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012B1 - 제빙용 용기 - Google Patents

제빙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012B1
KR102006012B1 KR1020177024948A KR20177024948A KR102006012B1 KR 102006012 B1 KR102006012 B1 KR 102006012B1 KR 1020177024948 A KR1020177024948 A KR 1020177024948A KR 20177024948 A KR20177024948 A KR 20177024948A KR 102006012 B1 KR102006012 B1 KR 10200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re
container body
container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608A (ko
Inventor
도시유키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쿠니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쿠니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쿠니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8012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6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deforming bodies with which the ice is in contact, e.g. using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파지(把持)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거나 빼기(揷入脫) 가능하게 구성된 코어(core)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코어의 외주면의 사이에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영역이 형성되고, 제빙 영역은, 용기 본체의 파지에 의한 변형에 따라 상기 제빙 영역 내에서 생성된 얼음이 파쇄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용기.

Description

제빙용 용기
본 발명은, 크래쉬 아이스(crash ice)를 만들기 위한 제빙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크래쉬 아이스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서, 트레이형으로 형성된 제빙접시가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의 제빙접시는, 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주위 에지로부터 일어서도록 형성된 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위벽과, 상기 바닥판에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얼음 파쇄용 돌기를 구비하고, 바닥판과 주위벽에 둘러싸여진 영역에 물을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제빙접시는, 트레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과 주위벽에 둘러싸여진 영역에 물을 모으고, 냉동고에 넣어서 물을 얼린다. 그리고, 상기 영역 내에서 제빙된 얼음은, 바닥판 및 주위벽을 변형시켰을 때 얼음 파쇄용 돌기에 의해 파쇄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제빙접시에 의하면, 바닥판 및 주위벽을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크래쉬 아이스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7-21205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빙접시는, 트레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성된 크래쉬 아이스를 컵 등에 옮길 때 옮기기 곤란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제빙접시 상의 크래쉬 아이스를 집어서 컵 등에 옮기지 않으면 안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종래의 제빙접시는, 크래쉬 아이스를 다른 용기로 옮길 때 크래쉬 아이스를 만질 필요가 있어, 위생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크래쉬 아이스를 위생적으로 소정의 용기로 옮길 수 있는 제빙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용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파지(把持)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거나 빼기(揷入脫) 가능하게 구성된 코어(core)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코어의 외주면의 사이에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영역이 형성되고, 제빙 영역은, 용기 본체의 파지에 의한 변형에 따라 상기 제빙 영역 내에서 생성된 얼음이 파쇄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일태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 가운데 중 적어도 한쪽에는, 적어도 1개의 리브가 돌설(突設)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리브는,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각각의 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이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코어는, 바닥이 있는 형상(有底形)이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의 용기 본체로부터 코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의 정면 단면도로서, 도 2의 IV-IV 위치에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용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용기 본체의 정면 단면도로서, 도 5의 VI- VI 위치에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의 변형 전과 변형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빙용 용기 내의 얼음을 파쇄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빙용 용기 내의 얼음을 다른 용기로 옮기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1)는, 물을 넣어서 제빙하기 위한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삽입되는 코어(3)와, 코어(3)를 용기 본체(2)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4)을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3)가 용기 본체(2)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3)의 외주면(301)의 사이에는, 얼음(S)(도 7∼도 9 참조)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영역(Q)이 형성된다. 제빙용 용기(1)는, 상기 제빙 영역(Q)에 물이 충전되어 제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와 코어(3)는, 얼음(S)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빙 영역(Q) 내에 형성되는 얼음(S)은, 용기 본체(2)의 파지에 의해(압압(押壓)에 의해) 생기는 힘에 의한 변형에 따라 파쇄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빙용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 및 코어(3)의 외주면(301) 중 적어도 한쪽에, 적어도 1개의 리브(5)가 돌설되어 있다. 리브(5)는, 제빙 영역(Q)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는, 상단(上端)이 개구된 컵형의 용기이다. 즉, 용기 본체(2)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측벽부(21)와, 바닥부(22)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2)에는, 측벽부(21)와 바닥부(22)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측벽부(21)의 내주면(201)이 상기 내부 공간을 획정(劃定)하고 있다. 측벽부(21)는, 용기 본체(2)가 압압되면, 압압 부분이 대향하는 내주면(201)끼리 접촉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1)의 높이는, 바닥부(22)의 반경에 상당하는 길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21)의 높이는, 바닥부(22)의 반경에 대하여 3배∼6배의 길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2)는, 코어(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3)를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2)는, 코어(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2)는, 파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는, 파지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쪽 손 또는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집게손가락∼새끼손가락)의 사이에서 측벽부(21)를 협지하도록 파지하고, 측벽부(21)를 누른다. 용기 본체(2)는, 측벽부(21)의 양측으로부터 확실하게 눌러지는 것에 의해, 대향하는 내주면(201)끼리 접근하도록 변형된다.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나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용기 본체(2)는, 파지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면 되며,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부(21)는, 한쪽 손 또는 양손으로 압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하고, 동시에 압압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 본체(2)의 측벽부(21)를 압압하여 변형시키고, 손(손가락)에 주는 힘을 빼는 것에 의해 측벽부(21)를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린다. 사용자는, 측벽부(21)를 변형시키는 동작(압압하는 동작)과 측벽부(21)의 형상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손(손가락)에 주는 힘을 빼는 동작)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용기 본체(2) 내의 얼음(S)을 파쇄한다.
