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836B1 -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836B1
KR102003836B1 KR1020190017142A KR20190017142A KR102003836B1 KR 102003836 B1 KR102003836 B1 KR 102003836B1 KR 1020190017142 A KR1020190017142 A KR 1020190017142A KR 20190017142 A KR20190017142 A KR 20190017142A KR 102003836 B1 KR102003836 B1 KR 102003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ing film
frame
base plate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영회
김재천
정욱기
Original Assignee
(주)대성명품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명품도어 filed Critical (주)대성명품도어
Priority to KR102019001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separable door system with a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which comprises a vertical frame, a horizontal frame, and a heating film and a heat loss blocking insulating material on a door. Therefor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a facility partitioned by the door is reduced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the door and each frame, and further, in case of necessity, the heating film can be replaced.

Description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ble door system having a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도어에 난방필름 및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에 의해 구획되는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여 도어 및 각 프레임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되 필요시 난방필름의 교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system that includes a vertical frame, a horizontal frame, and a door with a heating film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loss, thereby reduc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a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door system provided with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that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in each frame and enables replacement of a heating film when necessary.

아파트나 주택은 물론 각종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는 설계시의 목적에 따라 실내 공간이 다수 개의 격실로 구획 형성되며, 각각의 격실에는 이용자의 출입 편의를 위하여 도어가 설치된다. In a building or a facility such as an office building or an office building as well as an apartment or a house, an indoor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sign, and a door is installed in each compartment for convenience of access.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도어는 격실의 벽면에 마련된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시공된 도어 프레임의 개방 영역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도어의 가장자리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 단부에 접촉 지지되어 실내외의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를 제공하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이용자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Generally, most doors ar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open area of a door frame installed at an edge of an entrance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a compartment. That is, when the door is closed, the edge of the door is contacted with the inner end of the door frame to provide the effect of heat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inside and outside the room, and the user can enter and leave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이러한 도어의 개폐하는 방법에 따라 미닫이, 여닫이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중에서도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door is divided into a sliding door and a casement door. Among them, a door in the form of a hinged door, which is rotated by a hinge at one side of the door frame, is generally used.

한편, 도어에 의해 건축물 또는 시설물은 내부와 외부의 공간이 구획되게 되는데,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에서는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며, 온도차가 일정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도어의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or the facility divides the inside or the outside space by the do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inside space and the outside spac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viates from a certain range, condensa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door.

특히 도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쪽의 공기가 차가운 경계면인 도어의 프레임과 부딪힘에 따라 내부측 도어의 프레임에 이슬이 맺히게 되며, 겨울철에는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로 현상이 더욱 쉽게 발생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oor, dew is formed on the frame of the inner door due to the air hav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colliding with the frame of the door, which is a cold interface, and the indoor heat is generated in the winter, .

결로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맺힌 이슬이 바닥면까지 흘러 내려 실내의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벽면을 훼손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로 된 가구, 예를 들면 신발장 등의 코팅막이 훼손된 경우, 가구는 물론이고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썩거나 곰팡이가 피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When condensation occurs, dew formed on the floor flows down to the floor surface, thereby contaminating the indoor environment or damaging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when a coating film such as a wooden furniture, for example, a shoe box, is damaged, it may cause problems such as decay of furniture stored inside the furniture, mold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결로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는 바,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10-2013-009789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s arise due to the condensation phenomenon, and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door system for prevent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One of these techniques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7897 ).

상기 종래기술은 도어 프레임의 단면 내측에 도어 프레임을 설정된 온도로 발열시키는 발열수단이 내장되도록 하여 실 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도어 프레임에서 결로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ventional art,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door fram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built in an end face of the door frame,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in the door fram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도어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도어에는 발열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에서는 여전히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generated in the door frame by the heat generat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However, since the door provided in the door frame is not provided with the heat generating means, There is a problem.

