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002B1 -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002B1
KR102005002B1 KR1020170152175A KR20170152175A KR102005002B1 KR 102005002 B1 KR102005002 B1 KR 102005002B1 KR 1020170152175 A KR1020170152175 A KR 1020170152175A KR 20170152175 A KR20170152175 A KR 20170152175A KR 102005002 B1 KR102005002 B1 KR 10200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fluid supply
supply passage
air hol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445A (ko
Inventor
서석현
김경배
황민식
김학승
Original Assignee
덴버코리아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버코리아이엔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버코리아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0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 주입구와 척의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볼이 척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에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지반 천공과 모르타르 주입을 병행할 수 있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중앙에 모르타르 공급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의 외측에 제1유체공급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공급로의 일측에 제1유체공급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고압수를 측면으로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 노즐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와 연통되고 하부는 측면으로 분기되는 모르타르 주입공과 상기 제1유체공급로와 연통되는 제2유체공급로가 관통 형성되는 모르타르 주입구; 및 하부에 에어 해머 비트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에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척의 에어홀 주변 상면은 에어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 주변의 하향 경사진 상면 외곽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는 척; 으로 구성되되,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와 척의 결합부 내부에는 제2유체공급로 및 에어홀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에어홀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이 구비된다.

Description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Tip device for high pressure injection}
본 발명은 에어와 공기가 갖는 유체의 종류에 따른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모르타르 주입구와 척의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볼이 척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에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지반 천공과 모르타르 주입을 병행할 수 있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 점토층은 지반 보강 시 천공과 모르타르 분사주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단일 공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나, 사석층의 경우 에어 해머로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먼저 형성한 후 에어 해머를 제거하고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는 롯드를 천공홀에 삽입하여 모르타르를 분사하는 두 개의 분리된 공정에 의한 시공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천공과 분사를 위해 각각 장비가 투입되어 시공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반 천공 작업과 모르타르 주입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비가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0787612호).
상기 등록기술은 '모르타르 및 밀크 분사용 선단 장치'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는 것으로, 척 상단에 스프링(27)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28)가 구비된다(도 1).
여기에서 밸브(28)는 에어가 주입되어 압력이 작용하면 스프링(27)의 강성에 의해 하강하지 못한다. 그러다가 더 큰 압력의 고압수가 주입되면 고압수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27)이 압축되면서 에어홀이 폐쇄되어 에어 해머의 작동이 멈추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 방식의 밸브는 압력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정확한 시점에 에어홀을 폐쇄하도록 폐쇄 시점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또한, 장기 사용시 스프링의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스프링의 장력에 변화가 발생하고, 에어 분사시에도 에어홀을 폐쇄하여 비트 구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오작동 문제의 소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이나 복잡한 구조의 밸브 없이 간단한 구조로 에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지반 천공과 모르타르 주입을 병행할 수 있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스프링 방식의 밸브가 구비된 선단 장치와 비교하여 스프링의 장력 변화나 에어 분사시 에어홀 폐쇄에 따른 오작동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중앙에 모르타르 공급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의 외측에 제1유체공급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공급로의 일측에 제1유체공급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고압수를 측면으로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 노즐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와 연통되고 하부는 측면으로 분기되는 모르타르 주입공과 상기 제1유체공급로와 연통되는 제2유체공급로가 관통 형성되는 모르타르 주입구; 및 하부에 에어 해머 비트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에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척의 에어홀 주변 상면은 에어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 주변의 하향 경사진 상면 외곽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는 척; 으로 구성되되,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와 척의 결합부 내부에는 제2유체공급로 및 에어홀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에어홀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체공급로는 모르타르 주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공간부의 모르타르 주입구 하부에는 상부가 상기 제2유체공급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제3유체공급로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 천공시 주입되는 에어와 모르타르 주입시 공급되는 물이 갖는 유체의 종류에 따른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모르타르 주입구와 척의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볼이 척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에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이나 복잡한 구조의 밸브 없이 간단한 구조로 지반 천공과 모르타르 주입을 병행할 수 있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스프링 방식의 밸브가 구비된 선단 장치와 비교하여 스프링의 장력 변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없고, 에어 분사시 에어홀 폐쇄에 따른 오작동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모르타르 분사용 선단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와 삼중관 및 에어 해머 비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평단면도.
