있는 보온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벤딩되는 발열선을 유지하는 벤딩지지부가, 좌우 폭을 가지고 있어서 장기간 사용에도 견고하게 발열선을 위치 유지할 수 있고, 그 자체도 일정한 영역(범위 또는 면적)을 가져서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전기요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기요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기요의 단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요는, 전기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부표면(12)과 하부표면(22)을 포함하고 있고, 그 사이에는 상부충진재(14) 및 하부충진재(24)가 들어가 있다. 이러한 충진재(14,24)는 예를 들면 솜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부피감 및 쿠션감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분에는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선(10)이 배치되고, 이러한 발열선(10)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망사층(16)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망사층(16)은 발열선(10)의 양측면에 배치되기도 하고, 원가 절감을 위하여 발열선(10)의 일측면에 배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망사층(16)이 발열선(10)에 밀착되어 있어서, 발열선(10)이 충진재(14,24) 외측으로 위치를 이탈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다수의 층을 하나의 봉제선(6)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상부표면(12)에서 하부표면(22)까지 하나의 봉제선에 의하여 한 장의 전기요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표면(12)과 하부표면(22) 사이에는, 솜 등과 같은 쿠션 재료임과 동시에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재(14,24)에 의하여 공기를 충분히 함유하는 공간이 형성될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보온성 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다음에는 도 2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봉제선의 형상 및 기능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전기요의 평면도인 도 2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불부분(2)에는 봉제선(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봉제선(6)은, 도 1에 도시한 상부표면(12)에서 하부표면(22)까지를 한 번에 봉제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봉제선(6)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은, 상부표면(22)과 하부표면(22) 사이에는 충진재(14,24)에 의하여 일정 양의 공기를 품고 있는 쿠션층 또는 다공층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전기요에서 발열선(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봉제선(6)은 길이 방향(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이 발열선 유지부분(6A)과 보온부분(6B)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발열선 유지부분(6A)은 한 쌍의 봉제선으로 만들어지는데, 기본적으로 그 사이에서 발열선(10)이 도면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유동 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온부분(6B)도 한 쌍의 봉제선으로 구성되는데,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넓이에 대응)를 가지도록 둘러싸는 형상으로 봉제선을 형성함으로써, 발열선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한 따뜻한 공기를 내부에 품고 있는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온부분(6A) 및 발열부분(6B)은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봉제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연속하여 성형되는 봉제선 중에서 인접하는 봉제선을 서로 근접하도록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발열선(10)이 큰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열선 유지부분(6A)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보온부분(6B)은 상기 발열선 유지부분(6A)에서 연속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면적)을 이루도록 발열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대된 봉제선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보온부분(6B)은 실질적으로 상부표면(12) 및 하부표면(22), 그리고 봉제선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봉제선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온부분(6B)은 실질적으로 상부표면(12) 및 하부표면(22), 그리고 봉제선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폐쇄된 공간(물리적으로 엄밀하게 폐쇄된 공간은 아님)을 형성하게 되고, 그 내부에는 충진재(14,24)에 의하여 다공성 공간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발열선 유지부분(6A)과 보온부분(6B)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한 쌍의 봉제선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유지부분(6A) 및 보온부분(6B)도 서로 연속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으로는 발열선 유지부분(6A)과 보온부분(6B)이 교대로 성형되고, 가로 방향으로도 발열선 유지부분과 보온부분이 교대로 서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발열선 유지부분(6A)과 보온부분(6B)이 반복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발열선의 정위치 유지 및 최적 크기의 공간에 의한 보온부분(6B)의 형성이라는 특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발열선 유지부분(6A)에서도 발열선을 발열을 하고 있음은 명백하나, 그 사이의 공간이 작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를 머금고 있는 공간으로써는 다소 부족하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온부분(6B)의 중심 부분을 통과하고 있는 발열선(1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표면(12)과 하부표면(24) 사이에서 봉제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온부분(6A)이라는 다공성 공간에 열이 집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온부분(6A)이 비록 발열선 유지부분(6A)에 의하여 일부가 열린 상태로 성형되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발열선 유지부분(6A)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이기 때문에, 대부분이 닫혀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온부분(6B)는 실질적으로 봉제선에 의하여 일정한 영역으로 형성됨과 같이, 봉제선이 상부표면(12)과 하부표면(22)을 한 번에 봉제하기 때문에 최적의 부피를 가지게 되어, 종래와 같이 이불이 상하로 이분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및 불필요할 정도로 부피감만 커지는 경우와 비교할 때, 보온에 적당한 부피를 가지게 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음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발열선(10)이 180도 휘어지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봉제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기 위하여, 발열선(10)은 180도 꺽이는 부분(10A)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선(10)의 벤딩부분(10A)을 지지하기 위하여 봉제선으로 만들어지는 벤딩지지부(8)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지지부(8)는 실질적으로 봉제선의 끝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180도 휘어지는 발열선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봉제선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열이 발생하고 있는 발열선과 근접한 부분이기 때문에 발열선(10)을 열을 이용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서는 벤딩지지부(8)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열을 조금이라도 저장할 수 있는 폐쇄 영역으로 형성하고자 한다. 봉세선으로 구성되는 벤딩지지부(8) 자체가, 위에서 언급한 보온부분(6B)과 같이 물리적으로 완전한 폐쇄 영역을 형성한다는 것을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벤딩지지부(8)를 예를 들면 원형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내부에 있는 충진재를 이용하여 발열선(10)에서 발생한 열을 어느 정도 담고 있을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도록 봉제선을 형성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벤딩지지부(8)는 반달 형상으로 봉제된 일정한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술한 벤딩지지부(8)는 4개의 부분적인 모양을 가지면서 내부에 일정한 보온 영역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벤딩지지부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될 수 없고, 좌우 방향(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는 발열선에 대한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는 발열선에서의 열을 담고 있을 수 있는 보온영역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영역을 감싸도록 봉제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발열선 유지부분(6A) 및 벤딩지지부(8)에 의하여, 발열선(10)은 정확한 위치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 됨과 같이 발열선에서 발생한 고온은 보온영역(6B) 및 벤딩지지부(8)에 의하여 전기요 내부에 포함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 이불부분
6 ..... 봉제선
6A ..... 발열선 유지부분
6B ..... 보온부분
8 ..... 벤딩지지부
10 ..... 발열선