아울러 종래기술에서는 발열수단이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로 발열수단의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인 바, 발열수단의 고장시 발열수단만의 교체가 불가능하여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in the prior art,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heat generating means. Therefore, only the heat generating means can not be replaced when the heat generating means fails.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도어 프레임의 내부로 가둬두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손실이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eat energy is easily lost because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means is not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KR 10-2013-0097897 (2013.09.04.)KR 10-2013-0097897 (2013.09.04.)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도어에 난방필름 및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에 의해 구획되는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여 도어 및 각 프레임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되 필요시 난방필름의 교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tical frame, a horizontal frame and a door with a heating film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heat loss, Which is provided with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 facility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the door and each frame while replacing the heating film when necessary.

본 발명은 시설물(1)의 내부와 외부 공간을 구획하되, 일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면서 상기 시설물(1) 내로 사람의 입장이 가능하게 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0);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끝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00);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에서 일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300); 상기 시설물(1)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난방필름(400); 및 상기 난방필름(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ystem for partitioning an inside and an outside space of a facility (1) and allowing a person to enter into the facility (1) while rotating in one direction, the door system comprising an empty frame and extending vertically , A pair of vertical frames (100)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horizontal frames 200 each having an inner hollow frame and connecting between the ends of the vertical frame 100; A door 300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one direction; A heating film 400 provided outside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door 300 toward the interior of the facility 1; And a controller (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film (400).

한편, 상기 난방필름(400)은,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 1난방필름(400a);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 2난방필름(400b); 및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제 3난방필름(400c)을 포함한다.The heating film 400 includes a first heating film 40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0; A second heating film 400b provided outside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a third heating film 400c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door 300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facility 1.

이때, 상기 제 1난방필름(400a)와 상기 제 2난방필름(400b)의 노출된 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용 커버(500)가 분리 및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a cover 500 for covering the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heating film 400a and the second heating film 400b can be detachably and fastened.

또한 상기 마감용 커버(5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난방필름(400)의 노출된 부분을 가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이 난방필름(400)과 면대향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판(510); 및 'ㄷ'자 단면이 상기 베이스판(5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단면의 절곡된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판(510)의 양단에 구비되는 나사체결부(520)를 포함하도록 한다.The cover 500 for covering the base 500 includes a base plate 510 having one side thereof facing the heating film 400 so as to face the heating film 400 while cover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heating film 400, ; And a screw connecting portion 520 having a curved end fac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10 and having one end bent at one end thereof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510 .

한편, 상기 난방필름(400)의 노출된 일면에는 상기 난방필름(40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는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heating film 400, a heat insulating material 700 for preventing heat loss, which prevents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heating film 400, is further provided.

한편, 상기 시설물(1)과 맞닿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 및 수평 프레임(200)의 면에는, 상기 난방필름(400)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시설물(1)의 냉기를 차단하는 결로방지용 단열재(8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On the surfaces of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contacting with the facility 1,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preventing the heat loss of the heating film 400 and for blocking the cold of the facility 1 (800).

한편, 상기 도어(300)에는, 일측이 상기 시설물(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0)의 외관의 형태를 형성하되, 상기 도어(30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강부재(9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One side of the door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1 and the other side of the door 300 is disposed inside the door 300 to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door 300, 3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900 for improving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에 난방필름이 각각 구비되어 각 구성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각 구성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ing film is provided in each of the door,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o generate heat in each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in each configuratio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acilit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난방필름과 제 2난방필름은 마감용 커버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비되고, 제 3난방필름은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난방필름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ing film and the second heating film are provided to be protected by the covering cover, and the third heating film is provided inside the door, thereby preventing the heating film from being damaged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용 커버와 도어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난방필름의 고장시 쉽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osing cover and the door are detachably fastened, the heating film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heating film f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의 설시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과 마감커버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면부에 다양한 미적 요소를 가미한 실시 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강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결합부재의 사용 실시예의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of an illustrative embodiment of a detachable door system provided with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do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rtical frame or a horizontal frame and a finish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corporating various aesthetic elements in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uxiliary coupling member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에 난방필름(400) 및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300)에 의해 구획되는 시설물(1)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여 도어(300) 및 각 프레임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되 필요시 난방필름(400)의 교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door 300 are provided with the heating film 400 and the heat-insulating insulation material 700, (300) and the frame (300)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acility (1) partitioned by the door (300) To a detachable door system having a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의 설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과 마감커버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면부에 다양한 미적 요소를 가미한 실시 예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결합부재의 사용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tachable door system provided with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rtical frame or a horizontal frame and a covering cov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uxiliary coupl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1)의 내부와 외부 공간을 구획하되, 일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면서 상기 시설물(1) 내로 사람이 입장이 가능하게 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도어(300), 난방필름(400) 및 제어부(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system for partitioning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of a facility 1, allowing a person to enter the facility 1 while being rotated in one direction, A vertical frame 100, a horizontal frame 200, a door 300, a heating film 400, and a control unit C. [

