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944B1 -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944B1
KR102004944B1 KR1020180135465A KR20180135465A KR102004944B1 KR 102004944 B1 KR102004944 B1 KR 102004944B1 KR 1020180135465 A KR1020180135465 A KR 1020180135465A KR 20180135465 A KR20180135465 A KR 20180135465A KR 102004944 B1 KR102004944 B1 KR 10200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ctooligosaccharide
enzyme
sugar
kestose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987A (ko
Inventor
안신혜
박부수
박종진
이상희
최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18013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4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1Preparation of mutants without inserting foreign genetic material therein; Screening processes therefor
    • C12R1/68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85Aspergillus nig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 기질에 활성이 높은 효소를 처리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에 관한 것으로서,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도된 균주로부터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흡수성이 낮고 결정성이 높은 것을 특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Method for preparing fructooligosaccharides comprising high content of 1-kestose}
본 발명은 선택적인 전환 활성이 높은 효소를 처리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프락토올리고당, 및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에서 1-케스토스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에 1개 이상의 과당이 연쇄적으로 부가한 올리고당류 이며, 그 결합양식은 설탕의 과당 잔기 부분에 있어서의 1번 탄소에 부가되는 과당의 2번 탄소가 결합(β 2>1)해서 반복 된다는 것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의 화학 구조는 설탕(수크로스)에 과당 1내지 3분자가β-( 2>1) 결합하여, 1-케스토스(1-kesotse, GF2), 니스토스(Nystose, GF3)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1-F-Fructosyl nystose, GF4)로 이루어진 올리고당 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은 바나나, 양파, 아스파라거스, 우엉, 마늘, 벌꿀, 치커리 뿌리 등과 같은 야채나 버섯, 과일류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물질로서 이미 섭취 역사가 오랜 물질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으로부터 생성된 성분으로서 그 구조도 설탕과 유사하여 두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과 달리 난소화이므로 그 생리적인 특성은 매우 다르다. 특히 장내 유익균에 의해 대사되어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입증되어 일본에서는 프락토올리고당 함유 제품을 장의 상태를 조절하는 식품과 미네랄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식품으로 인정하여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 분류한 바 있다.
프락토올리고당 중, 특히 1-케스토스의 면역 글로불린 A(IgA) 항체의 증강 작용 및 면역 글로불린 E(IgE) 항체의 산생 억제 작용, 장 내 비피더스균의 증식 활성 작용 및 유아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성에 대해서 사람 시험에 의해 확인되어(일본 등록 특허 제4162147호), 1-케스토스를 이용한 알레르기 억제 조성물, 알레르기 억제 식품 및 알레르기 억제제로 사용되는 효용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1-케스토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유용하다.
그러나, 프락토올리고당 내의 1-케스토스를 대량 생산하는 경우, 1-케스토스와 함께 전환되는 니스토스 또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는 1-케스토스와 물리적 특성이 유사하여 이를 분리 및 정제하기 매우 까다로워, 산업적으로 효율적인 대량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2가지 성분 보다 1-케스토스를 선택적으로 과량 전환하는 효소 또는 효소를 갖는 균주를 개량하여 효율적인 1-케스토스를 생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설탕으로부터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효소인 곰팡이 유래의 ?-프락토푸라노시다제는 전이 활성이 높고 이성체의 생성이 적은 것이 특징이지만, 1-케스토스 밖에 생성하지 않는 식물 유래의 설탕(수크로스):수크로스 프락토실 트랜스퍼라제(SST)(정도)만큼 올리고당의 생성 선택성은 높지 않고, 중합도 2~6의올리고당류의 혼합물 밖에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프락토올리고당은, 액체(시럽) 혹은 분말로서 이용되고 있어 이들은 비결정성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설탕(수크로스) 등의 결정성의 식품 재료와 비교하면 습기 흡수성이 높고, 가공 적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고순도 당분리 및 정제를 통해서 단일 올리고당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정성 프락토올리고당 예를 들면 1-케스토스(3당류, GF2), 니스토스(4당류, GF3)등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 있으나, 프락토올리고당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효소의 1-케스토스의 최대 전환율은 약 30%이며, 반응 생성물 안에는 부생성물의 니스토스가 약 25%, 기질인 설탕(수크로스)이 약 15%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고함량의 1-케스토스를 산업적생산을 위해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프락토푸라노시다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1-케스토스의 생성 선택성이 높고, 전이 반응 생성물인 올리고당의 조성이 개선된 프락토올리고당의 제조에 필요한 ?-프락토푸라노시다제 또는 변이주의 취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전자 재조합 균주(GMO)를 이용하는 경우, 고효율의 1-케스토스가 생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사람이 섭취하기 위해 안전성 입증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안전성이 입증된 자연계 균주(식용 경험이 있는 Non-GMO 균주)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에 자연계 균주(식용 경험이 있는 Non-GMO 균주)를 개량하여 개선된 1-케스토스 고생산 능력을 갖는 돌연변이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반응 기질에 높은 활성을 갖는 효소를 처리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응 기질에 높은 활성을 갖는 효소를 처리하여 생산된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생형에서 유도된, 상기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효소의 단위 단백질 당 활성이 높은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제공한다.
