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850B1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850B1
KR102004850B1 KR1020190048478A KR20190048478A KR102004850B1 KR 102004850 B1 KR102004850 B1 KR 102004850B1 KR 1020190048478 A KR1020190048478 A KR 1020190048478A KR 20190048478 A KR20190048478 A KR 20190048478A KR 102004850 B1 KR102004850 B1 KR 10200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take
exhaust
toxic smok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to KR102019004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 시 해당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의 계단참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 기능의 소방장비가 자동 작동되어 유독성 연기를 흡입 후 해당 공동주택의 외부로 배기시킴에 따라, 해당 비상계단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는 유독성 연기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고 그 결과 해당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는 재실자들이 유독성 가스에 대한 노출 및 흡입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는 제어부,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 태양광발전부,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는 하우징 및 높이보상 경사블록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공기 흡배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firefighting equipment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 시 해당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의 계단참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 기능의 소방장비가 자동 작동되어 유독성 연기를 흡입 후 해당 공동주택의 외부로 배기시킴에 따라, 해당 비상계단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는 유독성 연기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고 그 결과 해당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는 재실자들이 유독성 가스에 대한 노출 및 흡입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시설의 종류에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재 발생 장소에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기 위한 피난 설비, 대피 후 안전하게 보호받기 위한 피난 설비,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소화 설비, 화재의 발생 사실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내는 경보 설비, 그 외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에 따른 소화활동 설비 등이 있다.
한편,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 시 그 재실자는 유독성 연기로 인하여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을 찾기 힘들뿐만 아니라 질식되기 때문에 피난이 매우 어렵다.
다시 말해, 화재 발생 시 공동주택 내 재실자에게 가장 위험한 요소로 알려진 유독성 연기는 해당 실내의 암흑화와 더불어 호흡을 곤란하게 하는 독성이 강한 물질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유독성 연기에 기인하는 사망자 수가 전체 사망자 수의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유독성 연기는 화재 현장에서 신속히 처리되어야 할 위험 요소이다. 부연 설명하면, 화재 발생 시의 유독성 연기는 화염보다 빨리 전파되어 해당 화재가 성숙기에 이르기 전에 실내를 휩싸면서 인명피해를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공동주택에서의 화재 발생 시 그 재실자가 유독성 연기로부터 더 잘 보호되면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거의 모든 공동주택에서 재실자 대피용 소방 시설로 비상계단 및 이를 안내하는 비상구 안내등 외에 별다른 시설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25876호(2018.12.07.공고.),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049796호(2011.07.19.공고.),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753116호(2017.07.04.공고.),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 시 해당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의 계단참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 기능의 소방장비에서 유독성 연기를 흡입 후 해당 공동주택의 외부로 배기시킴에 따라, 해당 비상계단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는 유독성 연기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따라서 해당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는 재실자들이 유독성 가스에 대한 노출 및 흡입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계단을 통한 대피 시, 비상계단의 비상 조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더라도 해당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비상계단의 계단참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의 계단참별로 설치되어 화재 시 유독성 연기를 흡배기시키는 소방장비들이 태양광발전을 기반으로 하는 전용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가져, 화재가 발생한 공동주택의 주전원은 물론 비상전원까지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소방장비들 전체 또는 일부는 전용의 전원 공급 구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으면서 비상계단 내 유독성 연기를 흡배기시키는 작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는, 공동주택(10)의 화재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신호에 따라 제1 제어신호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 후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1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2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3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부(100): 상기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계단(11)의 각 계단(11a)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의 둘레 중 상기 공동주택(10)의 안쪽 방향에 위치하는 둘레 영역을 따라 흡기홀(211a)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공동주택(10)의 바깥쪽 방향의 한 측면을 따라 상기 흡기홀(211a)과 개별 대응되는 복수의 배기홀(211b)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하우징(211)과; 상기 계단참(12)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비상계단(11)의 위에서 두 번째 계단(11a) 및 상기 하우징(211) 상면 간을 경사면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공동주택(10) 