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13B1 - Sloshing preventing device - Google Patents

Sloshing preve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13B1
KR102006913B1 KR1020170155292A KR20170155292A KR102006913B1 KR 102006913 B1 KR102006913 B1 KR 102006913B1 KR 1020170155292 A KR1020170155292 A KR 1020170155292A KR 20170155292 A KR20170155292 A KR 20170155292A KR 102006913 B1 KR102006913 B1 KR 10200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unit
locking
pillar
variable ceiling
slo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7861A (en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5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Abstract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천장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유체화물의 액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승강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suppressing sloshing occurrence is disclosed. Pillar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ariable ceiling unit installed to be elevated along the pillar, wherein the variable ceiling unit may be elevat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accommodated in the storage tank.

Description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Sloshing preventing device}Sloshing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ressing sloshing generation.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는 부유식 천연가스 생산저장 설비이다. LNG 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is a floating natural gas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y.

도 1은 저장탱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torage tank.

LNG FPSO의 저장탱크(cargo tank)(1)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8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8각형 형상을 갖는 저장탱크를 맴브레인 타입(Membrane type)이라 칭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것은 도 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탱크 내부 액체(LNG)에 의한 슬로싱(sloshing) 발생으로 저장탱브의 벽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The cargo tank 1 of LNG FPSO has an octagonal shape as shown in (b). This storage tank having an octagonal shape is called a membrane type (Membrane type). This shape is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wall of the storage tank by the sloshing (sloshing) generated by the liquid (LNG) in the storage tank as shown in Figure 1 (a).

하지만, 이와 같은 형상은 설계 및 생산공법 측면에서 큰 비용을 야기한다. 그리고 8각형 형상을 갖는다 할지라도 슬로싱 충격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계가 있다. However, such a shape causes a great cost in terms of design and production method. And even if it has an octagonal shape, there is a limit not free from sloshing impact.

또한, 직육면체 형상의 저장탱크가 아닌 8각형 형상으로 디자인함에 따라 각 모서리 부분에 사용되지 못하는 공간(dead space)이 발생하게 되고, 같은 용량의 화물을 싣기 위해서는 더 큰 선체 치수(hull dimension)이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designing into an octagonal shape rather tha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orage tank creates dead space at each corner and requires a larger hull dimension in order to load cargo of the same capacity. It is becoming.

한국등록특허 10-1670869호 (2016.10.25 등록) - LNG 저장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Korea Patent Registration 10-1670869 (Registered on October 25, 2016)-Sloshing Reduction Device for LNG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천장의 높이가 내부 화물의 저장량에 따라 가변되어 내부 공간을 완전 채움 상태로 만들어주어 슬로싱 발생을 억제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that suppresses sloshing by making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storage tank variable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the internal cargo to make the interior space completely filled.

본 발명은 가변 천장 유닛에 의해 슬로싱이 제거되어 기존 8각형 형상 대신에 직육면체 형태의 저장탱크를 적용하여 사각공간(dead space)을 제거함으로써 더 큰 용량의 화물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더 작은 선체 치수로도 동일한 용량의 화물 수용이 가능한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dead space by applying a storage tank in the form of a cuboid instead of the existing octagonal shape by eliminating sloshing by a variable ceiling unit, thereby allowing a larger capacity to be accommodated and a smaller hu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rgo having the same capacity.

본 발명은 설계 및 생산공법이 단순화되고 선체 치수 축소에 따른 재료가 감소하고 해양 프로젝트 제작을 위한 전체 공기가 단축되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that can simplify the design and production method, reduce the material due to the reduction of the hull dimensions, reduce the overall air for the production of offshore projects to reduce costs.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탱크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천장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유체화물의 액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승강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illar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tank; And a variable ceiling unit tha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along the pillar, wherein the variable ceiling unit is provided to suppress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so as to elevate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부력에 의해 상기 유체화물 상에 부유할 수 있다.The variable ceiling unit may have a hollow box shape, and the variable ceiling unit may float on the fluid cargo by buoyancy.