측벽부(21)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측벽부(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측벽부(21)는, 상단의 외경이 하단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2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측벽부(21)는, 상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스트레이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21)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210)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끄럼 방지 수단(210)은, 측벽부(21)의 외주면(202)에 형성된 요철이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21)의 외주면(202)에는 홈(溝)(2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03)은, 측벽부(21)의 두께 방향으로 들어가 있고, 측벽부(2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홈(203)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203)은, 인접하는 홈(203)끼리의 간격이 등 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측벽부(21)의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22)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닥부(22)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닥부(22)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3)는, 측벽부(21)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23)는, 코어(3)의 후술하는 커버부(32)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부(23)는, 측벽부(2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23)는, 측벽부(21)의 내주면(201)에 형성된 오목부(24)이다. 상기 오목부(24)에, 커버부(32)의 후술하는 볼록부(34)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용기 본체(2)와 코어(3)가 고정된다. 즉, 용기 본체(2)의 오목부(24)와 코어(3)의 볼록부(34)에 의해 고정 수단(4)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2)는, 바닥부(22)가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측벽부(21)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형상의 용기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22)는, 측벽부(21)의 하단측의 중도부(中途部)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2)를 평탄면에 탑재하면, 바닥부(22)는, 탑재면으로부터 떠오른 상태가 된다. 즉, 용기 본체(2)는, 측벽부(21)의 하단면(F1)이 탑재면과 맞닿음으로써 탑재된다. 탑재된 상태에서 바닥부(22)가 탑재면으로부터 떠오른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얼음이 경화됨에 따라 바닥부(22)가 변형되더라도, 냉동고 내에서 용기 본체(2)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용기 본체(2)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2)의 형상으로서, 사각형상, 삼각형상, 타원 형상 등, 다향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하단부 측이 상단부 측보다 강성이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2)는, 사용자가 용기 본체(2)를 변형시킴에 따라, 또는 얼음이 경화됨에 따라 하단 측이 쉽게 변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2)는, 탑재부(20)(바닥 부분)의 형상이 안정되어, 쉽게 전도(顚倒)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3)는, 용기 본체(2)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용기 본체(2)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거나 빼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어(3)는, 용기 본체(2)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의 사이에 제빙 영역(Q)을 형성하는 코어 본체(31)와, 용기 본체(2)의 커버가 되는 커버부(3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3)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3)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3)는, 용기 본체(2)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용기 본체(2)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코어(3)는, 용기 본체(2)보다 경성(硬性)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용기 본체(2)보다 연성(軟性)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본체(31)는, 바닥이 있는(有底) 형상이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 개구형(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 본체(31)는, 용기 본체(2)의 바닥부(22)에 대향하는 일단이 바닥을 구성하고, 타단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코어 본체(31)는, 바닥판(311)과 상기 바닥판(311)의 주위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주위벽(312)을 구비하고, 바닥판(311)과는 반대측의 타단이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 본체(31)는, 바닥판(311)이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주위벽(312)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본체(31)는, 용기 본체(2)에 대하여 동심원형(同心圓形)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빙된 얼음(S)은, 코어(3)의 외주면(301)을 1주(周) 덮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얼음(S)은, 두께가 주위 방향에 걸쳐서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311)은 박판형으로 형성되고, 주위벽(312)은 박벽(薄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판(311)과 주위벽(312)이 얇은 만큼, 바닥판(311)과 주위벽(312)에 의해 획정되는 중공 영역(SP)이 넓게 형성된다. 중공 영역(SP)이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중공 영역(SP)에 냉기를 충분히 도입할 수 있고, 또한 냉기를 효율적으로 용기 본체(2) 내(제빙 영역(Q) 내의 물)에 전달할 수 있다.
