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898B1 -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898B1
KR102006898B1 KR1020170148741A KR20170148741A KR102006898B1 KR 102006898 B1 KR102006898 B1 KR 102006898B1 KR 1020170148741 A KR1020170148741 A KR 1020170148741A KR 20170148741 A KR20170148741 A KR 20170148741A KR 102006898 B1 KR102006898 B1 KR 10200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sembly
generating
compone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00A (ko
Inventor
조순제
노영석
민병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8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도면 생성 장치는, 임의의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 형상에 상응하는 설계 데이터에서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인 부품의 물량 정보를 생성하는 설계데이터 해석부: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과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구성 부재에 대한 부재 제작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하는 제작 정보 생성부; 상기 3차원 모델 형상 및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구조물의 조립도를 생성하는 조립도 생성부; 및 상기 구조물에 상응하는 조립도와 제작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도면인 실무 도면을 생성하는 실무도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Drawing cre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이나 선박에는 배관, 기계 설비 등 다양한 의장품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의장품들은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고, 설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서포트로 지지 및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 등은 3차원 모델로 설계되고 있어, 해양 구조물 등이 실제로 제작되기 이전에도 제작 완료된 해양 구조물의 형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파이프(10)가 구조물(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3차원 모델이 예시되어 있다.
서포트 등의 구조물도 3차원 모델로 설계되고 있지만, 다양한 부재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제작 도면 및 조립 도면 등인 2차원 도면이 작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3차원 모델로부터 2차원 도면이 자동 생성되지 못하고, 설계자들의 추가적인 계산 작업에 의해 작성되고 있어 설계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또한 시간 및 비용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인 것으로 단정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9237호
본 발명은 설계 데이터(즉, 3차원 모델)로부터 각 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들에 대한 설계 정보를 추출하여 부재들 각각에 대한 제작도,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부재들의 조립도 등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설계 오류를 방지할 뿐 아니라 시간 및 비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조립도 등을 자동 생성함에 있어, 부재 간의 교차 등으로 인해 복잡성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확대도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작업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 형상에 상응하는 설계 데이터에서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인 부품의 물량 정보를 생성하는 설계데이터 해석부: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과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구성 부재에 대한 부재 제작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하는 제작 정보 생성부; 상기 3차원 모델 형상 및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구조물의 조립도를 생성하는 조립도 생성부; 및 상기 구조물에 상응하는 조립도와 제작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도면인 실무 도면을 생성하는 실무도면 생성부를 포함하는 도면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도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조립도에서 미리 지정된 크기의 단위 영역 내에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교차점이 존재하면, 해당 단위 영역을 복잡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복잡 영역에 대해 생성된 미리 지정된 크기의 확대도가 일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복잡 영역의 복잡도에 상응하도록 확대도의 크기가 결정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제작 정보 생성부는 각 부품에 대해 식별 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조립도 생성부는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부품에 할당된 식별 번호가 표기된 조립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 형상에 상응하는 설계 데이터에서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인 부품의 물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과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구성 부재에 대한 부재 제작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모델 형상 및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구조물의 조립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조립도에서 미리 지정된 크기의 단위 영역 내에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교차점이 존재하면, 해당 단위 영역을 복잡 영역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잡 영역에 대해 생성된 미리 지정된 크기의 확대도가 일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도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물에 상응하는 조립도와 제작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도면인 실무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 데이터(즉, 3차원 모델)로부터 각 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들에 대한 설계 정보를 추출하여 부재들 각각에 대한 제작도,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부재들의 조립도 등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설계 오류를 방지할 뿐 아니라 시간 및 비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조립도 등을 자동 생성함에 있어, 부재 간의 교차 등으로 인해 복잡성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확대도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작업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파이프 설치 형상을 도시한 3차원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생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 및 가공 방식별 도식화 기준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 제작도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무 도면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 생성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생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생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 및 가공 방식별 도식화 기준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 제작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무 도면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 생성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 생성 장치(100)는 설계데이터 해석부(111), 제작 정보 생성부(113), 조립도 생성부(115) 및 실무도면 생성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데이터 해석부(111)는 미리 생성되어 자료 DB(150)에 저장된 구조물에 대한 설계 데이터로부터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설계 데이터는 구조물의 형상을 표현하는 3차원 모델 형상과, 3차원 모델 형상에 상응하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각 부품(예를 들어, 구성 부재, 체결재 등)에 대한 설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구성 부재와, 각 구성 부재 상호간 또는 구성 부재와 타 물품(예를 들어 파이프 등)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지칭한다. 구조물은 예를 들어 파이프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등일 수 있다.