상기 수직 프레임(100)은 도어(300)가 설치되는 문틀의 수직 바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The vertical frame 100 is for forming a vertical bar of a door frame 300 on which a door 300 is installed. The vertical frame 100 is formed as an empty frame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평 프레임(200)은 도어(300)가 설치되는 문틀의 수평 바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상단 및 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The horizontal frame 200 is for forming a horizontal bar of the door frame 300 on which the door 300 is installed. The horizontal frame 200 is formed as an empty frame and connects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00.

즉, 상기 수직 프레임(100) 및 수평 프레임(200)은 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체결된다. That is,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are fastened to form a rectangular structure.

상기 도어(300)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에서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door 300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300)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상태로 구비되는 외면부(330), 상기 외면부(330)의 수직방향 양단에서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면부(320), 상기 외면부(330)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여 상기 외면부(330)와 직교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340) 및 상기 외면부(310)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측면부(340)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내면부(310)를 포함한다.2 and 4, the door 300 includes an outer surface 330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of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A pair of vertical surface portions 320 that are bent so as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unit 3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acility 1, A pair of side portions 340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portion 330 toward the inner side and an inner surface portion 340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340 in a state of being faced to the outer surface portion 310, Gt; 310 < / RTI >

이때, 상기 측면부(340)의 각 끝단에는 상기 외면부(330) 및 내면부(310)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면서 상호 구성을 고정하는 날개부(341)를 더 포함한다.At each end of the side part 340, a wing part 341 for fixing the mutual constitution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outer side part 330 and the inner side part 310 is further included.

부연하면, 상기 날개부(341)는 상기 측면부(340)의 각 끝단에서 절곡되면서 상기 외면부(330) 또는 상기 내면부(3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표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외면부(330) 및 내면부(31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날개부(341)의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외관이 깔끔함은 물론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The wing portion 341 is form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330 or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while being bent at each end of the side surface portion 340. [ Since the outer surface portion 33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ar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wing portions 341 arra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outer surface portion 33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are provided in the door 300, So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stably and fixedly arranged.

이때, 상기 내면부(310)는 상기 날개부(341)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피스)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구성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a piece) so that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can b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wing portion 341.

상기 난방필름(400)은 상기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의 발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1)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에 각각 구비된다. 2 to 5, the heating film 400 is used to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door 300. As shown in FIGS. 2 to 5,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door 300 facing each other.

부연하면, 상기 난방필름(4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얇은 시트의 형태로 이루어진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난방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상기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의 일면에 각각 면접촉되면서 구비된다.The heating film 400 is made of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ing film in the form of a thin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300, respectively.

이때, PTC 난방필름이란 정특성 온도 계수를 갖는 난방필름으로서, 난방필름을 구성하는 발열체의 입자가 온도센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열체가 스스로 온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전력소비를 억제하여 과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난방필름이다.At this time, the PTC heating film is a heating film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Since the particles of the heating element constituting the heating film serve as a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controlled by itself, It is a heating film that can be don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난방필름(400)은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 1난방필름(400a),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 2난방필름(400b) 및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제 3난방필름(400c)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film 400 includes a first heating film 40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0, a second heating film 40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a third heating film 400c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door 300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facility 1.

