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456B1 - 스툴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툴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456B1
KR102006456B1 KR1020180032067A KR20180032067A KR102006456B1 KR 102006456 B1 KR102006456 B1 KR 102006456B1 KR 1020180032067 A KR1020180032067 A KR 1020180032067A KR 20180032067 A KR20180032067 A KR 20180032067A KR 102006456 B1 KR102006456 B1 KR 10200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peed
rotating body
sens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박상진
조은준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3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툴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다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페달이 마련된 회전운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는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미려한 형상으로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페달의 회전속도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툴형 운동기구{Stool-type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스툴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좌석부재에 앉은 상태로 페달을 회전시켜 운동할 수 있는 스툴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이나 승용을 주목적으로 사용되던 자전거의 개념이 근래에 들어와서 레저와 스포츠의 한 종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자전거가 널리 보급됨과 아울러 그 사용인구의 저변이 점차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전거는 도로를 이용해야 됨을 전제로 하였으므로 차량통행이 극심한 도심에서는 교통사고의 우려 때문에 제대로 달릴 수 없는 제약이 있었고, 특히 우천시 등의 기상이 좋지 않은 경우는 물론 여가 시간이 촉박할 경우에는 자전거의 사용이 여의치 못하였으므로, 기존의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은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앉아서 근무하는 사무실 근로자들의 대부분은 하체 운동이 부족하므로 등산, 달리기, 걷기, 자전거 타기 운동 등을 선호한다. 상기 주행용 자전거를 운동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따른 제약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내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자전거와 동일 내지 유사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전거형 실내운동기구가 등장한바 있다.
종래 기술의 자전거형 실내운동기구는 지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지지되게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빔이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는 자전거와 유사한 안장과 가속페달이 설치되며, 플레이트의 상부 중앙에 는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변속기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형 실내운동기구의 경우, 비교적 부피가 크고, 자전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기 어려우며, 페달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5946호: 복합형 실내자전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페달의 회전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스툴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다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페달이 마련된 회전운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착석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후단부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좌석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좌석부재는 사용자가 착석시 후단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률반경은 40mm 내지 5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석부는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좌석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각각 좌석부재 및 받침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상기 회전운동부가 설치된 보강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1중공이 형성되고, 하측 내면에 상기 회전운동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블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석부재 및 받침대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부재 및 받침대에 대해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중공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블럭은 상기 제1중공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운동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2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설치블럭에 설치되며, 좌우측면에 각각 상기 페달이 마련된 회전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2중공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블럭은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속도 표시부는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싱유닛과, 상기 보강부재의 제1중공 내측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램프부재와, 상기 속도 센싱유닛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회전체의 속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재들을 상기 제1중공의 내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기설정된 단위시간 간격으로 상기 램프부재들을 점멸시키되, 상기 속도 센싱유닛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회전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단위시간을 감소시킨다.
상기 속도센싱유닛은 상기 제2중공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체에 고정된 제1센싱부재와, 상기 제1센싱부재의 회전궤적 중 기설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제1센싱부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블럭에 설치된 제2센싱부재와, 상기 제2센싱부재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제2센싱부재가 상기 제1센싱부재를 감지한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는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미려한 형상으로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페달의 회전속도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툴형 운동기구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툴형 운동기구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툴형 운동기구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스툴형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툴형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200)와, 상기 착석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200)에 착석한 사용자가 다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페달(320)이 마련된 회전운동부(300)와, 상기 착석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320)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400)를 구비한다.
착석부(200)는 받침대(210)와, 받침대(210)의 후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대(220)와, 지지대(220)의 상단부에 연장된 좌석부재(230)와, 받침대(210) 및 좌석부재(230) 사이에 설치된 보강부재(240)를 구비한다.
받침대(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20)는 받침대(210)의 후단부에 연장되며, 지지대(22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지지대(220)는 받침대(210)와의 연결부분인 하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좌석부재(230)는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220)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좌석부재(230)는 사용자가 착석시 후단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은 40mm 내지 5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상기 곡률반경에 따른 좌석부재(230), 지지대(220) 및 받침대(210)의 하중 분포를 분석한 분석자료가 게시되어 있다. 여기서, 좌석부재(230)의 전단부에 500N(50Kg)의 하중이 작용한 상태이고, 도 6은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이 0mm일 때, 하중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이 30mm일 때, 하중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이 50mm일 때, 하중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이 50mm이고,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하측 모서리부분의 곡률반경이 30mm일 때, 하중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이 50mm일 때 좌석부재(230)의 모서리부분에 하중이 비교적 분산되어 있고, 지지대(220)에 하중이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부재(230)의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231)의 곡률반경이 50mm일 때, 좌석부재(230)에 전단부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좌석부재(230)의 모서리부분에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받침대(210), 지지대(220) 및 좌석부재(230)는 복수개가 보강부재(24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다.
