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921B1 - 부분틀니 - Google Patents

부분틀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921B1
KR102004921B1 KR1020190040540A KR20190040540A KR102004921B1 KR 102004921 B1 KR102004921 B1 KR 102004921B1 KR 1020190040540 A KR1020190040540 A KR 1020190040540A KR 20190040540 A KR20190040540 A KR 20190040540A KR 102004921 B1 KR102004921 B1 KR 10200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tooth
protruding member
partial denture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19004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틀니에 관한 것으로서, 결손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도록 치아 결손 부위에 마련되되 측면에 상기 치아 결손 부위 주변의 지대치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체적보다 큰 수용 용적을 갖는 돌기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경질 소재의 인공치아 ; 상기 인공치아의 상기 지대치를 향하는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돌기부재 삽입공이 형성되는 금속 속재의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인공치아의 일부를 감싸는 잇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 결손 부위에 안착되는 레진 소재의 외형 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치상 ; 상기 돌기부재가 삽입되어 접촉되기 위한 캡 형태로서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에 마련되는 연질 소재의 수용홈 내장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틀니{PARTIAL DENTURE}
본 발명은 부분틀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분적으로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하여 치아 결손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부분틀니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결손되면 결손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또는 브릿지 등을 시술하거나 틀니를 제작하여 장착하게 된다.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 부위에 개별적으로 시술되는 인공치아로서, 본래의 치아와 유사한 저작력을 가지며 최소 10년에서 관리에 따라 30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심미성이 뛰어나고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브릿지는 결손된 치아 양 옆의 치아를 삭제하여 지지대로 만들고 지지대에 인공치아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시술이다. 브릿지는 사용수명이 평균 5년에서 10년 정도이며, 짧은 기간 안에 저작력과 심미적인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결손된 치아 주변의 자연치아를 삭제하여 지지대로 사용하므로 정상적인 치아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틀니(Denture, 가철성의치)는 여러 개의 치아가 결손되었을 때 하나로 연결된 인공치아를 치아 결손 부위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인공 보철물이다. 틀니는 자연치아에 비하여 저작력이 약하므로 음식 섭취에 다소 불편함이 있으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치아가 모두 결손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틀니는 치아가 모두 결손된 환자를 위한 전체틀니(총의치)와 치아가 부분적으로 결손된 환자를 위한 부분틀니(국소의치)로 나뉜다.
전체틀니는 잔존치아가 없는 잇몸에 직접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반면, 부분틀니는 결손된 치아 주변에 남아있는 자연치아를 지지대로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분틀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틀니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분틀니는 의치상에 인공치아를 배치하고 의치상에 형성된 고리(clasp, 1)를 이용하여 부분틀니를 남아있는 치아(지대치)에 걸어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장착되는 종래 기술의 부분틀니는 도 2와 같이 부분틀니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1)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심미성이 떨어지며, 고리(1)를 걸어서 부분틀니를 고정하는 지대치가 고리(1)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분틀니를 착용한 상태의 사진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1)로 인하여 민감한 착용자들의 경우 수치심을 느낄 정도에 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8290호 "틀니의 착탈방법" (2017.1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분틀니의 고리를 지대치에 걸어서 고정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부분틀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리에 의한 지대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분틀니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부분틀니의 착용시 부분틀니를 지대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착용 모습이 매우 자연스럽고 심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손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도록 치아 결손 부위에 마련되되 측면에 상기 치아 결손 부위 주변의 지대치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체적보다 큰 수용 용적을 갖는 돌기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경질 소재의 인공치아 ; 상기 인공치아의 상기 지대치를 향하는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돌기부재 삽입공이 형성되는 금속 속재의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인공치아의 일부를 감싸는 잇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 결손 부위에 안착되는 레진 소재의 외형 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치상 ; 상기 돌기부재가 삽입되어 접촉되기 위한 캡 형태로서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에 마련되는 연질 소재의 수용홈 내장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내장재는 소프트 레진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분틀니는, 지대치의 측면에 미리 형성되는 돌기부재가 의치상의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재 삽입공을 통과하여 인공치아의 돌기부재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부분틀니와는 달리 고정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며 심미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돌기부재 수용홈의 수용 용적이 돌기부재의 체적보다 크므로 돌기부재를 돌기부재 수용홈에 손쉽게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돌기부재 수용홈에는 소프트 레진 또는 실리콘 소재의 수용홈 내장재가 마련되므로 부분틀니가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분틀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부분틀니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분틀니를 착용한 