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605B1 - 자동주사기 - Google Patents

자동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605B1
KR102004605B1 KR1020170068788A KR20170068788A KR102004605B1 KR 102004605 B1 KR102004605 B1 KR 102004605B1 KR 1020170068788 A KR1020170068788 A KR 1020170068788A KR 20170068788 A KR20170068788 A KR 20170068788A KR 102004605 B1 KR102004605 B1 KR 10200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oller
pair
case
needles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05A (ko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102017006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6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16Anode and cathode
    • A61N1/042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16Anode and cathode
    • A61N1/042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주사기는 제1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회전 및 병진 운동하는 니들 롤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롤러에 약물을 공급하는 주사장치; 및 상기 주사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 상기 니들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의 니들을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주사기{AUTOMATIC INJECTOR}
본 발명은 피부에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는 자동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의학 시술 또는 미용 시술과정에서 액체의 약물을 피부에 주입하는 경우가 있다. 인체의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주사 바늘을 피부에 삽입한 다음에 약물을 밀어넣을 수 있다. 그러나, 깊이가 깊지 않은 피하 지방에 약물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주사 바늘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피부의 넓은 영역에 미세한 주사 바늘 다수 개로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주사 바늘의 개수가 많을수록 약물 주사를 위한 제어가 쉽지 않다.
또한, 미세한 양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주사장치의 피스톤을 밀면서 약물을 주입한다면 정확한 양의 약물을 주입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자극을 통해 약물 투입 경로를 확보한 다음 약물을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는 자동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회전 및 병진 운동하는 니들 롤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롤러에 약물을 공급하는 주사장치; 및 상기 주사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 상기 니들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니들 롤러의 다수의 니들을 통전시키는 자동주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니들 롤러는, 내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도전체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니들이 관통 형성되는 니들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관통부의 양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니들을 통전시키는 한 쌍의 통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니들 롤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양 단부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는 각각의 전극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사장치는, 약물이 수용되는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린지의 내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마개; 및 일 단부는 상기 시린지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니들 롤러의 외주면에까지 연장 형성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마개에 접촉하여 상기 마개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와 일체로 이동하는 스크류;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기어부; 및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가이드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스크류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부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관통홀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 중 마주보며 이격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누름부재 회전시 누름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가 보다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와 케이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는 도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사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니들에 전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니들이 접촉되는 피부 영역의 모공이 보다 크게 열림으로써 약물을 손쉽게 피부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전기침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니들에 의해 시술 부위에 직접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여 세포나 혈관을 활성화시킨 다음 약물을 곧 바로 주입함으로써 피부 세포조직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약물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터 및 기어를 활용함으로써 기설정된 양만큼의 약물 주입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스의 일부가 탈장착됨으로써 약물이 저장된 시린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주사기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주사기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니들 롤러 주변 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주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주사기(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주사기(100)의 내부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기(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기(100)는 원통 형상의 니들 롤러(120,needle roller)에 다수의 니들(121)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121)을 통전시킴으로써 피부를 자극할 수 있으며, 동시에 주사장치(130)를 통해 자동으로 약물(180)을 피부에 공급할 수 있는 자동주사기(100)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니들 롤러(120)는 인체의 피부에 접촉된 상태로 문질러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의 모공이 열리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복수의 기어(145a,145b)를 통해 자동으로 약물(180)을 니들 롤러(120)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기(100)는 제1 방향(x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자동주사기(1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니들(12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하는 니들 롤러(12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롤러(120)에 약물(180)을 공급하는 주사장치(130)와, 상기 주사장치(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장치(130)를 제어하는 구동장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0)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장치(140)는 제어부(161)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10)의 선단부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볼 때 대략 'C' 형상의 리세스부(150,recessed portion)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150)에 상기 니들 롤러(120)가 구비되며, 상기 니들 롤러(120)의 니들(121)에는 통전되도록 한다. 상기 리세스부(150)는 후술하는 수용부(152)와 니들 롤러(12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부에 니들 롤러(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니들(121)이 접촉한 상태에서 자동주사기(100)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니들(121)에 의해 피부가 전기적인 자극을 받아 신체의 모공이 열리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다수의 부분 케이스(111a,111b,113)들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며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 케이스(111a,111b)와, 상기 메인 케이스(111a,111b)의 결합시에 내부가 보이는 부분을 덮는 보조 케이스(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세스부(150)는 상기 케이스들(111a,111b,113)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보조 케이스(113)는 상기 주사장치(130)의 윗 부분을 덮는 것으로, 상기 주사장치(130)를 상기 메인 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에 덮는 덮개로써 기능한다. 상기 보조 케이스(113)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 케이스(113)의 일 단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11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홈(115)에 걸림되는 걸림부(113b)가 형성되고, 보조 케이스(113)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보조 케이스(113)의 일 단부를 자동주사기(100)의 바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는 자동주사기(100)의 주요부품 또는 주요부품들이 구비되는 공간으로 일예로 메인 케이스(111) 또는 메인 케이스(111)의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에 걸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13b)가 걸림홈(115)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조 케이스(113)를 메인 케이스(111)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15)은 한 쌍의 반쪽 걸림홈(115a, 115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반쪽 걸림홈(115a,115b)은 각각 제1 메인 케이스(111a)와 제2 메인 케이스(111b)에 형성되며, 자동주사기(100) 조립시에 온전한 하나의 걸림홈(115)이 된다.
