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306B1 -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306B1
KR102005306B1 KR1020170076789A KR20170076789A KR102005306B1 KR 102005306 B1 KR102005306 B1 KR 102005306B1 KR 1020170076789 A KR1020170076789 A KR 1020170076789A KR 20170076789 A KR20170076789 A KR 20170076789A KR 102005306 B1 KR102005306 B1 KR 10200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trol target
visible light
code
ligh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299A (ko
Inventor
김갑수
Original Assignee
기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민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30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 파장의 빛을 FOV(field of view)범위로 보이게 조절한 후 해당 관제대상 기기의 그룹을 지정하여 이동에 따른 특정 그룹별 관제대상 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함을 제공하도록, 관제대상 기기마다 가시광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가능하게 내장되는 신호수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소지가능하며 복수 개의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리모트기기와, 상기 리모트기기 상에 설치되고 그룹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대상 기기에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는 광발산부와, 상기 광발산부로부터 가시광 파장이 조사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에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인식가능한 코드신호를 가시광 파장과 함께 전송하여 그룹화하는 그룹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IoT컨트롤러의 광발산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시야각 범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을 제공하고, 그리고 구역별 공간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IoT컨트롤러를 통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되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조사하는 단계와; 해당 관제대상 기기의 설정할 그룹코드를 선택하여 코드를 부여하되,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동일한 그룹코드를 부여하여 하나의 그룹코드로 지정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무선통신하여 그룹영역별 관제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IoT Remote System for Assigning Group Using FOV of Visible Light and Group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광 파장의 빛을 FOV(field of view)범위로 보이게 조절한 후 해당 관제대상 기기의 그룹을 지정하여 이동에 따른 특정 그룹별 관제대상 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생활 속 사물들을 네트워크 상에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인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및 서비스의 세 가지 분산된 환경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공간 연결망을 의미하고, 사물인터넷에서의 사물은 관제를 받아야하는 대상 기기로서 조명이나 각종 가전기기 등을 의미하며, 사용자와 사물인터넷의 관제대상 기기는 홈 네트워크나 무선통신, 근거리 통신 등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사물인터넷의 제어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45505호(2016.04.27.)에는 서버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제1 사용자의 관계 그룹에 제2 사용자를 포함시키는 설정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제1사용자의 기기로 등록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권의 범위를 상기 관계 그룹으로 확장시키는 설정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1 사용자의 식별자인 제1 식별자로 접속된 제1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의 관계 그룹에 제2 사용자를 포함시키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기기로 등록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권을 상기 관계 그룹으로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의 제어권을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단말 및 그 동작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392868호(2014.04.30.)에는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실행된 브라우저가 P-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P-플랫폼이 상기 브라우저에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가 IoT 장치들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IoT 장치들 중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의 IoT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기기가 S-플랫폼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IoT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서비스 개발자는 개발시간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이용자는 직관적으로 통합 접근할 수 있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등을 이용하여 무선화된 IoT 관제대상 기기의 사용 및 관제를 설정하기 때문에 관제대상 기기와의 지정접속을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나아가 소수 개인의 작업공간이나 생활공간에 개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개인작업공간이나 개인생활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으로 특정 그룹화하여 설정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출입할 때마다 해당 영역 내 모든 관제대상 기기의 아이디를 다시 맵핑하여 설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일반인이 수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505호(2016.04.27.)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92868호(2014.04.