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377B1 -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 Google Patents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377B1
KR102004377B1 KR1020170144938A KR20170144938A KR102004377B1 KR 102004377 B1 KR102004377 B1 KR 102004377B1 KR 1020170144938 A KR1020170144938 A KR 1020170144938A KR 20170144938 A KR20170144938 A KR 20170144938A KR 102004377 B1 KR102004377 B1 KR 10200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gle
sterilizing
angle changing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279A (ko
Inventor
김식
Original Assignee
(주)지금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금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지금강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4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Abstract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는 식품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필름에 의해 밀봉하는 본체를 구비한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채,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살균유닛은 불활성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 상기 가스유입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채 구동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전극; 내부에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테프론층 튜브; 및 내부에 상기 테프론층 튜브의 일부가 수용되고, 일 단부에 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글래스튜브;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유닛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벽면에 수평 설치되는 각도지지부와 결합하여 살균유닛의 설치각도를 변경하며, 상기 살균유닛의 후단이 결합되는 각도변경부; 상기 각도변경부와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각도변경시 회전을 지지하는 각도지지부; 살균유닛의 설치각도 변경시에 상기 각도변경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유닛의 고정시에는 상기 각도변경부에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막아 각도변경부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지지부의 결합봉과 상기 각도고정부의 양단에 탄성수단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탄성수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각도고정부가 이동하고, 상기 각도고정부의 이동을 통해서 상기 각도고정부를 상기 각도변경부와 결합 또는 분리시켜 상기 각도변경부를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Sealing packing machine for food containers with sterilization unit}
본 발명은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회용 식품용기의 밀봉작업을 수행하는 밀봉포장기의 내부에, 밀봉작업챔버의 내부를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살균유닛을 구비하여, 식품용기를 밀봉포장하는 과정에서 흘러 넘쳐 밀봉작업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음식물로 인한 세균 번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여 배달 또는 장기간 보관할 때에는 식품용 밀봉 포장기에 포장을 한 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밀봉포장기는 식품용 밀봉 포장기의 본체에 설치된 용기 받침판에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놓게 되면, 물품감지센서에 의해 용기가 감지되고, 이와 함께 그 후방에 배치된 정역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정역모터의 축과 연결된 와이어가 점차 언와인딩 되면서 와이어와 연결된 용기받침판이 리프트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 받침판이 하측으로 완전히 도달하게 되면, 본체 내부에 배치된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트레이가 본체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트레이 후방에 있는 클립은 필름박스에서 배출된 필름을 파지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어서, 트레이가 본체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면 본체 상부에 배치된 히팅판넬이 캠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히팅패널이 하강하여 용기의 가장자리에 놓이게 되면 히팅패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필름이 용기에 융착됨으로써 용기를 밀봉포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밀봉포장기는 본체 내부로 인입된 식품용기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식품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흘러나와 본체 내부에 잔존하게 되는데, 이 잔존물이 부패되거나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397호(2006년 10월 02일 등록) 선행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041377호(2011년 06월 08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1회용 식품용기의 밀봉작업을 수행하는 밀봉포장기의 내부에, 밀봉작업챔버의 내부를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살균유닛을 구비하여, 식품용기를 밀봉포장하는 과정에서 흘러 넘쳐 밀봉작업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음식물로 인한 세균 번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품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필름에 의해 밀봉하는 본체를 구비한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로서,
