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349B1 - 신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349B1
KR102004349B1 KR1020180022917A KR20180022917A KR102004349B1 KR 102004349 B1 KR102004349 B1 KR 102004349B1 KR 1020180022917 A KR1020180022917 A KR 1020180022917A KR 20180022917 A KR20180022917 A KR 20180022917A KR 102004349 B1 KR102004349 B1 KR 10200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ater
steam
cleaning liquid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102018002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05B12/34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movable relative to the spray area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6Shoe cleaning or polishing brush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배수관이 구비된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서 전방이 개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를 포함하는 브러쉬부와,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와,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와,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에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세척장치 {SHOES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발을 파지하고 회전되는 브러쉬에 접촉시켜 세척시키는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배수관이 구비된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서 전방이 개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를 포함하는 브러쉬부와,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와,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와,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에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동화와 같은 신발을 세척할 때에는 세척솔을 사용하여 세제를 묻히고 신발을 손으로 잡고 문질러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리며 힘이 많이 든다.
따라서, 각 가정의 신발을 수거하여 일정한 비용을 받고 세척해 주는 운동화 전용 세탁소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업체에는 신발을 자동 혹은 반자동으로 세척해주는 신발 세척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용 세탁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신발 세척장치는 세탁수가 공급되는 세탁기의 세탁조 내에 신발을 넣고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구조나 상기 세탁조는 회전하지 않고 세탁수만 회전시키는 구조이며, 이에 부가하여 상기 세탁조 내벽이나 바닥에 브러쉬 등을 고정설치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기식의 신발 세척장치는 신발을 일률적으로 투입한 후 세탁가의 작동에 의해 세탁이 수행되기 때문에, 그 형체가 고정화 되어 있는 신발은 의류와 같이 부드럽게 변형되면서 세탁될 수가 없어서 의류의 경우와 같은 방식의 세탁방식으로는 깨끗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발의 구석구석 또는 후미진 곳에는 세탁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자동식 신발 세척장치는 그 활용되는 예가 극히 저조하며, 통상적으로 신발 전용 세탁소에도 브러쉬 등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세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수작업의 경우에는 신발을 깨끗하게 세탁하는 것은 가능하나 시간이 많이들고, 또한 작업자에게 쉽게 피로감을 가져오게 되어 작업능률이 시간이 감에 따라 크게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181호에는 '반자동 신발세척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몸체케이스 내에 그 표면에 종류별로 구획된 세척모가 형성되어 편리하게 세척이 가능한 브러쉬드럼이 횡설되어 신발의 요철부분까지 깨끗이 세척되고,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타측에는 역시 그 표면에 세척모가 형성된 신발내부세척용의 브러쉬봉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신발세척을 대단히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반자동 신발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드럼브러쉬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를 구비하고, 봉브러쉬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를 구비한 신발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세척을 위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으로, 세척액공급부와, 물공급부와, 스팀공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신발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배수관이 구비된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서 전방이 개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를 포함하는 브러쉬부와,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와,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와,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에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드럼브러쉬의 상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신발이 세척되면서 튀는 물을 차단하는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드럼브러쉬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토출공이 형성된 토출관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토출공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림판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일측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림판이 회동되어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토출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브러쉬는 후방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벽체에서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전방 단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표면에 다수의 세척모가 구비되는 고정캡이 구비되고, 상기 봉브러쉬용 분사장치는 상기 회전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토출공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급수단은 세척액이 수용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상기 브러쉬부로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공급관과, 상기 세척액공급관을 개폐하는 세척액조절밸브와, 상기 세척액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세척액공급스위치를 포함하는 세척액공급부와, 외부에 마련된 수도로부터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브러쉬부로 유입시키는 수도공급관과, 상기 수도공급관을 개폐하는 수도조절밸브와, 상기 수도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수도공급스위치를 포함하는 물공급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발생된 스팀을 상기 브러쉬부로 토출시키는 스팀공급관(562)과,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조절밸브와, 상기 스팀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스팀공급스위치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를 포함하여, 신발의 외부와 내부의 세척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와 봉브러쉬용 분사장치를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신발의 외부와 내부에 분사함으로써, 세척액을 신발에 도포하거나 브러쉬부를 회전시켜 오물을 제거하거나 물을 분사하여 씻어내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봉브러쉬용 분사장치를 통해 신발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곰팡이 또는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다른 구동부의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의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판이 회동된 상태의 개략도
도5는 도 4의 부분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의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배수관이 구비된 개수대(10);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서 전방이 개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31)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32)를 포함하는 브러쉬부(30);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41)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42)와,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구동스위치(43)를 포함하는 구동부(40);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와,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에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53)을 구비하는 분사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수대(10)는 하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공간부가 구비되는 케이스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 마련된 세척공간부의 상부에서 좌우판과 뒷판 및 상판이 구비되어 사용자를 향해 전방이 개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부(3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31)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32)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브러쉬(31)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쪽 단부를 고정하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브러쉬(31)는 외주면에 다양한 재질의 신발에 대응하여 신발의 파손을 최소화 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상이한 재질의 세척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브러쉬(32)는 후방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뒷판에서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회전관(321)과, 상기 회전관의 전방 단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표면에 다수의 세척모가 구비되는 고정캡(322)이 구비되며, 상기 봉브러쉬를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 단부를 고정하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개수대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41)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42)와,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구동스위치(4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41)는 상기 개수대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드럼브러쉬(31)와 봉브러쉬(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벨트(42)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구동스위치(43)는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를 회전시키거나 멈추며,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신발을 잡고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의 전방 지면에 설치되어 발로 밟아 동작시키는 풋스위치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41)와 벨트(42) 및 구동스위치(43)는 상기 드럼브러쉬(31)과 봉브러쉬(32)에 대응하여 각각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드럼브러쉬(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a)와 벨트(42a) 및 구동스위치(43a)가 구비되고, 상기 봉브러쉬(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b)와 벨트(42b) 및 구동스위치(43b)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부(50)는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와,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에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53)을 구비한다.