도면 생성 장치(100)가 후술되는 실무 도면을 생성하도록 선택된 구조물은,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에 표시된 3차원 모델 형상 중 사용자가 선택한 구조물이거나, 일련의 작업들을 하나의 작업 단위로 묶어 연속적으로 일괄 처리하도록 설계된 배치(batch)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구조물 등일 수 있다.
설계데이터 해석부(11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모델 형상으로 표시 화면상에 표현되는 설계 데이터에서 관심 영역 단위(예를 들어, 구조물 단위, ISO 단위 등)로 각 구성 부재의 존재, 체결재의 존재, 각 구성 부재간의 연결 관계, 각 구성 부재의 가공 방법 및 치수 등에 대한 설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계 데이터에는 각 부품간에 시작(From)과 끝(To)으로 상호 연결 관계가 규정되어 설계데이터 해석부(111)는 각 부품간의 연결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설계데이터 해석부(111)는 선택된 구조물에 대한 설계 데이터에서 추출된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부품(예를 들어, 구성 부재, 체결재 등)의 소요량을 나타내는 물량(Bill of Material)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물량 정보는 예를 들어 부재 정보(420, 도 4 참조), 수량, 규격, 재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 데이터는 자료 DB(150)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자료 DB(150)는 예를 들어 ERP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ERP 시스템은 해양 플랜트 등의 제작을 위한 설계 데이터, 작업 진행 상황 정보, 자재 정보(예를 들어, 재고 정보, 입고 예정 정보 등) 및 작업 일정 정보 등을 저장하고 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가 독립된 장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도면 생성 장치(100)가 ERP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작 정보 생성부(113)는 설계데이터 해석부(111)에서 해석된 각 부재의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부재의 제작 작업을 위한 부재 제작도(430, 도 5 참조)를 생성한다.
이때, 제작 정보 생성부(113)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 부재의 유형(예를 들어, 플랫 바 타입, 파이프 타입, 등변 앵글 타입 등)과 가공 방식(예를 들어, 홀 가공, 벤딩 가공, 스닙 가공, 에드 플레이트 가공 등)에 따라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을 이용하여 도식화되도록 부재 제작도(43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홀 가공되는 홀의 지름 및 홀이 형성될 위치, 구성 부재의 길이 등과 같은 부가 정보가 도식화 그림 표현에 병기되어 표시되도록 부재 제작도(4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예시된 도식화 그림 표현과 도 5에 예시된 부재 제작도(430)를 참조할 때, 도 5에서 숫자 5로 식별 번호(410)가 할당된 구성 부재는 등변 앵글 타입으로서 268cm의 직선 길이를 가지고, 지름 12mm로 34cm의 위치와 126cm의 위치에 각각 홀이 윗면 일측에 형성되도록 제작되어야 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작 정보 생성부(113)는 생성한 부재 제작도(430) 및 설계데이터 해석부(111)에 의해 추출된 물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작 정보 생성부(113)는 실무 도면(도 7 및 도 8의 (b) 참조) 내에 표시되는 부재 제작도, 물량 정보 및 조립도에서 각 구성 부재 등이 상호 매칭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조물을 형성하는 각 구성 부재 및 체결재에 식별 번호(410, 도 5 및 도 6 참조)를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제작 정보는 도 5 및 도 7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부품(예를 들어, 구성 부재, 체결재 등)의 소요량을 나타내는 물량(Bill of Material) 정보와 부재 제작도(430)가 테이블 형태로 통합 정리된 제1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제작 정보는 예를 들어 상측에 물량 정보가 배치되고 그 하측에 부재 제작도(430)들이 배치되는 형태 등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430)가 분리된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제2 형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도 8의 (b) 참조).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조립도 생성부(115)는 3차원 설계 모형, 설계데이터 해석부(111)에서 해석된 각 부재의 설계 정보와 제작 정보 생성부(113)에서 각 부품에 대해 할당한 식별 번호(410)를 참조하여, 구조물 제작을 위한 조립도(610)를 생성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립도 생성부(115)는 각 구성 부재가 용접 또는/및 체결재(예를 들어, U볼트, 클램프, 스트랩 등)에 의해 결합되어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조립도(6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립도 생성부(115)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위치한 부재로서 전면에 위치된 부재에 가려지는 부분은 생략하여 도시할 수도 있으나, 전면에 위치된 부재에 가려지는 후면 부재는 점선 등으로 표시하는 등 그 표시 방식을 달리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조립도(610)는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는 작업자의 용이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식별 번호(410)가 함께 표기되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필요 구간별로 치수가 병기되어 표기될 수 있다.