상기 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채, 상기 본체(1) 내부공간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살균유닛(100)은 불활성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 상기 가스유입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채 구동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전극(130); 내부에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테프론층 튜브(140); 및 내부에 상기 테프론층 튜브의 일부가 수용되고, 일 단부에 집속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1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글래스튜브(150);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유닛(200)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벽면에 수평 설치되는 각도지지부(210)와 결합하여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를 변경하며, 상기 살균유닛의 후단이 결합되는 각도변경부(220); 상기 각도변경부와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각도변경시 회전을 지지하는 각도지지부(210); 살균유닛의 설치각도 변경시에 상기 각도변경부(220)에서 이탈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유닛의 고정시에는 상기 각도변경부에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막아 각도변경부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230)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지지부(210)의 결합봉(213)과 상기 각도고정부의 양단에 탄성수단(240)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탄성수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각도고정부(230)가 이동하고, 상기 각도고정부의 이동을 통해서 상기 각도고정부(230)를 상기 각도변경부(220)와 결합 또는 분리시켜 상기 각도변경부를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식품용기(V) 밀봉용 필름(P)이 롤 형태로 지지되되 상기 필름(P)의 가장자리에는 마킹(S)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인쇄되며, 그 중앙 부분에 각 식품용기(V)의 일정 부분에 배치시키기 위한 도안(D)이 등간격으로 인쇄되는 포장부(5); 상측에 상기 포장부(5)가 안착 가능하게 양측으로 기립된 측판(11)과, 상기 측판(11)들의 마주보는 내측에 일정 간격 장착되는 고정봉(12)과, 상기 각 고정봉(12)의 양단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포장부(5)의 크기에 유동적으로 대응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간격조절판(13)이 구비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내측에서 승하강 하면서 상기 필름(P)과 식품용기(V)의 상측 접촉부를 열에 의해 융착시키는 히팅판(21)이 구비된 히팅부(2); 상기 본체(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식품용기(V)가 내측에 수납된채 필름(P)의 선단과 함께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플레이트(32)를 포함하는 이송부(3); 상기 이송플레이트(32)가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식품용기(V)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P)의 마킹(S)을 센싱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감지신호가 미 발생시 상기 필름(P)을 되감기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안위치조절부(7); 및 상기 도안위치조절부(7)의 감지신호 미 발생시 상기 필름(P) 상의 도안(D)이 식품용기(V)의 정위치에 배치 불가능한 것으로 인지하여 감지신호 발생시까지 상기 도안위치조절부(7)를 되감기 작동 제어시키는 제어부(8);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로 되며, 그 표면에는 경도 보강을 위해 코팅처리 하되, 하우징의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모재 표면을 질화처리 하며,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시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켜 코팅하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프론 튜브 및 글래스 튜브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상의 본 발명은 1회용 식품용기의 밀봉작업을 수행하는 밀봉포장기의 내부에, 밀봉작업챔버의 내부를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살균유닛을 구비하여, 식품용기를 밀봉포장하는 과정에서 흘러 넘쳐 밀봉작업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음식물로 인한 세균 번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나아가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히팅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립완성 후 히팅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본체 상측의 도안위치조절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조립완성 후 도안위치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에 적용되는 살균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살균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각도조절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히팅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립완성 후 히팅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본체 상측의 도안위치조절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조립완성 후 도안위치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이하 '밀봉포장기'라 약칭함)는 본체(1)와, 히팅부(2)와, 이송부(3)와, 용기안착부(4)와, 포장부(5)와, 전원부(6), 도안위치조절부(7) 및 제어부(8)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상기 주요부들을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이루어지되 그 상측에 포장부(5)를 안착 가능하게 양측으로 각각 기립된 측판(11)이 배치되고, 이 측판(11)들의 마주보는 내측 두 개소에 고정봉(12)이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며, 상기 각 고정봉(12)의 양단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관통 지지되어 상기 포장부(5)의 크기에 유동적으로 대응되는 한 쌍의 간격조절판(13)이 조임나사(N)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 내부에 배치된 상기 히팅부(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히터(20)를 갖는 히팅판(21)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팅판(21)의 사방 테두리에는 칼날(22)이 배치되며, 상기 히팅판(21)의 중앙에는 바늘핀(23)이 배치되며, 제2정역모타(M) 축에 축설된 캠(24)에 의해 상,하 수직운동을 하는 베어링(B)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히팅부(2)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이송부(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각 측판(11)의 하측면에 랙기어(30)가 고정되고, 상기 랙기어(30)와 맞물리는 제1피니언기어(31)가 랙기어(3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31)는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32) 측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피니언기어(31)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기어(33)와 상기 제2 피니언기어(33)를 축설한 제1 정역모타(M)가 상기 이송플레이트(32) 일측에 설치가 된다.