Claims (2)

  1. 상부 및 하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 상기 상부충진재 및 하부충진재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고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는 발열선, 그리고 상기 발열선의 상측 또는 하측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망사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표면에서 하부표면에 이르는 전체가 봉제선(10)으로 한 번에 봉제되고; 상기 봉제선은 발열선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가지는 발열선 유지부분과, 상기 발열선 유지부분에서 발열선에서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며 보온 기능을 가지는 보온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선 유지부분과 보온부분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보온부분(6B)은, 상부표면(12) 및 하부표면(22), 그리고 봉제선에 의하여 구분되고, 내부에는 충진재(14,24)에 의하여 다공성 공간으로 형성되며;
    지그재그 배열되는 발열선이 180도 휘어지는 부분의 봉제선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서는 발열선에서의 열을 담고 있을 수 있는 보온영역이 형성되는 벤딩지지부로 구성되어, 180도 벤딩된 발열선의 지지 및 보온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전기요.
  2. 삭제
KR1020170095508A 2017-07-27 2017-07-27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KR10200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08A KR102007081B1 (ko) 2017-07-27 2017-07-27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08A KR102007081B1 (ko) 2017-07-27 2017-07-27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477A KR20190012477A (ko) 2019-02-11
KR102007081B1 true KR102007081B1 (ko) 2019-08-02

Family

ID=6537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08A KR102007081B1 (ko) 2017-07-27 2017-07-27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49B1 (ko) 2022-11-10 2023-04-25 주식회사 보국전자 탄소섬유로 제직된 직물을 가지는 전기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633Y1 (ko) * 1996-10-30 1999-08-16 한광호 돌가루가 내장된 전열매트
KR20170066946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보국전자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전기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49B1 (ko) 2022-11-10 2023-04-25 주식회사 보국전자 탄소섬유로 제직된 직물을 가지는 전기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477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9783T3 (es) Asiento de vehículo activamente ventilado
KR101419390B1 (ko) 차량 시트 커버
KR200477127Y1 (ko)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KR102007081B1 (ko)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ES2359847T3 (es) Asiento de vehículo climatizado.
TW201636474A (zh) 保暖充填材
KR20170011105A (ko) 온열매트
CN102244946B (zh) 用于复杂造型表面的加热装置
KR100936134B1 (ko) 전기온열 황토보료
KR20170142044A (ko) 온수요
JP6574977B2 (ja) 暖房マット
KR101958593B1 (ko) 침대용 매트리스
JP3219693U (ja) 掛布団
ES2937072T3 (es) Malla espaciadora, en particular para un acolchado de asiento
KR100937117B1 (ko) 전기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3207444U (ja) マット
KR200278864Y1 (ko) 침대용 카본직조온열 매트리스
KR101754013B1 (ko) 내구성 및 보온성이 향상된 구조의 다운 챔버 및 그 제조방법
JP6879696B2 (ja) 電熱マット
US20150001205A1 (en) Cloth material
KR100618645B1 (ko) 전자파 차단 온열 매트리스
KR200293212Y1 (ko) 발열매트의 열선 배치구조
KR20080005564U (ko) 온수매트의 구조
JP5853803B2 (ja) 布材
KR20220074963A (ko)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