상기 기둥의 표면에는 하부에 수평의 걸림면을 갖고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걸림 돌기가 일렬 배치되며, 상기 가변 천장 유닛에는 상기 기둥에 상응하는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홀 내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 돌기에 상응하는 설치홈 내에 걸림편이 돌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having a horizontal locking surface at the bottom and an inclined surface at the top thereof are arranged in a line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and a guide hol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is formed in the variable ceiling unit. A locking piece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in an installa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상기 걸림편의 내측 끝단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홀 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inner end of the locking piec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locking piece protrudes in the guide hole and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by the locking ceiling by catching the locking protrusion.

상기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상기 걸림편은 상기 걸림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설치홈의 내측으로 눌려졌다가 상기 걸림면을 지나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decreases, when the variable ceiling unit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the locking piece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and is press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passing the locking surface. You can repeat the process.

상기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기둥을 회전시킨 후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하고,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돌기와 평면도 상에서 일직선 상에 놓여져 걸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column, 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increases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column so that the locking piece is not caught in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n the variable ceiling unit to rise by buoyancy, When this is completed, the pillar may be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iece is plac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to perform the locking operation.

상기 저장탱크는 직육면체 형상의 화물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storage tank may have a cargo receiving spac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탱크의 천장의 높이가 내부 화물의 저장량에 따라 가변되어 내부 공간을 완전 채움 상태로 만들어주어 슬로싱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storage tank is var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torage of the internal cargo, thereby making the interior space completely filled,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loshing.

또한, 가변 천장 유닛에 의해 슬로싱이 제거되어 기존 8각형 형상 대신에 직육면체 형태의 저장탱크를 적용하여 사각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더 큰 용량의 화물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더 작은 선체 치수로도 동일한 용량의 화물 수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loshing is removed by the variable ceiling unit, so that the rectangular storage space is applied instead of the existing octagonal shape to eliminate the rectangular space, thereby allowing for larger cargo capacity and the same capacity even with smaller hull dimensions. Has the effect of accepting cargo.

또한, 설계 및 생산공법이 단순화되고 선체 치수 축소에 따른 재료가 감소하고 해양 프로젝트 제작을 위한 전체 공기가 단축되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by simplifying th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reducing materials due to reduced hull dimensions, and shortening the overall air for offshore project production.

도 1은 저장탱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발생 억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내에 설치된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의 단면도,
도 7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 기둥과 가변 천장 유닛의 연결 부분의 확대 도면,
도 8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의 단면도,
도 9는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기둥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기둥과 가변 천장 유닛의 연결 부분의 확대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suppressing sloshing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installed in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ng device shown i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6 is a sectional view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decreases,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lumn and the variable ceiling unit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is reduced,
8 is a sectional view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is increased,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lumn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is increased,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lumn and the variable ceiling unit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is increas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발생 억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suppressing sloshing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로싱은 유체(예. LNG)와 유체를 담고 있는 용기(저장탱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인 운동을 말한다. 유체화물의 운송시 운반용기 내부에 저장된 유체화물의 요동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이 운반용기에 가해져 구조물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Sloshing is the relative motion that occurs between a fluid (eg LNG) and a container containing the fluid (storage tank). An impact caused by the fluctuation of the fluid cargo stored inside the transport container during the transport of the fluid cargo may be applied to the transport container to cause damage to the structure.

