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622B1 -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622B1
KR102006622B1 KR1020170161283A KR20170161283A KR102006622B1 KR 102006622 B1 KR102006622 B1 KR 102006622B1 KR 1020170161283 A KR1020170161283 A KR 1020170161283A KR 20170161283 A KR20170161283 A KR 20170161283A KR 102006622 B1 KR102006622 B1 KR 10200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torage space
housing
co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762A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17016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6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일측에 휴대폰이 삽입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게시한다.

Description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The mobile phone case having a cover portion having an adsorption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착탈되는 커버부에 흡착 성질을 갖는 접착부가 구비되어 경사진 외부의 벽면 또는 경사진 자동차 유리 등에 흡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때 핸드폰이 거치되는 하우징 부분은 중력의 영향으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악세사리 용품으로서 다이어리 타입, 플립 타입, 범퍼 타입, 뷰 타입, 젤리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중 젤리 타입의 경우 연질 재질로 휴대폰이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보통은 휴대폰의 일부를 감싸는 정도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휴대폰은 실생활에 밀접하게 사용이 되고 있어서,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을 대신하여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가 대중적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컨 송풍구에 장착이 되면서 운전자의 움직임과 시야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네비게이션의 위치는 운전자 시야와 동일한 정면 방향의 차량 앞 유리의 사이드 부분이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차량 운전자는 눈길을 조금 옆으로 돌림으로서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차량 거치대가 송풍구 위치에 달려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네비게이션을 보기 위해 정면 시야를 포기하고 아래쪽을 봤지만, 네비게이션을 차량 앞유리 사이드에 설치한다면, 운전자는 네비게이션을 보면서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안전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휴대폰을 통해 시청각 미디어 자료를 시청하게 될 경우에는 마땅히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테이블 등에 안착시키고 책과 같은 주변 물건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대신하였으나 이는 바닥 또는 테이블이 없는 곳에서는 불가능하며 또한 일반적으로 바닥 또는 테이블은 사용자의 가슴 위치에 있어서 고개를 숙여서 봐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곳에 거치가 가능한 흡착기능을 가진 기능과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기존 흡착재가 설치된 핸드폰 케이스는 경사진 벽면에 설치할 경우 핸드폰 본체 역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핸드폰 사용자가 핸드폰을 보는 것에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나, 본 휴대폰 케이스는 흡착부가 커버부에 형성되어 눈 높이 또는 원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진 벽면을 포함한 벽면에 커버부를 통해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핸드폰 본체가 거치되는 하우징 부분은 중력의 방향으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며, 휴대 보관 시에는 커버부를 뒤집어 설치하여 커버부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일측에 휴대폰이 삽입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착부가 형성된 A면이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착부가 형성된 A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은, 명함 또는 카드가 수납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과 인접하여 상기 접착부가 접착되는 흡착홈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홈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경우, 상기 저장공간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커버부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의 저장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커버부가 교체 가능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일면에 접착부를 뒤집어서 하우징에 결합한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접착부가 다양한 곳에 접착이 가능하여 휴대폰을 거치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결합공간 및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의 모습을 나타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를 나타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접착부가 형성된 A면이 저장공간을 향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B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결합공간 및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의 모습을 나타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접착부가 형성된 A면이 저장공간을 향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B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하우징(100) 및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일측에 휴대폰이 삽입되는 안착공간(107)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휴대폰이 삽입되는 안착공간(107)을 전면, 반대쪽에 카드 또는 명함이 수납되는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된 부분을 배면이라고 지칭하겠다.
하우징(100)은 휘어짐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안착공간(107)에 휴대폰의 일면 및 베젤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휴대폰의 전원버튼, 음량버튼, 카메라 등이 노출되게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상기 저장공간에는 카드 또는 명함들이 수납홈(105)이 형성된다.
수납홈(105)은 카드 또는 명함의 둘레에 대응되게 펜스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서 수납홈(105)을 구분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에서 수납홈(105)을 제외한 나머지는 흡착홈(101)이 된다.
흡착홈(101)은 접착부(220)가 접착되는 부분으로 접착부(220)가 흡착이 되어 커버부(200)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수납홈(105)에 카드 또는 명함 등의 중요한 개인정보가 커버부(200)가 외부환경에 의해 개방됨으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수납홈(105)의 중심부에는 안착공간(107)과 상기 저장공간을 연통하는 관통홀(104)이 형성된다.
관통홀(104)은 안착공간(107)에 결합된 휴대폰을 빼낼 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배면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고, 적어도 일면에 접착부(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부(220)는 커버부(200)의 일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압력의 차이에 의해 평평한 면에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20)는 커버부(200)의 일면에 다수가 구비되며,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커버부(200)가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되는 것은, 하우징(100)에 형성된 힌지홈(120)에 커버부(200)의 힌지돌기(222)가 착탈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홈(120)이 상하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힌지홈(120)은 힌지돌기(222)가 삽입 가능하게 일부가 개구되어 있어서 힌지홈(120)을 통해 커버부(200)가 착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힌지홈(120)은 삽입된 힌지돌기(222)가 사용자에 의해 착탈되도록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홈(120)은 상기 개방부에서부터 힌지돌기(222)가 완전히 결합되는 위치까지 테이퍼진 삽입경로(122)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착탈하지 않으면 쉽게 착탈 되지 않는다.