설탕을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하는 활성이 우수하며, 특히 전환된 프락토 올리고당이 흡습성이 낮고 결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변이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이들의 활성을 최적화 하기 위한 배지 조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균체를 사용하여 설탕에서 프락토올리고당으로의 전환능이 우수한 균체 반응의 최적 반응 시간, 교반, 온도 조건 등을 확인하여 설탕으로부터 고함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도된 돌연변이 균주를 이용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프락토올리고당은 고함량의 1-케스토스(1-kesotse, GF2)를 포함하고, 니스토스(Nystose, GF3)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1-F-Fructosyl nystose, GF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은 반응기질, 예를 들어 설탕과 상기 균주를 반응시킨 반응물 내 당류의 총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1-케스토스를 40 내지 7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은 반응기질, 예를 들어 설탕과 상기 균주를 반응시킨 반응물 내 당류의 100중량%를 기준으로 니스토스를 0 내지 50중량% ,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은 반응기질, 예를 들어 설탕과 상기 균주를 반응시킨 반응물 내 당류의 총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0 내지 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에서 니스토스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의 합계 중량에 대한 1-케스토스의 중량비(1-케스토스/ 니스토스 +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가 1:3 내지 1:65,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에서 1-케스토스와 니스토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 식의 비율(P)는 0.2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범위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8110176885-pat00001
상기 식에서, [1-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설탕]는, 상기 반응액의 당류 총 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각 당류의 고형분 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은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 식의 비율(Q)는 0.2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2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 범위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8110176885-pat00002
상기 식에서, [1-케스토스], [니스토스],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 및 [설탕]는, 상기 반응액의 당류 총 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각 당류의 고형분 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반응 기질은 설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설탕을 반응 기질로 사용하여 과당, 포도당 및 설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이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은 반응 기질로서 설탕을 사용하여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효소를 55 ℃의 온도에서 30분내지 30시간 동안 반응시킨 경우, 반응 기질 총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1-케스토스를 40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중량%로 생산할 수 있다.
반응 기질인 설탕이 효소, 예를 들어 프락토올리고당 생성 효소와 반응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의 니스토스 및/또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가 생성되거나,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가 전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프락토올리고당 중 니스토스 및/또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는 1-케스토스와 물리적 특징이 유사하여 1-케스토스와 상기 니스토스 및/또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나, 본 발명의 생산 방법은 선택적으로 높은 함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어 추가적으로 니스토스 및/또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분리할 필요 없거나 낮은 정도의 분리 및/또는 정제로도 높은 함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프락토올리고당은 높은 1-케스토스 함량 및 낮은 니스토스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 함량으로 인해 흡수성이 낮고 결정성을 갖는 특성이 있어,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 증식, 면역 증강, 아토피 예방 및 당뇨 예방에 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예방/면역 강화 식품의 보조제 또는 기능성 로션 등에 첨가제로, 특히 영유아 유제품 식품 등에 적용할 경우 기능성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기존 상업화 효소에 의한 생산 방법은 전환반응 반응 종료시 과당(F) 2%, 포도당(G) 25%, 설탕(GF) 13%, 1-케스토스(GF2) 25~30%, 니스토스(GF3) 25~30%,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1-Frutofuranosyl nystose) 5%정도의 함량을 갖는다. 이 조성의 반응물을 전분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수지를 이용해서 분리하면 과당, 포도당 및 설탕은 분리되지만 1-케스토스와 니스토스는 서로 분리가 되지 않고, 용해도의 차이가 없어 결정화에 의한 순수 정제도 불가능 하다.
본 발명의 균주는 상기와 같이 반응 기질로서 설탕을, 1-케스토스를 고함량으로 함유하고 니스토스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낮은 농도로 포함하여 우수한 물성 및 가공 적성을 갖는 조성의 프락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균주 의해 제조되는 프락토올리고당은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1-케스토스와 니스토스로 이루어진 액을 얻게 되어 결정화가 잘 되는 고함량 1-케스토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에 사용되는 효소는 프락토올리고당 생성 효소로서, 예를 들어 베타-프락토푸라노시다제일 수 있으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로부터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예를 들어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로부터 유래된 균주, 구체적으로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무작위 돌연변이, 예를 들어 NTG( N-methyl-N-nitroso-guanidin) 또는 UV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를 1 차 이상 수행한 변이주일 수 있다.
상기 무작위 돌연변이를 통하여 1-케스토스 과생산 균주를 분리할 수 있으나, 1-케스토스만을 선택적으로 선택해야 하므로 1-케스토스의 분해를 방지하여 니스토스의 생성을 방지하는 균주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순수 분리된 1-케스토스와 pH 지시약(indicator)를 포함한 고체배지에 돌연변이 균주를 스프레딩한 후 pH가 낮아져서 콜로니의 색깔이 변하는 것은 1-케스토스가 분리되는 것이므로 후보로부터 제외하고, 색깔이 변하지 않는 즉, 생성된 1-케스토스가 분해되지 않는 콜로니를 1-케스토스 과생산 균주로 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의 균주는 KCTC 13139BP 기탁번호 일 수 있다.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재조합 균주 즉, GMO의 경우 식품에서 사용 시에 소비자들이 식품 안정성을 문제로 구매를 매우 꺼려하는 경향이 있고, 유전자 조작으로 인해 환경 생태학적인 측면에서도 해로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균주에 의한 단점을 해결하고 소비자 친화적이고, 안전한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유전자 재조합을 하지 않고 균주를 개량하여 프락토올리고당 생산성이 향상된 개량형 돌연변이 균주(non-GMO)를 수득하고, 해당 균주로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주 개량한 돌연변이 균주는 유전자 조작을 통한 재조합 미생물로의 개량이 아니라, 야생형 균주에 UV 또는 NTG 와 같은 외부 자극을 통해 유발한 우연에 의한 돌연변이(Random Mut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서 사용되는 균주는 프락토푸라노시다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 및/또는 그 상류(upstream)에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균주 내에서 프락토푸라노시다제 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의 균주는 서열번호 5의 18S rRNA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균주 활성은 아래 수학식 1로 계산된 균주 활성으로, 균주 배양물의 상등액 및 기질을 포함하는 반응액의 단위 부피 당 1분 동안 생성되는 1-케스토스 양(mM)을 생산할 수 있는 효소의 양으로 측정된 균주 활성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110176885-pat00003
본 발명의 생산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는 상기 수학식 1로 계산된 균주 활성이 300 내지 1000U/ml,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700U/m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 사용되는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는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에 무작위 돌연변이를 2회 이상 실시한 것으로서,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 활성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균주 활성이 1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식품은 예를 들어 된장, 청국장, 누룩, 고추장, 낫또 및 메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에 사용되는 프락토올리고당 생성 효소는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의 균체, 배양물, 파쇄물 및 파쇄물의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생산 방법은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 균주의 균체, 배양물, 파쇄물 및 파쇄물의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으로부터 효소를 얻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로부터 생산된 효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ell-free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파쇄물은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파쇄한 파쇄물 또는 상기 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로부터 생산된 효소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프락토올리고당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는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및 상기 균주의 파쇄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반응 기질에 활성이 높은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반응 기질, 예를 들어 설탕과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의 균체를 설탕이 포함된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설탕과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균주(균체, 균주의 배양물, 균주의 파쇄물 및/또는 상기 파쇄물의 상등액)를 설탕과 접촉시키는 단계, 예컨대, 상기 균주를 설탕과 혼합하는 단계 또는 상기 균주가 고정화된 담체에 설탕을 접촉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설탕과 반응시킴으로써 설탕을, 고함량의 1-케스토스를 함유하는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하여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효소 활성은 1-케스토스 전환 활성으로서, 아래 수학식 2의 식으로 계산된 균주 활성을 균주 배양물의 상등액 및 기질을 포함하는 반응액 내 단백질 고형분 중량으로 나누어 계산된 단위 단백질 당 활성이다.
