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928B1 -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928B1
KR102005928B1 KR1020170175830A KR20170175830A KR102005928B1 KR 102005928 B1 KR102005928 B1 KR 102005928B1 KR 1020170175830 A KR1020170175830 A KR 1020170175830A KR 20170175830 A KR20170175830 A KR 20170175830A KR 102005928 B1 KR102005928 B1 KR 102005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controller
flow rate
lubricator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459A (ko
Inventor
채호승
전태이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엘
Priority to KR102017017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6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6Arrangements of flow-indicators, e.g. transparent compartments, windows, rotary 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던 엔코더를 1대 1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컨트롤러가 유량계를 속이지 못하도록 상호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 엔코더를 구성하는 엔코더 컨트롤러와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해 주유기 엔코더의 무단교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유기 엔코더에서 생성하는 펄스신호를 서로 분리된 엔코더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에서 유량으로 변환하고, 주유를 종료한 때에 이를 비교하여 주유 시스템에서 펄스신호를 변조하여 유량을 조작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A refueling encoder including encoder controller preventing replacement without notice and modulation of oil amount information, refuel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il amou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주유기 엔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유기 엔코더를 무단으로 교체하거나 주유기 엔코더로부터 출력하는 펄스신호를 변조하여 주유하는 기름의 유량을 속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상기 주유기 엔코더를 포함하는 주유 시스템, 그리고 주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량정보를 변조할 수 없도록 하는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유시스템의 구성 예이다.
도 1a는 종래의 주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b는 용적식 유량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주유시스템(100)은 지하유류탱크(110) 및 주유기(12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주유기(120)에는 펌프(121), 솔레노이드펌프(122), 유량계(123), 엔코더(124), 컨트롤러(125), 노즐(126) 및 주유확인패널(127)이 설치되어 있다.
지하유류탱크(110)에는 휘발유나 경유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이유로 지하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유기(120)는 지상에 설치되며 지하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유류를 펌프(121)로 끌어올려 노즐(126)을 통해 자동차 등(130)에 제공한다. 펌프(121)에 의해 지상으로 올라온 유류는 솔레노이드밸브(122) 및 유량계(123)를 거쳐 노즐(126)로 분출된다. 솔레노이드밸브(122)는 컨트롤러(125)의 지시에 따라 전자 코일의 전자력을 이용하여 개폐함으로써 유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노즐(126)은 주유의 시작과 정지를 결정할 수 있는 기계장치를 포함하며, 기계장치의 동작에 따라 컨트롤러(125)는 현재 주유중인지 아니면 주유가 중단된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유량계(123)는 노즐(126)을 통해 제공되는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유류의 양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프로펠러(미도시)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량계(123)를 구성하는 프로펠러의 회전정보는 유량계(123)와 연결된 엔코더(124)에서 이에 대응하는 펄스신호(pulse signal)로 변환하여 컨트롤러(125)에 전달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용적식 유량계(oval flow meter)는 주변에 톱니를 새긴 두 개의 타원형 회전체를 조합한 것으로, 기어의 1회전에 대해 일정 용적(도트로 표시된 부분)의 유체가 송출(화살표 방향)되므로, 기어의 회전수를 알면 적산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
주유 고객은 노즐(126)의 헤드를 차량의 유류 주입구(미도시)에 투입한 후 방아쇠와 같은 투입지시장치를 조절하여 유류를 차량에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주유확인패널(127)에는 차량에 유입되는 유류의 양을 표시한다. 유량계(123)에 표시되는 유량은, 유량계(123)에 부착되어 있는 엔코더(124)에서 생성되는 펄스신호를 컨트롤러(125)가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응하는 숫자 즉 유량이 주유확인패널(127)에 재생되는 것이다. 도 1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유확인패널(127)은 기름의 단가, 주유 양 및 주유 금액을 각각 표시하는 3개의 패널을 포함하고 있다.