코어 본체(31)는, 바닥판(311) 측의 일단의 외경이 개구측의 타단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본체(3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 형상에 의해, 제빙 후,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뺄 수 있다. 그러나, 코어 본체(3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스트레이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 본체(31)는, 외주면(301)이 요철이 없고 매끈하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2)는, 용기 본체(2)를 닫는 부분이다. 커버부(32)는, 코어 본체(31)로부터 상기 코어 본체(31)의 직경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2)는, 용기 본체(2)를 밀폐(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32)는, 용기 본체(2)의 개구를 덮는 베이스부(321)와, 상기 베이스부(321)로부터 상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출부(延出部)(322)와, 상기 제1 연출부(322)로부터 상방 측으로 더욱 연장되고, 상기 제1 연출부(322)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제2 연출부(323)를 구비한다. 커버부(32)는, 베이스부(321) 상에, 다른 제빙용 용기(1)를 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본체(31)의 주위벽(312)은, 상단의 개구 직경(D1)이 용기 본체(2)의 탑재부(20)의 외경(D2)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32)는, 별도의 제빙용 용기(1)의 용기 본체(2)를 베이스부(321)의 상면에 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321)는, 코어 본체(31)의 주위벽(312)의 상단 에지에 접속되고, 상기 상단 에지로부터 코어 본체(31)의 직경 외측 방향으로 넓어지는 환형(環形)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부(321)는,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21)의 상면에는, 제1 연출부(322) 및 제2 연출부(323)에 연결된 철편(凸片)(P)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철편(P)은, 베이스부(321), 제1 연출부(322), 및 제2 연출부(323)를 연결하여, 코어(3)(커버부(32))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철편(P)은, 베이스부(321) 상에 탑재된 별도의 제빙용 용기(1)의 용기 본체(2)가, 베이스부(321)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제1 연출부(322)는, 베이스부(3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연출부(322)는, 베이스부(321)의 끝 에지부로부터 상방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출부(322)에는, 외주면(322a)에 주위 방향을 따라 볼록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34)는, 용기 본체(2)의 오목부(24)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34)가 용기 본체(2)의 오목부(24)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코어(3)가 용기 본체(2)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볼록부(34)는, 제1 연출부(322)의 외주면(322a)을 1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연출부(323)는, 제1 연출부(32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 측으로 연장되되, 제1 연출부(322)의 직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제2 연출부(323)와 제1 연출부(322)의 사이에는, 단차부(E)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32)는, 제1 연출부(322)가 용기 본체(2)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용기 본체(2)에 고정된다. 즉, 코어(3)가 용기 본체(2)에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21) 및 제1 연출부(322)는 용기 본체(2) 내에 위치하고, 제2 연출부(323)가 용기 본체(2)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고 있다. 또한, 코어(3)가 용기 본체(2)에 고정되면, 제1 연출부(322)와 제2 연출부(323)의 사이의 단차부(E)가, 용기 본체(2)의 상단면(上端面)(F2)에 탑재된 상태로 된다. 즉, 단차부(E)에 의해, 코어(3)가 용기 본체(2)로 빠지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베이스부(321)에는, 용기 본체(2) 내에서 오버플로우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33)는, 베이스부(32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33)는, 물이 넣어진 용기 본체(2)에 코어(3)가 삽입될 때나, 물이 냉각됨에 따라 체적이 팽창할 때, 잉여의 물을 내보내는 부분이다.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3)(코어 본체(31))의 외주면(30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빙 영역(Q)은, 용기 본체(2)의 파지에 의한 변형에 따라 얼음(S)이 파쇄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 본체(31)의 외주면(301)은, 용기 본체(2)가 파지에 의해 손으로(한쪽 손으로 또는 양손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얼음(S)이 파쇄될 정도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설정(조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 본체(31)의 외주면(301)의 사이의 클리어런스(C)(도 4 참조)는, 7mm 이상 15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리어런스(C)는, 10mm로 설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으로 돌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각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깊이 방향은, 용기 본체(2)의 개구부와 바닥부(22)를 연결하는 높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복수의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5)는, 서로 별체로서(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5)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리브(5)와 리브(5)의 간격에 따라 규정되는 1구획당의 얼음(S)의 체적이 작아져, 크래쉬 아이스가 지나치게 잘아진다. 이에 비해, 리브(5)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는, 1구획당의 얼음(S)의 체적이 커져, 얼음(S)을 파쇄하기 어려워진다(파쇄에 힘을 요함).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의 개수는, 용기 본체(2)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어, 리브(5)에 의해 구획된 얼음(S)(리브(5)와 리브(5)의 사이에 있는 얼음(S))의 체적이 지나치게 작지 않도록, 또한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리브(5)의 폭 중심(T)(제빙용 용기(1)의 주위 방향 기준의 폭의 폭 중심(T))과 용기 본체(2)의 중심(M)에 의해 형성되는 부채형의 중심각이 15° 이상 40° 이하가 되도록 리브(5)의 개수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에는, 14개의 리브(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는, 제빙 영역(Q)을 나타내기 위하여, 코어(3)의 바닥판(311)이 파선에 의해 가상적으로 나타내져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는, 제빙 영역(Q) 측으로 연장되는 선단부(先端部)(51)가 용기 본체(2)에 접속된 기단부(基端部)(52) 측보다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는, 기단부(52) 측으로부터 선단부(51) 측을 향해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5)는, 선단부(51)가 기단부(52)에 대하여 경도(傾倒) 또는 요동(搖動)하기 어려운 강성(剛性)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브(5)는, 얼음(S)이 파쇄될 때 얼음(S)에 달라붙기 어렵다(얼음(S)으로부터 떨어지기 쉽다). 