이러한 힌지홈(120) 및 힌지돌기(222)의 특징으로 커버부(200)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게 배치하여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커버부(200)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전개되는 각도가 180도 이내로 제한된다.
이는 커버부(200)가 접착부(220)에 의해 부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외측을 향해 접착부(220)가 형성되도록 커버부를 착탈 결합하고 벽면 또는 경사면에 커버부(200)를 접착시켜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보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것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에서 접착부(220)가 형성된 일면을 A, A에 대한 배면을 B라고 표시를 했다.
커버부(200)의 A에는 접착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부(220)는 커버부(200)의 A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이는 커버부(200)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되면서 수납홈(105)을 밀폐하고 접착부(220)가 흡착홈(101)에 접착되기 위함이다.
물론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커버부(200)가 폐쇄되면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지만 외부 환경에 의해 휴대폰에 충격이 발생되면 커버부(200)가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부(220)가 하우징(100)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렇게 커버부(200)가 흡착홈(101)에 접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수납홈(105)과 흡착홈(101)을 구분하는 펜스는 커버부(200)의 A에 접촉되어 수납홈(105)에 수납된 개인정보가 수납홈(10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220)는 상하로 각 두 개씩 형성되고 힌지로 결합된 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세 개가 형성되고, 또 다른 타측은 하우징(100)에 힌지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접착부(220)는 매끈한 벽면 또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면에 접착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네비게이션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데, 커버부(200)의 A가 자동차 유리에 접착되었을 때 자동차의 전면 유리는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중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때, 커버부(200)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저장공간과의 각도가 90도 이내가 된다.
또한 타일과 같은 벽면에 본 발명을 접착하게 되면, 커버부(200)와 하우징(100)은 동일평면, 즉 180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반영하여 본 발명에서 커버부(200)는 하우징(100)과 힌지 결합 구성이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되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부(200)가 벽면 또는 유리에 접착되었을 시, 하우징(100)이 주변 환경 또는 외력에 커버부(200)와 힌지결합된 부분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 및 커버부(2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접착부(220)가 흡착홈(101)에 접착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200)와 접착부(220)는 이중사출 성형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변형예에 따라 접착부(220)가 커버부(20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잇다.
변형예에서는 접착부(220)가 커버부(200)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커버부(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접착부(220)가 상기 결합홈에 억지 끼움 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부(220)가 결합되는 형태가 된다면, 접착부(220)가 파손되거나 손실될 경우 접착부(220)가 교체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라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과 착탈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어 있고, 결합부가 형성된 A와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B로 구분되어 있어서 A와 B의 위치를 바꿔서 하우징(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A가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착탈 결합되면, 흡착홈(101)에 접착부(220)가 접착되어 커버부(200)가 상기 저장공간에 대한 밀폐력을 향상 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 때 상기 펜스가 커버부(200)의 A와 접촉되면서 수납홈(105)에 수용된 개인정보가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200)의 A가 외측을 향해 결합되고, B가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착탈되면 커버부(200)는 외부에 평평한 벽에 접착되면서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가 개방이 되어 벽면에 접착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과 결합부의 B가 동일 평면을 유지하면서 접착부(220)가 벽면에 접착이 되고, 힌지돌기(222)가 힌지홈(120)의 삽입경로(122)를 따라 깊숙한 부분에 안착되어 하우징(100)과 커버부(200)가 분리되는 위험에서 방지가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접착부(220)는 커버부(20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흡착홈(101)에 접착되며, 이를 통해 커버부(200)가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며, 접착부(220)의 흡착되는 성질에 의해 흡착홈(101)이 이에 대응되는 고무재질로 하우징(100)과 이중사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라 흡착홈(101)에는 보조 접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접착부는 접착부(220)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 흡착홈(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커버부(200)의 접착부(220)와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의 A가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경우, 접착부(220)와 상기 보조 접착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커버부(200)의 A가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하기 위함으로 보조 접착부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이 커버부(200)를 결속하고 커버부(200)가 하우징(100)에 결속하여 서로가 더욱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200)에만 한정되는 접착부(220)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 또는 건물의 벽면에 부착이 되면서 커버부가 상기 유리 또는 벽면에 접착되어 힌지 결합된 휴대폰을 지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에 휴대폰이 지지될 수 있는 접착력을 가지도록 접착부(220)가 형성됨으로 불필요한 구성에 의한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200)는 커버부(200)의 A의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접착부가 흡착홈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부(200)가 커버부(200)의 중심부, 즉 수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커버부(200)가 개방됨에 따라 카드 또는 명함 등의 개인정보가 접착되어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보조 접착부는 커버부(200)가 폐쇄될 시 커버부(200)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하는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하우징
101: 흡착홈
104: 관통홀
105: 수납홈
107: 안착공간
120: 힌지홈
122: 삽입경로
200: 커버부
220: 접착부
222: 힌지돌기