보강부재(240)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좌석부재(230) 및 받침대(210)가 고정되며, 후단부에는 지지대(220)가 고정되어 있다. 보강부재(240)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1중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중공(241)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제1중공(241)에 의해 보강부재(240)는 무게가 감소될 뿐 아니라 미려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보강부재(240)는 전단부가 좌석부재(230) 및 받침대(210)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좌석부재(230) 및 받침대(210)에 대해 돌출된 전단부는 제1중공(241)을 중심으로 제1중공(241)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240)는 전단부가 호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좌석부재(230)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240)는 하측 내면에 상기 회전운동부(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블럭(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블럭(242)은 상기 제1중공(24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24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운동부(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2중공(2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블럭(242)은 제2중공(245)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블럭(24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중공(245)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부재(240)의 후측면 하단부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단자(24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보강부재(240)는 제1중공(241)의 내측면에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의 램프부재(420)가 설치되는 설치홈(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홈은 제1중공(241)의 내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운동부(300)는 상기 제2중공(245)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설치블럭(242)에 설치된 회전체(310)와, 상기 회전체(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페달(320)을 구비한다.
회전체(310)는 상기 제2중공(245)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245)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중공(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체(310)는 이동레일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상기 설치블럭(242)의 이동레일이 삽입되기 위한 레일홈(미도시)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31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제3중공(311)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체(310)의 중량이 감소되며, 미려한 형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페달(320)은 복수개가 회전체(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체(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페달(320)들은 보강부재(24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거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속도 표시부(400)는 상기 회전체(31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싱유닛(410)과, 상기 보강부재(240)의 제1중공(241) 내측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램프부재(420)와, 상기 속도 센싱유닛(410)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회전체(310)의 속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재(420)들을 상기 제1중공(241)의 내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제어모듈(430)을 구비한다.
속도 센싱유닛(410)은 상기 제2중공(245)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체(310)에 고정된 제1센싱부재(411)와, 상기 제1센싱부재(411)의 회전궤적 중 기설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제1센싱부재(411)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블럭(242)에 설치된 제2센싱부재(412)와, 상기 제2센싱부재(412)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제2센싱부재(412)가 상기 제1센싱부재(411)를 감지한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회전체(310)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413)를 구비한다.
제1센싱부재(411)는 회전체(310)의 가장자리 또는 회전체(310)의 외측면에 인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센싱부재(411)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네오디뮴 자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센싱부재(412)는 제1센싱부재(411)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2중공(245)에 인접된 설치블럭(242)의 외측면 또는 설치블럭(242)의 내측면에 인입되게 설치된다. 제2센싱부재(412)는 회전체(310)가 회전시 주위를 통과하는 제1센싱부재(411)를 감지한다.
속도계산부(413)는 제2센싱부재(412)에 연결되며,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제2센싱부재(412)를 통해 감지된 제1센싱부재(411)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제1센싱부재(411)와 상기 기준시간을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310)의 속도를 산출한다. 이때, 속도계산부(413)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회전체(310)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부재(420)는 다수의 엘이디를 구비하며, 상기 엘이디들은 제1중공(241)의 설치홈에 인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램프부재(420)는 다수개가 제1중공(241)의 내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430)은 램프부재(420)들에 연결되어 램프부재(420)들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기설정된 단위시간 간격으로 상기 램프부재(420)들을 점멸시킨다. 즉, 제어모듈(430)의 제어에 의해 램프부재(420)들은 발광하는 오브젝트가 보강부재(240)의 제1중공(241)의 내측면으로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점멸된다. 이때, 제어모듈(430)은 속도계산부(413)로부터 산출된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발광하는 오브젝트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게 보이도록 상기 속도 센싱유닛(410)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회전체(310)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단위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좌석부재(230)의 상부에 착석한 다음, 발을 회전체(310)에 마련된 페달(320)들에 지지시키고, 다리를 움직여 회전체(310)를 회전시키며 운동을 한다. 이때, 속도 센싱유닛(41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310)의 속도를 산출하고, 제어모듈(430)의 제어에 의해 램프부재(420)들은 발광하는 오브젝트가 보강부재(240)의 제1중공(241)의 내측면으로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점멸된다. 여기서, 제어모듈(430)은 속도계산부(413)로부터 산출된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발광하는 오브젝트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게 보이도록 램프부재(420)들의 점멸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속도를 디스플레이의 램프부재(420)를 통해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회전체(310)의 속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램프부재(420)들은 오브젝트가 보강부재(240)의 제1중공(241)의 내측면으로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점멸되므로 사용자가 운동 중에서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툴형 운동기구