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제대상 기기의 위치와 크기에 맞춰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시야각 범위로 보여지게 조절하면서 그룹을 지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관제대상 기기와의 접속효율 및 개별적 제어효율을 높이고,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대한 그룹지정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은 관제대상 기기마다 가시광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가능하게 내장되는 신호수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소지가능하며 복수 개의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리모트기기와, 상기 리모트기기 상에 설치되고 그룹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대상 기기에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는 광발산부와, 상기 광발산부로부터 가시광 파장이 조사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에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인식가능한 코드신호를 가시광 파장과 함께 전송하여 그룹화하는 그룹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IoT컨트롤러의 광발산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시야각 범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IoT컨트롤러의 광발산부에는 가시광 파장의 광원에 대한 시야각 범위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리모트기기에는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 범위를 사용자로부터 조절가능하게 조작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신호수신부에서는 상기 IoT컨트롤러로부터 변경된 코드신호를 수신하면 관제대상 기기의 동작 또는 점멸 구동과 같은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IoT컨트롤러에는 상기 그룹설정부에 서로 다른 코드신호를 갖는 복수 개의 그룹별 데이터정보를 등록저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IoT컨트롤러에서는 상기 그룹설정부에 등록저장된 그룹별 데이터정보마다 새로운 관제대상 기기를 코드 지정하여 그룹 내 추가지정하거나 기존에 지정된 관제대상 기기를 배제하여 그룹별 지정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은 구역별 공간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IoT컨트롤러를 통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되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조사하는 단계와; 해당 관제대상 기기의 설정할 그룹코드를 선택하여 코드를 부여하되,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동일한 그룹코드를 부여하여 하나의 그룹코드로 지정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무선통신하여 그룹영역별 관제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룹코드를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코드가 부여될 때 관제대상 기기의 동작 또는 점멸 구동과 같은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에 의하면 관제대상 기기에 가시광 파장을 조사하면서 해당 코드를 부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에 대한 동일코드별 간편한 그룹핑에 따른 우수한 접속효율은 물론 IoT 제어성능을 향상시키고,특정그룹으로의 제어전환이 매우 간편하면서 탄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은 관제대상 기기의 코드부여를 위한 가시광 파장의 시야각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모든 관제대상 기기의 원활한 코드부여 및 그룹지정 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은 관제대상 기기별 그룹지정작업에 따른 인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그룹지정을 위한 작업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의 일실시예에서 IoT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적용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은 관제대상 기기마다 가시광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가능하게 내장되는 신호수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소지가능하며 복수 개의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리모트기기와, 상기 리모트기기 상에 설치되고 그룹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대상 기기에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는 광발산부와, 상기 광발산부로부터 가시광 파장이 조사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에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인식가능한 코드신호를 가시광 파장과 함께 전송하여 그룹화하는 그룹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IoT컨트롤러의 광발산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시야각 범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역별 공간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IoT컨트롤러를 통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되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조사하는 단계와; 해당 관제대상 기기의 설정할 그룹코드를 선택하여 코드를 부여하되,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동일한 그룹코드를 부여하여 하나의 그룹코드로 지정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무선통신하여 그룹영역별 관제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수신부(10)와, IoT컨트롤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수신부(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제대상 기기(5)마다 내장되어 상기 IoT컨트롤러(20)의 신호를 수신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IoT컨트롤러(20)로부터 가시광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관제대상 기기(5)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관제를 받아 제어될 수 있는 기기로서, 도면에서는 상기 관제대상 기기(5)에 대하여 조명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물인터넷 제어가 가능하게 무선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예를 들면, 텔레비전, 오디오, PC, 냉장고, 보일러 등)를 적용하여 구성가능하다.
상기 신호수신부(10)에서는 상기 IoT컨트롤러(20)로부터 광신호와 함께 코드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상기 IoT컨트롤러(20)의 계속적인 신호에 따라 변경된 코드신호를 인식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IoT컨트롤러(20)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제어할 관제대상 기기(5)를 제어가능한 연결상태로 그룹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IoT컨트롤러(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모트기기(21)와, 관제대상 기기(5)에 광원을 조사가능한 광발산부(23)와,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를 그룹화가능하게 구비된 그룹설정부(25)로 구성한다.
상기 리모트기기(21)는 사용자가 소지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광발산부(23) 및 상기 그룹설정부(25)를 장착 지지하고, 일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설정할 수 있게 조작가능한 복수 개의 조작수단(22)을 구비한다.
상기 조작수단(22)은 상기 광발산부(23) 및 상기 그룹설정부(25)를 서로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게 구비한다.
상기 조작수단(22)은 조작버튼이나 로터리스위치 등을 적용하여 구성가능하다.
상기 리모트기기(21)에는 상기 광발산부(23) 및 상기 그룹설정부(25)를 통한 조작상태 및 설정상태 등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게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창(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발산부(23)는 상기 리모트기기(21) 상에 고정 설치되고, 외부로 광원을 생성시켜 조사할 수 있게 구비한다.
상기 광발산부(23)는 작업공간이나 생활공간 내에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그룹영역을 구분한 채 그룹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대상 기기(5)에 광원을 조사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광발산부(23)에서는 사용자가 육안상 인지할 수 있는 광원인 400~700㎚의 파장 범위를 갖는 가시광 파장 대역의 광원을 비추도록 형성한다.