Figure 112018110176885-pat00004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서 사용되는 효소는 단위 단백질 당 효소 활성이 500 내지 5000 U/mg,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 U/mg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 사용되는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는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에 무작위 돌연변이를 2회 이상 실시한 것으로서,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효소 활성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효소 활성이 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600 내지 3,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700 내지 2,8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율적인 프락토올리고당 생산을 위하여, 반응 기질로서 사용되는 설탕의 농도는 전체 반응물 기준으로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w/v)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생산 방법은 상기 범위의 농도를 갖는 설탕에 균주를 처리하여 고함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는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탕은 완충용액 또는 물(예컨대 증류수)에 용해된 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설탕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동시간 대비 떨어지며, 설탕 농도가 낮아 미생물에 의한 오염 위험성이 있다. 설탕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흰색으로 자당이 석출됨으로써 프락토올리고당 반응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설탕과 반응시키는 단계는 1 내지 40 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시간 조건으로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효소는 프락토올리고당을 20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의 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를 설탕과 반응시키는 단계는 30 내지 70℃온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5℃의 온도로 반응시킬 수 있으며, 특히 50℃ 이하이면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동시간 대비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균주와 설탕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 및 설탕의 혼합물을 교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반기가 고속 회전할 때 생성된 공기방울에 의해 효소와 설탕용액 간의 반응 면적이 작아져 교반 속도는 증가할수록 반응성이 낮아지므로 상기 속도 범위로 교반할 때 프락토올리고당이 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생산방법은 초기 기질의 pH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pH 4 내지 8, 예를 들어, pH 4 내지 7.5의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H는 반응 기질의 pH로서 반응 중에는 pH 조절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pH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HCl 및 NaOH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프락토올리고당 생산방법을 위해 균주 배양시, 에어레이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0.1 내지 5vv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vvm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어레이션으로 인하여 균주의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반응 기질에 활성이 높은 효소를 처리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에 관한 사항은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용 조성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로서,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도된 돌연변이 균주를 이용하여 반응 기질을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으로부터 제조된 1-케스토스를 생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1-케스토스를 제공한다.
상기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에 관한 사항은 1-케스토스 생산 방법 및/또는 이에 의해 제조된 1-케스토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1-케스토스 생산 방법은 야생형 균주를 균주 개량하여 돌연변이 균주를 제조하는 단계; 반응 기질로서 10 내지 80 % (w/v) 농도의 농도를 갖는 설탕에 상기 돌연변이 균주를 처리하여 고함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는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을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로서, 야생형에서 유도된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로서, 상기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효소의 단위 단백질 당 활성이 높은 균주 및 상기 균주에 의해 생성된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효소를 제공한다.
상기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에 관한 사항은 상기 균주 및 효소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반응 기질에 활성이 높은 효소를 처리하여 생산된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함유 기능성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에 관한 사항은 상기 기능성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의약,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면역증강용, 장 질환 예방, 아토피 예방용 및/또는 당뇨 예방용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은 높은 순도의 1-케스토스를 함유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의 니스토스 및/또는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가 생성되거나,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가 전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프락토올리고당은 높은 1-케스토스 함량 및 낮은 니스토스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 함량으로 인해 흡수성이 낮고 결정성을 갖는 특성이 있어,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 증식, 면역 증강, 아토피 예방 및 당뇨 예방에 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예방/면역 강화 식품의 보조제, 특히 영유아 유제품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등에 적용할 경우 기능성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어, 1-케스토스의 분리 및 정제가 유리하고, 흡습성이 낮고 결정성이 높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고함량 1-케스토스 함량에 따른 1-케스토스의 유의한 임상적 효과가 있어, 예를 들어 면역증강용, 장 질환 예방, 아토피 예방용 및/또는 당뇨 예방용 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은 유전자 재조합 균주가 아닌 야생형 균주(wild type)로부터 유도된 개량 균주(non-GMO)로,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어 종래 유전자 재조합 균주(GMO)에 의해 예견되는 위험성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주 선별에 사용되는 선택적 돌연변이를 통한 1-케스토스 과생산 균주 선별 과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2는 농축된 효소(Crude enzyme)의 Q-Sepharo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픽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베타-프락토푸라노시다제 효소의 제조 단계별 SDS-PAGE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3차 변이주에 의해 생산된 베타-프락토푸라노시다제를 이용한 시간 별 1-케스토스(GF2) 및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Suc: sucrose, GF2: kestose, GF3: nystose, GF4: fructofuranosylnytrose)
도 5는 4-3차 변이주에 의해 생산된 베타-프락토푸라노시다제를 이용한 시간 별 1-케스토스(GF2) 및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Suc: sucrose, GF2: kestose, GF3: nystose, GF4: fructofuranosylnytrose).