또한, 상기 용기안착부(4)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의 이송플레이트(32)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중심에 다양한 모양의 식품용기(V)가 놓일 수 있도록 용기 받침판(41)이 배치되고, 상기 용기 받침판(41) 후방에는 용기 받침판(41)이 승하강 될 때 이를 안내하는 리프트(42)가 배치되며, 상기 리프트(42)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 받침판(41)에 식품용기(V)가 놓여진 것을 감지하는 물품감시센서(43)가 배치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32) 후방에는 상기 물품감지센서(43)에 의해 동작되는 승하강모타(도시 생략)가 배치되고, 상기 승하강모타에 의해 상기 용기 받침판(41)이 리프트(42)에서 승, 하강이 될 수 있도록 벨트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42)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받침판(41)의 하강시 일정한 높이에서 정지시키는 높낮이감지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받침판(41) 상측 표면에는 쿠션을 갖는 실리콘고무(46)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측에 안착되는 포장부(5)에는 롤에 권취된 필름(P)이 포장된 포장박스(51) 내부에 지지되며, 상기 포장박스(51) 전면 하부에는 필름(P)이 배출되는 개구(52)가 필름의 폭 크기만큼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필름(P)의 가장자리에는 검정색의 마킹(S)이 배출되는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인쇄되며, 그 중앙 부분에 각 식품용기(V)의 일정 부분에 배치시키는 글씨(도 5의 '1분요리' 참조) 혹은 미도시된 형상, 색채 등의 도안(D)이 등간격으로 인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6)에는 본체(1)에 전원을 온(ON), 오프(OFF) 시키는 파워스위치(SW)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스위치(SW) 상부에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있던 이송플레이트(32)를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트레이 스위치(TW)가 배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도안위치조절부(7)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도 1의 우측)의 측판(11) 내부에 회전모터(7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봉(12)들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이 타측(도 1의 좌측)의 측판(11)에 지지된 채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71)에 구속되어 역회전되는 구동축(72)이 설치되며, 상기 필름(P)이 사이에 구속되도록 상기 구동축(72)의 상측에 대응되게 배치되되 외주면이 널링(knurling) 처리되어 상기 구동축(72)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되면서 필름(P)을 되감는 종동축(73)이 설치되며, 상기 필름(P)의 마킹(S)을 센싱하기 위한 마킹감지센서(74)가 상기 필름(P)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일측 간격조절판(13) 상에 브라켓(75)과 고정나사(N')로 한 쌍으로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72)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우레탄 등의 재질이 이용되며, 상기 종동축(73)은 상기 구동축(72)과 일정한 마찰력을 갖도록 중량 조절되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마킹감지센서(74)는 상하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채 일측에서는 빛을 조사하고 타측에서는 빛을 수광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바, 식품용기가 인입되었을 때 필름(P)의 마킹(S) 측이 이들 사이에 위치될 경우 조사되는 빛이 이 마킹(S) 부분에서 수광을 차단시킴으로써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는 상기 마킹감지센서(74) 및 각 모터와 접속되어 상기 마킹감지센서(74)의 감지신호 발생 유무에 따라 필름(P) 상의 도안(D)이 식품용기(V)의 정위치에 배치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 상기 마킹감지센서(74)의 감지신호 발생시에는 필름(P)의 선단이 정상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제1, 2정역모타(M)를 시차를 두고 구동 제어시키게 되며, 상기 마킹감지센서(74)의 감지신호 미 발생시에는 필름(P)의 선단이 비정상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인지하여 회전모터(71)를 구동시켜 필름(P)을 일정길이 되감은 후에 상기 제1, 2정역모타(M)를 시차를 두고 구동 제어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내부에 마련되는 밀봉작업챔버(c)의 내부를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살균유닛(1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살균유닛(100)은 식품용기를 밀봉포장하는 과정에서 흘러 넘쳐 밀봉작업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음식물로 인한 세균 번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살균유닛(100)은 저온 상압의 플라즈마에 의해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 내지 9에서와 같이, 하우징(110), 튜브 수용부(120), 와이어 전극(130), 테프론층 튜브(140), 글래스 튜브(150), 가스 유입구(160) 및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는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에는 튜브 수용부(120)가 연결되는 튜브 수용부 연결부(111)가 형성되고, 다른 일 측에는 가스 유입구(150)가 연결되는 가스 유입구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 측에는 전원 공급부(170)가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튜브 수용부(12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하우징(110)의 튜브 수용부 연결부(111)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와이어 전극(130), 테프론층 튜브(140), 글래스 튜브(150)가 수용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우징(110)과 튜브 수용부(120)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하우징과 튜브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와이어 전극(130)은 하우징(110) 및 이와 연결된 튜브 수용부(120) 내에 수용된다.