이러한 슬로싱 현상은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탱크(10) 내에 유체화물(20)이 100% 수준으로 완전 채움(full filling) 상태에 있는 경우라면 발생하지 않는다. This slosh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when the fluidized product 20 is in a full filling state at the 100% level in the storage tank 10 as shown in FIG.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 채움이 아닌 경우(예. 절반 채움(half filling))에도 저장탱크의 천장(12)이 유체화물의 액위(liquid level)에 위치하게 된다면 화물수용공간이 축소하여 완전 채움 상태와 같게 되어 유체화물(20)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화물의 유동으로 인한 슬로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f the ceiling 12 of the storage tank is located at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cargo even if it is not fully filled (e.g. half filling) as shown in FIG. This reduction is made equal to the fully filled state, and the movement of the fluidized product 20 can be suppressed. Thu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sloshing due to the flow of the fluidized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리에 의해 슬로싱 현상이 제거되는 것을 이용하여 저장탱크에서 슬로싱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에 대해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저장탱크는 LNG FPSO 혹은 LNG 운반선 등과 같은 LNG 선박에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유체화물을 수용하는 저장탱크에는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for the apparatus for suppressing the sloshing occurrence in the storage tank by using the sloshing phenomenon is removed by the principle as shown in (b) of FIG. .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orage tank is installed in an LNG vessel such as an LNG FPSO or an LNG carrier, but in addition, the same content may be applied to the storage tank containing the fluid carg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내에 설치된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installed in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portion A of FIG.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 내지 도 5에는 저장탱크(50), 유체화물(60),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100), 기둥(110), 가변 천장 유닛(120), 걸림돌기(112), 경사면(113), 걸림면(114), 가이드홀(122), 설치홈(124), 걸림편(130), 스프링(132)이 도시되어 있다. 3 to 5, the storage tank 50, the fluid cargo 60,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100, the pillar 110,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the locking protrusion 112, the inclined surface 113, A locking surface 114, a guide hole 122, an installation groove 124, a locking piece 130, and a spring 132 are illust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100)는 예를 들어 LNG 선박의 저장탱크(50) 내에 설치되며, 유체화물(60)의 액위에 따라 천장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유체화물의 유동을 억제시킴으로써 슬로싱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for example, the storage tank 50 of the LNG vessel, and the fluid cargo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60. It is characterized by suppressing sloshing occurrence by suppressing the flow of.

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100)는 저장탱크(5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50)는 기존의 8각형 형상 대신에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공간(화물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50. The storage tank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n internal space (cargo accommodation spac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stead of the existing octagonal shape.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100)는 기둥(110)과 가변 천장 유닛(120)을 포함한다.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100 includes a pillar 110 and a variable ceiling unit 120.

기둥(110)은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100)가 설치될 저장탱크(50)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기둥(110)은 후술할 가변 천장 유닛(12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구조물이다. The pillar 110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storage tank 50 in which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100 is to be installed. Pillar 110 is a structure that functions as a guide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도면에서는 기둥(110)이 저장탱크(5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하나씩 4개가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이외에도 중앙에 1개만이 설치되거나 대칭구조로 2개가 설치되거나 삼각형 구조로 3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5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s, four pillars 110 are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storage tank 50, one of which is illustrated. However,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only one pillar is installed at the center or two at a symmetrical structure. Three may be installed in a triangular structure. If necessary, five or more may be installed.

기둥(110)은 그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기둥(110)의 단면이 원형이어서, 후술할 가이드홀(122) 내에서 기둥(110)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The pillar 11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110 is circular, the pillar 110 can be smoothly rotated in the guide hole 122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기둥(110)은 수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기둥(1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는 모터일 수 있으며, 구동부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pillar 110 may be implemented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central axis. The driving unit (not shown) for rotating the pillar 110 may be a motor,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가변 천장 유닛(120)은 소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기둥(110)을 따라 승강되는 구조물이다. 가변 천장 유닛(120)은 내부가 비어 있어, 부력을 가짐으로써 유체화물(60) 위에 부유할 수 있게 된다.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s an inner box shape, and is a structure that is elevated along the pillar 110.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empty, so that it can float on the fluid cargo 60 by having a buoyancy.

가변 천장 유닛(120)은 유체화물의 속성(예컨대, 저온의 LNG)에 견딜 수 있는 SUS 등의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such as SUS that can withstand the properties of the fluid cargo (eg, low temperature LNG).

가변 천장 유닛(120)에는 기둥(110)에 상응하는 가이드홀(122)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 가변 천장 유닛(120)이 기둥(110)을 따라 승강 가능할 수 있게 된다. In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a guide hole 122 corresponding to the column 110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can be elevated along the column 110.