도 6은 3차 변이주와 4-3차 변이주의 설탕 함량에 따른 GF2/(GF3+GF4) 값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예시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설탕을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하는 식품 유래 미생물 분리
1.1 시료 내 균주 배양 및 분리
프락토올리고당 전환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의 된장, 청국장, 누룩, 고추장, 낫또 및 메주와 같은 대표적인 발효 식품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다(백화점, 마트 및 재래시장에서 구입 : 대구 롯데백화점, 대구 칠성시장, 대전 둔산동 이마트, 대전 대덕 롯데마트). 채취한 식품시료 1g을 0.85% NaCl 10mL에 현탁하고, 현탁액 100ul를 Wallerstein Laboratory Nutrient Agar(WLNA), Potato Dextrose Agar(PDA), Inulin Agar(IA) media에 도말한 후 28℃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고체배지에서 자란 콜로니 중에서 모양과 크기가 다른 것을 선별하여 분리한 후 생산배지에 30℃에서 5일간 진탕 배양 하였다. 상기 각 배지의 조성은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배지성분 WLNA(g/L) PDA(g/L) IA(g/L) 생산배지
Yeast extract 4 - 1 35
Potato starch - 4 - -
Inulin - - 20 -
Bactocasitone 5 - - -
Sucrose - - - 150
Dextrose 50 20 - -
K2HPO4 1 - 1 -
KCl 0.125 - - -
MgSO4-7H2O 0.25 - 0.5 -
FeCl3 0.0025 - - -
MnSO4 0.0025 - - -
NaNO3  - - 3 -
Bromocresol green 0.022 - - -
Agar 20 20 20 -
CMC* - - - 5
pH pH6 - pH5 pH6.5
* CMC :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배양한 균체는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상등액을 crude enzyme으로 사용하였다. Crude enzyme은 25% 설탕을 기질로 사용해 40℃에서 24시간동안 반응하였으며, 반응물은 TLC로 분석하였다. 467종의 균주 가운데 TLC 결과를 통해 설탕을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한 균주 10종을 스크리닝 하였다.
1.2 모균주 선정
실시예 1.1에서 선별된 설탕을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하는 균주 10종은 15% sucrose, 3.5% yeast extract와 0.5% CM cellulose (pH6.5) 함유한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0℃의 온도에서 5일간 진탕배양 하였다. 배양액은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균체를 분리한 뒤, 상등액만 취하여 Crude enzyme으로 사용하였다. Crude enzyme은 25% 설탕을 기질로 사용하여 4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반응하였으며 HPLC RI 분석을 프락토올리고당 생성 효소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활성을 비교한 10개의 분리 균주에 대해 동정도 진행하였다. 균주 동정을 위해 PCR을 진행하였으며 universal primer NL1, NL4를 사용하여 PCR 진행 후, 염기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염기 서열 분석 후, NCBI의 database를 참고하여 확인하여 균주를 동정하였다.
동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동정된 균주는 Pichia farinose, Yarrowia lipolytica, Millerozyma farinose, Aspergillus oryzae,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이었으며, 이 중 활성이 가장 우수한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를 최종 우수 분리 균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추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정된 균주명 18S rRNA서열번호 식품종류 개수 활성(U/mL) 기타
pichia farinose 서열번호 1 된장 1 3.3 Yeast
Yarrowia liplytica 서열번호 2 청국장 1 1.71
Milerozyma farinose 서열번호 3 청국장 1 2.47
Aspergillus oryzae 서열번호 4 메주 6 20~25 Fungi
Aspergillus niger 서열번호 5 메주 1 30
총계 9    
실시예 2. 프락토올리고당 고생산 1차 내지 3차 변이주 선별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모균주를 Potato dextrose Agar(PDA) Plate에 도말한 후, 28℃의 온도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Plate에 생성된 spore만 모아서 glycerol stock을 제조하여 보관하였다. 제조한 Glycerol stock을 돌연변이에 사용하기 위해 glycerol을 제거하고 3차례 세척을 진행하였다. 세척된 spore를 이용하여 돌연변이를 진행하며 돌연변이원은 NTG(N-methyl-N-nitroso-guanidin)와 UV 254nm를 함께 사용하였다. 세척된 spore에 2 mg/ml로 녹인 NTG 용액 1 ml을 혼합하여 1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 NTG 용액을 제거한 후, 3차례 세척 과정을 진행하였다. 세척 완료된 spore에 멸균수 1 ml을 첨가하여 현탁 시킨 후 적당히 희석하여 고체 배지에 도말하였다.
Medium g/L
Glycerol 30
2-Deoxyglucose 1
MgSO4-7H2O 1
Sodium glutamate 2
KCl 0.5
K2HPO4 1
FeSO4-7H2O 0.01
Agar 20
pH5.5
고체 배지 조성은 상기 표 3과 같으며, Maker로 2-deoxyglucose를 사용하여 2-deoxyglucose가 포함된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UV 254 nm에서 1분간 조사하였다. 돌연변이를 통해 선별된 콜로니는 액체 배양(생산 배지)하여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활성 측정은 설탕 100 g/L와 40mM McIlvaine buffer (pH 5.0), 효소를 혼합하여 40℃의 반응온도에서 30분 동안 반응하고 끓는 물에 10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정지한다. HPLC 분석을 통해 환산하였다. 전환 활성이 우수한 1차 변이주를 선별하였으며, 1차 변이주에 대하여 상기 돌연변이 과정을 다시 거쳐 전환 활성이 우수한 2차 변이주를 추가 선별하였으며, 다시 2차 변이주에 대하여 상기 돌연변이 과정을 다시 거쳐 전환 활성이 우수한 3차 변이주를 추가 선별하였다.