구체적으로는, 리브(5)는, 삼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외주면(202)에 형성된 홈(20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5)의 배면(背面)의 외주면(202)에 홈(203)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브(5)는, 제빙 영역(Q)에서 생성된 얼음(S)을 깊이 방향에 걸쳐 구획할 수 있고, 즉, 리브(5)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의해 얼음(S)을 깊이 방향으로 상기 홈의 한쪽의 영역과 다른 측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어, 여성이나 어린이 등 힘이 약한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얼음(S)을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브(5)는, 기단부(52)의 폭(W)이, 용기 본체(2)의 상단부부터 하단부를 향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하단부 측의 폭(W1)이 상단부 측의 폭(W2)이 보다 굵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5)의 돌출 높이가 낮을수록, 제빙되는 얼음(S)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한편, 얼음(S)이 얕게 구획되므로, 사용자가 얼음(S)을 파쇄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리브(5)는, 제빙된 얼음(S)을 파쇄하기 쉬운 정도로 깊이 구획하는 것과 동시에, 얼음(S)의 체적을 필요량 확보할 수 있도록 최적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는, 선단부(51)가 코어(3)의 외주면(301)과 맞닿지(도달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3)의 외주면(301)의 이격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브(5)의 높이는, 3mm 이상 클리어런스(C)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브(5)의 높이는, 5mm로와 설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를 변형시키면, 측벽부(21)가 만곡된 상태(파선의 상태)로부터 평탄에 가까운 상태(실선의 상태)로 변형한다. 이 변형에 따라 얼음(S)은, 리브(5)에 의해 얇게 형성되고 있던 부분에서 깨어진다. 그리고, 봉형(棒形)의 얼음(S)이 복수 형성된다.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변형 전의 상태에서는, 선단부(51)끼리 접근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파선의 상태), 용기 본체(2)의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리브(5)의 선단부(51)끼리 이격된다(실선의 상태, 화살표 참조). 이로써, 리브(5)와 리브(5)의 사이의 얼음(S)이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워지고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제빙용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용기 본체(2)에 물을 넣고, 상기 용기 본체(2)에 코어(3)를 삽입한다. 코어(3)의 커버부(32)를 용기 본체(2)에 끼워맞추어서 고정하여, 코어(3)가 부력에 의해 뜨지 않는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빙용 용기(1)를 냉동고에 넣는다. 복수의 제빙용 용기(1)로 제빙할 경우에는, 제빙용 용기(1)의 베이스부(321)에 다른 제빙용 용기(1)를 탑재하여, 상방으로 중첩시킨다.
제빙 후, 코어(3) 내의 중공 영역(SP)에 물을 주입한다. 사용자는, 주입한 물에 의해 코어(3)의 외주면(301)에 고착된 얼음(S)을 녹이면서, 코어(3)를 파지하여 주위 방향의 일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고, 이어서 반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코어(3)로부터 얼음(S)이 이격되었을 때,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손 또는 한쪽 손으로 용기 본체(2)를 파지하고, 용기 본체(2)를 압압함으로써 얼음(S)을 파쇄한다. 얼음(S)이 충분히 파쇄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로부터 다른 용기에 직접 크래쉬 아이스를 쏟아붓는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용 용기(1)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파지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용기 본체(2)와, 상기 용기 본체(2) 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거나 빼기 가능하게 구성된 코어(3)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3)가 상기 용기 본체(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3)의 외주면(301)의 사이에 얼음(S)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영역(Q)이 형성되고, 제빙 영역(Q)은, 용기 본체(2)의 파지에 의한 변형에 따라 상기 제빙 영역 내(Q)에서 생성된 얼음(S)이 파쇄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이 넣어진 용기 본체(2)에 코어(3)를 삽입하고, 코어(3)가 용기 본체(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빙용 용기(1)를 냉동고로 넣는 것에 의해 제빙 영역(Q)에 얼음(S)을 생성한다. 제빙 영역(Q)은, 용기 본체(2)의 파지에 의한 변형에 따라 얼음(S)이 파쇄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빙 후, 사용자가 용기 본체(2)를 파지하여 변형시키면, 용기 본체(2) 내에서 얼음(S)을 파쇄할 수 있다. 그리고, 파쇄된 얼음(S)은 용기 본체(2) 모여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파쇄된 얼음(S)을 용기 본체(2)로부터 다른 용기에 그대로 옮길 수(쏟아 부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제빙용 용기(1)에 의하면, 사용자가 파쇄된 얼음(S)과 접촉하지 않고 별도의 용기에 옮길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 및 상기 코어(3)의 외주면(301) 중 적어도 한쪽에는, 적어도 1개의 리브(5)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 및 상기 코어(3)의 외주면 적어도 한쪽에 돌출된 리브(5)에 의해, 제빙 영역(Q) 내에 생성된 얼음(S)이 복수의 블록으로 구획된다. 이에 따라, 구획된 만큼 얼음(S)의 체적이 작아지므로, 얼음(S)을 쉽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각각의 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2)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기 본체(2)를 압압하여 변형시키면, 압압 부분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리브(5)끼리는 용기 본체(2)의 변형에 따라 얼음(S)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성의 제빙용 용기(1)는 얼음을 떼내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코어(3)는, 바닥이 있는 형상이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 개구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이 들어 있는 용기 본체(2)에 코어(3)를 바닥 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제빙 영역(Q)에 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제빙용 용기(1)를 냉동고에 넣으면, 코어(3)의 개구로부터 상기 코어(3) 내에 냉기를 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 영역(Q) 내의 물을 용기 본체(2)의 외측 및 내측으로부터 냉각할 수 있어 제빙 효율이 양호하다.