가이드홀(122) 내에는 복수의 걸림편(130)이 설치되어 있어, 기둥(110)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12)에 걸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A plurality of engaging pieces 130 are installed in the guide hole 122, and have a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11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110.

걸림편(130)은 가이드홀(122) 내벽에 형성된 설치홈(124) 내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설치홈(124)은 후술할 걸림돌기(112)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piece 130 is installed to protrude in the installation groove 124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122. The installation groove 12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112 to be described later.

걸림편(130)의 외측 끝단은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 끝단에는 탄성부재(예컨대, 스프링(13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편(130)은 내측 끝단이 스프링(13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그 외측 끝단이 가이드홀(122) 내에 돌출되어 걸림돌기(112)에 걸릴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가 걸림편(130)의 원위치에 해당한다. 이 경우 걸림편(130)은 외력에 의해 설치홈(124) 내부로 가압되었다가 복원력에 의해 외측 끝단이 원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설치홈(124)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outer end of the engaging piece 130 has a convex shape, and an elastic member (eg, the spring 132) may be installed at the inner end. Therefore, the locking piece 13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inner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32 and the outer end thereof protrudes in the guide hole 122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12. This state corresponds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locking piece 130. In this case, the locking piece 13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press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4 by an external force and then protrudes from the installation groove 124 by a predetermined length because the outer end is positioned at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기둥(110)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배치되어 돌출 설치된다. 복수의 걸림돌기(112)는 기둥(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직선 상에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일렬 배치될 수 있다.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110,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112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o protrude.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2 may be arranged in a line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o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110.

걸림돌기(112)는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 상태의 걸림면(114)과 상부에 배치되는 소정 경사를 갖는 경사면(113)을 포함한다. 경사면(113)은 가변 천장 유닛(1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걸림편(130)이 미끄러지면서 내측으로 눌려지게 하는 부분이다. 걸림면(114)은 가변 천장 유닛(120)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는 억제력 제공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110)의 걸림돌기(112)와 가변 천장 유닛(120)의 걸림편(130)은 상호 작용에 의해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The locking protrusion 112 includes a horizontal locking surface 114 disposed below and an inclined surface 113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disposed above. The inclined surface 113 is a portion that allows the engaging piece 130 to be pressed inward while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The locking surface 114 is a restraining force provid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from ris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protrusion 112 of the pillar 110 and the locking piece 130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function as a locking portion by interac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와 증가하는 경우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decreases and increases.

도 6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 기둥과 가변 천장 유닛의 연결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decreases,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lumn and the variable ceiling unit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decreases.

도 6 및 도 7에는 하역(offloading)으로 인해 유체화물(60)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6 and 7 show the case where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ized product 60 decreases due to offloading.

유체화물(60)의 액위가 감소함에 따라 슬로싱 발생 억제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 천장 유닛(120)의 높이도 H1에서 H2로 낮아질 필요가 있다. As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ized product 60 decreases, in order to suppress sloshing generation, the height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needs to be lowered from H1 to H2 as shown in FIG. 6.

도 6의 좌측 상태에서는 가변 천장 유닛(120)이 유체화물(60)에 의한 부력 때문에 유체화물(60)의 액위에 상응하는 H1 높이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후 우측 상태와 같이 하역으로 인해 유체화물(60)이 줄어들어 액위가 감소한 경우, 이전의 H1과 비교할 때 높이 차(H1-H2)가 발생하게 된다. 이 높이 차로 인해 유체에 의한 부력이 사라지게 되면, 가변 천장 유닛(12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In the left state of FIG. 6,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maintains the H1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60 due to the buoyancy caused by the fluid cargo 60. Since the fluid level 60 is reduced due to the unloading as shown in the right state, the level difference (H1-H2) occurs when compared to the previous H1. When the buoyancy caused by the fluid disappears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이 경우 가변 천장 유닛(120)이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걸림편(130)은 걸림돌기(112)의 경사면(113)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면서 설치홈(124)의 내측으로 눌려지게 된다(도 7의 (a) 참조). In this case, when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receives the force downward by gravity, the locking piece 130 is press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4 while sli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113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A) of FIG. 7.