상태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부분틀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부분틀니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부분틀니의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부분틀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부분틀니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부분틀니의 개념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부분틀니(200)는 지대치(10)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100)에 의하여 치아 결손 부위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 의한 부분틀니(2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지대치(10)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10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돌기부재(100)는 치아 결손 부위에 인접한 지대치(10)의 측면에 치아 결손 부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서, 돌기부재(100)는 지대치(10)에 부착된 상태로 부분틀니(200)를 치아 결손 부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재(100)는 치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레진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례의 돌기부재(100)는 치아 결손 부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지대치(10)의 측면에 각각 부착된다.
레진은 유기기질과 충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재(100)는 레진을 돌기 형태로 성형하고 부착 부위에 접촉시킨 뒤 빛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지대치(10)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부착 방법은 일례일 뿐이며 레진의 경화 특성에 따라서 다른 부착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부분틀니(200)는 치아 결손 부위의 잇몸 및 지대치(10)에 지지된 상태로 결손된 치아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의 부분틀니(200)는 의치상(210), 인공치아(220), 수용홈 내장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인공치아(220)는 치아 결손 부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경질 소재인 레진이나 도재로 제작되어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인공치아(220)의 측면에는 치아 결손 부위 주변의 지대치(10)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부재 수용홈(221)이 형성된다. 돌기부재 수용홈(221)은 그 수용 용적이 지대치(10)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100)의 체적보다 크다. 즉, 돌기부재 수용홈(221)은 돌기부재(100)가 여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는 돌기부재(100)와 돌기부재 수용홈(221)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돌기부재(100) 및 돌기부재 수용홈(221)의 크기와 형태 및 그 위치를 정밀하게 일치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돌기부재 수용홈(221)과 돌기부재(100)의 크기와 형태 및 그 위치를 완전히 일치하도록 제작하면, 부분틀니(200)를 지대치(10)의 사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없으며 제작 공정상의 난이도가 지나치게 높아진다. 아울러 부분틀니(200)의 착탈시 돌기부재(100)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의치상(210)은 인공치아(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뼈대 역할을 하고, 잇몸에 접촉되어 잇몸으로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의치상(210)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내측 프레임(211)과, 레진 소재로 제작되는 외형 형성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측 프레임(211)은 의치상(210)이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인공치아(220)의 지대치(10)를 향하는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례의 내측 프레임(211)은 인공치아(220)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제작된다.
외형 형성부(212)는 레진 소재를 이용하여 내측 프레임(211)의 일부와 인공치아(220)의 일부를 감싸는 잇몸 형태로 제작된다. 외형 형성부(212)는 잇몸과 동일한 색상 및 형태로 형성되므로 의치상(210)이 치아 결손 부위의 잇몸에 안착된 이후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의치상(212)의 지대치(10)를 향하는 부위에는 지대치(10)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100)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부재 삽입공(211a)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돌기부재 삽입공(211a)은 인공치아(220)의 돌기부재 수용홈(221)에 대응되는 내측 프레임(211)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돌기부재 삽입공(211a)은 돌기부재 수용홈(221)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이다.
돌기부재 수용홈(221)의 수용 용적은 돌기부재(100)의 체적보다 크게 제작되므로 부분틀니(200)를 지대치(10)의 사이에 장착하면 돌기부재 수용홈(221)과 돌기부재(100)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돌기부재 수용홈(221)에는 돌기부재 수용홈(221)에 삽입되는 돌기부재(100)를 감싸는 수용홈 내장재(230)가 더 마련된다.
수용홈 내장재(230)는 인공치아(220)보다 무른 소프트 레진이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 소재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례의 수용홈 내장재(230)는 돌기부재 수용홈(221)에 삽입되는 캡 형태이다.
돌기부재(100)를 돌기부재 수용홈(221)에 삽입하여 돌기부재(100)가 수용홈 내장재(230)에 접촉되면, 수용홈 내장재(230)가 돌기부재(100)의 형태에 맞추어 변형되어 돌기부재(100)를 감싸게 된다.
즉, 수용홈 내장재(230)에 의하여 돌기부재(100)와 돌기부재 수용홈(221)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메워진 상태가 되므로 부분틀니(200)를 유격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부분틀니(200)는, 의치상(210)이 치아 결손 부위의 잇몸에 지지되도록 의치상(210)을 잇몸에 안착시키고 지대치(10)에 부착된 돌기부재(100)를 인공치아(220)의 돌기부재 수용홈(22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부분틀니(200)를 치아 결손 부위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부분틀니(200)의 고정 방식은 고리(clasp)를 지대치(10)에 걸어서 고정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지대치(10)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리를 이용하는 종래의 고정 방식은 지대치(10)에 걸린 고리가 외부로 드러나므로 심미성이 크게 떨어지나, 본 실시례의 부분틀니(200)는 돌기부재 수용홈(221)과 돌기부재(100)에 의한 고정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심미감이 저하되지 않고 착용 모습이 매우 자연스럽다.
특히, 돌기부재(100)를 삽입하기 위한 돌기부재 수용홈(221)의 수용 용적은 돌기부재(100)의 체적보다 크므로 돌기부재(100)를 돌기부재 수용홈(221)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돌기부재 수용홈(221)의 크기 및 형태를 돌기부재(100)에 정밀하게 맞추어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이 매우 쉽다.
아울러 수용홈 내장재(230)에 의하여 돌기부재(100)와 돌기부재 수용홈(221) 사이의 틈이 완전히 메워지게 되므로, 결합된 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대치
100 : 돌기부재
200 : 부분틀니
210 : 의치상 211 : 내측 프레임
211a : 돌기부재 삽입공 212 : 외측 프레임
220 : 인공치아 221 : 돌기부재 수용홈
230 : 수용홈 내장재