조립도 생성부(115)는 생성된 조립도(610)에서 미리 지정된 복잡도 이상을 가지는 영역(도 8의 (a)의 영역 A 참조, 이하 '복잡 영역'이라 칭함)이 존재하면, 해당 복잡 영역에 대한 확대도(810)가 더 포함되도록 조립도를 갱신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조립도 생성부(115)는, 예를 들어 조립도(610)를 구성하는 각 선들의 교차 관계, 교차점의 위치와 분포를 해석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의 단위 영역 내에 미리 지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10개 등) 이상으로 교차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복잡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복잡 영역의 인식은 예를 들어 에지 검출 등과 같은 통상의 이미지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조립도 생성부(115)는 조립도(610)에서 복수의 복잡 영역을 인식한 경우, 이들의 분포 위치가 미리 지정된 간격 이내라면 하나의 확대도(810)로 처리하도록 설정되지만, 미리 지정된 간격을 초과하여 복잡 영역들이 분포하는 경우에는 각각 독립된 확대도(810)로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립도 생성부(115)는 복잡 영역이 가지는 복잡도의 정도에 따라 생성되는 확대도(810)의 크기를 상이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도 9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위 영역 내에 임계값 이하의 교차점이 존재하는 경우 조립도 생성부(115)는 확대도의 생성을 생략한다.
그러나, 도 9의 (b) 및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위 영역 내에 임계값 이상의 교차점이 존재하면 해당 단위 영역을 복잡 영역으로 인식하고 해당 복잡 영역에 대한 확대도(810)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확대도(810)의 크기는 복잡 영역의 복잡도, 즉 복잡 영역 내에 존재하는 교차점의 수량 범위로 규정화한 단계값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개의 교차점이 존재하는 도 9의 (b)의 경우에는 제1 크기로 확대도(810)가 생성되도록 하고, 29개의 교차점이 존재하는 도 9의 (c)의 경우에는 제1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지정된 제2 크기로 확대도(810)가 생성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복잡 영역에 대해 확대도가 생성되면, 조립도 생성부(115)는 생성된 확대도(810)가 조립도(61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조립도(610)를 갱신 처리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실무도면 생성부(117)는 제작 정보 생성부(113)에 의해 정리된 제작 정보(즉,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430))와, 조립도 생성부(115)에 의해 생성된 조립도(610)를 이용하여 실무 도면(700)을 생성할 수 있다. 실무도면 생성부(117)에 의해 생성된 실무 도면(700)은 자료 DB(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무 도면(700)은 조립도(610)를 배치하기 위한 제1 영역(710)과, 제작 정보를 배치하기 위한 제2 영역(7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작 정보는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430)가 하나의 테이블 형식으로 통합 정리되어 생성될 수도 있고, 각각 상이한 영역으로 분리되도록 정리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생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0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는 구조물(예를 들어, 서포트 등)에 대한 설계 데이터에서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예를 들어, 각 구성 부재의 존재, 각 구성 부재간의 연결 관계, 각 구성 부재의 가공 방법 및 치수 등)를 추출한다.