걸림편(130)은 하나의 걸림돌기(112)를 통과하면 내측 끝단에 설치된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 가이드홀(12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다시 돌출될 수 있다(도 7의 (b) 참조). When the locking piece 130 passes through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112, the locking piece 130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32 installed at the inner end thereof, and may protrude again to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122 by a predetermined length. 7 (b)).

이 과정이 반복되어 걸림편(130)이 여러 걸림돌기(112)를 미끄러져 지나감으로써 가변 천장 유닛(120)이 H2에 이를 때까지 자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This process is repeated so that the locking piece 130 slides through the various locking protrusions 112 and automatically descends until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reaches H2.

가변 천장 유닛(120)의 높이가 H2가 되면 유체화물(60)의 액위와 상응하게 되어, 유체화물(60)에 의한 부력이 다시 발생하여 가변 천장 유닛(120)은 추가적인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When the height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becomes H2, it corresponds to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60, buoyancy caused by the fluid cargo 60 is generated again, so that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stops without further descending. Done.

또한, 걸림편(130)이 원위치로 돌출되면 걸림돌기(11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면(114)에 의해 걸리게 되어 상부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억제된다.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piece 130 protrude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locking piece 130 is caught by the locking surface 114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movement in the upper direction is suppressed.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화물(60)의 체적이 감소하여 액위가 감소하더라도 가변 천장 유닛(120)이 자동 하강하여 액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됨으로써 가변 천장 유닛(120)에 의해 만들어지는 하부 공간에서는 유체화물(60)의 완전 채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로싱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liquid level is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fluid cargo 60,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automatically lower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lower space that is made by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fill the fluidized product 60 so that sloshing can be suppressed.

도 8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기둥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기둥과 가변 천장 유닛의 연결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is increased,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lumn 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is increased, Figure 10 is a column and a variable ceiling 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is increased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ng part of the unit.

도 8 내지 도 10에는 양역(loading)으로 인해 유체화물(60)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8 to 10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ized product 60 increases due to loading.

유체화물(60)이 증가하는 경우(액위가 H3에서 H4로 증가하는 경우) 가변 천장 유닛(120)도 동시에 상승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가변 천장 유닛(120)의 상승을 위해서는 걸림편(130)이 걸림돌기(112)의 걸림면(114)에 의해 걸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억제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fluidization 60 increases (when the liquid level increases from H3 to H4),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to ris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raise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restraining force caused by the locking piece 130 by the locking surface 114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탱크(50)로의 유체화물 유입으로 인해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기둥(110)을 일정 각도(예컨대, 90도(˚)) 회전시켜 걸림부에 의한 억제력을 제거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iquid level is increased due to the inflow of the fluid cargo into the storage tank 50, the column 110 is rotated at an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to remove the restraining force by the locking portion.

기둥(110)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2열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일렬 배치된 2개의 열은 상호 180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The pillars 110 may have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2 arranged in a row in two rows. Two rows in which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2 are arranged in a line may have a 180 degree interval therebetween.

도 9의 (a) 및 도 10의 (a)에서와 같이 걸림돌기(112)가 걸림편(130)과 만나도록 배치(즉, 걸림돌기(112)와 걸림편(130)이 평면도 상에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걸림편(130)이 걸림돌기(112)에 의해 걸리게 되어 가변 천장 유닛(120)의 상승이 억제된다. As shown in FIGS. 9A and 10A, the locking protrusion 112 is disposed to meet the locking piece 130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piece 130 are aligned in a plan view). When arranged so as to be placed on the engaging piece 130 is caught by the engaging projection 112, the rise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suppressed.