이후, 상기 보조 케이스(113)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끄럼방지홈(113a)을 누르면 상기 걸림부(113b)가 걸림홈(115)으로부터 걸림 해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미끄럼방지홈(113a)을 삽입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밀면, 이 상태에서 보조 케이스(113)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홈(113a) 대신 돌출된 형태의 미끄럼방지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롤러(120) 주변 부품의 분해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니들 롤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관통공(124)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12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123)와, 상기 본체부(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니들(121)이 관통 형성되는 니들 관통부(125)와, 상기 본체부(123)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관통부(125)의 양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덮개부(127,12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니들 롤러(120)는 대략 원통 형상이고, 원주면을 통해 다수의 니들(121)이 미세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니들 관통부(125)는 다수의 조각편(125b)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각편(125b)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덮개부(127.123a)는 상기 본체부(1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착탈가능하도록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23)에 하나의 덮개부(123a)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덮개부(127)는 상기 니들 관통부(125)에 탈착가능하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자동주사기(10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르는 상기 본체부(123)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공(124)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니들(121)에 전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는 대략 L 형상이고, 상기 본체부(123)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통전부재(162)는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는 각각 제1 단자(165) 및 제2 단자(166)와 연결된다. 이때, 제1 단자(165)는 (+) 전극 단자이고, 제2 단자(166)는 (-) 전극 단자일 수 있다. 즉, 상기 통전부재(162) 중 제1 통전부재(162a)는 (+)단자와 연결되고, 제2 통전부재(162b)는 (-)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통전부재(162a,162b)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본체부(1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통전부재(162b)가 본체부(123)와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통전부재들(162a,162b)에 의해 니들(12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23)도 통전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23)는 제1 부분(123a)과 제2 부분(123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부분(123b)의 단부(126a)는 분할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단부(126a)가 제1 부분(123a)의 원주면에 형성된 끼움홈(126b)에 끼움결합하여 제2 부분(123b)이 제1 부분(123a)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부(126a)의 외주부가 그리는 직경은 상기 관통공(124)의 직경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단부(126a)가 관통공(124)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끼움홈(126b)에 걸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통전부재(162a,162b)에 의해 상기 다수의 니들(121)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데, 일예로, 상기 다수의 니들(121)을 피부 속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어부(161,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전류를 니들(121)에 공급해주게 되면, 니들(121)에 흐르는 전류가 피부조직의 손상 없이 미세한 시술부위만을 마사지하여 조직 및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모공을 팽창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는 일예로 RF(Radio Frequency)와 같은 고주파 또는 EP(Electroporation)와 같은 이온도입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류는 약 500Khz의 주파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1)에 의해 주사장치(130)에 의한 약물의 공급량이 제어되며, 이는 표시부(16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버튼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61)에는 다수의 전자부품(161a)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부(160)의 하부에는 돔키(dome key)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약물(180)을 신속하게 피부 속으로 침투시켜 줄 수 있고, 통각(痛覺)을 최소화하여 불쾌감을 줄여 주며, 주입된 약물(180)의 흡수력을 향상시켜 주어 약효가 빠르게 작용하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니들 롤러(120)의 양측에 전극을 형성하는데, 사용자가 자동주사기(1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원통형 니들 롤러(120)를 통해 상기 니들(121)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모공을 팽창시켜 약물 주입을 위한 준비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니들 롤러(120) 및 상기 통전부재(162a,162b)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니들 롤러(120)가 도전체를 포함하도록 하였고, 상기 통전부재(162a,162b)의 외부를 도금하였다.