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은 전원 공급부(170)를 통해 구동 전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으며, 튜브 수용부(120)의 중심축(C)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전극(130)은 하우징(110) 내부의 테프론층 튜브(14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와이어 전극(130)으로는 여러 가지 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텅스텐 와이어(Tungsten wire)가 사용될 수 있다. 텅스텐은 모든 금속 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장 낮은 증기압을 나타낸다. 특히 낮은 열팽창율, 높은 용융점 및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텅스텐의 저항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도 증가하나, 본 발명에서의 저온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는 저온에서 사용되므로, 텅스텐이 와이어 전극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할 수 있다.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는 테프론층 튜브(140)의 단부와 글래스 튜브(15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가 5-15mm 정도 테프론층 튜브(14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가스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는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불활성 가스와 반응한다. 이때 불활성 가스로서 헬륨 또는 아르곤 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스 유입구(160)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은 0.5 내지 3 l/min이 바람직하다.
테프론층 튜브(140)는 그 내부에 와이어 전극(1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테플론층 튜브(140)의 중심축(C) 방향의 길이는 와이어 전극(130)의 중심축(C)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테프론층 튜브(140)는 원뿔(cone)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10)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테프론층 튜브(140)는 유전체(dielectric substance)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히, 테프론층 튜브(14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와이어 전극(130)을 원뿔 형상으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전극 생성원 방향에서 플라즈마 발생 부위(즉,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로 갈수록 테플론층 튜브(140)의 직경이 점점 커지게 된다. 이때 테프론층 튜브(140)의 중심축(C) 방향의 길이는 전체 와이어 전극(130)의 중심축(C) 방향의 길이보다는 약간 짧게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는 테프론층 튜브(140)의 외부로 돌출된다.
글래스 튜브(150)는 그 내부에 테프론층 튜브(1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글래스 튜브(150)의 중심축(C) 방향의 길이는 와이어 전극(130)의 중심축(C)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글래스 튜브(150)의 중심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 형상의 일 단부에는 원뿔(cone) 형상의 집속부(151)가 형성된다.
상기 집속부(151)는 글래스 튜브(150)의 양단부 중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측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으로 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글래스 튜브(150)의 원통 형상 부분에는 테프론층 튜브(140)가 수용된다. 그리고, 글래스 튜브(150)에서 테프론층 튜브(140)가 수용되지 않는 부분에는 원뿔(cone) 형상의 집속부(1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집속부(151)를 통해 와이어 전극(13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 플룸(plume)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 전극 및 플라즈마 크기가 미세한 마이크로 플라즈마로써 기체 방전의 파셴의 법칙(Paschen's law)에 따라 훨씬 큰 기체압력에서도 방전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상압(대기압)에서도 플라즈마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시스템을 가동할 필요가 사라지며, 작은 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플라즈마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플라즈마 발생원의 이동성(portability)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저온 상압 살균유닛(100)은 효율적인 전기장의 분포를 가지는 구조로서, 하우징(110) 및 튜브 수용부(120) 내에 글래스 튜브(150)가 배치되고, 그 중심축에 와이어 전극(130)으로 구성되는 핀 전극이 콘 타입(cone-type)의 테플론층 튜브(140)에 둘러싸여 위치하고 있다. 이때 와이어 전극(130)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 전원(미도시)에는 펄스 DC 또는 RF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에 전기장을 집중시켜 낮은 전력(또는 전압)에서 여러 동작변수에 대해 플라즈마 점화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플라즈마의 온도는 상온을 유지함으로써, 생의학에 응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상압 살균유닛(100)은 단일의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에 전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는 구조의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로서, 낮은 전압하에서도 방전되도록 구성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압에서 낮은 전압으로도 플라즈마를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서 실온 가까이에서도 구동하며, 미세 크기로도 국소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작은 침투 깊이를 가져서 생의학적인 응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테프론층 튜브(140) 및 글래스 튜브(150)의 표면상에는 하나 이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유입구(160)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을 통하여 와이어 전극(130)의 일 단부(131)로 