또한, 제빙 후,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뺄 때는, 코어(3) 내에 물을 넣음으로써 코어(3)의 외주면(301)에 고착된 얼음(S)을 녹여셔, 코어(3)에 대하여 얼음을 양호하게 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형태의 제빙용 용기(1)는, 제빙 후에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는, 하단부 측이 상단부 측보다 강성이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하단부 측의 폭(W1)이 상단부 측의 폭(W2)보다 굵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형태의 제빙용 용기(1)는, 용기 본체(2)를 변형시키기 어려운 하단부 측에서는 얼음(S)의 폭을 잘게 형성할 수 있어, 용기 본체(2)의 하단부 측에서도 얼음(S)을 쉽게 파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의 제빙용 용기(1)에 의하면, 균일한 크래쉬 아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어(3)의 커버부(32)는, 용기 본체(2)를 밀폐(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얼음(S)에 냉동고 내의 냄새가 옮겨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32)는, 베이스부(321) 상에, 다른 제빙용 용기(1)를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동고 내에서 제빙용 용기(1)를 세로로 중첩할 수 있으므로, 제빙용 용기(1)를 복수 사용하는 경우라도, 공간을 절약하여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래쉬 아이스를 위생적으로 소정의 용기에 옮길 수 있는 제빙용 용기(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빙용 용기(1)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용기(1)는, 상기한 작용 효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용기(1)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후,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뺀 상태에서 얼음(S)을 파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어 본체(31)가 용기 본체(2)의 변형에 따라 변형 가능한 연질 수지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코어(3)를 용기 본체(2)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즉, 코어(3)로 용기 본체(2)를 막은 상태에서) 얼음(S)을 파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22)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부(22)는, 주위 에지로부터 코어를 향해 하방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바닥부(22)는, 코어부가 주위 에지부에 대하여 하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빼낸 후에, 바닥부(22)의 코어부를 누름으로써, 바닥부(22)에 고착된 얼음(S)을 용기 본체(2)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부(22)에는 리브(5)가 돌설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빙 영역(Q)에 적량의 물이 충전되도록, 용기 본체(2)에, 넣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표시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는, 코어(3)의 외주면(301)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 및 코어(3)의 외주면(301)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브(5)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 및 코어(3)의 외주면(301) 적어도 한쪽에 1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리브(5)가 1개 형성됨으로써, 제빙된 얼음(S)이 적어도 1개소에 의해 구획되기 때문에, 리브(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파쇄하기 쉽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의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용기 본체(2)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리브(5)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는, 제빙 영역(Q) 측으로 연장되는 선단이 용기 본체(2)에 접속된 기단측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브(5)는, 기단측과 선단측이 동일한 두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5)의 선단은, 코어(3)의 외주면(301)과 맞닿지(도달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브(5)의 선단은, 코어(3)의 외주면(301)과 맞닿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어(3)가 바닥이 있는 형상의 상면 개구형(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3)는, 기둥형(중실(中實)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빙된 얼음(S)은 코어(3)의 외주면(301)을 1주 덮는 링형(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어(3)가 판형으로 형성되고, 또란 코어(3)가 직사각형의 용기 본체(2)의 대변끼리 연결하도록 용기 본체(2)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코어(3)를 통하여 판형의 얼음(S)이 만들어져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23)는, 측벽부(21)에 형성된 오목부(24)이며, 상기 오목부(24)와 코어(3)의 볼록부(34)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용기 본체(2)와 코어(3)가 고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정부(23)는, 측벽부(2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훅(hook)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커버부(32)에는, 상기 고정부(23)가 걸리는 괘지부(卦止部)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는 것은 아니지만, 코어(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코어(3)를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코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빼낼 때 사용자에 의한 회전 동작에 따라 약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코어(3)를 회전시키기 쉽게 하여 용기 본체(2)로부터 뻬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리브(5)는, 서로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리브(5)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리브(5)는, 하단측 또는 상단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예를 들면, V자형,W자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201)과 코어 본체(31)의 외주면(301)의 사이의 클리어런스(C) 및 리브(5)의 개수가 소정 범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클리어런스(C) 및 리브(5)의 개수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리어런스(C)를 더욱 크게 하는(예를 들면, 20mm) 한편, 리브(5)의 수를 증가시키고, 리브(5)끼리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얼음(S)을 파쇄 가능한 정도로 얇게 (예를 들면 10mm) 형성해도 된다.
