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208B1 -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208B1
KR102006208B1 KR1020170124115A KR20170124115A KR102006208B1 KR 102006208 B1 KR102006208 B1 KR 102006208B1 KR 1020170124115 A KR1020170124115 A KR 1020170124115A KR 20170124115 A KR20170124115 A KR 20170124115A KR 102006208 B1 KR102006208 B1 KR 10200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rol
voice signal
camera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181A (ko
Inventor
안창남
Original Assignee
(주)참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메드 filed Critical (주)참메드
Priority to KR102017012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data sto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6
    • H04N5/22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후두 스트로보스코피(laryngeal stroboscopy) 및 그 촬영 방법이 개시된다. 성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성대를 조명하는 광원 모듈;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하는 음성 신호 검출 모듈;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peak) 및 피치(pitch)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음성 신호 처리 모듈;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에 의하면, 음성 신호의 진동 주기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광원 온/오프(on/off) 주기와 카메라 촬영 주기를 동기화하여 성대 진동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두 진동 상태를 정밀하게 촬영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LARYGEAL STROBOSCOPY}
본 발명은 스트로보스코피(stroboscopy)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두 스트로보스코피는 성대의 움직임을 이미지로 촬영하여 파악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성대는 1초에 100-300번 정도 진동하며 노래를 부를 때에는 1000번 이상까지도 진동한다. 육안으로는 성대의 움직이나 그 진동 상태를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후두 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하여 성대의 기본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로 광원을 발광시켜 진동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성대의 진동 상태는 어느 한 위상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보여지게 된다. 사람의 눈은 어떤 영상이 노출되면 약 0.2초 동안 망막에 잔상이 남기 때문에 성대의 기본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광원을 발광시켜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는 환자의 목에다 센서를 부착하여 성대의 진동 주기를 검출하거나 또는 후두 내시경에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부착하고 환자 목소리의 기본 주파수를 전자파로 변환하여 진동 주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는 성대의 진동과 스트로보스코프의 광원 동기를 맞추기 위해 통상 청진기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성문부에 전극을 부착하여 EGG 신호를 얻고 있다. 그리고 후두경과 연결된 광원을 반복적으로 발광시켜 성대에 비추어 관찰하는 방식을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1.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5-0018884 2.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7-0102792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 스트로보스코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는,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하는 음성 신호 검출 모듈;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peak) 및 피치(pitch)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음성 신호 처리 모듈; 성대를 조명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에 의해 조명되는 성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 모듈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득 조절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하나의 피크(peak)를 검출하여 음성 신호의 피치(pitch)를 산출하는 피크검출/피치산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CCD 또는 CMO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촬영 방법은, 음성 신호 검출 모듈이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하는 단계;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peak) 및 피치(pitch)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단계; 제어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광원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광원 모듈이 성대를 조명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광원 모듈에 의해 조명되는 성대를 촬영하는 단계; 저장 모듈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 모듈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 및 피치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증폭부가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이득 조절부가 상기 증폭부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피크검출/피치산출부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하나의 피크를 검출하여 음성 신호의 피치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CCD 또는 CMO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에 의하면, 음성 신호의 진동 주기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광원 온/오프(on/off) 주기와 카메라 촬영 주기를 동기화하여 성대 진동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두 진동 상태를 정밀하게 촬영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촬영 원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과 영상의 동기화 구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촬영 원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과 영상의 동기화 구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100)는 음성 신호 검출 모듈(110), 음성 신호 처리 모듈(120), 광원 모듈(130), 카메라 모듈(140), 제어 모듈(150), 저장 모듈(160), 인터페이스 모듈(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100)는 음성 신호의 진동 주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진동 주기와 광원 모듈(140)의 온/오프(on/off) 주기와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 주기를 동기화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성대의 진동 상태를 관찰하기 쉽도록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신호 검출 모듈(110)은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신호 처리 모듈(120)은 음성 신호 검출 모듈(110)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신호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신호 처리 모듈(120)은 증폭부(121), 이득 조절부(122), 피크검출/피치산출부(1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부(121)는 음성 신호 검출 모듈(121)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부(121)는 오디오 DSP(audio 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음성 신호에 대해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하여 원하는 주파수와 음압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득 조절부(122)는 증폭부(121)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파의 경우 동일한 주기에서도 발음에 따라서는 다양한 파형을 나타낸다. 음성으로 발생하는 음압의 최대치는 발음에 따라 동일한 크기가 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여 대체로 일정한 음압의 최소치를 기준으로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음성 신호의 세기가 너무 큰 경우에는 증폭부(121)가 포화되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이득 조절부(122)는 증폭이 되지 않도록 이득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크검출/피치산출부(123)는 증폭부(121)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하나의 피크(peak)를 검출하여 음성 신호의 피치(pitch)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140)은 성대를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은 일반적인 녹화 장비로 스트로보스코피의 조명 하의 영상을 보면 높은 주파수의 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광량이 많아서 밝게 보이고, 낮은 주파수에서는 광량이 적어서 어둡게 보인다. 또한, 발성이 없어서 음성 동기 신호가 들어오지 않을 경우 전혀 조명이 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이에, 주파수에 반비례하도록 발광량을 조절하고 소정의 임계 주파수 미만으로 동기 신호가 들어오면 충분히 높은 주파수로 광원 모듈(130)의 조명을 밝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성이 없는 상태에서도 성대를 잘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모듈(140)은 성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0)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0)은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광원 모듈(130)과 함께 성대의 진동 상태에 따라 동기화되어 촬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음성 신호 처리 모듈(120)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광원 모듈(14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광원 모듈(140)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성대의 기본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로 광원 모듈(130)과 카메라 모듈(140)의 발광 및 촬영을 제어하여 동기화하며, 발성 중에는 성대의 진동 상태를 어느 한 위상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볼 수 있도록 제어할 수있다.