실시예 3. 고함량 1-케스토스 생산 4차 변이주 선별
3.1 돌연변이
실시예 2에서 선별한 3차 변이주를 PDA 고체배지(Potato dextrose Agar(PDA) Plate)에 도말한 후, 28℃의 온도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고체배지에 생성된 포자(Spore)만 모아서 glycerol stock를 제조하여 장기 보관하였다. 제조한 Glycerol stock을 돌연변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glycerol을 제거하기 위해 멸균수 및 0.01% Trixto X-100으로 3차례 이상 세척하여 주었다. 돌연변이로 사용한 Mutagen 방법은 UV조사 및 NTG(N-methyl-N-nitroso-guanidin)를 사용하였다. UV조사를 통한 변이는 한천 배지에 준비된 Spore를 100ul 넣고 고르게 도말 한 후 30sec ~ 90sec동안 petri dish 내에서 UV(40W의 UV으로 25~30cm의 거리)에 노출시켰다. 노출되는 UV 파장은 254nm이고, 28~30 로 일주일 동안 배양하여 자외선에 의하여 돌연변이가 유발된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최적 사멸률은 99%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모균주, 1차 변이주 내지 3차 변이주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균주 활성 (U/ml) 단백질 (mg/mL) 단위 단백질 당 활성(U/mg) Packed Mycelia Volume (v/v, %)
모균주(wild) 150 30 400 20
1차 변이주 315 50 630 22.5
2차 변이주 455 70 1300 24
3차 변이주 824 98 3363 26.4
3.2 변이주 선별
실시예 3.1에서 NTG을 사용한 변이는 Spore을 씻는 동안 NTG을 2mg/ml의 농도로 멸균수에서 잘 녹이고, 포자(Spore)에 NTG 솔루션을 넣어서 잘 섞이게 하였다. 이것을 상온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처리된 NTG는 원심분리를 통하여 제거하고 3차례에 멸균수로 세척을 실시하였고 돌연변이를 한 균주를 멸균수 1mL 첨가하여 현탁하였다. 이렇게 변이를 통하여 살아남은 균주는 최소영양 고체배지(minimal medium, MM) (표 5) 위에 10-1 ~ 10-3으로 희석하여 100uL를 배지에 도말 하였다. 5일 정도 지난 다음에 콜로니(colony)가 형성이 되고 1주 후에는 완성된 콜로니(colony )를 형성한다. 형성된 콜로니(colony) 가운데 고함량 1-케스토스를 생산하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자당(sucrose )또는 순수 분리된 1-케스토스가 함유된 2개의 표 6 고체 배지 위에 각각 동일 콜로니(colony)를 접종한다. 순수 분리된 GF2(1-케스토스)와 pH 지시약(indicator)를 포함한 고체배지에서 돌연변이 균주가 자라면서 pH가 낮아져 콜로니의 색깔이 변하는 것은 GF2가 분해되는 것이므로 후보로부터 제외하고, 색깔이 변하지 않는 즉, 생성된 GF2가 분해되지 않는 콜로니를 GF2 과생산 효소에 대한 후보로 확정한다. 후보 콜로니들은 기존의 방법에 따라 GF2와 GF3의 생성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고함량 1-케스토스 생산을 위한 최종 균주 4-1 내지 4-3차 변이주로 확정하였다. 상기 선별 과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배지성분 g/L
Glycerol 30
2-Deoxyglucose 10
MgSO4-7H2O 0.5
K2HpPO4 1
NaNO3 3
KCl 0.5
FeSO4-7H2O 0.01
Agar 20
Temperature 30℃
pH 7
배지성분 g/L
Sucrose or Kestose 30g/L
Yeast nitrogen base(w/o amnio acids) 6.7g/L
Agar 20g/L
pH 5.5
상기 4-3차 변이주는 2016년 10월 28일자로 KCTC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3139BP를 부여 받았다.
실시예 4. 고함량 1-케스토스 생산 균주의 활성 평가
실시예 2의 3차 변이주 및 실시예 3의 4-1 내지 4-3차 변이주 균체(Mutant colony)의 배양은 균체 중에서 최소영양배지( Minimal medium )안에 선택 마커(selection marker)가 있는 고체배지에서 단일(single) 콜로니를 취해서 선택 마커(selection marker)가 없는 최소영양배지(minimal medium)으로 계대하여, 고체배지에 박힌 상태로 잘 자라는 콜로니를 선별하여 종균배양 배지 (seed culture medium), 표 7)에 접종하였다. 균체를 15mL 튜브(round bottom tube)에 3mL의 전배양 배지를 분주한 것에 접종하여, 28℃의 온도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전배양한 균주는 50mL의 생산배지(표 7)에 접종하고 5일간 28℃의 온도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생산배지에서 배양한 세포 배양액 중에서 0.5 ml은 40% 글리세롤(glyceol)와 혼합하여 -70℃의 온도로 보관하였다.