Claims (2)

  1. 결손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도록 치아 결손 부위에 마련되되 측면에 상기 치아 결손 부위 주변의 지대치에 미리 형성시킨 돌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체적보다 큰 수용 용적을 갖는 돌기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경질 소재의 인공치아 ;
    상기 인공치아의 상기 지대치를 향하는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돌기부재 삽입공이 형성되는 금속 속재의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인공치아의 일부를 감싸는 잇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 결손 부위에 안착되는 레진 소재의 외형 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치상 ;
    상기 돌기부재가 삽입되어 접촉되기 위한 캡 형태로서 상기 돌기부재 수용홈에 마련되는 연질 소재의 수용홈 내장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틀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내장재는 소프트 레진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틀니.
KR1020190040540A 2019-04-08 2019-04-08 부분틀니 KR10200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40A KR102004921B1 (ko) 2019-04-08 2019-04-08 부분틀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40A KR102004921B1 (ko) 2019-04-08 2019-04-08 부분틀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921B1 true KR102004921B1 (ko) 2019-07-29

Family

ID=6748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40A KR102004921B1 (ko) 2019-04-08 2019-04-08 부분틀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49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그래피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부분 틀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751A (ko) * 2006-06-09 2007-12-13 강승종 앞니용 보철물
US20080131846A1 (en) * 2004-11-30 2008-06-05 Geodigm Corporation Multi-component dental appliances
KR20100026040A (ko) * 2008-08-29 2010-03-10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연결 및 유지장치
KR101798290B1 (ko) 2015-08-12 2017-11-15 유창민 틀니의 착탈방법
US20180311020A1 (en) * 2017-04-26 2018-11-01 JTI Biomed Corp. Reinforced Resin-Retained Brid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1846A1 (en) * 2004-11-30 2008-06-05 Geodigm Corporation Multi-component dental appliances
KR20070117751A (ko) * 2006-06-09 2007-12-13 강승종 앞니용 보철물
KR20100026040A (ko) * 2008-08-29 2010-03-10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연결 및 유지장치
KR101798290B1 (ko) 2015-08-12 2017-11-15 유창민 틀니의 착탈방법
US20180311020A1 (en) * 2017-04-26 2018-11-01 JTI Biomed Corp. Reinforced Resin-Retained B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49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그래피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부분 틀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US7018207B2 (en) Dental implant analog having retention groove for soft tissue modeling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US2014027279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 final hybrid prosthesis to be attached to dental implants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WO2019003409A1 (ja) 連結人工歯列
KR100923782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KR102004921B1 (ko) 부분틀니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CN112274284A (zh) 一种用于口腔修复的临时牙及其制备方法
US20170189147A1 (en) Partial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00011847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067668B1 (ko) 침하방지 단차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1663623B1 (ko) 분리형 임플란트 구조체 가공 블록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WO2008002065A1 (en) An implant ring and dental implant using the same
KR10143554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101196821B1 (ko) 치과용 보철물
CN215192453U (zh) 一种用于口腔修复的临时牙
KR20110124438A (ko)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100988355B1 (ko) 인상 채득용 캡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009443B1 (ko) 치아보철물
KR200426910Y1 (ko) 임플란트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