즉, 상기 제 3난방필름(400c)은 상기 내면부(310)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That is, the third heating film 400c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

한편, 상기 난방필름(400)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효율이 떨어지거나 계속된 사용 또는 각 구성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한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방필름(400)이 필요시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film 400 may be inefficient in performance over time, or may be damaged due to continued use or impact applied to each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

부연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외측면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100) 및 수평 프레임(200)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 및 수평 프레임(200)에 구비된 난방필름(400a, 400b)의 노출된 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용 커버(500)가 분리 및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감용 커버(500)는 베이스판(510)과 나사체결부(520)를 포함한다.2 to 5,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200,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are separa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cover the exposed surfaces of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finish cover 500 includes a base plate 510 and a screw coupling part 520.

상기 베이스판(5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의 노출된 부분을 가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이 난방필름(400a, 400b)과 면대향된 상태로 구비된다. The base plate 510 is formed of a plate which covers the exposed portions of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while being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one surface facing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부연하면, 상기 베이스판(510)은 상기 난방필름(400a, 400b)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난방필름(400aa, 400b)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면대향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510)이 연장된 방향을 길이방향,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폭방향이라 한다.The base plate 510 is formed of a plate having the same or relatively large area as that of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films 400aa and 400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espectively. At this time,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plate 510 extends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상기 나사체결부(520)는 'ㄷ'자 단면이 상기 베이스판(5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되, 상기 단면의 절곡된 끝단이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을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베이스판(510)의 양단에 구비된다.The screw fastening part 520 has a curved end f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10 so that the curved end of the end face faces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An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510.

부연하면, 상기 나사체결부(520)는 상기 베이스판(510)과 나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판(510)의 폭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밑판(521)과 상기 밑판(521)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절곡날개(522)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날개(522)의 돌출된 끝단이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The screw fastening portion 520 includes a bottom plate 521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10 in parallel with the base plate 510, And a protruding end of the bending blade 522 is disposed to face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마감용 커버(500)의 체결시,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은 상기 나사체결부(520)의 사이에 배치되되, 노출된 일면에 상기 베이스판(510)에 배치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상태가 되는 상태가 된다.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are disposed between the screw coupling portions 520 and are connect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base plate 510 And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a state of being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밑판(511)을 관통하여 나사를 체결하게 되면, 나사가 상기 절곡날개(5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100) 또는 수평 프레임(200)과 안정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된다.When the screw is screwed through the bottom plate 511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screw is stably fastened to the vertical frame 100 or the horizontal frame 20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ending wing 522 .

이때, 상기 절곡날개(522)는 상기 나사의 체결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510)이 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nding blade 522 can also prevent the base plate 510 from being bent according to the fastening of the screw.

또한, 상기 나사체결부(520)는 상기 베이스판(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 현장의 상태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나사를 체결하는 위치 및 개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crew fastening part 52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10 and can easily change the position and number of tightening the screw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or the user's selection.

한편, 상기 절곡날개(522)는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밑판(521)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곡날개(522)의 사이로 체결된 나사는 더욱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bottom plate 521 side. Accordingly, the screw fastened between the bending blades 522 can be more firmly fasten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용 커버(500)에는 상기 나사체결부(5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체결된 나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나사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보조부(600)가 더 구비되며, 이는 몸체(610) 및 고정단(620)을 포함한다. 8, the finishing cover 500 is slidab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fastening part 520, and the fastened screw is elastically supported to firmly fix the screw And a locking assisting part 600 for retaining the fastened state. The locking assisting part 600 includes a body 610 and a fixed end 620.

상기 몸체(610)는 중심부에 상기 나사가 관통 삽입되는 체결홀(611)이 상기 밑판(521)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절곡날개(522)의 사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절곡날개(522)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된다.The body 610 is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bending wings 522 with a fastening hole 611 through which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610 so as to face the bottom plate 521. The bending wing 522 The sliding movement is guided.

부연하면, 상기 몸체(610)는 중심부에 상기 체결홀(611)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일방향 양단에 한 쌍의 다리가 절곡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홀(611)이 상기 수직 프레임(100) 또는 수평 프레임(200)을 향하되, 상기 다리가 상기 절곡날개(522)와 면접촉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나사체결부(520)에 구비된다.The body 610 is formed with a pair of legs bent at one end of one side of the plate in which the fastening hole 611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611 is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100 or And is provided on the screw coupling part 520 so as to face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legs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ending blade 522.