도 5의 (a) 및 (b)는 각각 지반 천공시 및 모르타르 주입시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고압수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고압수 및 모르타르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모르타르 공급관이 구비된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척의 에어홀 주변 상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모르타르 주입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모르타르 주입구와 가이드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제2유체공급로의 다양한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링형 홈이 형성된 척의 상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와 삼중관 및 에어 해머 비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의 (a) 및 (b)는 각각 지반 천공시 및 모르타르 주입시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고압수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고압수 및 모르타르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는 중앙에 모르타르 공급로(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11)의 외측에 제1유체공급로(12)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공급로(12)의 일측에 제1유체공급로(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유체공급로(12)로부터 공급된 고압수를 측면으로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 노즐(13)이 구비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11)와 연통되고 하부는 측면으로 분기되는 모르타르 주입공(21)과 상기 제1유체공급로(12)와 연통되는 제2유체공급로(22)가 관통 형성되는 모르타르 주입구(2); 및 하부에 에어 해머 비트(4)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에어홀(3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척(3)의 에어홀(31) 주변 상면은 에어홀(3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31) 주변의 하향 경사진 상면 외곽에는 링형 홈(35)이 형성되는 척(3); 으로 구성되되,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와 척(3)의 결합부 내부에는 제2유체공급로(22) 및 에어홀(31)과 연통되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의 내부에는 에어홀(31)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는 스프링이나 복잡한 구조의 밸브 없이 본체(1), 모르타르 주입구(2) 및 척(3)을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와 모르타르 주입구(2) 및 모르타르 주입구(2)와 척(3)은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는 모르타르 주입구(2)와 척(3)의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볼(5)이 척(3)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에어홀(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지반 천공과 모르타르 주입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는 모르타르 공급로(11), 제1유체공급로(12) 및 고압수 분사 노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11)는 본체(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모르타르 공급로(11)를 통하여 모르타르가 공급된다.
상기 제1유체공급로(12)는 모르타르 공급로(11)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본체(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유체공급로(12)는 모르타르 공급로(11)의 외측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체공급로(12)를 통하여 에어 또는 물 등 유체가 공급된다.
상기 고압수 분사 노즐(13)은 제1유체공급로(12)의 일측에 제1유체공급로(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압수 분사 노즐(13)은 제1유체공급로(12)로부터 공급된 고압수를 본체(1) 측면으로 분사한다.
상기 제1유체공급로(12)의 외측에는 고압수 분사 노즐(13)로 고압 상태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로(14)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상기 에어공급로(14)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는 고압수와 함께 고압수 분사 노즐(13)을 통하여 고압 분사된다. 따라서 고압수의 분사압을 증가시켜 천공홀의 확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의 상단에는 삼중관(7)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삼중관(7)은 중앙을 통하여 모르타르 공급로(11)로 모르타르를 공급하고, 그 외측을 통하여 제1유체공급로(12)로 물 또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최외측에는 에어공급로(14)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는 본체(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모르타르 주입공(21)과 제2유체공급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르타르 주입공(21)은 상부는 모르타르 공급로(11)와 연통되며, 하부는 측면으로 분기되어 모르타르 주입구(2)의 외측에 면한다.
상기 본체(1)의 모르타르 공급로(11)에서 공급되는 모르타르는 모르타르 주입공(21)을 거쳐 지반의 천공홀 측으로 주입된다.
상기 모르타르 주입공(21)은 모르타르의 원활한 주입을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체공급로(22)는 제1유체공급로(12)와 연통되도록 모르타르 주입구(2)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유체공급로(22)는 제1유체공급로(12)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 형성 가능하다(도 4).