도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드럼브러쉬의 상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신발이 세척되면서 튀는 물을 차단하는 가림판(511)과, 상기 가림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드럼브러쉬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토출공(513)이 형성된 토출관(512)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토출공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림판(511)은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브러쉬(31)가 회전하면서 튀는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브러쉬의 상부에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토출관(512)은 상기 가림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드럼브러쉬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토출공(5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수단(53)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토출관(512)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토출공(513)을 통해 드럼브러쉬(31)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림판(511)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일측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고정돌기(514)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림판(511)이 회동되어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토출공(513)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돌기(514)는 상기 가림판의 양쪽 단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돌기는 가림판의 양쪽 단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가림판의 양쪽 단부의 전방에는 양쪽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515)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돌기(515)가 하우징(20)의 일측에 거치됨으로써 가림판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는 상기 회전관의 내부에는 중공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토출공(522)이 형성되어, 상기 제2토출공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봉브러쉬(32)는 후방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뒷판에서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회전관(321)과, 상기 회전관의 전방 단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표면에 다수의 세척모가 구비되는 고정캡(322)이 구비되는데, 상기 봉브러쉬용 분사장치는 상기 회전관(32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52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관(321)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캡(32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2토출공(522)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수단(53)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관(321)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2토출공(522)을 통해 봉브러쉬(32)로부터 외부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봉브러쉬(32)를 신발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상기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를 작동시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신발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신발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와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를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신발의 외부와 내부에 분사함으로써, 세척액을 신발에 도포하거나 브러쉬부를 회전시켜 오물을 제거하거나 물을 분사하여 씻어내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를 통해 신발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곰팡이 또는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53)은 세척액이 수용된 저장조(541)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공급펌프(542)와,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상기 브러쉬부로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공급관(543)과, 상기 세척액공급관을 개폐하는 세척액조절밸브(544)와, 상기 세척액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세척액공급스위치(545)를 포함하는 세척액공급부(54)와, 외부에 마련된 수도로부터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브러쉬부로 유입시키는 수도공급관(551)과, 상기 수도공급관을 개폐하는 수도조절밸브(552)와, 상기 수도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수도공급스위치(553)를 포함하는 물공급부(55)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561)와, 발생된 스팀을 상기 브러쉬부로 토출시키는 스팀공급관(562)과,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조절밸브(563)와, 상기 스팀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스팀공급스위치(564)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5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액공급부(54)는 세척액이 수용된 저장조(541)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공급펌프(542)와,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상기 브러쉬부로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공급관(543)과, 상기 세척액공급관을 개폐하는 세척액조절밸브(544)와, 상기 세척액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세척액공급스위치(545)를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부(55)는 외부에 마련된 수도로부터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브러쉬부로 유입시키는 수도공급관(551)과, 상기 수도공급관을 개폐하는 수도조절밸브(552)와, 상기 수도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수도공급스위치(553)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공급부(56)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561)와, 발생된 스팀을 상기 브러쉬부로 토출시키는 스팀공급관(562)과,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조절밸브(563)와, 상기 스팀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스팀공급스위치(56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수단(53)은 상기 세척액공급부(54)와, 물공급부(55) 및 스팀공급부(56)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함으로써,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를 통해 브러쉬부(3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53)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로 유도하기 위한 연결관을 개폐하는 분사조절스위치(57)가 구비되되, 상기 분사조절스위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신발을 잡고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의 전방 지면에 설치되어 발로 밟아 동작시키는 풋스위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신발 세척장치