200: 착석부
210: 받침대
220: 지지대
230: 좌석부재
240: 보강부재
241: 제1중공
242: 설치블럭
300: 회전운동부
310: 회전체
311: 제3중공
320: 페달
400: 속도 표시부
410: 속도 센싱유닛
411: 제1센싱부재
412: 제2센싱부재
413: 속도계산부
420: 램프부재
430: 제어모듈

Claims (14)

  1.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대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형성된 좌석부재와, 상기 좌석부재 및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의 제1중공이 형성된 보강부재를 포함한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다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설치된 복수의 페달을 포함한 회전운동부; 및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속도 표시부는
    상기 회전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싱유닛;
    상기 보강부재의 제1중공 내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램프부재; 및
    발광하는 오브젝트가 상기 제1중공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표시될 수 있게 상기 속도 센싱유닛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회전체의 속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재들을 상기 제1중공의 내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설정된 단위시간 간격으로 상기 램프부재들을 점멸시키되, 상기 회전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속도가 증가되도록 표시되기 위해 상기 속도 센싱유닛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회전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단위시간을 감소시키는,
    스툴형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재는 사용자가 착석시 후단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후단부 상측 모서리부분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스툴형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반경은 40mm 내지 60mm 인,
    스툴형 운동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하측 내면에 상기 회전운동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블럭이 형성된,
    스툴형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석부재 및 받침대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부재 및 받침대에 대해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중공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된,
    스툴형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럭은 상기 제1중공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운동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2중공이 형성된,
    스툴형 운동기구.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2중공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중공이 형성된,
    스툴형 운동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럭은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된,
    스툴형 운동기구.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센싱유닛은
    상기 제2중공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체에 고정된 제1센싱부재;
    상기 제1센싱부재의 회전궤적 중 기설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제1센싱부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블럭에 설치된 제2센싱부재; 및
    상기 제2센싱부재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제2센싱부재가 상기 제1센싱부재를 감지한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를 구비하는,
    스툴형 운동기구.
KR1020180032067A 2018-03-20 2018-03-20 스툴형 운동기구 KR10200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7A KR102006456B1 (ko) 2018-03-20 2018-03-20 스툴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7A KR102006456B1 (ko) 2018-03-20 2018-03-20 스툴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456B1 true KR102006456B1 (ko) 2019-08-01

Family

ID=676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67A KR102006456B1 (ko) 2018-03-20 2018-03-20 스툴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4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836Y1 (ko) * 2002-10-04 2002-12-28 한상기 흔들의자가 결합된 실내운동용 자전거 장치
KR20110000763U (ko) * 2009-07-16 2011-01-24 김홍기 페달형 운동기구
KR101505946B1 (ko) 2013-04-10 2015-03-26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20160045247A (ko) * 2014-10-17 2016-04-27 송지영 스피닝 자전거
CN206621718U (zh) * 2017-03-31 2017-11-10 李雅妹 一种健身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836Y1 (ko) * 2002-10-04 2002-12-28 한상기 흔들의자가 결합된 실내운동용 자전거 장치
KR20110000763U (ko) * 2009-07-16 2011-01-24 김홍기 페달형 운동기구
KR101505946B1 (ko) 2013-04-10 2015-03-26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20160045247A (ko) * 2014-10-17 2016-04-27 송지영 스피닝 자전거
CN206621718U (zh) * 2017-03-31 2017-11-10 李雅妹 一种健身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033B1 (ko)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US6939271B1 (en) Crosstraining exercise device
US6749540B1 (en) Cross training exercise device
US6482130B1 (en) Cross training exercise device
US7803091B2 (en) Ski exercising and training apparatus
US4762317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7267635B2 (en) Stationary bike
US7976433B2 (en) Biomechanical diagnostic machine for bicycle fitting, rehabilitation and training
US20020004439A1 (en) Multi-position exercise bicycle
US9517376B2 (en) Portable and attachable bicycle trainer
CN102083501A (zh) 一种固定铰接式自行车
JP2000317011A (ja) 室内運動用自転車
US4305578A (en) Exercise equipment
EP0858358B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KR102006456B1 (ko) 스툴형 운동기구
WO2006115340A1 (en) Exercising equipment utilizing a bicycle
US4811945A (en) Unobstructed adjustable V-frame exercycle
US11992725B2 (en) Movably supported exercise device
KR20110138536A (ko) 좌식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용 안장
KR101220895B1 (ko) 자전거 핸들
US7582044B2 (en) Training bench for cyclists
KR102133516B1 (ko) 수중 운동 장치
KR101380153B1 (ko) 자전거 운동기구
KR102555829B1 (ko) Mtb용 라이딩 머신
CN214729273U (zh) 一种自行车儿童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