관련 출원의 상호대조: 본원은, 2017년 4월 14일 출원된 일본특원 2017- 08045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이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제빙용 용기, 2: 용기 본체, 20: 탑재부, 21: 측벽부, 22: 박부, 23: 고정부, 24: 오목부, 201: 내주면, 202: 외주면, 203: 홈, 210: 미끄럼 방지 수단, 3: 코어, 31: 코어 본체, 32: 커버부, 33: 배출부, 34: 볼록부, 301, 322a: 외주면, 302: 내주면, 311: 바닥판, 312: 주위벽, 321: 베이스부, 322: 제1 연출부, 323: 제2 연출부, 4: 고정 수단, 5: 리브, C: 클리어런스, P: 철편, Q: 제빙 영역, SP: 중공 영역, S: 얼음, W, W1, 2: 리브의 폭

Claims (4)

  1. 상부에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고, 파지(把持)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거나 빼기(揷入脫) 가능하게 구성된 코어(core)
    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內周面)과 상기 코어의 외주면의 사이에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빙 영역은, 상기 용기 본체의 파지에 의한 변형에 따라 상기 제빙 영역 내에서 생성된 얼음이 파쇄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의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 연장되는 리브(rib)가 적어도 한 개 돌설(突設)되어 있고,
    각각의 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 중 상기 각 리브와 대향하는 면에 근접하거나 또는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바닥이 있는 형상(有底形)이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용기.
  4. 삭제
KR1020177024948A 2017-04-14 2017-06-29 제빙용 용기 KR102006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0456 2017-04-14
JP2017080456A JP6298913B1 (ja) 2017-04-14 2017-04-14 製氷用容器
PCT/JP2017/023952 WO2018189917A1 (ja) 2017-04-14 2017-06-29 製氷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08A KR20180129608A (ko) 2018-12-05
KR102006012B1 true KR102006012B1 (ko) 2019-07-31

Family

ID=6162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948A KR102006012B1 (ko) 2017-04-14 2017-06-29 제빙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8720B2 (ko)
EP (1) EP3611447A4 (ko)
JP (1) JP6298913B1 (ko)
KR (1) KR102006012B1 (ko)
CN (1) CN109104874B (ko)
TW (1) TWI634294B (ko)
WO (1) WO2018189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290B1 (ko) * 2019-05-02 2020-07-07 (주)라즈웰 페인트 볼
USD1021985S1 (en) * 2022-08-01 2024-04-09 Qgp, Llc Column soap mold
USD1017335S1 (en) 2023-02-27 2024-03-12 Burger Family Holdings, LLC Cooling vess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310A (ja) * 2002-02-21 2003-09-02 Kashiwagi Mold:Kk シー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2374A (ja) * 2006-07-29 2008-02-14 Kenji Hirano アイスコップ製造容器
WO2009079721A1 (en) 2007-12-24 2009-07-02 Alfio Bucceri Frozen beverage device
KR101613908B1 (ko) 2015-10-23 2016-04-20 주식회사 파이닉스푸드 음료 용기용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796A (en) * 1903-01-19 1903-03-24 Frank Leslie Williams Shaker or mixer.
US929389A (en) * 1908-12-29 1909-07-27 Thomas J Clement Serving-cup for beverages.
US1075119A (en) * 1913-05-31 1913-10-07 Louis Irving Reichner Liquid mixer, shaker, and juice-extractor.
US1094712A (en) * 1913-06-09 1914-04-28 Spencer H Gale Beverage-shaker.
US1661336A (en) * 1925-02-17 1928-03-06 Gus M Katz Refreshment mixer
US1954369A (en) * 1933-01-03 1934-04-10 Morris B Solomon Beverage shaker
US2048041A (en) * 1935-10-21 1936-07-21 James W Warr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iced drinks
US2683359A (en) * 1950-08-25 1954-07-13 Francis Wm Taylor Ice-making method and apparatus
US2726517A (en) * 1953-04-06 1955-12-13 William A Pruett Ice container and cracker
US2838194A (en) * 1954-10-20 1958-06-10 Hamilton Skotch Corp Insulated container
US2798701A (en) * 1955-09-12 1957-07-09 Collura Francesco Blender jar
US2961849A (en) * 1956-06-04 1960-11-29 Guy C Hitchcock Mold for forming ice liners in containers
US2838916A (en) * 1956-08-29 1958-06-17 Leonel Planes Y Sola Device for refrigerating beverage containers
US2921706A (en) * 1958-02-05 1960-01-19 Johnson Elvin Protecting jacket for liquid containers
US2952133A (en) * 1958-06-03 1960-09-13 Frederick W Miller Disposable frosted vessel
USRE25618E (en) * 1959-07-21 1964-07-14 Figure
US3207484A (en) * 1963-06-20 1965-09-21 Ind Process Engineers Inc Fluid mixing device
US3404543A (en) * 1967-02-16 1968-10-08 Vernon J. Diblick Flexible bellows ice maker