배지성분 종균 배양 배지(g/L) 생산배지(g/L)
Sucrose 50 150
Malt extract 7  
Yeast extract   7
Peptone 10  
CMC 5 5
NaCl 3  
pH pH 6.5 pH 6.5
상기 변이주의 효소 활성 확인은 플라스크 배양으로 진행하였다. 생산배지에서 약 5일간 배양 후, 배양 상등액을 일정량 취해 기질인 250 g/L 설탕과 McIlvain buffer (pH 5)을 혼합하여 4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반응하였다. 효소 반응 중지는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중지시키고 HPLC를 통하여 1-케스토스 생산을 확인하였다. HPLC 분석은 NH2-P 50 4E 컬럼(shodex)이 장착된 HPLC(Agilent, USA)의 Refractive Index Detector를 이용하였으며 (Agilent 1260 RID) 용매는 70%아세토나이트릴, 30℃에서 유속 1.0ml/min으로 수행하였다. 모균주와 돌연변이 선별주의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 및 1-케스토스 전환률을 비교하여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변이주 균주 활성(U/mL) 단백질 (mg/ml) 효소 활성(U/mg) 1-kestose전환율(%)
모균주(Wild) 35 15 47 30
3차 변이주 300 58 517 38
4-1차 변이주 350 64 1094 42
4-2차 변이주 450 72 1250 44
4-3차 변이주 500 77 1299 45
실시예 5.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효소 분리 및 정제
실시예 3의 4-3차 변이주의 배양액에서 균체 제거 및 배양 상등액 회수는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제거하여 배양 상등액을 모았다. 균체가 제거된 배양액을 microfluidezer(MF)을 통해서 부유물 제거 하는 공정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여과 필터는 0.45μm 사이즈를 사용하였다. 균체 및 부유물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배양액을 가압하여 한외여과(ultrafiltration(UF))로 여과하여 농축을 실시하였다. 반투막 분리는 분자량 30kDa 사이즈를 사용하여 반투막 보다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투과 시키고 그 이상의 물질인 분자량 β-fructofuranosidase(100kDa)은 회수 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면 5배 이상 농축을 실시 하였다. 음이온 교환 컬럼을 통해 정제를 실시하기 위해서 20mM sodium phosphate 버퍼 pH 7.2용액으로 투석(dialysis)을 실시하여 농축액 pH값이 6.8~7.2가 될 때까지 실시하였다. β-fructofuranosidase에 사용되는 레진의 pI값이 6.5~7이므로 크로마토그래픽 정제 시 효소가 잘 binding 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픽 효소 정제는 UF 처리 용액에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음이온 교환 컬럼(Q-Separose, GE Healthcare Co.Ltd.,)을 용출 시키기 위해서 sodium chloride(NaCl)을 Stepwise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버퍼 A용액은 20mM sodium phosphate, pH 7.2을 사용하였고 버퍼 B용액은 20mM sodium phosphate, pH7.2에 1M NaCl이 첨가된 용액을 사용하였다. 유속은 13mL/min을 사용하였고 레진 g당 2000 U정도 결합하는 양으로 효소량을 주입하였다. 용출 단계는 먼저 washing단계(버퍼 A, 1.5CV)을 실시하였고 20% 버퍼 B로 일차 용출(1.5CV)을 하고 40% 버퍼 B로 이차 용출을 하였고 60% 버퍼 B로 마지막 용출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컬럼을 세척하기 위해서 100% 버퍼 B로 용출 하였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픽 정제에 의한 분석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용출 되는 분획을 회수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40% 버퍼 B에서 나오는 Peak 3이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이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SDS-PAGE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SDS-PAGE gel결과에 볼 수 있듯이 단계별로 목적 단백질을 제외한 저분자량이 제거 되고 크로마토그래픽 정제 효소가 상업적으로 팔고 있는 메이지 효소와 거의 비슷한 수준 정도까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효소를 이용한 고함량 1-케스토스 생산
6.1 효소 활성 평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효소를 이용하여 55℃의 온도에서 기질로서 600 g/L의 설탕과 반응하여 효소별 1-케스토스 및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비교하였다.
3차 변이주 및 4-3차 변이주로부터 분리된 효소의 활성 평가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으며, 효소 종류별 1-케스토스 함량은 4-3차 변이주가 45% 이상으로 3차 변이주 30% 보다 15% 정도 더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프락토올리고당 비율도 55% 이상으로 거의 차이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8110176885-pat00005
6.2 당 조성 분석
실시예 5에서 분리된 효소와 설탕의 반응시간을 0, 6, 11, 15, 18, 22,및 24시간으로 할 때 각 시간에 따라 당액 내 당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기 3차 변이주에서 생성된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효소, 즉 베타-프락토푸라노시다제 처리 결과를 표 10 및 도 4에, 고함량 1-케스토스 개량에 사용한 균주 (4-3차 변이주)의 처리 결과를 표 11 및 도 5에 나타내었으며, 3차 변이주와 4-3차 변이주의 설탕 함량에 따른 GF2/(GF3+GF4) 값을 비교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반응
시간
(h)
Fru Glu Suc GF2 GF3 GF4 FOS GF2/
(GF3+GF4)
{GF2/(GF3+GF4)}*Suc GF2/(GF3*Suc)
0 0 0 100 0 0 0 0 0 - -
6 0.6 10.6 58.4 27.8 2.5 0.1 30.4 10.9 0.19 0.19
12 0.5 14.8 32.6 38.5 8.6 0.2 50.2 4.4 0.13 0.14
15 0.8 21.6 20.5 44.9 12.9 0.5 58.3 3.3 0.16 0.17
18 0.7 21.8 15.6 44.1 17.1 0.9 62.1 2.4 0.16 0.16
24 0.7 23.6 13.2 39.4 21.6 1.6 62.6 1.7 0.13 0.14
반응
시간
(h)
Fru Glu Suc GF2 GF3 GF4 FOS GF2/
(GF3+GF4)
{GF2/(GF3+GF4)}*Suc GF2/(GF3*Suc)
0 0 0 100 0 0 0 0 0  -
6 0.3 10.2 56.5 30.4 2.6 0.0 33.0 11.7 0.21 0.21
12 0.7 19.7 35.7 38.4 5.3 0.0 44.0 7.2 0.20 0.2
15 0.8 24.1 27.9 40.9 6.3 0.0 47.2 6.5 0.23 0.23
18 1.3 25.8 20.6 43.9 8.4 0.0 52.3 5.2 0.25 0.25
24 1.4 24.6 18.4 45.7 10.0 0.0 55.6 4.6 0.25 0.25
특히 개량 전 모균주 또는 3차 변이주에 의해 생성되는 1-케스토스 및 니스토스의 함량비가 거의 1:1이기 때문에 고함량 1-케스토스 물질로 정제 및 결정화가 어렵지만, 본 발명의 4-3차 변이주로부터 분리된 효소는 반응 종료 시 1-케스토스 함량이 45%이고 니스토스는 10% 로 낮아, 약 4.5:1의 함량비가 되므로 정제 및 결정화에 의해 고함량 1-케스토스를 얻을 수 있다.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3139
수탁일자 : 20161028