상기 IoT컨트롤러(20)의 광발산부(23)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시야각 범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광발산부(23)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시야각 범위로 확보하여 다양한 유형을 갖는 관제대상 기기(5)에 내장된 상기 신호수신부(10)에서의 원활한 인식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광발산부(23)의 시야각은 좌우 10~160°, 상하 10~135°의 각도범위를 조성한다.
상기 IoT컨트롤러(20)는 한번에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를 그룹지정할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상기 광발산부(23)로부터 비추는 시야각 범위 내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5)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그룹지정하므로,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IoT컨트롤러(20)의 광발산부(23)에는 가시광 파장의 광원에 대한 시야각 범위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관제대상 기기(5)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광발산부(23)에서 비취는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을 좌우 10°및 상하 10°의 각도에서 좌우 160°및 상하 135°의 각도범위까지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모트기기(21)에는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 범위를 사용자로부터 조절가능하게 조작하는 각도조절수단(29)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29)에 있어서도 상기한 조작수단(22)과 마찬가지로 조작버튼이나 로터리스위치 등을 적용하여 구성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관제대상 기기(5)의 코드부여를 위한 가시광 파장의 시야각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모든 관제대상 기기(5)의 원활한 코드부여 및 그룹지정 작업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IoT컨트롤러(20)에는 관제대상 기기(5)별 다른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형상측정센서나 형상인식센서를 상기 광발산부(23)에 연동시키도록 구성한 후, 상기 관제대상 기기(5)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광발산부(23)의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 범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광발산부(23)의 시야각 범위조절을 자동화하면, 사용상의 편의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룹설정부(25)는 그룹영역 내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5)에 동일한 코드신호를 부여하여 그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그룹설정부(25)는 상기 광발산부(23)로부터 가시광 파장이 조사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5)에 상기 신호수신부(10)에서 인식가능한 코드신호를 가시광 파장과 함께 전송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그룹설정부(2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기기(21)의 조작수단(22)을 통하여 해당 관제대상 기기에 그룹코드를 선택 설정한다. 즉 상기 광발산부(23)로부터 가시광 파장의 광원이 비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22)을 통해 해당 그룹코드를 선택 조작하므로, 상기 신호수신부(10)에 구분된 코드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IoT컨트롤러(20)에는 상기 그룹설정부(25)에 서로 다른 코드신호를 갖는 복수 개의 그룹별 데이터정보를 등록저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그룹설정부(25)로부터 구분된 코드신호를 전송하되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가 상기 조작수단(22)을 통해 일부 동일한 그룹코드를 갖도록 넘버링 설정하여 등록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그룹별 데이터정보를 넘버링하여 등록저장하게 되면, 추후 관제대상 기기(5)의 사물인터넷 제어에 보다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IoT컨트롤러(20)에서는 상기 그룹설정부(25)에 기저장된 등록 데이터정보를 새롭게 수정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그룹설정부(25)에 등록저장된 그룹별 데이터정보마다 새로운 관제대상 기기(5)를 코드 지정하여 그룹 내 추가지정하거나 기존에 지정된 관제대상 기기(5)를 배제하여 그룹별 지정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신호수신부(10) 및 상기 IoT컨트롤러(20)에서는 그룹지정을 위한 코드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확인가능하게 인식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신호수신부(10)에서는 상기 IoT컨트롤러(20)로부터 변경된 코드신호를 수신하면 관제대상 기기(5)의 동작 또는 점멸 구동과 같은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IoT컨트롤러(20)에서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관제대상 기기(5)에서 변경된 그룹코드가 수신되면 이를 인식했다는 시그널을 응답하되 관제대상 기기(5)에서는 동작 점멸 등으로 표시하며, IoT컨트롤러(20)에서는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점멸표시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관제대상 기기(5)별 그룹지정작업에 따른 인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면, 그룹지정을 위한 작업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IoT컨트롤러(20)에는 상기 그룹설정부(25)에 그룹지정된 관제대상 기기를 무선 제어할 수 있는 그룹제어부(27)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그룹제어부(27)는 그룹영역 내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를 상기 그룹설정부(25)에 지정된 그룹별로 제어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그룹제어부(27)에는 상기 관제대상 기기(5)와 무선통신가능한 구조로서, 다양한 무선통신모듈(예를 들면, 블루투스, Wi-Fi, beacon, RF, LoRa 등)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그룹제어부(27)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22)을 조작하여 관제대상 기기를 그룹별로 제어할 수 있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그룹제어부(27)는 관제대상 기기(5)와 일정거리 내로 접근할 경우 해당 관제대상 기기(5)의 그룹이 동작할 수 있게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제어모드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광 파장 광원 조사단계(S10)와, 그룹코드 지정단계(S20)와, 관제대상 기기 제어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시광 파장 광원 조사단계(S10)에서는 구별된 공간 즉 사용자와 관련된 작업공간이나 생활공간 내 배치된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마다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한다.