또한 도면 생성 장치(100)는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부품(예를 들어, 구성 부재, 체결재 등)의 소요량을 나타내는 물량(Bill of Material) 정보를 더 산출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는 미리 지정된 도식화 기준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제작을 위한 부재 제작도(430)를 생성한다. 도식화 기준은 예를 들어, 구성 부재의 유형, 가공 방식에 따라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으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홀 가공시 홀의 지름이나 위치 등과 같은 부가 정보가 병기되어 표시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도면 생성 장치(100)는 각 구성 부재에 대한 부재 제작도(430)와 단계 1010에서 산출된 물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한다. 제작 정보는 예를 들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의 소요량을 나타내는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430)가 테이블 형태로 통합 정리된 제1 형식, 또는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430)가 분리된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제2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는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와 각 부품에 대해 할당한 식별 번호(410)를 참조하여 구조물 제작을 위한 조립도(610)를 생성한다.
조립도(610)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도시된다. 여기서,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410)가 함께 표기됨으로써 작업자가 부재 제작도(430)와 조립도(610)를 매칭하여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되며, 필요 구간별로 치수가 병기되어 표기될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는 조립도(610) 내에 미리 지정된 복잡도 이상을 가지는 복잡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립도(610)를 구성하는 각 선들의 교차 관계, 교차점의 위치와 분포를 해석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의 단위 영역 내에 미리 지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10개 등) 이상으로 교차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역은 복잡 영역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복잡 영역이 존재하면, 단계 1050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는 인식된 복잡 영역의 복잡도에 상응하도록 규정된 크기의 확대도(810)를 생성하고, 생성된 확대도(810)가 조립도(610)의 일 측에 배치되도록 조립도(610)를 갱신한다.
복수의 복잡 영역이 인식되면, 도면 생성 장치(100)는 이들의 분포 위치가 미리 지정된 간격 이내인 경우 하나의 확대도(810)로 처리하고, 미리 지정된 간격을 초과하도록 복잡 영역들이 분포되면 각각 독립된 확대도(810)로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1060에서, 도면 생성 장치(100)는 조립도가 제1 영역(710)에 삽입되고, 제작 정보가 제2 영역(720)에 삽입되도록 2차원 도면인 실무 도면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설계 데이터(즉, 3차원 모델)로부터 각 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들에 대한 설계 정보를 추출하여 부재들 각각에 대한 제작도,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부재들의 조립도 등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설계 오류를 방지할 뿐 아니라 시간 및 비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조립도 등을 자동 생성함에 있어, 부재 간의 교차 등으로 인해 복잡성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확대도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작업 편의가 도모되는 특징도 있다.
상술한 도면 생성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파이프 20 : 구조물
100 : 도면 생성 장치 111 : 설계데이터 해석부
113 : 제작 정보 생성부 115 : 조립도 생성부
117 : 실무도면 생성부 150 : 자료 DB
410 : 식별 번호 420 : 부재 정보
430 : 부재 제작도 610 : 조립도
700 : 실무 도면 810 : 확대도

Claims (5)

  1. 임의의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 형상에 상응하는 설계 데이터에서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인 부품의 물량 정보를 생성하는 설계데이터 해석부: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과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구성 부재에 대한 부재 제작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하는 제작 정보 생성부;
    상기 3차원 모델 형상 및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구조물의 조립도를 생성하는 조립도 생성부; 및
    상기 구조물에 상응하는 조립도와 제작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도면인 실무 도면을 생성하는 실무도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도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조립도에서 미리 지정된 크기의 단위 영역 내에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교차점이 존재하면, 해당 단위 영역을 복잡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복잡 영역에 대해 생성된 미리 지정된 크기의 확대도가 일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도를 갱신하며,
    상기 조립도의 일측에 배치되는 확대도의 크기는 상기 단위 영역 내에 존재하는 교차점의 수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복잡도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도면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도 생성부는 복잡 영역이 복수개 인식된 경우, 각 복잡 영역의 분포 위치가 미리 지정된 간격 이내라면 하나의 확대도로 생성하고, 각 복잡 영역의 분포 위치가 미리 지정된 간격을 초과하면 각각 독립된 확대도로 생성하는, 도면 생성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정보 생성부는 각 부품에 대해 식별 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조립도 생성부는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부품에 할당된 식별 번호가 표기된 조립도를 생성하는, 도면 생성 장치.