US3603106A (en) * 1969-03-27 1971-09-07 John W Ryan Thermodynamic container
US3684234A (en) * 1970-03-11 1972-08-15 Virgil L Clinebell Expandable ice form
US3765559A (en) * 1971-10-13 1973-10-16 Flambeau Prod Corp Slush cone
US3782602A (en) * 1973-03-14 1974-01-01 M Page Frozen water containers with liquid dispenser for camping
JPS514365Y2 (ko) * 1973-06-25 1976-02-06
US4003555A (en) * 1975-11-06 1977-01-18 Swartz William M Drink shaker
JPS5399549A (en) * 1977-02-12 1978-08-31 Hisato Matsubara Method of fabricating ice vessel
US4142377A (en) * 1977-12-02 1979-03-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Ice maker flexible tray construction
JPS54109166U (ko) * 1978-01-20 1979-08-01
US4206899A (en) * 1978-07-24 1980-06-10 Whitehead Arthur L Apparatus for molded ice sculpture
US4383422A (en) * 1981-12-03 1983-05-17 Gordon Jay E Portable insulated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s
US4498595A (en) * 1982-09-28 1985-02-12 Wilson Roland B Ice block making and storage system
US4601174A (en) * 1982-09-28 1986-07-22 Wilson Roland B Ice block making and storage system
US4625518A (en) * 1985-07-09 1986-12-02 Freedman Saul E Ice mug
JPS6349462U (ko) * 1986-09-12 1988-04-04
US4843827A (en) * 1988-10-28 1989-07-04 Peppers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ce blocks
JPH0345874A (ja) * 1989-07-10 1991-02-27 Konpasu:Kk 氷製容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容器
US5250315A (en) * 1990-12-14 1993-10-05 Design Display Group Inc. Method for cooling a beverage
US5177981A (en) * 1991-09-16 1993-01-12 Raymond Haas Drink cooler
US5224646A (en) * 1993-01-27 1993-07-06 Biancosino Anthony J Dripless ice cream holder
US5419856A (en) * 1993-07-30 1995-05-30 Shaw; Linda S. Method and mold for making a decorative ice bowl
JPH0814719A (ja) 1994-06-24 1996-01-19 Katsuzou Somura 家庭用冷蔵庫での製氷方法とこれに用いる製氷容器
IT237956Y1 (it) * 1997-10-08 2000-09-29 Conconi Riccardo Supporto a forma di calotta o simile per gelati,yogurt,ghiaccioli eprodotti analoghi confezionati entro involucri asportabili al
IT1304014B1 (it) * 1998-06-29 2001-03-02 Reale S R L Stampi per la fabbricazione di bicchieri di ghiaccio e supporti persostenere tali bicchieri durante l'impiego.
US6085927A (en) * 1999-07-12 2000-07-11 Owens-Illinois Closure Inc. Container with insert to reduce effective volume and package incorporating same
US6332557B1 (en) * 2001-01-12 2001-12-25 Megatrade International, Inc. Bottle with dual interlocking cups and modular base assembly
US20030002385A1 (en) * 2001-06-29 2003-01-02 Pola Richard M. Convertible drink shaker and glass
US6481014B1 (en) * 2001-12-05 2002-11-19 Jesse Banks Cooler with integral beverage retainers
US6758363B2 (en) * 2002-09-09 2004-07-06 Mugmaster, Inc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6925834B2 (en) * 2003-09-13 2005-08-09 Mark D. Fuchs Portable cooler including ice sheet having refrigerant cubes
US7730739B2 (en) * 2003-09-13 2010-06-08 Fuchs Mark D Portable cooler with built-in refrigerant cubes
US8141740B2 (en) * 2004-08-26 2012-03-27 Patricia Agnello Portable container
US7124603B2 (en) * 2004-10-08 2006-10-24 Mark Lo Bianco Ice retaining shot glass system
US7341754B1 (en) * 2004-11-23 2008-03-11 Bill Loh Combination condiment beverage dispenser
CN2896152Y (zh) 2005-12-31 2007-05-02 李东烈 一种制冰盒
JP2007212051A (ja) 2006-02-09 2007-08-23 Ebisu Kk 製氷皿
USD536932S1 (en) * 2006-03-11 2007-02-20 Fusionbrands Incorporated Ice holding device
US20100133285A1 (en) * 2006-11-08 2010-06-03 Le Marais B.V. Container with Lid
US8763835B2 (en) * 2007-12-05 2014-07-01 Rich Products Corporation Topping caddy
US8978918B2 (en) * 2007-12-05 2015-03-17 Rich Producuts Corporation Topping caddy
US20090242732A1 (en) * 2008-03-25 2009-10-01 Tamar Garmizo Apparatus for making ice glasses, bowls and candleholders
US7882706B2 (en) * 2008-04-10 2011-02-08 Kohler Co. Beverage cooling system
US20110262600A1 (en) * 2008-12-02 2011-10-27 Mcgill Shane Robert Blended Beverages
US7959346B2 (en) * 2009-02-16 2011-06-14 Bill Loden Drink shaker having breaking protrusions