<110> SAMYANG CORPORATION <120> Method for preparing fructooligosaccharides comprising high content of 1-kestose <130> DPP20184474KR <160> 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46 <212> DNA <213> 18s rRNA of pichia farinose <400> 1 gaagattggn gtattcttct aggtatcttg ccagcgctta attgcgcggc tggtgctatt 60 agaagtccat aagttcttac acacaggtgt tttttttgtt tgtgaaaaaa atttactttg 120 gtctggaact agaaatagtt ttgggccaga gggcaactta acttcaattt atattgaatt 180 gtttttaaat ttatttgtca aattattgat attaatcaaa aatcttcaaa actttcaaca 240 acggatctct tggttctcgc atcgatgaag aacgcagcga aatgcgataa gtaatatgaa 300 ttgcagattt tcgtgaatca tcgaatcttt gaacgcacat tgcgcccttt ggtattccaa 360 agggcatgcc tgtttgagcg tcatttctct ctcaaaccgc aaggtttggt gttgagcaat 420 atagatattt cggtatctat ttgcttgaaa tggattggca tgagtattta cagtagataa 480 atgccgtttg actcttcaat gtattaggtc taaccaactc gttgaaacag ttagcggtag 540 tatctgtgta aaagaggctc ggccttacaa caatctacaa agtttgacct caaatcaggt 600 aggaataccc gctgaactta agcatatcaa aagcccggag gaaang 646 <210> 2 <211> 354 <212> DNA <213> 18s rRNA of Yarrowia liplytica <400> 2 ggtttccgta ggtgaacctg cggaaggatc attattgatt ttatctattt ctgtggattt 60 ctggtwtatt acagcgtcat tttatctcaa ttataactat caacaacgga tctcttggct 120 ctcacatcga tgaagaacgc agcgaaccgc gatatttatt gtgacttgca gatgtgaatc 180 atcaatcttt gaacgcacat tgcgcggtat ggcattccgt accgcacgga tggaggagcg 240 tgttcgctct gggatcgcat tgctttcttg aaatggattt tttaaactct caattattac 300 gtcatttcac ctccttcatc cgagattacc cgctgaactt aagcatatca ataa 354 <210> 3 <211> 813 <212> DNA <213> 18s rRNA of Milerozyma farinose <400> 3 atgggaggga aaagaagcca aaactctgat aaagacggca gaaggaaacg acataaggtt 60 tcggggttca tagatcctaa tacaagcgga atatacgcta catgtaatag agggaaagaa 120 aaccaatgcc gcaatgaatt gataaatttc ttcagtgaaa aagcagaaga gtattatggt 180 gatcttgatc tagaaagcga caaggaagat aaacaggaat tgactataga agagcagatt 240 gctgcagagg taggtaacct caaggacaag ggaaagaata aaaaagaaac tttcaagcct 300 attgacctag gatgtgaatg cttgattttc ttcaagactc gaaaacccgt tcagcctgcc 360 gaatttgtgc aaaggatatg ccaggagtgc catgacagca aaagaaagac aactaggtac 420 acgcagaagt tgacgccgat ctccttttcg gtctctccgt ccatcgagga gttgaaaaaa 480 ttggccaaga tagtgcttgg gccccatttt cataaggaag aaggacaaga gccacataaa 540 tttgcgatca atgttaccag acgtaacttt aacaccttgc caaagagcga cattataaaa 600 acggtagctg aatgcgtggg cagggagcac ggccattcag ttgacttaaa ggcattcgat 660 aaattaatac tagttgagtg ctataaaagc aatataggca tgagtgtagt tgaaaattat 720 aaccaactag aacggttcaa cttgcagcaa atctttgaca agaaccaaga gggagccgaa 780 gtcgaagcca agtccgattc taacgtagct tag 813 <210> 4 <211> 544 <212> DNA <213> 18s rRNA of Aspergillus oryzae <400> 4 ggggacctgc ggaaggatca ttaccgagtg tagggttcct agcgagccca acctcccacc 60 cgtgtttact gtaccttagt tgcttcggcg ggcccgccat tcatggccgc cgggggctct 120 cagccccggg cccgcgcccg ccggagacac cacgaactct gtctgatcta gtgaagtctg 180 agttgattgt atcgcaatca gttaaaactt tcaacaatgg atctcttggt tccggcatcg 240 atgaagaacg cagcgaaatg cgataactag tgtgaattgc agaattccgt gaatcatcga 300 gtctttgaac gcacattgcg ccccctggta ttccgggggg catgcctgtc cgagcgtcat 360 tgctgcccat caagcacggc ttgtgtgttg ggtcgtcgtc ccctctccgg gggggacggg 420 ccccaaaggc agcggcggca ccgcgtccga tcctcgagcg tatggggctt tgtcacccgc 480 tctgtaggcc cggccggcgc ttgccgaacg caaatcaatc tttccaggtg acctcgatca 540 gaga 544 <210> 5 <211> 571 <212> DNA <213> 18s rRNA of Aspergillus niger <400> 5 ggtttccgta ggtgaacctg cggaaggatc attaccgagt gctgggtcct tcggggccca 60 acctcccacc cgtgcttacc gtaccctgtt gcttcggcgg gcccgccttc gggcggcctg 120 gggcctgccc ccgggaccgc gcccgccgga gaccccaatg gaacactgtc tgaaagcgtg 180 cagtctgagt cgattgatac caatcagtca aaactttcaa caatggatct cttggttccg 240 gcatcgatga agaacgcagc gaaatgcgat aactaatgtg aattgcagaa ttcagtgaat 300 catcgagtct ttgaacgcac attgcgcccc ctggtattcc ggggggcatg cctgtccgag 360 cgtcatttct cccctccagc cccgctggtt gttgggccgc gcccccccgg gggcgggcct 420 cgagagaaac ggcggcaccg tccggtcctc gagcgtatgg ggctctgtca cccgctctat 480 gggcccggcc ggggcttgcc tcgaccccca atcttctcag attgacctcg gatcaggtag 540 ggatacccgc tgaacttaag catatcaata a 571

Claims (5)

  1.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돌연변이주의 균체, 돌연변이주의 배양물, 또는 돌연변이주의 파쇄물에 10 내지 80%(w/v) 농도의 설탕 함유 기질을 처리하고 50 내지 60℃에서 반응시켜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반응산물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1-케스토스를 포함하며 24시간 효소 반응에서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는, 1-케스토스의 분해 억제능과 니스토스의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와 설탕 함유 기질의 24시간 반응에서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생성하지 않으며,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는, 하기 수학식 2의 효소활성이 500 내지 5,000 U/mg이며,
    [수학식 2]
    Figure 112019502893708-pat00006

    상기 반응산물용액은,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와 설탕 함유 기질의 24시간 반응에서 반응산물용액의 당류 총고형분 100 중량%를 기준으로 45 내지 60 중량%의 1-케스토스를 포함하고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하기 수학식 3의 P값이 0.2 내지 0.6 범위를 갖는 것이며,
    [수학식 3]
    Figure 112019502893708-pat00007

