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40Y1 -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 Google Patents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40Y1
KR200442240Y1 KR2020060031297U KR20060031297U KR200442240Y1 KR 200442240 Y1 KR200442240 Y1 KR 200442240Y1 KR 2020060031297 U KR2020060031297 U KR 2020060031297U KR 20060031297 U KR20060031297 U KR 20060031297U KR 200442240 Y1 KR200442240 Y1 KR 200442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source
photographing
stroboscop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766U (ko
Inventor
이진춘
이재우
권순복
권기식
이규원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유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4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61B1/26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for monitoring movements of vocal ch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대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되는 부분을 조명하는 광원부를 포함한 후두내시경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에 관한 것으로, 음성신호를 진동으로서 감지하는 진동검출부, 진동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의 피크 및 피치를 구하는 신호처리부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원이 단속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고, 광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음성신호의 수집방법으로서 진동검출기를 이용하여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의 발광 신호를 동기화함으로써, 간단한 장치만으로도 미분화된 EGG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갖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Portable Laryngeal Stroboscope Using Vibration pick-up}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호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미분화한 EGG 신호에 대한 그래프, 도 3b는 미분화한 EGG 신호와 진동검출기 신호를 비교한 그래프, 도 3c는 미분화한 EGG 신호와 비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의 신호를 비교한 그래프, 도 3d는 미분화한 EGG 신호와 후두 마이크로폰의 신호를 비교한 그래프, 도 3e는 미분화한 EGG 신호와 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의 신호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5 가지의 센서 신호로부터 일정 주기의 피치내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의 80% 이상에서 몇 개의 피크가 나오는지를 확인하여, 미분화한 EGG의 피크와 비교한 표이다.
도 5는 미분화한 EGG에서 나타나는 신호의 피크와 다른 4 가지 센서 신호의 피크를 비교하여 한 주기에서 어느 정도의 위상차가 발생하는지 %로 나타낸 표이다.
본 고안은 내시경과 연결하여 성대를 촬영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검출기를 이용하여 발광을 동기화시키는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에 관한 것이다.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는 대상 물체에 주기적으로 깜박이는 빛을 쬠으로써 급속히 회전(또는 진동)하는 물체를 정지했을 때와 같은 상태 혹은 느린 상태로 관측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 중, 후두 스트로보스코프(laryngeal stroboscope)는 성대의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와 같은 회수로 발광을 동기화(synchronization)시켜, 발성 중에 계속해서 진동하는 성대를 어느 한 위상점에서 정지된 상태 혹은 느린 상태로 볼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성대의 미세 병변 뿐 아니라 성대마비의 조기 예후 평가 등에 유용한 검사 장비이다.
하지만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실제 한 주기마다의 이미지를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많은 연속적인 후두의 주기로부터의 이미지의 합성화면이다. 그러므로 성대의 기본주파수에 일치할 수 있도록 스트로보스코프 신호의 동기화를 구현하는 것이 이 검사 기기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검사시 성대의 기본주파수에 일치할 수 있도록 스트로보스코프 신호의 동기화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며, 완벽하게 구현되지 못하면 정확한 성대의 완벽한 진동상태를 관찰할 수 없다.
즉, 휴대형 후두스트로보스코프 개발에 있어 최대의 난제는 정확한 피검자 성대의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즉 피치(pitch) 검출(detection)과, 한 주기(cycle) 내에서 확실히 차이가 나는 정점(peak)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피치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EGG(전기성문파형검사, electroglottograph)를 이용한 경우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후두 스트로보스코프가 이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EGG는 미분된 EGG를 통해 성문폐쇄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항상 한 주파수내 한 개의 피크를 갖는 파형을 나타내므로 타 방법에 비해 가장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EGG의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며, 검사 때 마다 피검자의 전경부, 즉 양측 갑상연골판에 전극을 부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동성이 거의 불가능하고, 매우 고가이어서 대학병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거의 사용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음성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아날로그 음성신호 자체를 이용하는 방법과,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역여과(inverse filtering)하여 피치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피치 검출을 정확하게만 할 수 있다면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검사시 피검자의 목에 어떠한 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강직형 후두경을 사용하여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혀를 전방으로 당겨서 모음 /e/ 혹은 /i/와 비슷한 발성을 하여야만 성대의 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발성시에는 음성만으로 분석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셋째, 청진기(stethoscope)에 마이크로폰을 연결하여 성문 하부 전경부에 부착시켜 피치를 검출하는 경우로서, 1980년대 개발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모두 이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EGG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피치 검출의 정확도가 다소 떨어져서 점차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만약 EGG 신호를 이용하여 스트로보광을 동기화시키는 기존의 후두스트로보스코프와 성능에서 차이가 없으면서 검사가 간편하고, 구입가격이 저가이며, 휴대가 가능한 후두스트로보스코프를 개발할 수 있다면 성대 병변 진료에 획기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EGG 신호를 이용하여 스트로보광을 동기화시키는 기존의 후두스트로보스코프와 성능에서 차이가 없으면서 검사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적으며, 휴대가 가능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성대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되는 부분을 조명하는 광원부를 포함한 후두내시경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진동으로서 감지하는 진동검출부, 진동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의 피크 및 피치를 구하는 신호처리부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원이 단속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고, 광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를 제공한다.