안쪽 방향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논슬립(non slip) 처리가 이루어진 높이보상 경사블록(212)을 포함하는 몸체부(210)와; 상기 하우징(211)의 흡기홀(211a)과 대응되는 수로 상기 하우징(211)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흡기홀(211a)을 통해 화재 시의 유독성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홀(211b)로 배출하는 공기 흡배기 유닛(220);을 포함하며, 상기 공동주택(10)의 계단참(12)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 상기 공동주택(10)의 외측 벽면에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별로 설치되며, 태양광발전을 하여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고,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작동 시 충전된 전기를 그 작동 전원으로써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부(300): 상기 하우징(211)의 배기홀(211b)과 대응되도록 상기 공동주택(10)의 벽면에 형성된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폐하도록 상기 공동주택(10)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방하거나 개방 상태인 상기 유동성 연기 배출홀(13)을 폐쇄하는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 상기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의 바깥쪽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를 외부로부터 가리며, 상기 공동주택(10)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00): 및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하우징(211)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제3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화재 발생 시 대피 중인 재실자들에게 상기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복수의 조명모듈(600):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300)를 통해 상기 제어부(100), 공기 흡배기 유닛(220),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 디스플레이 패널(500) 및 조명모듈(6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 시 해당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의 계단참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 기능의 소방장비에서 유독성 연기를 흡입 후 해당 공동주택의 외부로 배기시킴에 따라, 해당 비상계단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는 유독성 연기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따라서 해당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는 재실자들이 유독성 가스에 대한 노출 및 흡입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계단을 통한 대피 시, 비상계단의 비상 조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더라도 해당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비상계단의 계단참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의 계단참별로 설치되어 화재 시 유독성 연기를 흡배기시키는 소방장비들이 태양광발전을 기반으로 하는 전용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가져, 화재가 발생한 공동주택의 주전원은 물론 비상전원까지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소방장비들 전체 또는 일부는 전용의 전원 공급 구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으면서 비상계단 내 유독성 연기를 흡배기시키는 작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에서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에서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는 제어부(100),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 태양광발전부(300),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 디스플레이 패널(500) 및 조명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0)는 공동주택(10)의 화재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신호에 따라 제1 제어신호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 후, 이렇게 생성되는 제1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1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제2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2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제3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3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그리고 화재감지기(20)는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등 공동주택에 설치되고 있는 기존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에 해당된다.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는 공동주택(10)의 계단참(12)별로 설치되며, 이러한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는 몸체부(210) 및 공기 흡배기 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210)는 하우징(211) 및 높이보상 경사블록(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1)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에 설치되며, 비상계단(11)의 각 계단(11a)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의 둘레 중 공동주택(10)의 안쪽 방향에 위치하는 둘레 영역을 따라 흡기홀(211a)이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11)은 공동주택(10)의 바깥쪽 방향의 한 측면을 따라 흡기홀(211a)과 개별 대응되는 복수의 배기홀(211b)이 형성된다.
높이보상 경사블록(212)은 계단참(12)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비상계단(11)의 위에서 두 번째 계단(11a) 및 하우징(211) 상면 간을 경사면으로 연결하도록 하우징(211)의 상기 공동주택(10) 안쪽 방향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논슬립(non slip)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높이보상 경사블록(212)은 그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에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하우징(210)을 적층 설치하는데 따른 하우징(211) 상면 및 계단참(12) 아래쪽 비상계단(11)의 최상측 계단(11a) 간 증가된 높이를 보상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우징(211) 상면에서 계단참(12) 아래쪽 비상계단(11)의 최상측 계단(11a)을 바로 밟는 것이 아니라 높이보상 경사블록(212)의 경사면을 우선 밟으면서 비상계단(11)의 두 번째 계단(11a)으로 옮겨 밟을 수 있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따른 대피 시는 물론 평상 시 비상계단(11)을 통한 보행 시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게 한다.