    상기 식에서, [1-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설탕]는, 상기 반응산물용액의 당류 총 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각 당류의 고형분 중량%을 의미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산물용액을 얻는 단계는,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가 1 내지 40시간 조건에서 반응하여 프락토올리고당을 20 내지 75%의 수율로 생산하는 것인,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의 활성은 야생형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효소의 활성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효소 활성이 500 내지 5000%인 것인, 프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방법으로 생산되며,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와 설탕 함유 기질의 24시간 반응에서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반응기질 총고형분 100 중량%를 기준으로 1-케스토스를 45 내지 60 중량%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3의 P값이 0.2 내지 0.6 범위를 갖는 것인, 프락토올리고당:
    [수학식 3]
    Figure 112019502893708-pat00008

    상기 식에서, [1-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설탕]는, 상기 반응산물용액의 당류 총 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각 당류의 고형분 중량%을 의미한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방법으로 생산되며,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와 설탕 함유 기질의 24시간 반응에서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반응기질 총고형분 100 중량%를 기준으로 1-케스토스를 45 내지 60 중량%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3의 P값이 0.2 내지 0.6 범위를 갖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반응산물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반응산물용액을 분리 및 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및 정제 방법은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의 분리 또는 정제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1-케스토스를 생산하는 방법.
KR1020180135465A 2018-11-06 2018-11-06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KR10200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65A KR102004944B1 (ko) 2018-11-06 2018-11-06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65A KR102004944B1 (ko) 2018-11-06 2018-11-06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103A Division KR101918648B1 (ko) 2016-12-29 2016-12-29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987A KR20180122987A (ko) 2018-11-14
KR102004944B1 true KR102004944B1 (ko) 2019-10-08

Family

ID=6432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65A KR102004944B1 (ko) 2018-11-06 2018-11-06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632B1 (ko) * 2019-10-31 2022-05-26 주식회사 삼양사 케스토스-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gric. Biol. Chem., Vol. 52, pp. 1181-1187 (1988.)*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 65, pp. 766-773 (2001.)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Vol. 95, pp. 686-692 (2003.)*
NCBI GenBank Accession No. AB046388.1 (2001.09.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987A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s et al. Technological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fructo and galacto-oligosaccharides. Enzymatic synthesis and hydrolysis
EP2294093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ructooligosaccharide composition
KR101918648B1 (ko)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EP2749645B1 (en) D-psicose 3-epimerase mutant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continuous production of d-psicose using same
US20120244580A1 (en) Immobilization of psicose-epimerase and a method of producing d-psicose using the same
AU762500B2 (en) Process for processing sucrose into glucose and fructose
EP3006568B1 (en) Production method for tagatose
KR20150056795A (ko) 1-케스토스를 얻기 위한 방법
US20220411838A1 (en) Method for preparing kestose-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s
US2018007795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lulose-containing sweetener composition
EP2569440B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betaine from molasses
KR102004944B1 (ko) 고함량 1-케스토스 함유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KR102049573B1 (ko)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KR101132994B1 (ko) 디프룩토오스-디안히드리드 ⅲ 의 정제 방법
CN102690795B (zh) 一种灰产色链霉菌海藻糖合成酶及其编码基因和应用
KR101919129B1 (ko) 프락토올리고당 생산 방법
KR102558524B1 (ko) 올리고당의 고효율 생산을 위한 신규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DE10355302A1 (de) Verfahren zur fermentativen Anreicherung von Lebensmitteln mit Fructose-Oligosacchariden
KR101964115B1 (ko) 올리고당 고함유 당밀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당 고함유 당밀 및 이의 용도
Saguibo et al. Low-cost Media from Agro-industrial Wastes for the Cultivation and Metabolite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P2878210A1 (en) Method for preparing galactose from larch and method for preparing tagatose using galactose
rIta De CÁSSIa et al. Potential of the Filamentous Fungi from the Brazilian Cerrado as Producers of Soluble Fibers
CN111548978A (zh) 一种产甘露聚糖的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Brooks et al. Bacter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evaluation of syrups produced from local starch sources
Ouarné 10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Sucr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