상기에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함에는 관제대상 기기(5)마다 IoT컨트롤러(20)를 통하여 광원을 조사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대상 기기(5)에 가시광 파장의 광원이 비취도록 조사한다.
예를 들면, 관제대상 기기(5)를 개별적으로 한 개씩 비추도록 광원을 조사하거나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5)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비추도록 광원을 조사한다.
상기 IoT컨트롤러(20)로부터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함에는 시야각 범위로 제공되는 가시광 파장을 확인하면서 관제대상 기기(5)를 향해 광원을 조사하고, 관제대상 기기(5)의 위치 및 크기에 맞춰 가시광 파장의 광원에 대한 시야각을 좌우 10~160°, 상하 10~135°의 각도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한다.
상기에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은 관제대상 기기(5)마다 내장된 신호수신부(10)에서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인식가능한 범위까지 조절하여 조사한다.
상기 그룹코드 지정단계(S20)에서는 그룹영역 내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5)를 그룹화하도록 동일한 그룹코드를 부여하여 지정한다. 즉 해당 관제대상 기기(5)의 설정할 그룹코드를 선택하여 코드를 부여하되,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에 동일한 그룹코드를 부여하여 하나의 그룹코드로 지정한다.
상기에서 관제대상 기기(5)에 그룹코드를 부여함에는 상기 IoT컨트롤러(20)로부터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면서 코드를 부여하되 그룹지정할 관제대상 기기(5)끼리는 동일한 코드가 부여될 수 있게 설정한다. 즉 상기 IoT컨트롤러(20)를 조작하여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관제대상 기기(5)에 비추면 관제대상 기기(5)에서 인식가능한 코드신호를 함께 전송가능하게 된다.
상기 IoT컨트롤러(20)로부터 동일한 코드를 부여하여 지정된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는 추후 새로운 관제대상 기기(5)를 코드 지정하여 기존 그룹 내 추가지정하거나 기존에 지정되어있던 관제대상 기기(5)를 배제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그룹코드를 지정하는 단계(S20)에서는 코드가 부여될 때 관제대상 기기(5)의 동작 또는 점멸 구동과 같은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IoT컨트롤러(20)에서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관제대상 기기(5)에서 변경된 그룹코드가 수신되면 이를 인식했다는 시그널을 응답하되 관제대상 기기(5)에서는 동작 점멸 등으로 표시하며, IoT컨트롤러(20)에서는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점멸표시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제어된다.
상기 관제대상 기기 제어단계(S30)에서는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5)에 무선통신하여 그룹영역 내 지정된 그룹별 관제대상 기기(5)를 제어한다.
상기에서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Wi-Fi, beacon, RF, LoRa 등 다양한 무선통신모듈 중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시가능하다.