Claims (7)

  1. 일면에 휴대폰이 삽입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타면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고 삽입경로를 가지는 힌지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A면과 B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A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부가 형성되어 폐쇄시 상기 하우징과 접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일측에 상기 힌지홈에 삽입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홈은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 가능하게 일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삽입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개방될 경우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A면 또는 상기 B면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전개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착부가 형성된 A면이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착부가 형성된 A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명함 또는 카드가 수납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과 인접하여 상기 접착부가 접착되는 흡착홈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70161283A 2017-11-29 2017-11-29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00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83A KR102006622B1 (ko) 2017-11-29 2017-11-29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83A KR102006622B1 (ko) 2017-11-29 2017-11-29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62A KR20190062762A (ko) 2019-06-07
KR102006622B1 true KR102006622B1 (ko) 2019-10-01

Family

ID=6684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83A KR102006622B1 (ko) 2017-11-29 2017-11-29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6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33Y1 (ko) * 2014-06-30 2015-01-07 서진원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744U (ko) * 2013-05-01 2014-11-12 박세미 휴대 단말 케이스
KR101963633B1 (ko) * 2017-08-31 2019-03-29 김건 충격 흡수력이 강화된 흡착식 핸드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33Y1 (ko) * 2014-06-30 2015-01-07 서진원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62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099B2 (en) Mobile device case
US20150257285A1 (en) Door securement mechanism for waterproof encasement
US20150065206A1 (en) Locking Rim Cell Phone Case
US20130299533A1 (en) Spring loaded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KR102006622B1 (ko) 흡착 기능을 갖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750677B1 (ko) 카드 홀더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1058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커버용 클립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236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878912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98578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KR100789644B1 (ko) 가이드 댐퍼를 이용한 맵포켓
CN211336994U (zh) 一种防止刮磨的汽车车灯保护装置
KR102149370B1 (ko)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75140A (ko) 파손 방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US8651673B2 (en) Vehicle mirror device
KR101469644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JP7347095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3873161B2 (ja) 携帯端末機
CN218162541U (zh) 一种手机壳
KR102607693B1 (ko) 휴대폰 거치가 가능한 내비게이션 거치대
KR101559742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CN208993583U (zh) 顶棚框架和衬垫配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