공기 흡배기 유닛(220)은 하우징(211)의 흡기홀(211a)과 대응되는 수로 하우징(211)에 내장되며, 이러한 공기 흡배기 유닛(220)은 제어부(100)의 상술한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흡기홀(211a)을 통해 화재 시의 유독성 연기를 흡입하여 배기홀(211b)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부연 설명하면, 공기 흡배기 유닛(220)이 상술한 제어부(100)의 설명에서 언급한 제1 수신 대상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흡배기 유닛(220)은 공기를 흡기하여 배기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태양광발전부(300)는 공동주택(10)의 외측 벽면에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별로 설치되며, 태양광발전을 하여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고,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작동 시 충전된 전기를 그 작동 전원으로써 공급한다.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는 하우징(211)의 배기홀(211b)과 대응되도록 공동주택(10)의 벽면에 형성된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폐하도록 공동주택(10)의 벽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는 제어부(100)의 상술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방하거나 개방 상태인 유동성 연기 배출홀(13)을 폐쇄한다.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가 상술한 제어부(100)의 설명에서 언급한 제2 수신 대상인 것이다.
그리고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는 공동주택(10)의 유독성 연기 배출홀(13) 주변에서 수직축을 따라 회전되어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폐하는 방식, 공동주택(10)의 벽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폐하는 방식 내지 공동주택(10)의 벽면을 따라 스윙 방식의 회전을 하면서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폐하는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500)은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의 바깥쪽 일면에 결합되어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를 외부로부터 가리며, 이러한 디스플리에 패널(500)은 공동주택(10)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조명모듈(600)은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하우징(211) 상면에 복수로 설치되며, 이러한 조명모듈(600)은 제어부(100)의 상술한 제3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화재 발생 시 대피 중인 재실자들에게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부연 설명하면, 조명모듈(600)이 상술한 제어부(100)의 설명에서 언급한 제3 수신 대상인 것이다.
이러한 조명모듈(600)에 의해서, 공동주택(10)의 주민 등 재실자들은 화재 발생에 따른 대피 시 계단참(12)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화재가 발생한 동시에 비상계단(11)의 비상조명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계단참(12)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태양광발전부(300)를 통해 제어부(100), 공기 흡배기 유닛(220),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 디스플레이 패널(500) 및 조명모듈(600)에 전원이 공급된다. 다시 말해, 태양광발전부(300)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별로 설치되어 해당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에 대해 전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공동주택(10)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 및 그와 연계되는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와 조명모듈(600)이 하나의 작동 그룹을 이루면서 이러한 복수의 작동 그룹 중 전체 또는 일부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게 되어 해당 공동주택(10)의 주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 시 해당 공동주택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에서 유독성 연기를 흡입 후 해당 공동주택(10)의 외부로 배기시킴에 따라, 해당 비상계단(11)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는 유독성 연기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해당 비상계단(11)을 통해 대피하는 재실자들이 유독성 가스에 대한 노출 및 흡입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10)의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계단(11)을 통한 대피 시, 특히 야간에 화재가 발생한 동시에 비상계단(11)의 비상 조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비상계단(11)을 통해 대피 중인 재실자들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별로 설치되어 화재 시 유독성 연기를 흡배기시키는 소방장비들이 태양광발전을 기반으로 하는 전용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공동주택(10)의 주전원은 물론 비상전원까지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소방장비들 전체 또는 일부는 전용의 전원 공급 구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으면서 비상계단 내 유독성 연기를 흡배기시키는 작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동주택 11 : 비상계단
11a : 계단 12 : 계단참
13 : 유독성 연기 배출홀 20 : 화재감지기
100 : 제어부 200 :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
210 : 몸체부 211 : 하우징
211a : 흡기홀 211b : 배기홀
212 : 높이보상 경사블록 220 : 공기 흡배기 유닛
300 : 태양광발전부 400 :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
500 : 디스플레이 패널 600 : 조명모듈

Claims (1)

  1. 공동주택(10)의 화재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신호에 따라 제1 제어신호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 후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1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2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외부의 제3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부(100):