  5. 실무 도면을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임의의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 형상에 상응하는 설계 데이터에서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와 체결재인 부품의 물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도식화 그림 표현과 각 구성 부재의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구성 부재에 대한 부재 제작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량 정보와 부재 제작도를 이용하여 제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모델 형상 및 상기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구조물의 조립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조립도에서 미리 지정된 크기의 단위 영역 내에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교차점이 존재하면, 해당 단위 영역을 복잡 영역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잡 영역에 대해 생성된 미리 지정된 크기의 확대도가 일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도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물에 상응하는 조립도와 제작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도면인 실무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도의 일측에 배치되는 확대도의 크기는 상기 단위 영역 내에 존재하는 교차점의 수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복잡도의 크기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48741A 2017-11-09 2017-11-09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00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741A KR102006898B1 (ko) 2017-11-09 2017-11-09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741A KR102006898B1 (ko) 2017-11-09 2017-11-09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00A KR20190052900A (ko) 2019-05-17
KR102006898B1 true KR102006898B1 (ko) 2019-08-02

Family

ID=6667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741A KR102006898B1 (ko) 2017-11-09 2017-11-09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8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99B1 (ko) * 2001-02-20 2006-11-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JP2012128609A (ja) 2010-12-15 2012-07-05 Babcock Hitachi Kk 図面作成支援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789A (ja) * 1993-06-05 1994-12-22 Murata Mach Ltd 構造物生産設計システム
KR100535314B1 (ko) * 2003-04-22 2005-12-08 오용준 건축 철골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제작도면의 자동 생성방법 및 시스템
KR101542261B1 (ko) 2010-07-23 2015-08-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서포터 모델링 및 제작도면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99B1 (ko) * 2001-02-20 2006-11-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JP2012128609A (ja) 2010-12-15 2012-07-05 Babcock Hitachi Kk 図面作成支援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00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65523A (zh) 一种基于bim技术的深基坑围护结构快速构建方法
EP3751318A1 (en) Three-dimensional ground model generation and automated earthwork target model generation system based on parameter input
KR101871300B1 (ko) 선박설계 시 형강류 절단도면 자동 생성 및 자재 bom 자동 추출 방법
KR20160018944A (ko) 차량의 사고부위를 인식하여 가견적 리스트를 모바일 장치에서 생성하는 방법
KR102006898B1 (ko)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JP3009135B2 (ja) 薄板金属製作設備全体にわたって設計製作情報を分配する装置と方法
CN110489895A (zh) 一种基于bim技术的桥梁花瓶墩盖梁钢模板设计方法
JP2019075062A (ja) 設計支援装置および設計支援方法
KR102006895B1 (ko)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989700B1 (ko) 3차원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점군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팅을 모델링하기 위한 3차원 모델링 장치 및 방법
CN101706837A (zh) 基于数学模型的夹具元件库建立方法
KR20140073748A (ko) 특징형상 기반의 한옥 건축물 모델링 시스템 및 모델링 방법
KR100535314B1 (ko) 건축 철골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제작도면의 자동 생성방법 및 시스템
US6678568B1 (en) Sheet metal working graphic data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51386A (ko)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7172057A (ja) 板金モデル処理システム、板金モデル処理方法、板金モデル処理プログラム、及びこれらによって使用されるオブジェクト指向板金モデルのデータ構造
JP6308917B2 (ja) 図面作成支援装置
CN111753346A (zh) 线性构件的剖面图生成方法、Revit平台及存储介质
JP2004326296A (ja) 解析モデル作成支援システム
KR20170091445A (ko) 해양플랜트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 순서 확인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순서 확인 방법
KR20160136655A (ko) 3d 모델을 이용한 홀 도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766795B1 (ko) 선체의 헐 모델(Hull Model)을 PMA(Permanent Means of Access) 매뉴얼 작성용 스트럭쳐로 변환하는 방법
CN116583843A (zh) 用于进行点云场地调试的系统和方法
Kashid et al. An expert system for manufacturability assessment and process planning of sheet metal parts produced on compound die
KR101662765B1 (ko) 무결성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무결성 피드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