제어 모듈(150)은 모음 발성시에는 기본 주파수를 인식한 후 이보다는 조금 느린 속도로 광원 모듈(130)과 카메라 모듈(140)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실제 성대의 진동보다는 느린 영상을 얻는 제어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위 그래프는 실제 성대의 진동 상태를 나타내면 아래 그래프는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의한 촬영 시점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성대 진동의 느린 영상을 얻은 것이다. 즉, 성대 진동 상태에서 매 촬영 시점 또는 영상 프레임의 선택 시점을 주기 상의 동일한 위상점보다는 소정 타이밍 느린 시점으로 설정하여 진동 상태에 대한 느린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저장 모듈(160)은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70)은 저장 모듈(16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9170)은 저장 모듈916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에서 특정 시점별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처럼 성대 기본 진동과 동일한 영상 프레임을 모두 획득한 후 성대 진동 상태의 느린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성대 진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50)에 의해 성대 진동수에 따른 촬영 시점과 광원 발광 시점을 이상적으로 조절하면 시각적으로 성대를 관찰하기에 가장 적합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통상 CCD 카메라나 CMOS 카메라는 1/60초를 주기로 한 필드(field) 식의 화면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영상 프레임 획득 주기와 제어 모듈(150)의 제어 시점의 주기에 서로 일치하지 않고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면에 깜빡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전자 셔터(shutter)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한 깜빡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 5에서와 같이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의 전자 셔터를 1/60초로 최대한 개방하고, 카메라의 필드 신호와 동기화하여 한 필드 내에서는 한번씩만 스트로보스코피(100)의 동작을 인가하고 나머지는 무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음성 신호 검출 모듈(110)이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한다(S101).
다음으로, 음성 신호 처리 모듈(120)이 음성 신호 검출 모듈(110)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peak) 및 피치(pitch)를 추출하여 처리한다(S102).
이때, 증폭부(121)가 음성 신호 검출 모듈(110)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이득 조절부(122)가 증폭부(121)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피크검출/피치산출부(123)가 증폭부(121)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하나의 피크를 검출하여 음성 신호의 피치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모듈(150)이 음성 신호 처리 모듈(120)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광원 모듈(14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광원 모듈(140)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을 제어한다(S103).
여기서, 카메라 모듈(130) 및 광원 모듈(140)은 후두 내시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광원 모듈(140)이 카메라 모듈(130)에 의해 촬영되는 성대를 조명하고,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모듈(130)이 성대를 촬영한다(S104).
다음으로, 저장 모듈(160)이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한다(S105).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모듈(170)이 저장 모듈(16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S1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음성 신호 검출 모듈
120: 음성 신호 처리 모듈
121: 증폭부
122: 이득 조절부
123: 피크검출/피치산출부
130: 광원 모듈
140: 카메라 모듈
150: 제어 모듈
160: 저장 모듈
170: 인터페이스 모듈

Claims (4)

  1.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하는 음성 신호 검출 모듈;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peak) 및 피치(pitch)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음성 신호 처리 모듈;
    성대를 조명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에 의해 조명되는 성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득 조절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하나의 피크(peak)를 검출하여 음성 신호의 피치(pitch)를 산출하는 피크검출/피치산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자 셔터(shutter)에 의해 동작하며 1/60 초를 영상 획득 프레임 주기로하여 하나의 필드(field)의 화면을 획득하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프레임 획득 주기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시점의 주기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간섭이 발생하여 화면에 깜빡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자 셔터를 1/60초만큼 최대한 개방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필드 신호와 동기화하여 하나의 필드 내에서 한 번씩 스트로보스코피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1회의 제어 시점을 선택하여 인가하고 나머지 제어 시점을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피(laryngeal stroboscopy).