엔코더(124)에서 생성되는 펄스신호를 조작하면 적은 양의 기름을 투여하고도 많은 양의 기름을 투여한 것처럼 속여 고객을 속일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해 유량계(123)에 붙어 있는 엔코더(124)를 불법으로 교체하거나, 엔코더(124)에서 컨트롤러(125)로 전송되는 신호를 가공하여 컨트롤러(125)가 잘못된 계산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3751호(2016년1월4일)는 주유기의 펄스신호를 불법으로 가공하지 못하도록 감시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복잡하고 종래에는 사용하고 있지 않던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장치를 추가로 배치해야 하는 등, 복잡하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던 엔코더를 1대 1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컨트롤러가 유량계를 속이지 못하도록 상호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를 포함하는 주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를 이용하여 유량정보를 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는, 주유기 엔코더를 무단으로 교체하거나 주유기 엔코더로부터 출력하는 펄스신호를 변조하여 주유하는 기름의 유량을 속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는,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량계에 설치되며 주유하고 있는 기름의 흐름에 따른 프로펠러의 회전을 변환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처리기 및 자신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유 시스템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주유기 엔코더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최초로 온 되는 순간,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 저장해 놓은 고유 ID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고유 ID와 미리 저장해 놓은 기준 ID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때에는 미리 설정해 놓은 곳으로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고, 고객의 차량에 주유 중일 때에는 상기 주유기 엔코더에서 생성하는 펄스신호를 변환하여 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주유확인모듈에 재생하도록 하고,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주유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펄스신호를 변환하여 계산한 유량과 상기 주유기 엔코더에 요청하여 엔코더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유량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미리 설정한 오차 범위 이내인 때에는 주유와 관련된 정상적인 과정을 밟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때에는 미리 설정해 놓은 곳으로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도록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은,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주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유기 엔코더 등록단계. 무단교체 확인단계, 펄스신호 동시 변환단계, 유량 비교단계 및 조치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주유기 엔코더 등록단계에서는 상기 주유 시스템을 최초로 구성할 때 상기 주유기 엔코더의 고유 ID를 상기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컨트롤러에 기준 ID로 저장한다. 상기 무단교체 확인단계에서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 전원이 처음 인가될 때 상기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주유기 엔코더를 구성하는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 상기 주유기 엔코더의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주유기 엔코더에서 보내온 고유 ID를 상기 기준 ID와 비교하여, 상기 주유기 엔코더의 무단 교체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 ID와 상기 기준 ID가 동일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의 가동을 중단하는 비상조치를 한다. 상기 펄스신호 동시 변환단계에서는 상기 무단교체 확인단계에서 상기 고유 ID와 상기 기준 ID가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에 수행되며, 상기 주유기 엔코더를 구성하는 상기 펄스발생기에서 생성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제1유량을 계산하고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서는 제2유량을 동시에 계산한다. 상기 유량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컨트롤러가 주유가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노즐로부터 수신한 때에 수행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 상기 제2유량을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 계산한 상기 제1유량과 상기 제2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조치단계에서는 상기 유량 비교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제1유량과 상기 제2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에 속하는 때에는 영수증의 발행 등 주유과정을 정상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1유량과 상기 제2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주유소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상기 스피커로 비상 경고음을 울리도록 조치를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 엔코더를 사용할 때, 주유기 엔코더를 구성하는 엔코더 컨트롤러와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해 주유기 엔코더의 무단교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유기 엔코더에서 생성하는 펄스신호를 서로 분리된 엔코더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에서 유량으로 변환하고, 주유를 종료한 때에 이를 비교하여 주유 시스템에서 펄스신호를 변조하여 유량을 조작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유시스템의 구성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의 실시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의 일 실시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200, 이하 주유기 엔코더)는 기본적으로 유량계(123)를 구성하는 프로펠러(미도시)의 회전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변환 & 생성하는 펄스발생기(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펄스발생기(210)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처리기(221)를 포함하고, 자신의 고유 ID를 저장해 놓은 저장부(222)를 포함하며, 전원이 오프(OFF) 된 상태에서 온(ON) 되는 때에 저장부(222)에 저장해 놓은 고유 ID를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엔코더 컨트롤러(220)를 더 구비한다. 