이때, 상기 몸체(610)의 다리는 절곡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다리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체결보조부(600)는 상기 나사체결부(5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다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leg of the body 610 may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eg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bent end, so that the locking assisting portion 600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fastening portion 52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osition arrang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leg.

상기 고정단(620)은 상기 체결홀(6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체결홀(611)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데, 이때, 상기 밑판(521)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다.A plurality of the fixed ends 620 are radial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holes 611 and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s 611. At this time, .

상기 체결보조부(600)에 의해 상기 나사체결부(520)로 삽입 체결된 나사는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screw inserted into the screw fastening part 520 by the fastening assisting part 600 is not released from the disposed position even if an impact or the like is applied.

부연하면, 상기 체결보조부(60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611)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면, 상기 고정단(620)의 끝단이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100) 또는 수평 프레임(200)측으로 인입되게 되며, 상기 나사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고정단(620)은 상기 나사의 외주면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When the screws are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611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assisting portion 600 is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the ends of the fastening ends 620 are fastened to the vertical frame 100 by the screws, Or the horizontal frame 200. When the screw is completely inserted, the fixed end 620 elastically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이때, 상기 고정단(620)의 끝단은 상기 나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나사가 쉽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감용 커버(500)와 상기 수직 프레임(100) 또는 수평 프레임(2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xed end 620 elastically supports the screw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fixed end 620 is disposed between the grooves of th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Since the screw is not easily released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over 500 and the vertical frame 100 or the horizontal frame 200 are stably coupl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난방필름(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난방필름(400)의 동작, 가열온도 등이 제어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film 4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film 400,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like.

부연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 1난방필름(400a), 상기 제 2난방필름(400b) 및 상기 제 3난방필름(400c)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주변환경에 따라 각 난방필름(400)의 발열온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heating film 400a, the second heating film 400b and the third heating film 400c,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film 400 can be controlled and controlled.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도어(30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무선 컨트롤러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C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oor 300 and can be selectively used by a user. The controller C may be controlled by a wireless controller for ease of use.

종래에는 도어, 수직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 중 선택되는 하나의 구성에만 발열체가 구비됨에 따라, 발열체가 구비되지 않은 구성에서는 여전히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상기 도어(300), 수직 프레임(100) 및 수평 프레임(200)에 난방필름(400)이 각각 구비됨에 따라 각 프레임에서 발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설물(1)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각 구성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do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oor 300, the door 300, the door 300, the door 300, The heating frame 400 is provided to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so that the heat is generated in each frame and the condensation phenomen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from occurring.

또한 상기 도어(300)와 상기 마감용 커버(500)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에 따라, 상기 난방필름(400)의 고장시 교체하여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door 300 and the finishing cover 500 are detachably fastened, they can be used when the heating film 400 fail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방필름(40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결로방지 효율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난방필름(400)의 표면에는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에는 상기 난방필름(40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가 더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efficiency by preventing loss of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heating film 400, a heat insulating material 700 for blocking heat loss is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eating film 400 . That is,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door 300 are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700 for preventing heat los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heating film 400.

이때, 상기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는 제 1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a) 및 상기 제 2난방필름용 단열재(700b)를 포함하며, 단열성, 내부식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heat-insulating insulation material 700 includes the first heat-loss insulating material 700a and the second heating film insulation material 700b,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thermal insulation and corrosion resistance.

상기 제 1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a)는 상기 마감용 커버(500)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제 1난방필름(400a)의 사이, 수평 프레임(200)과 제 2난방필름(400b)의 사이에 구비된다.The first heat loss blocking heat insulating material 700a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first heating film 400a in the interior of the closing cover 500 an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second heating film 400b.

상기 제 2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b)는 상기 제 3난방필름(400c)의 노출된 일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The second heat loss blocking heat insulating material 700b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heating film 400c.

한편, 상기 시설물(1)과 맞닿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면에는 상기 난방필름(400)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시설물(1)의 냉기를 차단하기 위한 결로방지용 단열재(8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On the surfaces of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contacting the facility 1,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preventing the heat loss of the heating film 400 and for blocking the cold air of the facility 1 (800).