  2. 삭제
  3. 음성 신호 검출 모듈이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서 검출하는 단계;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peak) 및 피치(pitch)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단계;
    제어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피크 및 피치에 따라 광원 모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광원 모듈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광원 모듈이 성대를 조명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광원 모듈에 의해 조명되는 성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성대를 조명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성대를 촬영하는 단계;
    저장 모듈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에 의한 영상 프레임(image frame)을 저장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진동 신호의 피크 및 피치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증폭부가 상기 음성 신호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이득 조절부가 상기 증폭부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피크검출/피치산출부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하나의 피크를 검출하여 음성 신호의 피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자 셔터(shutter)에 의해 동작하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로 구성되며,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성대를 조명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성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1/60 초를 영상 획득 프레임 주기로하여 하나의 필드(field)의 화면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성대를 조명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성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프레임 획득 주기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시점의 주기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간섭이 발생하여 화면에 깜빡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자 셔터를 1/60초만큼 최대한 개방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필드 신호와 동기화하여 하나의 필드 내에서 한 번씩 스트로보스코피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1회의 제어 시점을 선택하여 인가하고 나머지 제어 시점을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피(laryngeal stroboscopy)의 촬영 방법.
  4. 삭제
KR1020170124115A 2017-09-26 2017-09-26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KR10200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15A KR102006208B1 (ko) 2017-09-26 2017-09-26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15A KR102006208B1 (ko) 2017-09-26 2017-09-26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81A KR20190035181A (ko) 2019-04-03
KR102006208B1 true KR102006208B1 (ko) 2019-10-01

Family

ID=6616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15A KR102006208B1 (ko) 2017-09-26 2017-09-26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29A (ko) 2021-02-03 2022-08-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피치 검출과 광원점멸 알고리즘을 이용한 후두성능 검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664B1 (ko) 2019-05-10 2021-03-03 (주)참메드 스트로보스코피 카메라의 불량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98B1 (ko) 2005-01-25 2006-07-24 유메디칼 주식회사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200442240Y1 (ko) * 2006-12-08 2008-10-20 유메디칼 주식회사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101717362B1 (ko) * 2015-08-05 2017-03-16 왕용진 평면 스캔 비디오 카이모그라피와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기능이 있는 비디오 후두 내시경 시스템
KR101908632B1 (ko) 2016-03-02 2018-10-16 왕용진 실시간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고속 후두내시경 검사, 및 평면 스캔 디지털 카이모그래피를 위한 영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29A (ko) 2021-02-03 2022-08-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피치 검출과 광원점멸 알고리즘을 이용한 후두성능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81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05035A5 (ko)
JP5948512B2 (ja) 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2006208B1 (ko)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KR200442240Y1 (ko)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US9962068B2 (en) Image pickup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mage pickup system
CN103796570A (zh) 摄像系统
JP6118917B2 (ja) 声帯粘膜運動状態を分析するための平面スキャンビデオキモグラフィー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声帯粘膜運動状態の分析方法
JP4589521B2 (ja) 電子内視鏡光源装置
JP3882088B1 (ja) 振動体観察装置、声帯観察装置及び声帯観察プログラム
JP5653163B2 (ja) 内視鏡装置
US10888218B2 (en) Video laryngeal endoscope system including 2D scan video kymography and laryngeal stroboscopy
JP6212257B2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US9996927B2 (en) Endoscope apparatus
KR100602498B1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101739050B1 (ko) 연속광원으로도 구현 가능한 단속광원을 구비한 일체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JP6270359B2 (ja) 電子内視鏡
EP1841216A3 (en) Image pickup device, projector including the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JP5685668B1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231271B2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KR20220112029A (ko) 음성피치 검출과 광원점멸 알고리즘을 이용한 후두성능 검사방법
JP2020068965A5 (ko)
JP2011062249A (ja) 外付けストロボ光源装置を利用した電子内視鏡システム
JP6735586B2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2018207455A5 (ko)
KR200381000Y1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