상기 척(3)은 하부에 에어 해머 비트(4)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모르타르 주입구(2)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척(3)은 중앙에 에어홀(31)이 관통 형성되며, 에어홀(31)을 통해 에어가 에어 해머 비트(4)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척(3)은 에어홀(31)과 연통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비트 체결홈(32)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트 체결홈(32)에 에어 해머 비트(4)의 상단을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와 척(3)의 결합부 내부에는 제2유체공급로(22) 및 에어홀(31)과 연통되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의 내부에는 에어홀(31)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유체공급로(12) 및 제2유체공급로(22)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는 흐름이 불규칙하고, 개폐볼(5)과 에어홀(31) 사이에 작은 틈이라도 있으면 이러한 틈으로 에어가 유출되면서 개폐볼(5)을 계속 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공간부(23)는 모르타르 주입구(2)의 하부와 척(3)의 상부 사이의 결합부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척(3)의 상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비교적 넓은 공간이다. 이에 따라 에어 공급시 개폐볼(5)이 척(3) 상부의 넓은 면적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에어 압력에 의해 개폐볼(5)이 중앙으로 이동하여 에어홀(3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유체공급로(12) 및 제2유체공급로(22)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면, 물은 처음에는 에어홀(31)을 통해 배수된다. 그러다 공간부(23) 내부가 물로 채워지면 개폐볼(5)이 물과 함께 에어홀(31) 측으로 이동하여 개폐볼(5)이 에어홀(31)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된다.
즉, 고압수 공급시에는 공간부(23) 내에 유입된 고압수 일부가 초기에 에어홀(31)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면서 척(3)의 상면에서 와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척(3)의 외곽에서 이동하던 개폐볼(5)이 와류를 따라 중앙의 에어홀(31)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에어홀(31) 상단을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와 물, 즉 유체의 종류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스프링 없이도" 에어홀(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볼(5)은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하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통한 지반 천공 과정과 모르타르 주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와 같이, 지반 천공시에는 제1유체공급로(12) 및 제2유체공급로(22)를 통해 고압의 에어(A)를 주입하면, 에어가 개폐볼(5)을 때려 개폐볼(5)이 공간부(23) 내에서 운동한다. 이에 따라 에어홀(31)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고압의 에어는 에어홀(31)을 통해 에어 해머 비트(4)로 공급되어 에어 해머 비트(4)의 타격에 의해 선단 천공이 진행된다.
도 5의 (b)와 같이, 모르타르 주입시에는 우선 지반 천공 완료 후 제1유체공급로(12) 및 제2유체공급로(22)를 통한 에어 주입을 중단하고, 제1유체공급로(12) 및 제2유체공급로(22)를 통해 선단 장치에 물(W)을 공급한다.
물이 공급되어 공간부(23)를 채우게 되면 개폐볼(5)이 물의 압력에 의해 에어홀(31)의 상단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에어 해머 비트(4)의 타격이 멈추면서 지반 천공 과정이 중단된다.
이후 물은 공간부(23)에 이어 제2유체공급로(22)와 제1유체공급로(12)를 차례대로 채우게 된다. 이때에도 물은 상부에서 계속 공급되므로, 도 6과 같이 본체(1) 측면의 고압수 분사 노즐(13)을 통해 고압수가 천공홀 측으로 고속 분사된다.
상기 고압수 분사 노즐(13)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천공홀 직경이 확대된다.
한편, 제1유체공급로(12) 및 제2유체공급로(22)를 통한 물 공급과 동시에 모르타르 공급로(11)를 통해 모르타르(G)를 주입하면 주입된 모르타르가 모르타르 주입공(21)을 통하여 천공홀 내에 주입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모르타르 주입공(21)을 통하여 천공홀 내에 주입되는 모르타르는 전술한 고압수 분사 노즐(13)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로 절삭된 원지반토와 함께 혼합되어 천공홀 내에 구근 형태의 개량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개량이 가능하다.