이때,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재(800)는 단열성, 내부식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와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heat insulating material 8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eat insulation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heat loss blocking heat insulating material 700.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0)에는 외관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되, 도어(300)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해 보강부재(900)를 더 포함한다.6 and 7, the door 300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900 for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door 300 while adding a design element to the exterior.

상기 보강부재(900)는 일측이 상기 시설물(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0)의 내부 구조강도를 향상하도록 상기 외면부(330)와 체결되며, 이를 위해 보강프레임(910), 띠장돌기(920) 및 띠장바(930)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member 900 is exposed at the one side of the facility 1 and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900 is disposed inside the door 300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300. [ And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910, a wedge protrusion 920, and a band-shaped bar 930 for this purpose.

상기 보강프레임(910)은 'ㅁ'자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면부(330)와 내면부(310)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9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하고자 하는 도어(300)의 외적 디자인에 따라 알맞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면부(330)와 내면부(31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보강프레임(910)은 일면이 상기 외면부(330)측을 향하고, 이의 반대쪽 면은 상기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와 면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The reinforcement frame 910 is formed of a frame having a 'ㅁ' 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portion 33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6, the reinforcing frame 910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portion 33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310 so as to extend in an appropria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door 300 to be represented The reinforcing frame 910 faces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330 and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frame 91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eat-blocking insulating material 700.

상기 띠장돌기(920)는 'T'자형 단면의 웨브 끝단이 상기 보강프레임(910) 일면과 체결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wedge protrusion 920 has a shape in which a web end of a T-shaped section is extend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to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rame 910.

상기 띠장바(930)는 상기 띠장돌기(920)의 돌출된 플랜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단면이 상기 보강프레임(9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면부(330)는 상기 보강프레임(910)의 일면과 상기 띠장바(930)의 외측면과 동시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된다.The band member 930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inforcing frame 910 and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inforcing frame 9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shaped bar 930 are simultaneously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띠장바(930)는 띠장 플레이트(931) 및 띠장홈부(93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band bar 930 includes a welt plate 931 and a welt slot 932.

상기 띠장 플레이트(9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프레임(9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면대향되게 구비된다. The wale plate 931 is formed of a plat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reinforcing frame 9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rame 910.

상기 띠장홈부(932)는 상기 띠장 플레이트(9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띠장 플레이트(931)의 일면에서 상기 보강프레임(910)을 향하여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이 절곡되는 한 쌍의 돌출단(932a)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단(932a)은 절곡된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띠장 플레이트(931)의 폭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돌출단(932a)의 사이에 상기 띠장돌기(920)가 안착 배치된다.The wale groove 932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e plate 931 and protrudes from the one surface of the wale plate 931 toward the reinforcing frame 910 and has a pair of protrusions And a pair of the protruding ends 932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le plate 931 so as to face the bent ends of the protruding ends 932a, The wale-like projections 920 are seated and disposed.

상기와 같이, 상기 띠장돌기(920)가 상기 띠장홈부(932)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보강프레임(910)과 상기 띠장바(9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wale-like protrusion 920 is inserted into the wale groove 932, the reinforcing frame 910 and the band-aid bar 930 are organically coupled.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910)과 상기 띠장 플레이트(931)의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발생되는데, 상기 이격 공간에 상기 외면부(330)의 일측 끝단이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외면부(330)가 상기 보강프레임(910) 및 상기 띠장 플레이트(931)와 면접촉되면서 안정적으로 체결된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spacing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 reinforcing frame 910 and the wale plate 931. As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330 is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the outer surface 33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frame (910) and the wale plate (931), and is stably fasten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900)의 띠장 플레이트(931)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 즉, 상기 시설물(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도어(300)의 외관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The reinforcing member 900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wale plate 931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1, Thereby creating an appearance design.