10: 계수대 20: 하우징
30: 브러쉬부 31: 드럼브러쉬
32: 봉브러쉬 321: 회전관
322: 고정캡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벨트
43: 구동스위치 50: 분사부
51: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511: 가림판
512: 토출관 513: 제1토출공
514: 고정돌기 515: 안착돌기
52: 봉브러쉬용 분사장치 521: 중공부
522: 제2토출공 53: 공급수단
54: 세척액공급부 541: 저장조
542: 공급펌프 543: 세척액공급관
544: 세척액조절밸브 545: 세척액조절스위치
55: 물공급부 551: 수도공급관
552: 수도조절밸브 553: 수도공급스위치
56: 스팀공급부 561: 스팀발생장치
562: 스팀공급관 563: 스팀조절밸브
564: 스팀공급스위치 57: 분사조절스위치

Claims (5)

  1.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배수관이 구비된 개수대(10);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서 전방이 개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브러쉬(31)와,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봉브러쉬(32)를 포함하는 브러쉬부(30);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41)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봉브러쉬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42)와,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구동스위치(43)를 포함하는 구동부(40);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외부를 세척하는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와, 상기 봉브러쉬로부터 외부로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켜 신발의 내부를 세척하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와,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 또는 봉브러쉬용 분사장치에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53)을 구비하는 분사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브러쉬용 분사장치(51)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드럼브러쉬의 상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신발이 세척되면서 튀는 물을 차단하는 가림판(511)과, 상기 가림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드럼브러쉬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토출공(513)이 형성된 토출관(512)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토출공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드럼브러쉬를 향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511)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일측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림판(511)이 회동되어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토출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브러쉬(32)는 후방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벽체에서 작업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관(321)과, 상기 회전관의 전방 단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표면에 다수의 세척모가 구비되는 고정캡(322)이 구비되고,
    상기 봉브러쉬용 분사장치(52)는 상기 회전관의 내부에는 중공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토출공(522)이 형성되어, 상기 제2토출공을 통해 세척액,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53)은 세척액이 수용된 저장조(541)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공급펌프(542)와,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상기 브러쉬부로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공급관(543)과, 상기 세척액공급관을 개폐하는 세척액조절밸브(544)와, 상기 세척액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세척액공급스위치(545)를 포함하는 세척액공급부(54)와, 외부에 마련된 수도로부터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브러쉬부로 유입시키는 수도공급관(551)과, 상기 수도공급관을 개폐하는 수도조절밸브(552)와, 상기 수도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수도공급스위치(553)를 포함하는 물공급부(55)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561)와, 발생된 스팀을 상기 브러쉬부로 토출시키는 스팀공급관(562)과,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조절밸브(563)와, 상기 스팀조절밸브를 작동하는 스팀공급스위치(564)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5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KR1020180022917A 2018-02-26 2018-02-26 신발 세척장치 KR10200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917A KR102004349B1 (ko) 2018-02-26 2018-02-26 신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917A KR102004349B1 (ko) 2018-02-26 2018-02-26 신발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349B1 true KR102004349B1 (ko) 2019-07-26

Family

ID=6746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917A KR102004349B1 (ko) 2018-02-26 2018-02-26 신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3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034A (ko) * 2009-04-17 2010-10-27 김종석 신발 세척기
KR101318030B1 (ko) * 2012-10-31 2013-10-14 김광석 신발 세척기
KR101524474B1 (ko) * 2014-09-26 2015-06-02 주식회사 두레마을 가정용 신발 내부 세척 및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034A (ko) * 2009-04-17 2010-10-27 김종석 신발 세척기
KR101318030B1 (ko) * 2012-10-31 2013-10-14 김광석 신발 세척기
KR101524474B1 (ko) * 2014-09-26 2015-06-02 주식회사 두레마을 가정용 신발 내부 세척 및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386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155066B1 (ko) 운동화 전용 자동 세척기
TWI320066B (ko)
JP2983161B2 (ja) 噴射ノズル組立体を具備した洗濯機
KR102083363B1 (ko) 운동화 전용 자동 세척기
CN110093735B (zh) 一种滚筒洗衣机
KR2013011497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청소장치
CN203462293U (zh) 洗衣机及其局部污渍去除装置
CA2687391A1 (en) Sole cleaning machine
KR20130117606A (ko) 운동화 자동 세척기
CN107503078B (zh) 波轮洗衣机的控制方法
KR20100078392A (ko) 세탁장치
KR102004349B1 (ko) 신발 세척장치
JP200606819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072936B1 (ko) 좌변기용 시트 세척 장치
KR102141562B1 (ko)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US6141811A (en) Automatic hand washer
KR20140002849U (ko) 골프그립 세척기
KR200205500Y1 (ko) 신발 내부 세척 장치
CN109402933B (zh) 一种清洗装置
US20200370230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KR102550594B1 (ko) 골프클럽 세척장치
JP2759311B2 (ja) 洗濯機
CN113026297A (zh) 一种自清洁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214906552U (zh) 一种自动化洗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