상기 관제대상 기기 제어단계(S3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하여 해당 관제대상 기기(5)를 그룹별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관제대상 기기 제어단계(S30)에서는 관제대상 기기(5)와 일정거리 내로 접근할 경우 해당 관제대상 기기(5)의 그룹에 자동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그룹의 관제대상 기기(5)가 동작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에 의하면 관제대상 기기에 가시광 파장을 조사하면서 해당 코드를 부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에 대한 동일코드별 간편한 그룹핑에 따른 우수한 접속효율은 물론 IoT 제어성능을 향상시키고,특정그룹으로의 제어전환이 매우 간편하면서 탄력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및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 관제대상 기기 10 : 신호수신부
20 : IoT컨트롤러 21 : 리모트기기
22 : 조작수단 23 : 광발산부
25 : 그룹설정부 27 : 그룹제어부

Claims (7)

  1. 관제대상 기기마다 가시광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가능하게 내장되는 신호수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소지가능하며 복수 개의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리모트기기와, 상기 리모트기기 상에 설치되고 그룹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대상 기기에 400~700nm의 파장 범위를 갖는 가시광 파장 대역의 광원을 조사하는 광발산부와, 상기 광발산부로부터 가시광 파장이 조사된 복수의 관제대상 기기에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인식가능한 코드신호를 가시광 파장과 함께 전송하여 그룹화하는 그룹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IoT컨트롤러의 광발산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시야각 범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IoT컨트롤러의 광발산부에는 가시광 파장의 광원에 대한 시야각 범위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하되 광발산부의 시야각 범위는 좌우 10~160°, 상하 10~135°의 각도범위로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리모트기기에는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 범위를 사용자로부터 조절가능하게 조작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IoT컨트롤러에는 관제대상 기기별 다른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형상측정센서 또는 형상인식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형상측정센서 또는 형상인식센서를 상기 광발산부에 연동하여 상기 관제대상 기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광발산부의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 범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신호수신부에서는 상기 IoT컨트롤러로부터 변경된 코드신호를 수신하면 관제대상 기기의 동작 또는 점멸 구동과 같은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IoT컨트롤러에는 상기 그룹설정부에 서로 다른 코드신호를 갖는 복수 개의 그룹별 데이터정보를 등록저장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IoT컨트롤러에서는 상기 그룹설정부에 등록저장된 그룹별 데이터정보마다 새로운 관제대상 기기를 코드 지정하여 그룹 내 추가지정하거나 기존에 지정된 관제대상 기기를 배제하여 그룹별 지정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구역별 공간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IoT컨트롤러를 통한 가시광 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되 가시광 파장 광원의 시야각 범위를 좌우 10~160°, 상하 10~135°의 각도범위로 조절하여 조사하는 단계와;
    해당 관제대상 기기의 설정할 그룹코드를 선택하여 코드를 부여하되,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동일한 그룹코드를 부여하여 하나의 그룹코드로 지정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관제대상 기기에 무선통신하여 그룹영역별 관제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그룹코드를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코드가 부여될 때 관제대상 기기의 동작 또는 점멸 구동과 같은 인식신호를 자동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제어 방법.
  7. 삭제
KR1020170076789A 2017-06-16 2017-06-16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KR102005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789A KR102005306B1 (ko) 2017-06-16 2017-06-16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789A KR102005306B1 (ko) 2017-06-16 2017-06-16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299A KR20180137299A (ko) 2018-12-27
KR102005306B1 true KR102005306B1 (ko) 2019-07-30

Family

ID=6495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789A KR102005306B1 (ko) 2017-06-16 2017-06-16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3584B (zh) * 2019-04-17 2022-03-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设备的控制方法、控制设备、控制系统及存储介质
CN111524342A (zh) * 2020-05-06 2020-08-11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红外遥控设备测试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6881A1 (en) * 2013-08-02 2015-02-05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ying iot devices/objects/people using out-of-band signaling/metadata in conjunction with optical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868B1 (ko) 2012-07-11 2014-05-09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US9239636B1 (en) * 2014-09-25 2016-01-1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field of view in a camera of an electronic device
KR102297475B1 (ko) 2014-10-17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을 위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1308B1 (ko) * 2014-11-03 2019-0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첩된-중앙집중형 모델에서의 관계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6881A1 (en) * 2013-08-02 2015-02-05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ying iot devices/objects/people using out-of-band signaling/metadata in conjunction with optical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299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3956B2 (en) Commissioning and controlling load control devices
EP1966624B1 (en) User interface with position awareness
CN101258781B (zh) 照明调试设备和方法
US201600734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Commissioning and Locating Lighting System
EP2039069B1 (en) Autonomous limited network realization and commissioning
US11522732B2 (en) Camera-based commissioning
EP3941163A1 (en) Commissioning load control systems
EP3366083B1 (en) Notification lighting control
KR102005306B1 (ko)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KR20190035121A (ko) 이기종 통신시스템 기반의 스마트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3909403A1 (en) A method of joining a lighting device to a network and pairing the lighting device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US10694606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commissioning using lighting control system sensors
JP7127456B2 (ja) 無線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制御方法
CN110691116A (zh) 用于管理网络设备的方法、定位设备及系统
US12010780B2 (en) Commissioning and controlling load control devices
ITUB20155759A1 (it) Impianto di illuminazione
US20240187275A1 (en) Camera-based commissioning
CN117042237A (zh) 一种基于光色目标的空间照明系统
WO2021214523A1 (en) Autonomous room boundar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with low resolution sensors
CN103531007A (zh) 编码器对码的无线智能集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