또한, 상기 리세스부(150)에는 상기 니들 롤러(120)를 수용하는 수용부(152)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가 상기 수용부(152)의 양 단부 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주사장치(130)는 약물(180)이 수용되는 시린지(131)(syringe)와, 상기 시린지(13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린지(131) 내의 약물(180)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시린지(13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탄성을 갖는 마개(133)와, 상기 시린지(1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니들 롤러(120)의 외주면에까지 연장 형성되는 튜브(135)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135)의 단부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출구(1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136)를 통하여 약물(180)이 상기 니들 롤러(120)의 외주면에 토출된다. 상기 마개(133)는 상기 구동장치(14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시린지(1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물(180)을 상기 시린지(131)의 단부를 통하여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니들 롤러(120)의 외주면으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린지(131)를 통해 외부로 약물(180)을 공급하고 인체에 직접 주사하지는 않으므로 시린지(131)의 단부에 별도의 주사용 바늘이 필요하지는 않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140)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사시도인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장치(140)는 상기 마개(133)에 접촉하여 상기 마개(133)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bar)(141)와, 상기 바(141)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141)와 일체로 이동하는 스크류(143)를 포함하고, 복수의 기어(145a,145b)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143)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부(145) 및 상기 기어부(145)를 구동시키는 모터(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기어(145a,145b) 중 제1 기어(145a)는 상기 모터(147)의 회전축(147a)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기어(145a,145b) 중 제2 기어(145b)는 상기 스크류(143)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147)의 회전력이 회전축(147a)를 통해 제1 기어(145a)에 전달되고, 제1 기어(145a)의 회전력이 제2 기어(145b)에 전달되며, 상기 제2 기어(145b)의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143)에 전달되어 스크류(143)가 전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어부(145)는 2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며, 복수의 기어(145a,145b)의 결합 구조에 의해 감속비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어부(145)는 제1 기어(145a) 및 제2 기어(145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기어의 개수 및 기어의 잇수 등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어(145a,145b)는 외주면이 서로 맞물려 기어결합한다.
또한, 상기 시린지(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개(133)를 밀기 위하여 바(141)가 스크류(143)와 결합하여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어(145a) 및 제2 기어(145b)는 기어 지지부(144)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143)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가이드(148)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스크류(143)의 단부(143a)는 상기 가이드(148)의 내부 형상과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류(143)가 상기 가이드(148)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143)의 단부(143a)는 스크류(143)의 직경보다 크도록 하고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 스크류(143)는 회전하지 않고 제1 방향을 따라 전후진 운동만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48)는 상기 스크류(143)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며, 플레이트에 상기 스크류(14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148a)을 구비하고 있으며, 자동주사기(100)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143)는 보조 플레이트(146)를 관통하여 바(14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145b)의 일부가 상기 보조 플레이트(146)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기(100)는 상기 수용부(152)의 외측면에 관통홀(152b)을 갖는 돌출부(152a)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52b)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152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누름부재(1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재(154)는 받침점을 중심으로 단부가 회전하는 시소(seesaw) 운동을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 중 마주보며 이격되는 부분에는 경사면(164a,16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64a,164b)은 상기 누름부재(154) 회전시 누름부재(154)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보다 이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누름부재(154)의 고정단인 일 단부가 상기 돌출부(152a)에 고정되고 타 단부인 자유단이 회전가능하며, 상기 누름부재(154)의 하면 일부가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의 내측에는 돌기(163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63a)는 상기 수용부(152)의 양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52d)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52)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152c)는 상기 통전부재(162)에 형성된 관통공(163c)에 삽입되어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152)에 형성된 관통공(152d)과 통전부재(162)에 형성된 관통공(163c)은 제2 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위치를 달리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통전부재(162)가 수용부(152)와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제2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만을 하도록 한다.