상술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재(900)의 구비방향, 구비개수 등을 적절하게 배치 조절함에 따라, 상기 도어(300)의 외관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도어(300)의 내부의 구조 강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The exterior design of the door 300 can be variously configured by suitably arranging the reinforcing member 900 and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members 900. In addition, And the structure strength of the inside is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시설물
100 : 수직 프레임 200 : 수평 프레임
300 : 도어 310 : 내면부
320 : 수직면부 330 : 외면부
340 : 측면부 341 : 날개부
400 : 난방필름
500 : 마감용 커버 510 : 베이스판
520 : 나사체결부 521 : 밑판
522 : 절곡날개
600 : 체결보조부 610 : 몸체
611 : 체결홀 620 : 고정단
700 :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 800 : 결로방지용 단열재
900 : 보강부재 910 : 보강프레임
920 : 띠장돌기 930 : 띠장바
931 : 띠장 플레이트 932 : 띠장홈부
932a : 돌출단
1: Facilities
100: vertical frame 200: horizontal frame
300: door 310: inner surface
320: vertical surface portion 330: outer surface portion
340: side portion 341: wing portion
400: Heating film
500: finish cover 510: base plate
520: screw fastening part 521:
522: Bending wing
600: fastening assisting portion 610: body
611: fastening hole 620: fastening end
700: Insulation for heat loss prevention 800: Heat insulation for condensation prevention
900: reinforcing member 910: reinforcing frame
920: Tape protrusion 930:
931: wale plate 932: wale groove portion
932a: protruding end

Claims (7)

시설물(1)의 내부와 외부 공간을 구획하되, 일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면서 상기 시설물(1) 내로 사람의 입장이 가능하게 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0);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끝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00);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에서 일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300);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 1난방필름(400a),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일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 2난방필름(400b); 및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시설물(1)의 내부측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제 3난방필름(400c)를 포함하는 난방필름(400); 및
상기 난방필름(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난방필름(400a)와 상기 제 2난방필름(400b)의 노출된 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용 커버(500)가 분리 및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감용 커버(5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난방필름(400)의 노출된 부분을 가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이 난방필름(400)과 면대향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판(510); 및
'ㄷ'자 단면이 상기 베이스판(5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단면의 절곡된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판(510)의 양단에 구비되는 나사체결부(520);
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이 상기 나사체결부(5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마감용 커버(500)가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나사가 상기 나사체결부(520)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100) 또는 수평 프레임(200)과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나사 체결부(520)는, 상기 베이스판(510)과 나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판(510)의 폭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밑판(521)과 상기 밑판(521)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절곡날개(522)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날개(522)는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밑판(521)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난방필름(400a, 400b)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수직 프레임(100), 수평 프레임(200) 및 도어(300)에는 상기 난방필름(40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는,
상기 마감용 커버(500)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제 1난방필름(400a)의 사이, 수평 프레임(200)과 제 2난방필름(400b)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1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a); 및
상기 제 3난방필름(400c)와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열손실 차단용 단열재(70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1. A door system for partitioning an inside and an outside space of a facility (1) and allowing a person to enter into the facility (1) while rotating in one direction,
A vertical frame (100)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extend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horizontal frames 200 each having an inner hollow frame and connecting between the ends of the vertical frame 100;
A door 300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one direction;
A first heating film 400a disposed on one side of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0 facing the inside of the facility 1 and a second heating film 400b on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00 facing the inside of the facility 1 A second heating film 400b; A heating film 400 including a third heating film 400c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door 300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facility 1; And
A control unit (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film (400);
/ RTI >
A cover 500 for covering the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heating film 400a and the second heating film 400b is detachably mounted,
The finishing cover (500)
A base plate 510, which is formed of a plate that covers the exposed portion of the heating film 400 while being extended in one direction, the base plate 510 having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510 facing the heating film 400; And
A screw coupling part 520 having a 'c' -shaped sec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10 and having a bent one end at each end of the base plate 510;
/ RTI >
The cover 500 is provided so that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are disposed between the screw fastening portions 520. In this state,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screw fastening portions 520, (100) or the horizontal frame (200)
The screw fastening portion 520 includes a base plate 510 and a base plate 510. The base plate 510 has a base plate 510 and a base plate 510. The base plate 510 has a base plate 510, A pair of bending wings 522,
The bending vanes 522 ar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ng surfaces becomes gradually smaller toward the bottom plate 521 and the ends are directed to the heating films 400a and 400b,
The vertical frame 100,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door 300 are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700 for preventing heat los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heating film 400,
In the heat-insulating insulation material 700,
A first heat loss block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first heating film 400a an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200 and the second heating film 400b inside the finishing cover 500, A heat insulating material 700a; And
A second heat loss blocking heat insulating material (700b) provided in the door (300)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hird heating film (400c);
And a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for condensing the condensed w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1)과 맞닿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 및 수평 프레임(200)의 면에는,
상기 난방필름(400)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시설물(1)의 냉기를 차단하는 결로방지용 단열재(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urfaces of the vertical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200 abutting the facility 1,
Further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800) for preventing condensation, which prevents heat loss of the heating film (400) and blocks cold air of the facility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300)에는,
일측이 상기 시설물(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0)의 외관의 형태를 형성하되, 상기 도어(30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강부재(9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oor 300,
The door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1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inside the door 300 to form the shape of the exterior of the door 300. In order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door 300, Further comprising a member (900). ≪ Desc / Clms Page number 24 >
KR1020190017142A 2019-02-14 2019-02-14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KR102003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42A KR102003836B1 (en) 2019-02-14 2019-02-14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42A KR102003836B1 (en) 2019-02-14 2019-02-14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836B1 true KR102003836B1 (en) 2019-07-25