CN102421591B (zh) * 2009-04-10 2014-05-28 诺娃卡特公司 用于制造纸制容器的方法
JP5625682B2 (ja) 2010-09-27 2014-11-19 株式会社柏木モールド 製氷容器
US20120193366A1 (en) * 2011-01-27 2012-08-02 Justin Miller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8474641B2 (en) * 2011-04-20 2013-07-02 Barrett K. Hays Ice cup
US20130156918A1 (en) * 2011-12-14 2013-06-20 Ernest R. Reinhardt Device for allowing simultaneous consumption of a frozen confection and a beverage
US20130255824A1 (en) * 2012-01-06 2013-10-03 Entropy Solutions, Inc. Thermal recepta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containing insert
US20130186113A1 (en) * 2012-01-20 2013-07-25 Pepsi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ce Harvesting
US20130233866A1 (en) * 2012-03-08 2013-09-12 Thomas M. Dooley Cool Cup
TWM440425U (en) 2012-04-25 2012-11-01 Hsien-Chih Lin Ice crusher with crush positioning adjustment component
TWM440426U (en) * 2012-05-04 2012-11-01 shao-chun Lin Shielding type ice making box
US8808778B2 (en) * 2012-06-05 2014-08-19 Louis Dakis Method of using a multi-layer brewing cup
CN202801043U (zh) 2012-09-24 2013-03-20 厦门鑫冠捷工贸有限公司 简易制冰容器
US20140157795A1 (en) * 2012-12-06 2014-06-12 Kevin Joseph Self-Contained Thermal Beverage System
WO2014091460A1 (en) * 2012-12-14 2014-06-19 Malinowski Thomas Rainer An insert for a cup
WO2015009929A1 (en) * 2013-07-18 2015-01-22 Propeller, Inc. Ice mold
US9574811B2 (en) * 2013-10-18 2017-02-21 Rocco Papalia Transparent ice maker
JP5536273B1 (ja) 2013-12-27 2014-07-02 赤城乳業株式会社 成型容器
FI126394B (fi) * 2014-04-16 2016-11-15 Sipi Hintsanen Jääkansi ja muotti sen valmistamiseksi
US9078535B1 (en) * 2014-05-09 2015-07-14 Top-That! Llc Container lid with a food compartment and a sip-hole
KR20160000490U (ko) * 2014-08-01 2016-02-15 김담현 얼음 격리용 다용도 컵
US9945598B2 (en) * 2014-08-04 2018-04-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elf-demolding ice mold and methods of use and automation
USD763621S1 (en) * 2014-12-08 2016-08-16 Ideavillage Products Corp. Container with insert and lid
CN204963338U (zh) 2015-06-26 2016-01-13 杨洋 新型冰碗制作装置
US20170332696A1 (en) * 2016-05-20 2017-11-23 SC Enterprises LLC Smoking ice cube and mold to form the same
US20180192673A1 (en) * 2017-01-12 2018-07-12 O2Cool, Llc Beverage Cooling and Flav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310A (ja) * 2002-02-21 2003-09-02 Kashiwagi Mold:Kk シー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2374A (ja) * 2006-07-29 2008-02-14 Kenji Hirano アイスコップ製造容器
WO2009079721A1 (en) 2007-12-24 2009-07-02 Alfio Bucceri Frozen beverage device
KR101613908B1 (ko) 2015-10-23 2016-04-20 주식회사 파이닉스푸드 음료 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9917A1 (ja) 2018-10-18
JP2018179422A (ja) 2018-11-15
BR112017024131A2 (pt) 2018-12-26
EP3611447A4 (en) 2020-12-16
CN109104874A (zh) 2018-12-28
KR20180129608A (ko) 2018-12-05
JP6298913B1 (ja) 2018-03-20
US20190049165A1 (en) 2019-02-14
CN109104874B (zh) 2020-10-16
EP3611447A1 (en) 2020-02-19
TW201837403A (zh) 2018-10-16
TWI634294B (zh) 2018-09-01
US10648720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012B1 (ko) 제빙용 용기
US20050151050A1 (en) Ice cube tray
US20200072522A1 (en) Clear ice maker
KR101666088B1 (ko) 성형 용기
US4148457A (en) Ice cube tray
US6190226B1 (en) Drip collecting support for frozen confections
EP3658834A1 (en) A mould
US7665711B1 (en) Ice cube extraction tray
US20030209556A1 (en) Introduced in disposable cup
JP6298123B2 (ja) 製氷器
US2447170A (en) Process of freezing liquid and apparatus therefor
GB2464160A (en) Ice cube compartment for an ice cube tray
US20040075038A1 (en) Miniature ice cube tray for beverage receptacles
JP5288413B2 (ja) 氷菓子容器
JP6923904B2 (ja) 冷菓材容器
US2720760A (en) Ice chipping and flaking tray
BR112017024131B1 (pt) Recipiente para a formação de gelo
JP3201285U (ja) 製氷器
CA2502589A1 (en) Improved ice cube tray
KR20040067208A (ko) 이형 재질을 이용한 제빙 용기
JP2021127905A (ja) 氷取出スコップ
US788588A (en) Ice-cream mold.
KR100466524B1 (ko) 얼음 내재용 공간을 갖는 용기
KR20100007915U (ko) 아이스 트레이
US5390894A (en) Pour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