즉, 상기 니들 롤러(120)가 수용부(152)에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돌기(163a)가 수용부(15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 니들 롤러(120)를 수용부(152)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니들 롤러(1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163a)가 수용부(152)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누름부재(154)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가 외부로 밀려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152) 내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한다. 이후, 상기 니들 롤러(120)를 상기 수용부(152) 내측으로 밀어넣은 다음 상기 통전부재(162)의 돌기(163a)가 상기 니들 롤러(120)에 형성된 관통공(124)과 상기 수용부(152)의 관통홀(152d)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 롤러(120)가 수용부(152) 내에 체결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55)가 체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수용부(15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163b)가 탄성부재(155)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와 케이스(110)의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5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니들 롤러(120)가 수용부(152)에 유입된 이후에 저절로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162a,162b)가 수용부(152)와 밀착 접촉되게 된다. 상기 통전부재(162)의 외측면에는 돌기(163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기(163b)는 메인 케이스(1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보스(boss,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만약, 상기 누름부재(154)가 가압되면 상기 돌기(163b)가 보스 내로 삽입되어 상기 통전부재(162)의 이동을 가이드(148)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7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170)는 충전용 또는 비충전용일 수 있으며, 배터리(170)가 충전용인 경우에는 케이스(110)의 단부에 형성된 충전포트(175)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다. 즉, 상기 배터리(170)가 다수의 니들(121)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170)에 의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고주파발생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170)가 고주파발생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배터리(170)에 의해 전류가 인가되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진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61)에서 이루어진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시린지(131)의 내부에 약물(180)이 수용된 상태로 자동주사기(100)가 작동하기 전의 최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약물(180)은 마개(133)에 의해 가압되고 있어 약물(180)의 유출을 방지한다. 이때는 상기 니들 롤러(120)는 전후진이 가능한 상태이며, 이후 언제든지 니들 롤러(120)는 회전 및 병진 운동을 할 수 있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43)가 전진 이동하면서 바(141)가 마개(133)를 밀면서 약물(180)이 튜브(135)를 통해 니들 롤러(120)으로 유입된다. 이때, 약물(180)이 공급되는 속도는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되고, 표시부(160)에 표시된 부분을 터치 또는 가압하여 기설정된 양만큼 약물(180)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린지(131) 내부의 약물(180)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스크류(143)가 후진하면서 바(141)와 함께 최초 상태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141)는 마개(133)와 이격된 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주사장치(130)는 교체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케이스(113)를 바디로부터 분리시킨 후, 주사장치(130)를 메인 케이스(111)의 내부에서 꺼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약물(180)이 모두 소진된 주사장치(130)는 분리하여 폐기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자동주사기, 110: 케이스, 111: 메인 케이스, 115: 걸림홈, 113: 보조 케이스, 113a: 미끄럼방지홈, 113b: 걸림부, 120: 니들 롤러, 121: 니들, 123: 본체부, 123a: 제1 부분, 123b: 제2 부분, 123c: 받침부, 124: 관통공, 125: 니들 관통부, 126a: 끼움부, 126b: 끼움홈, 127: 덮개부, 128: 관통공, 130: 주사장치, 131: 시린지, 133: 마개, 135: 튜브, 136: 배출구, 140: 구동장치, 141: 바, 143: 스크류, 143a: 단부, 145: 기어부, 146: 보조 플레이트, 147: 모터, 148: 가이드, 150: 리세스부, 152: 수용부, 152a: 돌출부, 154: 누름부재, 154a: 관통홀, 154b: 경사면, 155: 탄성부재, 160: 표시부, 161: 제어부, 162: 통전부재, 163a,163b: 돌기, 164: 경사면, 165: 제1 단자, 166: 제2 단자, 170: 배터리, 175: 충전포트, 180: 약물

Claims (9)

  1. 제1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니들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회전 및 병진 운동하는 니들 롤러(needle roller);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롤러에 약물을 공급하는 주사장치; 및
    상기 주사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부(recessed portion)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 상기 니들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니들 롤러의 다수의 니들을 통전시키고,
    상기 니들 롤러는,
    내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도전체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니들이 관통 형성되는 니들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니들 관통부의 양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니들을 통전시키는 한 쌍의 통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니들 롤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관통홀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 중 마주보며 이격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누름부재 회전시 누름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가 보다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양 단부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는 각각의 전극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장치는,
    약물이 수용되는 시린지;
    상기 시린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린지의 내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마개; 및
    일 단부는 상기 시린지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니들 롤러의 외주면에까지 연장 형성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마개에 접촉하여 상기 마개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와 일체로 이동하는 스크류;
    서로 기어결합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기어부; 및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가이드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스크류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와 케이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전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가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사기.