정보나 데이터의 송수신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엔코더 컨트롤러(220)에서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과정은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트롤러(150)에서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유 시스템(300)은, 주유기 엔코더(200)와 컨트롤러(31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10)는 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최초로 온 되는 순간, 주유기 엔코더(200)의 내부에 설치된 엔코더 컨트롤러(220)에 고유 ID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엔코더 컨트롤러(220)로부터 수신한 고유 ID와 미리 저장 또는 설정한 기준 ID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때에는 미리 설정해 놓은 곳으로 이러한 사실을 통보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해 놓은 곳은, 주유소 주인의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된 전화나 주유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스피커(미도시)를 예로 들 수 있다. 무단 교체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을 때, 주유소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스피커로는 비상 경고음을 울리도록 함으로써 주유소 직원은 물론 고객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고유 ID와 기준 ID가 동일할 때에는 주유 시스템(300)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것이다. 컨트롤러(310)도 엔코더 컨트롤러(220)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응한 신호처리기(311) 및 저장부(312)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주유 시스템(300)이 고객의 차량에 주유 중일 때에는 주유기 엔코더(200)에서 생성하는 펄스신호를 변환하여 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주유확인패널(127)에 재생하도록 한다. 해당 주유가 종료되었을 때, 즉 노즐(126)로부터 주유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먼저 펄스신호를 변환하여 계산한 유량과 주유기 엔코더(200)에 요청하여 주유소 컨트롤러(220)로부터 전달받은 유량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미리 설정한 오차 범위 이내인 때에는 주유와 관련된 정상적인 과정을 밟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10)에서 펄스신호를 이에 대응하는 유량으로 변환할 때, 주유기 엔코더(200)를 구성하는 엔코더 컨트롤러(220)도 컨트롤러(310)에서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므로, 2개의 컨트롤러(220, 310)에서 변환한 유량을 동일하거나 기계의 오차를 감안한 일정한 오차범위 내의 차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엔코더 컨트롤러(220)에서 계산한 유량과 컨트롤러(310)에서 계산한 유량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는 펄스신호를 가공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알리고, 필요하면 주유 시스템(300)의 동작을 전면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알린다는 것은 주유기 엔코더(200)의 확인과정에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의 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400)은, 주유기 엔코더 등록단계(410), 무단교체 확인단계(420), 펄스신호 동시 변환단계(430), 유량 비교단계(440) 및 조치단계(450)를 수행한다.
주유기 엔코더 등록단계(410)에서는 주유 시스템(300)을 최초로 구성할 때 주유기 엔코더(200)의 고유 ID를 주유시스템(30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310)에 저장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러(310)에 저장해 놓은 주유기 엔코더(200)의 고유 ID를 기준 ID라고 가정한다.
무단교체 확인단계(420)에서는 주유시스템(300)에 전원이 처음 인가될 때 주유시스템(30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310)가 주유기 엔코더(200)를 구성하는 엔코더 컨트롤러(220)에 주유기 엔코더(200)의 고유 ID를 요청(421)하고, 주유기 엔코더(200)에서 보내온 고유 ID를 기준 ID와 비교(422)하여, 주유기 엔코더(200)의 무단 교체 여부를 확인한다. 고유 ID와 기준 ID가 동일할 때(yes)에는 주유기 엔코더(200)의 무단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므로 주유 시스템(300)을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으므로 다음 단계(430)로 진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No)에는 주유 시스템(300)을 가동하지 않도록 비상조치(452)를 취하면 될 것이다.
펄스신호 동시 변환단계(430)에서는 주유기 엔코더(200)를 구성하는 펄스발생기(210)에서 생성되는 펄스신호를 2개의 컨트롤러(220, 310)가 동시에 계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코더 컨트롤러(220)와 컨트롤러(310)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펄스신호를 연산하는 과정은 서로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량 비교단계(440)에서는 컨트롤러(310)는 주유가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노즐(126)로부터 수신한 때에 수행되며, 컨트롤러(310)가 엔코더 컨트롤러(220)에 엔코더 컨트롤러(220)를 구성하는 신호처리기(221)에서 계산한 유량 즉 제2유량을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하여(441) 수신하고, 컨트롤러(310)에서 계산한 유량 즉 제1유량과 제2유량을 비교(442)한다. 비교라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두 개의 유량의 차이가 일정한 오차범위(Δ)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치단계(450)에서는 유량 비교단계(440)에서의 판단결과 두 개의 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에 속하는 때(Yes)에는 영수증의 발행 등 주유과정을 정상적으로 진행(451)하면 되지만, 두 개의 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유소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스피커로는 비상 경고음을 울리도록 함으로써 주유소 직원은 물론 고객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도록 조치(452)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지하 유류 탱크
120: 엔코더
200: 주유기 엔코더
210: 펄스발생기 220: 엔코더 컨트롤러
300: 주유 시스템
310: 컨트롤러 320: 주유기 엔코더

Claims (4)

  1. 주유기 엔코더를 무단으로 교체하거나 주유기 엔코더로부터 출력하는 펄스신호를 변조하여 주유하는 기름의 유량을 속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는,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량계에 설치되며 주유하고 있는 기름의 흐름에 따른 프로펠러의 회전을 변환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처리기; 및
    자신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주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최초로 온 되는 순간,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 저장해 놓은 고유 ID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고유 ID와 미리 저장해 놓은 기준 ID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때에는 미리 설정해 놓은 곳으로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고,