공급되어 플라즈마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홀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글래스 튜브(150)의 내부로 테프론층 튜브(140)가 밀착되어 있어,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가스가 글래스 튜브(150) 내부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홀을 형성하여 글래스 튜브(150) 내부로 가스 진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100)는 전극 말단에 전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고, 글래스 튜브(150)의 집속부(151)를 좁게 형성하여 국소적 영역에 저온 플라즈마 플룸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온 상압의 살균유닛으로부터 플룸(plume)이 발생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전극(130)의 끝에서 플룸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룸은 글래스 튜브(150)의 집속부(151)의 개구부를 통해 분출된다. 글래스 튜브(150)의 집속부(151)의 개구부는 매우 좁게 형성되어 있어 플룸을 집속할 수 있으며, 의료용으로 좁은 범위의 국소적 치료에 적절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가스에 비해 박테리아 멸균 효과 등 많은 이점이 있는 아르곤 가스의 경우, 상압에서 높은 방전 전압이 필요하다. 수천 볼트(V) 범위에서 작동하는 기존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에 비해, 본 발명의 저온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100)는 수백 볼트의 낮은 범위에서도 아르곤 방전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는 약 300K 정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플라즈마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단일 전극 끝에 전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는 구조의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로서,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는 방전 가스 및 구동 조건하에 있다 할지라도 낮은 전압 하에 점화가 가능하므로 활용성이 높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 및 11에서와 같이, 상기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유닛(200)은, 상기 본체(1) 내부공간의 벽면에 수평 설치되는 설치부(210)와 결합하여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를 변경하며, 상기 살균유닛(100)의 후단이 결합되는 각도변경부(220); 상기 각도변경부(220)와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각도변경시 회전을 지지하는 각도지지부(230);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 변경시에 상기 각도변경부(220)에서 이탈하여 상기 각도변경부(2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유닛(100)의 고정시에는 상기 각도변경부(220)에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막아 각도변경부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240)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지지부(230)의 결합봉(233)과 상기 각도고정부(240)의 양단에 탄성수단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탄성수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각도고정부(240)가 이동하고, 상기 각도고정부(240)의 이동을 통해서 상기 각도고정부(240)를 상기 각도변경부(220)와 결합 또는 분리시켜 상기 각도변경부를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의 경우 소재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도 경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코팅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의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모재 표면을 질화처리한다.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시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켜 코팅한다.
상기 질화처리는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로서, 일정온도로 유지되는 반응로 내부에서 일정시간 금속부품을 체류시켜 침질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여 최표면에 Fe2~3N(ε-phase)의 질화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질화처리에 의하여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질소만을 침투확산시켜 침질작용을 일으킴으로서 열처리 전 후의 치수 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내마모성 또는 내피로 특성을 부여하여 금속모재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인 표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질화처리의 시간은 1∼20시간으로 하여 상기 질소가 확산된 질화층의 두께를 2∼5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질화처리를 실시하는 로는 연속로, 유동상로, 피트형로 및 올케이스 로(Sealed Quench Furnace) 등의 어느 1종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직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고압의 물을 모재 표면에 분사하여 표면 산화물,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워터 제트(water jet)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작업은,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켜 코팅하는 단계로, 이와 같은 코팅작업에 의하여 금속모재의 표면에 고경도의 금속질화물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작업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챔버를 이용하여 챔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금속부품과 원료 분말과의 접촉을 더욱 균일하게 시킴으로서 더욱 균질한 코팅층을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질화물 코팅층이 형성되는 반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질화처리 단계에서 암모니아가스가 분해되면서 활성화된 질소를 금속부품 모재로 확산시켜 표면부에 질화층 Fe2 ~3N(ε phase) 및 Fe4N(γ' phase)을 형성시켜 경화하게 된다.