또는 본 고안은 성대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되는 부분을 조명하는 광원부를 포함한 후두내시경, 음성신호를 진동으로서 감지하는 진동검출부, 진동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의 피크 및 피치를 구하는 신호처리부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원이 단속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고, 광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를 제공한다.
이때 신호처리부는 진동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부의 출력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득조절부 및, 음성신호의 한 주기 내에서 하나의 피크를 검출하여 음성신호의 피치를 구하는 피크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성대의 움직임을 느린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모드, 저속 모드보다는 빠른 고속 모드 및, 정지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모드로 광원부 및 촬영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두 스트로보스코프가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결될 경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후두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광원부는 LED를 이용하고, 촬영부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후두내시경(100), 진동검출부(200), 신호처리부(300), 제어부(400), 모니터(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후두내시경(100)은 후두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어떠한 후두내시경(100)도 이용가능하다. 후두내시경(100)은 촬영부(120)와 광원부(110)를 포함한다. 촬영부(120)는 후두, 즉 성대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소형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20) 중 렌즈는 내시경의 전단부에 배치하고, CCD 및 구동회로 등은 내시경의 후단부에 배치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촬영부(120)의 렌즈 인접부분에 장착되어 성대에 빛을 쪼여 조명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력소모가 적으며, 저가, 경량화를 위해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백색 LED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원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휘도를 발 생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LED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진동검출부(200; Vibration pick-up)는 환자의 음성 신호를 진동으로서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검출부(200)는 일반적인 진동검출기 또는 진동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성대의 진동과 기도의 압력의 변동을 진동측정용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에 다양한 고주파가 혼재한 발성부를 통과한 음성과는 달리 성대 진동에 해당하는 기본 주파수의 피치를 보다 직접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사람의 음성 신호를 효율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10~200Hz 구간의 성분을 강조하고, 그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은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성대의 떨림은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며, 병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므로 진동검출부(200)에서 감지되는 음성신호는 사람에 따라 주파수 및 진폭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측정된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300)로 전달된다.
신호처리부(300)는 진동검출부(200)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제어부(400)가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처리부(3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증폭부(310), 이득조절부(320), 피크검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310)는 진동검출부(200)에서 수집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피크 검출부(330)는 음성 파형의 한 주기 내에서 하나의 피크(peak)를 검출해 음성 신호의 피치(pitch)를 구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검출부에서 수집한 음성 신호에 광원을 동기화시키기 위해서는, 음성 신호로부터 정확한 피치 검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진동검출부(200)에서 수집된 사람의 음성 신호의 파형을 분석해 보면, 한 주기 내에는 최소 한 번 이상의 구분 가능한 피크가 존재하고, 저음 보다는 고음에서 구분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신호의 피크 검출부(330)는 그 자체만으로는 완벽한 동작을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의 목소리가 너무 작아서 증폭부(310)의 출력신호가 약할 경우, 피크검출부(330)가 피크 검출을 놓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피검자의 목소리가 너무 커서 증폭부(310)의 출력 신호가 포화될 경우에는 한 주기 내에 여러 번의 피크가 검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음성 신호와 광원의 동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증폭부(310)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증폭부(310)와 피크검출부(330)의 사이에 증폭부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이득조절부(320;Automatic Gain Control)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이득조절부(320)는 증폭부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신호처리부(300)에서 처리된 신호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제어부(400)는 신호처리부(3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원이 단속되도록 광원부(110)를 제어하고, 광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촬영부(120)에 의해 환자의 후두가 촬영되도록 한다. 따라서 광원부(110)는 환자의 음성신호의 주파수와 동기화되어 꺼짐과 켜짐(단속)이 반복된다.