Family

ID=6746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142A KR102003836B1 (en) 2019-02-14 2019-02-14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8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25A (en) * 2020-12-11 2022-06-20 (주)엘엑스하우시스 Heating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nd windows ha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751B1 (en) * 2010-11-23 2011-03-15 대림산업 주식회사 Steel door
KR20120100310A (en) * 2011-03-03 2012-09-12 변규병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door frame
KR20130097897A (en) 2012-02-27 2013-09-04 (주)금강이엠씨 Door frame having heat device
KR101599729B1 (en) * 2013-07-26 2016-03-04 (주)삼선씨에스에이 Statment dew condensation Outdoor
KR20170027983A (en) * 2015-09-03 2017-03-13 정남기 plate module of sliding door prevents condensation 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751B1 (en) * 2010-11-23 2011-03-15 대림산업 주식회사 Steel door
KR20120100310A (en) * 2011-03-03 2012-09-12 변규병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door frame
KR20130097897A (en) 2012-02-27 2013-09-04 (주)금강이엠씨 Door frame having heat device
KR101599729B1 (en) * 2013-07-26 2016-03-04 (주)삼선씨에스에이 Statment dew condensation Outdoor
KR20170027983A (en) * 2015-09-03 2017-03-13 정남기 plate module of sliding door prevents condensation 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25A (en) * 2020-12-11 2022-06-20 (주)엘엑스하우시스 Heating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nd windows having the same
KR102603834B1 (en) * 2020-12-11 2023-11-21 주식회사 엘엑스글라스 Heating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nd window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2849A (en) Steel clad wood door frame
KR102003836B1 (en) Separable door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function
US4186656A (en) Thermal break ventilator unit
DK160158B (en) FAN FOR A WINDOW
JP6580393B2 (en) door
KR20150094045A (en) Heat insulating door assembly
JP6978297B2 (en) Joinery
JP6820795B2 (en) Joinery
KR101368355B1 (en) High-efficiency energy-saving curtain wall
KR20210037880A (en) Light-weight insulation frame
KR102234233B1 (en) Insulation frame for doors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durability
JP2019078094A (en) Fitting
JP7420867B2 (en) fittings
JP7132030B2 (en) DOOR, FITTINGS AND DOOR MANUFACTURING METHOD
JP7027152B2 (en) Joinery
JP3810547B2 (en) Indoor sliding door device
KR100469916B1 (en) right-angle edge coupling of closing-panel for windows and doors
US3564774A (en) Wall structure
JP3164530B2 (en) Bathroom sliding door waterproof structure
KR102499418B1 (en) Windows secured of both heat insulation and durability by using frames of different materials
JP4887311B2 (en) Face material support structure and joinery
JP3148537B2 (en) Storage
JP7195991B2 (en) double doors
JPH11190170A (en) Band window sash
JPS631335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