    고객의 차량에 주유 중일 때에는 상기 주유기 엔코더에서 생성하는 펄스신호를 변환하여 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주유확인패널에 재생하도록 하고,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주유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펄스신호를 변환하여 계산한 유량과 상기 주유기 엔코더에 요청하여 엔코더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유량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미리 설정한 오차 범위 이내인 때에는 주유와 관련된 정상적인 과정을 밟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때에는 미리 설정해 놓은 곳으로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해 놓은 곳은,
    주유소 주인의 무선통신수단 및 주유소에 설치된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주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유 시스템을 최초로 구성할 때 상기 주유기 엔코더의 고유 ID를 상기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컨트롤러에 기준 ID로 저장하는 주유기 엔코더 등록단계;
    상기 주유 시스템에 전원이 처음 인가될 때 상기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주유기 엔코더를 구성하는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 상기 주유기 엔코더의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주유기 엔코더에서 보내온 고유 ID를 상기 기준 ID와 비교하여, 상기 주유기 엔코더의 무단 교체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 ID와 상기 기준 ID가 동일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의 가동을 중단하는 비상조치를 취하는 무단교체 확인단계;
    상기 무단교체 확인단계에서 상기 고유 ID와 상기 기준 ID가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에 수행되며, 상기 주유기 엔코더를 구성하는 상기 펄스발생기에서 생성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제1유량을 계산하고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서는 제2유량을 동시에 계산하는 펄스신호 동시 변환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주유가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노즐로부터 수신한 때에 수행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엔코더 컨트롤러에 상기 제2유량을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 계산한 상기 제1유량과 상기 제2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유량 비교단계; 및
    상기 유량 비교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제1유량과 상기 제2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에 속하는 때에는 영수증의 발행 등 주유과정을 정상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1유량과 상기 제2유량의 차이가 오차범위(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주유소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상기 스피커로 비상 경고음을 울리도록 하는 조치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KR1020170175830A 2017-12-20 2017-12-20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KR102005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30A KR102005928B1 (ko) 2017-12-20 2017-12-20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30A KR102005928B1 (ko) 2017-12-20 2017-12-20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59A KR20190074459A (ko) 2019-06-28
KR102005928B1 true KR102005928B1 (ko) 2019-08-26

Family

ID=6706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830A KR102005928B1 (ko) 2017-12-20 2017-12-20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8883B (zh) * 2021-04-02 2022-05-24 北京拓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抬枪走字和判定加油装置密封状态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243B1 (ko) * 2012-06-01 2014-04-16 이한우 주유량 감시 장치 및 주유량 감시 시스템
KR101504981B1 (ko) * 2012-07-25 2015-03-24 주식회사 카스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59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3895B (zh) 具有欺诈检测脱离阀组件的燃料分配器
EP0982264A1 (en) Dispenser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fueling
US20240002215A1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with fail-safes
MX2010011676A (es) Control de la trayectoria de suministro de comustible.
US20060196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fueling a motor vehicle
KR102005928B1 (ko) 무단교체 및 유량정보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엔코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주유기 엔코더, 주유 시스템 및 유량정보 변조방지방법
KR101385243B1 (ko) 주유량 감시 장치 및 주유량 감시 시스템
JP2010100289A (ja) セルフ給油管理システム
CN110942559A (zh) 加油支付系统
JP3460629B2 (ja) 給油所
WO2013140375A2 (en) A fue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788209B2 (en) Automatic emergency shut-off system for delivery transports
US11763621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of fuel or the like in a vend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ivate use
WO20180698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luid dispensing
CN109841000B (zh) 交通支付方法、车辆以及加油机
JP7134722B2 (ja) 燃料供給装置
US20180229995A1 (en) Fuel transfer and monitoring system
EP41596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of fuel by a vending apparatus
JP7407086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
CN110848560B (zh) 无人值守lng加气机
DE102020115641A1 (de)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an ein Fahrzeug abgegebenen Gasmenge eines Wasserstoffs bei einer Wasserstofftankstelle
JP5626603B2 (ja) 給油装置
JP2013023249A (ja) 給油システム
CN114673927A (zh) 一种定向识别联动自锁信息化供气系统的控制方法
DE102020115644A1 (de)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an ein Fahrzeug abgegebenen Gasmenge eines Wasserstoffs bei einer Wasserstofftankste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