2NH3 ↔ 3H2 + 2[N]
다음으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이 보호가스 분위기 하에서 금속부품 모재와 반응하여 챔버 내에서 금속 질화물 코팅층이 생성된다. 그 반응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eV + Cl2 ⇒ VCl2 + Fe,
VCl2 + V + [N] ⇒ VN + Cl2,
FeNb + Cl2 ⇒ NbCl2 + Nb
NbCl2 + Nb + [N] ⇒ NbN + Cl2
즉, 상기 금속분말은 할로겐화금속 촉매의 촉매작용과 함께 상기 금속모재와 반응함으로써 금속부품의 표면에 FeN, NbN, CrN, VN 등의 미세하고 견고한 질화물을 형성시켜 고경도 표면 코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코팅단계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키는 반응시간은 3~9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증착이 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반응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표면의 경도 및 질화코팅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 및 금속 분말은 1: 1-5의 중량비로 투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 및 금속분말은, 상기 금속모재를 이루는 금속과 동종의 금속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동종의 금속을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질소가스가 반응하여 금속질화물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견고한 질화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분말은,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분말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FeV 또는 FeNb이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는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과 F, Cl, Br 및 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촉매로서 염화물 특히, FeCl2를 사용하고, 염화암모늄, 염화 니오븀 및 염화 바나듐 또한 특별히 유용한 형태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본체 2 : 히팅부
3 : 이송부 4 : 용기안착부
5 : 포장부 6 : 전원부
7 : 도안위치조절부 8 : 제어부
100 : 살균유닛 110 : 하우징
120 : 튜브 수용부 130 : 와이어 전극
140 : 테프론층 튜브 150 : 글래스 튜브
160 : 가스 유입구 170 : 전원 공급부
200 : 각도조절유닛 210 : 각도지지부
220 : 각도변경부 230 : 각도고정부
240 : 탄성수단

Claims (3)

  1. 식품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필름에 의해 밀봉하는 본체를 구비한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로서,
    상기 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채, 상기 본체(1) 내부공간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살균유닛(100)은 불활성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 상기 가스유입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채 구동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전극(130); 내부에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테프론층 튜브(140); 및 내부에 상기 테프론층 튜브의 일부가 수용되고, 일 단부에 집속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1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글래스튜브(150);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유닛(200)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벽면에 수평 설치되는 각도지지부(210)와 결합하여 살균유닛(100)의 설치각도를 변경하며, 상기 살균유닛의 후단이 결합되는 각도변경부(220); 상기 각도변경부와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각도변경시 회전을 지지하는 각도지지부(210); 살균유닛의 설치각도 변경시에 상기 각도변경부(220)에서 이탈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유닛의 고정시에는 상기 각도변경부에 결합하여 상기 각도변경부의 회전을 막아 각도변경부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230)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지지부(210)의 결합봉(213)과 상기 각도고정부의 양단에 탄성수단(240)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탄성수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각도고정부(230)가 이동하고, 상기 각도고정부의 이동을 통해서 상기 각도고정부(230)를 상기 각도변경부(220)와 결합 또는 분리시켜 상기 각도변경부를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식품용기(V) 밀봉용 필름(P)이 롤 형태로 지지되되 상기 필름(P)의 가장자리에는 마킹(S)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인쇄되며, 그 중앙 부분에 각 식품용기(V)의 일정 부분에 배치시키기 위한 도안(D)이 등간격으로 인쇄되는 포장부(5); 상측에 상기 포장부(5)가 안착 가능하게 양측으로 기립된 측판(11)과, 상기 측판(11)들의 마주보는 내측에 일정 간격 장착되는 고정봉(12)과, 상기 각 고정봉(12)의 양단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포장부(5)의 크기에 유동적으로 대응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간격조절판(13)이 구비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내측에서 승하강 하면서 상기 필름(P)과 식품용기(V)의 상측 접촉부를 열에 의해 융착시키는 히팅판(21)이 구비된 히팅부(2); 상기 본체(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식품용기(V)가 내측에 수납된채 필름(P)의 선단과 함께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플레이트(32)를 포함하는 이송부(3); 상기 