KR1020170068788A 2017-06-02 2017-06-02 자동주사기 KR10200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788A KR102004605B1 (ko) 2017-06-02 2017-06-02 자동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788A KR102004605B1 (ko) 2017-06-02 2017-06-02 자동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05A KR20180133005A (ko) 2018-12-13
KR102004605B1 true KR102004605B1 (ko) 2019-07-29

Family

ID=6467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788A KR102004605B1 (ko) 2017-06-02 2017-06-02 자동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0691A1 (de) * 2020-04-20 2021-10-21 KROMA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Oberfläch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54B1 (ko) 2006-12-20 2008-12-16 클리닉컬 리솔루션 레보레토리 인코퍼레이션 마이크로니들 롤러
WO2009078163A1 (ja) 2007-12-17 2009-06-25 Resource One Inc. 薬液注入装置の動作確認装置
KR101328443B1 (ko) 2013-05-13 2013-11-14 이상조 약물 주입장치
EP2910276A1 (en) * 2014-02-21 2015-08-26 Sharon Hilditch Skin treatment device
KR101682863B1 (ko) 2016-09-12 2016-12-06 이창우 가압 개방식 약물 전달 기구를 갖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93B1 (ko) * 2006-11-03 2009-08-04 (주)엠큐어 멀티홀을 이용한 피부 재생 장치
KR100921009B1 (ko) * 2007-05-14 2009-10-23 주식회사 제이앤엘 마이크로니들 롤러구조체
KR100899100B1 (ko) * 2007-10-26 2009-05-25 이종기 피부 관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54B1 (ko) 2006-12-20 2008-12-16 클리닉컬 리솔루션 레보레토리 인코퍼레이션 마이크로니들 롤러
WO2009078163A1 (ja) 2007-12-17 2009-06-25 Resource One Inc. 薬液注入装置の動作確認装置
KR101328443B1 (ko) 2013-05-13 2013-11-14 이상조 약물 주입장치
EP2910276A1 (en) * 2014-02-21 2015-08-26 Sharon Hilditch Skin treatment device
KR101682863B1 (ko) 2016-09-12 2016-12-06 이창우 가압 개방식 약물 전달 기구를 갖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05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624A (en) Lashliner
EP0850076B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1980736B1 (ko) 갈바닉 마이크로 니들 피부미용기기
CN109069726B (zh) 化学流体注射装置
CN113784745B (zh) 具有球形滚针的拆装式皮肤手术装置
EP2498681B1 (en) Skin stimulus
JP6529970B2 (ja) オートインジェクター
IE77523B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2004605B1 (ko) 자동주사기
CN110292683B (zh) 被动触发装置的自动注射笔
US20210393871A1 (en) Wearable drug delivery device
JP2009517191A (ja) カートリッジ、及び薬剤を治療部位に供給するための動電式装置の組み合わせたシステム
CN115364359A (zh) 药物注入用针头、手持件及皮肤治疗装置
KR102403085B1 (ko) 약액 주입 장치
US20230381408A1 (en) Wearable drug delivery device
KR20180132217A (ko) 피부용 약물 주입기
US20220409898A1 (en) Electric device for skin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409309B1 (en)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JP2011218041A (ja) イオン導入機能を持つマッサージ機
US20210393873A1 (en) Wearable drug delivery device
CN114748781A (zh) 针头组件和微针滚筒式皮肤理疗仪
KR102144800B1 (ko) 약물 토출량 제어가 가능한 피부개선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114306833A (zh) 喷雾装置
KR102439755B1 (ko)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니들가이드유닛
CN219921845U (zh) 手持式微针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