도 9의 (b) 및 도 10의 (b)에서와 같이 기둥(110)이 구동부에 의해 90도 회전한 경우에는 걸림돌기(112)가 걸림편(130)가 만나지 않게 된다. 즉, 걸림편(130)이 걸림돌기(112)에 의해 걸리지 않음으로 인해 가변 천장 유닛(120)의 상승을 억제하는 억제력이 제거된다. 이 경우 유체화물(60)의 증가로 인해 가변 천장 유닛(120)이 부력을 받게 되면 유체화물(60)의 증가되는 액위를 따라 가변 천장 유닛(120)도 상승하게 된다. 9 (b) and 10 (b), when the pillar 110 is rotated 90 degrees by the driving unit, the locking protrusion 112 does not meet the locking piece 130. That is, the restraining force for suppressing the rise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removed because the locking piece 130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12. In this case, when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receives buoyancy due to an increase in the fluid cargo 60,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also rises along the increased level of the fluid cargo 60.

이후 도 9의 (c) 및 도 10의 (c)에서와 같이 유체화물(60)의 유입이 완료되어 가변 천장 유닛(120)이 유체화물(60)의 평상시 액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억제력을 제공해야 할 경우, 기둥(110)을 ㅁ90도 회전시켜 걸림돌기(112)가 다시 걸림편(130)과 만나도록 배치시킨다. 즉, 걸림돌기(112)와 걸림편(130)이 평면도 상에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편(130)이 걸림돌기(112)에 의해 걸리게 됨으로써 가변 천장 유닛(120)의 상승이 억제되어 상부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S. 9C and 10C, the inflow of the fluid cargo 60 is completed so that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ormal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60. If it should be provided, the column 110 is rotated ㅁ 90 degrees to place the engaging projection 112 to meet the engaging piece 130 again.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piece 130 may be disposed to be in a straight line on the plan view. In this case, the catching piece 130 is caught by the catching protrusion 112, so that the rising of the variable ceiling unit 120 is suppressed to catch the movement in the upper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100)로 인해 저장탱크(50) 내에서의 슬로싱을 제거할 수 있다. 슬로싱이 제거됨으로 인해 기존의 8각형 형상 대신에 직육면체 형상의 저장탱크를 선박에 적용할 수 있어 사각공간이 제거됨으로써 더 큰 용량의 유체화물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더 작은 선체 치수로도 동일한 용량의 유체화물이 수용 가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8각형 형상의 저장탱크에 관한 로열티 지급이 불필요하게 되고, 설계 및 생산 공법을 단순화시켜 인건비를 절감하고, 선체 치수 축소에 따른 재료가 감소되고 해양 프로젝트 제작을 위한 전체 공기가 단축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100 may eliminate sloshing in the storage tank 50. Since sloshing is eliminate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orage tank can be applied to the vessel instead of the conventional octagonal shape, thereby eliminating the square space, thereby allowing a larger capacity of the cargo. In addition, even smaller hull dimensions may be acceptable for fluid cargo of the same capacity. In addition, royalty payments for existing octagonal storage tanks will not be necessary, labor costs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materials will be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hull dimensions, and the overall air for the production of offshore projects can be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s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50: 저장탱크 60: 유체화물
100: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110: 기둥
112: 걸림돌기 113: 경사면
114: 걸림면 120: 가변 천장 유닛
122: 가이드홀 124: 설치홈
130: 걸림편 132: 스프링
50: storage tank 60: fluid cargo
100: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110: pillar
112: jamming 113: inclined surface
114: hanging surface 120: variable ceiling unit
122: guide hole 124: mounting groove
130: locking piece 132: spring

Claims (7)