이송플레이트(32)가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식품용기(V)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P)의 마킹(S)을 센싱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감지신호가 미 발생시 상기 필름(P)을 되감기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안위치조절부(7); 및 상기 도안위치조절부(7)의 감지신호 미 발생시 상기 필름(P) 상의 도안(D)이 식품용기(V)의 정위치에 배치 불가능한 것으로 인지하여 감지신호 발생시까지 상기 도안위치조절부(7)를 되감기 작동 제어시키는 제어부(8);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로 되며, 그 표면에는 경도 보강을 위해 코팅처리 하되, 하우징의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모재 표면을 질화처리 하며,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시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켜 코팅하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층 튜브(140) 및 글래스 튜브(150)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KR1020170144938A 2017-11-01 2017-11-01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KR10200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938A KR102004377B1 (ko) 2017-11-01 2017-11-01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938A KR102004377B1 (ko) 2017-11-01 2017-11-01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79A KR20190049279A (ko) 2019-05-09
KR102004377B1 true KR102004377B1 (ko) 2019-07-26

Family

ID=6654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938A KR102004377B1 (ko) 2017-11-01 2017-11-01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432B1 (ko) * 2021-11-26 2022-07-21 송정연 식품용기 포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7B1 (ko) * 2009-01-12 2011-03-09 김춘추 이동중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KR101140410B1 (ko) * 2009-05-11 2012-05-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50382B1 (ko) * 2010-07-09 2012-06-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397Y1 (ko) 2006-07-07 2006-10-16 김남평 음식물용기의 밀봉 포장기계
KR101041377B1 (ko) 2008-08-22 2011-06-15 김남평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의 캠 장치
KR101456685B1 (ko) * 2013-03-08 2014-11-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부품의 고경도 표면코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7B1 (ko) * 2009-01-12 2011-03-09 김춘추 이동중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KR101140410B1 (ko) * 2009-05-11 2012-05-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50382B1 (ko) * 2010-07-09 2012-06-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79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377B1 (ko) 살균유닛을 갖는 식품용기용 밀봉포장기
EP2135625B1 (en) Microwave plasma sterilizing device and method
EP2422982B1 (en) First drop dissimilarity in drop-on-demand inkjet devices and methods for its correction
US5633424A (en) Device and methods for plasma sterilization
US7101518B1 (en) Plasma disinfection system
US6503579B1 (en) Plasma CVD method, plasma CVD apparatus, and electrode
JP5015317B2 (ja) 密閉した容器における液体の滅菌
US20120261590A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a container
WO1996021473A9 (en) Device and methods for plasma sterilization
JP5604511B2 (ja) 過酸化水素ガス生成装置
CN102605350A (zh) 阻隔膜形成装置、阻隔膜形成方法及阻隔膜被覆容器
JP2004026171A (ja) 高電圧パルス電源を用いた包装材料の殺菌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2660353A1 (en) Method for producing gas barrier plastic molded body
US20180148209A1 (en) In-package plasma surface ster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7269325A (ja) 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JP2006176211A (ja) 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JP2008044640A (ja) 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EP0352337A1 (en) Sanitary device
HK1074758A1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JP2875198B2 (ja) 高周波加熱殺菌装置および方法
CN105435254B (zh) 奶瓶消毒器
JPH0241162A (ja) マイクロ波を利用したアンプルの滅菌方法と装置
RU2067003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тел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09150813A (ja) 食品容器の殺菌方法及びその殺菌装置
EP2418085B1 (en) Sub-Threshold Voltage Priming of Inkjet Devices to Minimize First Drop Dissimilarity in Drop on Demand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