도 8은 모르타르 공급관이 구비된 본 발명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11) 및 모르타르 주입공(21)에는 모르타르 공급관(6)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공급관(6)은 본체(1)와 모르타르 주입구(2) 사이로 모르타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척의 에어홀 주변 상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3)의 에어홀(31) 주변 상면은 에어홀(3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에어 공급 중단시 개폐볼(5)이 자중에 의해 에어홀(31) 상단에 위치하여 에어홀(3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척(3)의 에어홀(31) 주변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척(3) 상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2°이하의 경사각으로도 충분하다.
아울러 상기 에어홀(31)의 입구 모서리에는 개폐볼(5)의 곡률에 대응되는 원호 형으로 모따기된 안착홈(3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33)의 주변에는 개폐볼(5)보다 작은 곡률의 원호 형으로 가이드홈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부(34)는 개폐볼(5)이 에어홀(31) 주변에서 자연스럽게 에어홀(31)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도 10은 모르타르 주입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체공급로(22)는 모르타르 주입구(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체공급로(22)가 모르타르 주입구(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면, 좌우 양측에서 동일하게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개폐볼(5)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볼(5)이 중앙의 에어홀(31)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고, 에어홀(31)이 제대로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제2유체공급로(22)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편심되게 작용하여 개폐볼(5)을 계속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2유체공급로(22)는 모르타르 주입구(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홀(31)이 개방된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의 (a)와 같이, 제2유체공급로(22)를 모르타르 주입구(2)의 일측에만 형성하고 다른 측에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도 10의 (b)와 같이 모르타르 주입구(2)의 좌우에 구비되는 제2유체공급로(22)의 구멍 개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제2유체공급로(22)의 복수의 구멍의 각 지름을 달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모르타르 주입구와 가이드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23)의 모르타르 주입구(2) 하부에는 상부가 상기 제2유체공급로(22)와 연통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제3유체공급로(81)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8)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와 척(3)의 결합부 내에 형성된 공간부(23) 내에 가이드플레이트(8)가 모르타르 주입구(2) 하부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8)에는 내부에 제3유체공급로(81)가 관통 형성되는데, 제3유체공급로(81)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공간부(23) 내에서 에어가 비스듬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볼(5)이 에어홀(31) 상단에 머무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어홀(31)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8)가 구비되면, 모르타르 주입구(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제2유체공급로(22)가 형성된 기존 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3은 제2유체공급로의 다양한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23)에 연통되는 제2유체공급로(22)의 하부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개폐볼(5)의 크기, 공간부(23)의 부피, 유체의 압력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유체공급로(22)가 모르타르 주입구(2) 하부에서 하나로 합쳐져 공간부(23) 중앙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의 (b)는 하나로 합쳐진 제2유체공급로(22)가 중앙에서 편심되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의 (c)는 각각의 제2유체공급로(22)가 중앙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링형 홈이 형성된 척의 상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3)의 상면 외곽에는 링형 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형 홈(35)은 에어 공급시 개폐볼(5)이 척(3)의 상면 외곽에 형성된 링형 홈(35)을 따라 공간부(23) 외곽에서 회전하도록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에어 공급시 개폐볼(5)이 외곽에서 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 공급시에는 개폐볼(5)이 링형 홈(35) 내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고압수 공급시에는 고압수가 에어홀(31)로 빨려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개폐볼(5)이 링형 홈(35)에서 이탈되어 에어홀(31) 측으로 이동하여 에어홀(31)을 폐쇄한다.