제어부(400)는 여러가지 모드로 광원부(110) 및 촬영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성대의 움직임을 느린 영상으로 관 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속(Slow) 모드와, 저속 모드보다는 조금 빠른 고속(Fast) 모드, 그리고 정지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Fixed)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속 모드에서는 성대의 움직임을 2초 주기의 느린 영상으로 관찰하고, 고속 모드에서는 성대의 움직임을 0.5초 주기의 빠른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모드에서는 정지된 성대의 모습을 관찰하며, 위상 조절을 통해 특정 위치에서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500) 등에 연결되어 의사가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모니터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어떠한 디스플레이 수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내시경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내시경을 제외한 구성만으로도 가능하다. 만일 내시경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광원부와 촬영부를 구비한 공지의 내시경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는 유선으로 일반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휴대가 가능하도록 배터리와 무선 송수신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험은 후두 내시경 검사상 후두에 병변이 관찰되지 않은 정상 성인(20세-40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음성신호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비접촉식 및 접 촉식을 이용하였다. 비접촉식으로는 음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검출하였으며, 접촉식 방식으로는 EGG, 진동검출기, 직접 경부에 부착한 음성 마이크로폰 및, 청진기(stethoscope)에 연결된 튜브에 미니 마이크로폰을 부착한 후두 마이크로폰(laryngeal microphone)를 이용하여 신호를 추출하였다.
음성 마이크로폰으로는 AKG사의 C417PP형 콘덴서형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였고, EGG 신호를 얻기 위해 'Physiolab'(Busan, Korea)에서 제작한 'Layngograph' (v1.0)을 사용하였다. 진동검출기로는 10~200Hz 구간의 성분을 강조하고, 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은 억제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AGK'사의 'C411 L' 진동센서를 사용하였다. 후두 마이크로폰으로는 'KAY-PENTAX'사의 후두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5 가지의 센서 신호와 선형예측신호를 이용하여 피크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와의 동기화를 위한 음성 신호의 조건으로는 한 주파수내 뚜렸한 정점이 있어야 하고, 피크의 위치가 일정하여야 하며, 미분화한 EGG(dEGG)와의 위상차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음성 분석 소프트웨어인 프라트(Praat, Netherland)를 이용하여 육안적으로 감별하였으며, 5가지의 센서 신호로부터 한 주기의 피치내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의 80% 이상에서 몇 개의 피크가 나오는지를 확인하여 dEGG와 서로 개수를 비교하였다.
먼저, 미분화한 EGG와 다른 센서와의 피크의 일치 여부에 대해 도 3a ~ 3e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 3e는 미분화한 EGG의 신호와 다른 신호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배열한 그래프로서, 도 3a는 미분화한 EGG 신호에 대한 그래프, 도 3b 는 미분화한 EGG 신호(상단)와 진동검출기 신호(하단)를 비교한 그래프, 도 3c는 미분화한 EGG 신호(상단)와 비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의 신호(하단)를 비교한 그래프, 도 3d는 미분화한 EGG 신호(상단)와 후두 마이크로폰(하단)의 신호를 비교한 그래프, 도 3e는 미분화한 EGG 신호(상단)와 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하단)의 신호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c 및 도 3e를 참조하면, 미분화한 EGG의 신호와 비교하여 비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과 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은, 정점의 위치는 어느 정도 일치해 보였지만 일정 주기에서 정점이 여러 개 나타났다. 도 3d를 참조하면, 후두 마이크로폰은 미분화한 EGG와 위상차가 많이 나타나 동기화를 이루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3b를 참조하면, 진동검출기 신호는 미분화한 EGG 신호와 피크의 개수도 일치하였고 위상차도 거의 나타나지 않아 동기화에 가장 적합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미분화한 EGG와 다른 센서와의 피크의 개수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5 가지의 센서 신호로부터 일정 주기의 피치내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의 80% 이상에서 몇 개의 피크가 나오는지를 확인하여, 미분화한 EGG의 피크와 비교한 표이며, /e/와 /i/ 발음에 대해 모두 5번 실험하였다. 도 4에 기재된 것처럼, 미분화한 EGG와 가장 유사한 피크의 개수를 보인 신호는 진동검출기에서 수집한 신호로 평균 2개이었고, 후두 마이크로폰은 평균 3.2개, 비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은 평균 4.5개, 접촉식 음성 마이크로폰은 평균 5.2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미분화한 EGG와 다른 센서와의 피크의 위상차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미분화한 EGG에서 나타나는 신호의 피크와 다른 4 가지 센서 신호의 피크를 비교하여 한 주기에서 어느 정도의 위상차가 발생하는지 %로 나타낸 표이며, /e/와 /i/ 발음에 대해 모두 5번 실험하였다. 진동검출기에서 나타난 위상차가 평균 2.87%, 후두 마이크로폰의 위상차는 평균 29.1%, 접촉식 마이크로폰은 평균 29.9%, 비접촉식 마이크로폰은 평균 30.6%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동검출기에서 나타난 위상차가 다른 것에 비해 탁월하게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예에 의하면, 진동검출기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의 진동상태를 측정한 결과,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의 발광 신호를 동기화하는 방법으로서 미분화된 EGG와 거의 동일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광을 동기화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피치 검출과 한 주기 내에서 단 하나의 피크를 검출해 내야하기 때문이다. 본 실험예에서 진동검출기의 경우, 피치 검출 뿐만 아니라 피크의 양상이 미분화한 EGG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를 이용하면 EGG를 이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음성신호의 수집방법으로서 진동검출기를 이용하여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의 발광 신호를 동기화함으로써, 간단한 장치만으로도 미분화된 EGG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갖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성대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되는 부분을 조명하는 광원부를 포함한 후두내시경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진동으로서 감지하는 진동검출부;