    상기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계단(11)의 각 계단(11a)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의 둘레 중 상기 공동주택(10)의 안쪽 방향에 위치하는 둘레 영역을 따라 흡기홀(211a)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공동주택(10)의 바깥쪽 방향의 한 측면을 따라 상기 흡기홀(211a)과 개별 대응되는 복수의 배기홀(211b)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하우징(211)과; 상기 계단참(12)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비상계단(11)의 위에서 두 번째 계단(11a) 및 상기 하우징(211) 상면 간을 경사면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공동주택(10) 안쪽 방향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논슬립(non slip) 처리가 이루어진 높이보상 경사블록(212)을 포함하는 몸체부(210)와; 상기 하우징(211)의 흡기홀(211a)과 대응되는 수로 상기 하우징(211)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흡기홀(211a)을 통해 화재 시의 유독성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홀(211b)로 배출하는 공기 흡배기 유닛(220);을 포함하며, 상기 공동주택(10)의 계단참(12)별로 설치되는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
    상기 공동주택(10)의 외측 벽면에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별로 설치되며, 태양광발전을 하여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고,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작동 시 충전된 전기를 그 작동 전원으로써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부(300):
    상기 하우징(211)의 배기홀(211b)과 대응되도록 상기 공동주택(10)의 벽면에 형성된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폐하도록 상기 공동주택(10)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개방하거나 개방 상태인 상기 유독성 연기 배출홀(13)을 폐쇄하는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
    상기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의 바깥쪽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를 외부로부터 가리며, 상기 공동주택(10)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00): 및
    상기 유독성 연기 흡배기부(200)의 하우징(211)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제3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화재 발생 시 대피 중인 재실자들에게 상기 공동주택(10) 내 비상계단(11)의 계단참(12)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복수의 조명모듈(600):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300)를 통해 상기 제어부(100), 공기 흡배기 유닛(220), 공동주택 벽면홀 개폐부(400), 디스플레이 패널(500) 및 조명모듈(6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KR1020190048478A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KR102004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78A KR102004850B1 (ko)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78A KR102004850B1 (ko)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850B1 true KR10200485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78A KR102004850B1 (ko)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8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102A (ko) * 2006-09-21 2008-03-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색분석법을 이용한 항-동맥경화 물질 탐색방법
KR100995220B1 (ko) *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1049796B1 (ko)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7360B1 (ko) * 2017-02-08 2017-06-15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장치
KR101753116B1 (ko)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JP2018019556A (ja) *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装置取付構造、装置取付方法、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KR101925876B1 (ko) 2018-04-03 2018-12-0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101946292B1 (ko) * 2018-06-15 2019-02-11 (주)대성종합기술단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102A (ko) * 2006-09-21 2008-03-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색분석법을 이용한 항-동맥경화 물질 탐색방법
KR101049796B1 (ko)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95220B1 (ko) *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JP2018019556A (ja) *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装置取付構造、装置取付方法、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KR101753116B1 (ko)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747360B1 (ko) * 2017-02-08 2017-06-15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장치
KR101925876B1 (ko) 2018-04-03 2018-12-0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101946292B1 (ko) * 2018-06-15 2019-02-11 (주)대성종합기술단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20190023580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0729632B1 (ko) 열연기 탈출체험시스템
KR20190024856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WO2013137703A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20130057353A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101747360B1 (ko) 공동주택의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장치
KR102041778B1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102004850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장비 제어장치
KR20200145982A (ko) 화재 대피실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JP3283950B2 (ja) 防煙装置
JP5221463B2 (ja) 避難支援装置
KR102368341B1 (ko) 계단실을 이용한 부속실 제연 시스템
JP2000145176A (ja) 集合住宅建物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CN113589852B (zh) 一种楼层防烟控制方法
KR20230124488A (ko) 제연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