이를 위해 링형 홈(35)의 깊이는 개폐볼(5) 지름의 1/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본체 11: 모르타르 공급로
12: 제1유체공급로 13: 고압수 분사 노즐
14: 에어공급로 2: 모르타르 주입구
21: 모르타르 주입공 22: 제2유체공급로
23: 공간부 3: 척
31: 에어홀 32: 비트 체결홈
33: 안착홈 34: 가이드홈부
35: 링형 홈 4: 에어 해머 비트
5: 개폐볼 6: 모르타르 공급관
7: 삼중관 8: 가이드플레이트
81: 제3유체공급로

Claims (5)

  1. 중앙에 모르타르 공급로(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11)의 외측에 제1유체공급로(12)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공급로(12)의 일측에 제1유체공급로(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유체공급로(12)로부터 공급된 고압수를 측면으로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 노즐(13)이 구비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모르타르 공급로(11)와 연통되고 하부는 측면으로 분기되는 모르타르 주입공(21)과 상기 제1유체공급로(12)와 연통되는 제2유체공급로(22)가 관통 형성되는 모르타르 주입구(2); 및
    하부에 에어 해머 비트(4)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에어홀(3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31) 주변 상면은 에어홀(3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31) 주변의 하향 경사진 상면 외곽에는 링형 홈(35)이 형성되는 척(3); 으로 구성되되,
    상기 모르타르 주입구(2)와 척(3)의 결합부 내부에는 제2유체공급로(22) 및 에어홀(31)과 연통되는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의 내부에는 에어홀(31)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2유체공급로(22)는 모르타르 주입구(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공간부(23)의 모르타르 주입구(2) 하부에는 상부가 상기 제2유체공급로(22)와 연통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제3유체공급로(81)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8)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5. 삭제
KR1020170152175A 2017-11-15 2017-11-15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KR10200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75A KR102005002B1 (ko) 2017-11-15 2017-11-15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75A KR102005002B1 (ko) 2017-11-15 2017-11-15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45A KR20190055445A (ko) 2019-05-23
KR102005002B1 true KR102005002B1 (ko) 2019-10-01

Family

ID=6668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175A KR102005002B1 (ko) 2017-11-15 2017-11-15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0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12B1 (ko) * 2006-12-27 2007-12-21 원용문 몰타르 및 밀크 분사용 선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811B2 (ja) * 1992-09-10 2000-12-18 シンエイテック株式会社 二方切替弁
JPH07166545A (ja) * 1993-12-14 1995-06-27 Japan Found Eng Co Ltd 削孔装置
EP2933380B1 (de) * 2014-04-17 2016-08-24 BAUER Spezialtiefbau GmbH Injektionskopf für eine Hochdruckinjektion von Suspension in einen Bod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12B1 (ko) * 2006-12-27 2007-12-21 원용문 몰타르 및 밀크 분사용 선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45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4979C (en) Air hammer for a boring machine
CA24688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 fluid into a formation
RU2758821C2 (ru) Бури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бурения скважин и способ бурения горной породы
JP6754914B1 (ja) 高圧噴射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地盤改良装置
US20190277092A1 (en) Downhole vibratory tool with fluid driven rotor
JP5339252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2004346734A (ja) 高速噴流体を用いる急結剤噴射装置
KR102005002B1 (ko) 고압분사용 선단 장치
JP6820098B2 (ja) 高圧噴射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が装着された地盤改良装置
US10174592B2 (en) Well stimulation and cleaning tool
JP6913037B2 (ja) 二重管高圧噴射攪拌装置および二重管高圧噴射攪拌工法
KR100822829B1 (ko) 수압으로 작동되는 굴착 및 지반 개량장치
KR102317641B1 (ko) 초 대구경 고압분사 그라우팅용 선단 모니터 장치
US20070193784A1 (en) Rock drilling head
KR101472783B1 (ko) 지반굴착용 선단장치
KR1022313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용 팩커
KR102168337B1 (ko) 에어해머용 굴착장치
KR100488593B1 (ko) 그라우팅 장치
KR20110006604A (ko) 분사노즐이 부착된 스페이서
KR200226656Y1 (ko) 그라우팅 주입장치
RU2674678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вибратор
WO2023238415A1 (ja) 高圧噴射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地盤改良装置
RU2696698C1 (ru) Калибратор ствола скважины
KR102442294B1 (ko) 해머와 로드가 결합된 일체식 고압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KR20020057301A (ko) 그라우팅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