    상기 진동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득조절부, 음성신호에서 피크를 검출하여 음성신호의 피치를 구하는 피크검출부를 구비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원이 단속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광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성대의 움직임을 느린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모드, 저속 모드보다는 빠른 고속 모드 및, 정지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모드로 상기 광원부 및 촬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가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결될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후두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5. 성대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되는 부분을 조명하는 광원부를 포함한 후두내시경;
    음성신호를 진동으로서 감지하는 진동검출부;
    상기 진동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득조절부, 음성신호에서 피크를 검출하여 음성신호의 피치를 구하는 피크검출부를 구비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원이 단속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광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LED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성대의 움직임을 느린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모드, 저속 모드보다는 빠른 고속 모드 및, 정지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모드로 상기 광원부 및 촬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가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결될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후두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2020060031297U 2006-12-08 2006-12-08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200442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297U KR200442240Y1 (ko) 2006-12-08 2006-12-08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297U KR200442240Y1 (ko) 2006-12-08 2006-12-08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66U KR20080001766U (ko) 2008-06-12
KR200442240Y1 true KR200442240Y1 (ko) 2008-10-20

Family

ID=4132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297U KR200442240Y1 (ko) 2006-12-08 2006-12-08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4B1 (ko) * 2014-02-10 2014-08-01 (주)메가메디칼 마이크 및 전기성문파형검사기를 이용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101739050B1 (ko) * 2015-10-22 2017-05-25 유메디칼 주식회사 연속광원으로도 구현 가능한 단속광원을 구비한 일체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632B1 (ko) * 2016-03-02 2018-10-16 왕용진 실시간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고속 후두내시경 검사, 및 평면 스캔 디지털 카이모그래피를 위한 영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WO2017150836A1 (ko) * 2016-03-02 2017-09-08 왕용진 실시간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고속 후두내시경 검사, 및 평면 스캔 디지털 카이모그래피를 위한 영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208B1 (ko) * 2017-09-26 2019-10-01 (주)참메드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KR102221664B1 (ko) * 2019-05-10 2021-03-03 (주)참메드 스트로보스코피 카메라의 불량 감지장치
KR102231889B1 (ko) * 2019-05-10 2021-03-26 (주)참메드 스트로브스코프용 카메라의 불량 검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4B1 (ko) * 2014-02-10 2014-08-01 (주)메가메디칼 마이크 및 전기성문파형검사기를 이용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101739050B1 (ko) * 2015-10-22 2017-05-25 유메디칼 주식회사 연속광원으로도 구현 가능한 단속광원을 구비한 일체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66U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134Y1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200442240Y1 (ko) 진동검출기를 이용한 휴대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EP2020902B1 (en) Optical triggering system for stroboscope system, and method
TWI533843B (zh) 吞嚥推定裝置
WO2006121984A3 (en) Erythrocyte movement imaging and analysis
KR101424634B1 (ko) 마이크 및 전기성문파형검사기를 이용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DeJonckere et al. Vocal fold collision speed in vivo: The effect of loudness
WO2014148712A1 (ko) 성대 점막 운동 상태의 분석을 위한 평면 스캔 비디오카이모그라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대 점막 운동 상태의 분석방법
KR101717362B1 (ko) 평면 스캔 비디오 카이모그라피와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기능이 있는 비디오 후두 내시경 시스템
KR100602498B1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102006208B1 (ko)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및 그 촬영 방법
JP2006204432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567838B1 (ko) 접이식 내시경
KR101739050B1 (ko) 연속광원으로도 구현 가능한 단속광원을 구비한 일체형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JP2009219611A (ja) 電子内視鏡装置
Suthau et al. Non-invasive photoglottography for use in the lab and the field
KR200381000Y1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KR200487869Y1 (ko) 보관 트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내시경
KR20030046787A (ko) 연속적인 광원을 사용하는 디지털 스트로보스코프
RU1410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диагностики заболевания человека по составу воздух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US9357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biomechanical properties of eye tissue
Igielski et al. Automatic photolaryngoscope for vibration analysis of vocal cords
KR20170109324A (ko) 보관 트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내시경
Ro et al. Development of portable laryngeal strob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