저장탱크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천장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유체화물의 액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승강하며,
상기 기둥의 표면에는 하부에 수평의 걸림면을 갖고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걸림 돌기가 일렬 배치되며,
상기 가변 천장 유닛에는 상기 기둥에 상응하는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홀 내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 돌기에 상응하는 설치홈 내에 걸림편이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A pillar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variable ceiling uni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along the pillar,
The variable ceiling unit is elevat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level of the fluid cargo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having a horizontal locking surface on the lower side and an inclined surface on the upper side thereof are arranged in line,
The variable ceiling unit is formed through the guide hol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Th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guide hole so that the engaging piece protrudes in the installa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은 부력에 의해 상기 유체화물 상에 부유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ceiling unit has an empty box shape inside,
And the variable ceiling unit is suspended on the fluid cargo by buoyanc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내측 끝단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홀 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end of the engaging piec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The sling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which inhibits the variable ceiling unit from rising by protruding in the guide hole and engaging the locking projection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화물의 액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상기 걸림편은 상기 걸림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설치홈의 내측으로 눌려졌다가 상기 걸림면을 지나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decreases, when the variable ceiling unit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the locking piece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and is press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passing the locking surface. Repeating the process,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체화물의 액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기둥을 회전시킨 후 상기 가변 천장 유닛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하고,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돌기와 평면도 상에서 일직선 상에 놓여져 걸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rive for rotating the pillar,
When the level of the fluid cargo increases,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pillar so that the locking piece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n the variable ceiling unit is lifted by buoyancy. When the lifting is completed, the locking piece is rotated by rotating the pillar.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which is placed on a straight line on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plane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직육면체 형상의 화물수용공간을 갖는,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tank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rgo receiving space, sloshing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KR1020170155292A 2017-11-21 2017-11-21 Sloshing preventing device KR102006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92A KR102006913B1 (en) 2017-11-21 2017-11-21 Sloshing preve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92A KR102006913B1 (en) 2017-11-21 2017-11-21 Sloshing preve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61A KR20190057861A (en) 2019-05-29
KR102006913B1 true KR102006913B1 (en) 2019-08-02

Family

ID=6667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292A KR102006913B1 (en) 2017-11-21 2017-11-21 Sloshing preven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9617B (en) * 2019-12-11 2021-12-17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Shake reducing device and film type liquid tan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39B1 (en) * 2009-02-06 2013-04-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Carrier's Cargo Tank equiped with Anti-Sloshing Cap
KR101670869B1 (en) 2012-10-09 2016-10-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evice For Reducing Sloshing Of LNG Storage Tank
KR20150044543A (en)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loshing reduction apparatus for LNG tank of LNG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61A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617B1 (en) Sloshing impact reduce device of Cargo Containment and method of reduce the same
KR101983901B1 (en) Liquid storage tank for ship
CN105711757A (en) Liquid stabilization device used for liquid cargo cabin
KR102159975B1 (en) Container
KR102006913B1 (en) Sloshing preventing device
KR20150053142A (en) Anti-sloshing apparatus, and Cargo for using the same
KR101122780B1 (en) a plate for reducing sloshing in liquid cargo tank
CN205707179U (en) A kind of steady liquid device for cargo tank
JP2016185780A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arine vessel
KR101324605B1 (en) Liquid Cargo Storage Tank for Reducing Sloshing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1533780B1 (en) Sloshing reducing device for liquid cargo transport vessel
JP5552637B2 (en) Sloshing load reducing device and ship with sloshing load reducing device
KR20170049156A (en) Tank for storing lng
KR102415541B1 (en) Sloshing Reduction Device of Liquid Cargo in a Liquid Cargo Storage Tank
KR101422639B1 (en) Cargo having sloshing reduction structure
US3167203A (en) Tank for the storage of oil, gasoline and similar liquids on a water bed
KR20100125627A (en) Vertical supporting type pressure tank of a ship
KR101399599B1 (en) Cargo having sloshing reduction structure
KR102527882B1 (en) Tray for Packing food
KR102449398B1 (en) Cargo tank having sloshing reduction structure
JPH04260827A (en) Liquid storage tank
KR101444276B1 (en) Storage Tank of Liquefied Cargo
JPH06345184A (en) Tank with device for suppressing liquid fluctuation
JP6874958B2 (en) Packaging container and transportation method of packaging container
JP4895651B2 (en) Floating roof and sloshing damping method using the floating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