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41B1 -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 Google Patents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41B1
KR102002741B1 KR1020187014834A KR20187014834A KR102002741B1 KR 102002741 B1 KR102002741 B1 KR 102002741B1 KR 1020187014834 A KR1020187014834 A KR 1020187014834A KR 20187014834 A KR20187014834 A KR 20187014834A KR 102002741 B1 KR102002741 B1 KR 10200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carbon heat
combustion
r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766A (ko
Inventor
야스히로 시노자키
나오토 야마시타
유이치 후루도노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64Ash-trays of the pock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63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so as to form two cigarette-compartments interconnected by a hinge-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봉상 담배 물품의 꽁초를 용이하게 폐기하는 데에 이바지하는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2)의 선단측에 원주 모양의 탄소열원(3)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10)로서,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하는 삽입구(11), 및, 삽입구에 연설됨과 아울러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봉상 본체부로부터 절취하는 내주벽(18)을 가지는 삽입부(20)와, 삽입부에 연설되며, 내주벽에 의해 절취된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수납하는 수납부(30)를 구비하며, 내주벽은,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봉상 본체부의 경도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기단측(3a)과 맞닿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와, 삽입부의 횡단면에 있어서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의 반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선단측(3b)과 맞닿는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를 가진다.

Description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CONTAINER FOR COMBUSTION RESIDUES OF CARBON HEAT SOURCE OF ROD-SHAPED TOBACCO PRODUCTS, BUTT CONTAINER, AND PACKAGE FOR ROD-SHAPED TOBACCO PRODUCTS}
본 발명은, 봉상(棒狀)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담배 잎을 연소시키지 않고, 담배의 향끽미를 맛 볼 수 있는 비연소형의 봉상 담배 물품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선단에 설치한 발열부재인 열원과, 적당한 기재(基材)에 향끽미 성분을 보유시킨 향끽미 발생재를 포함하고, 열원을 연소시킨 열에 의해 향끽미 발생재를 연소시키는 일없이 가열함으로써 향끽미 성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비연소형 흡연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비연소형 봉상 담배 물품의 선단에 설치하는 열원으로서는, 원주(圓柱) 형상으로 성형된 탄소열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탄소열원은, 고순도의 탄소입자, 불연 첨가물, 유기 또는 무기의 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탄소열원을 가지는 봉상 담배 물품은, 탄소열원만이 연소하기 때문에, 흡연 종료 시에 있어서 일반적인 시가렛만큼 짧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흡연 후에 있어서의 봉상 담배 물품의 꽁초를 처분할 때, 종래의 포켓 꽁초 용기로는, 용량이 모자라게 되어, 꽁초를 폐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9-3227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7-25983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2004-11512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2001-8697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봉상 담배 물품의 꽁초를 용이하게 폐기하는 것에 이바지하는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은,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의 선단측에 원주(圓柱) 모양의 탄소열원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로서,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하는 삽입구, 및, 해당 삽입구에 연설(連設)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상기 봉상 본체부로부터 절취(折取)하는 내열성의 내주벽(內周壁)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설되며, 상기 내주벽에 의해 절취된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수납하는 내열성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벽은,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봉상 본체부의 경도(傾倒, 기울임)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기단(基端)측과 맞닿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當接部)와, 상기 삽입부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의 반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선단측과 맞닿는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상 담배 물품의 흡연 후에 있어서, 삽입부에 있어서의 삽입구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하고, 봉상 본체부의 경도 조작을 행함으로써, 삽입부에 있어서의 내주벽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가 탄소열원의 기단측에 맞닿음과 아울러 내주벽의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가 탄소열원의 선단측에 맞닿는다. 그 결과, 내주벽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에 맞닿는 탄소열원의 기단부에, 봉상 본체부의 경도 조작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토크)가 작용하여,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에 의하면, 삽입부의 내주벽에 의해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할 수 있고, 절취한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부에 연설하는 수납부에 낙하시킴으로써 수납할 수 있다. 이처럼,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봉상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부에 있어서의 용량이 부족한 사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제거한 후의 봉상 본체부는,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에 의하면, 봉상 담배 물품의 꽁초를 용이하게 폐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봉상 담배 물품의 흡연 후에 있어서,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비벼 끄는 행위를 행하는 일없이,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비벼 끄려고 한 경우에는, 봉상 본체부에 대해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압입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봉상 본체부의 내부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가 압입되어 버려, 소화(消火)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삽입부에 의해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절취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비벼 끄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와 같은 불편이 한층 더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 및 상기 수납부는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가 보유하는 열에 의해 삽입부나 수납부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횡단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내주벽에 있어서의 상기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와 상기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의 각각까지의, 해당 삽입부의 횡단면방향에 있어서의 각 거리가, 상기 탄소열원의 반경과 대략 같아도 된다. 이에 의하면, 삽입부에 있어서의 삽입구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에 있어서의 내주벽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와 탄소열원의 기단측 부위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와, 내주벽의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와 탄소열원의 선단측 부위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영, 혹은 작은 치수로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상태로부터 봉상 본체부의 경도 조작을 개시한 직후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기단부에 모멘트(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절취할 수 있다. 즉,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사용자가 부러뜨리기 쉽고, 사용 편리성이 뛰어난 연소 잔재 수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탄소열원의 축방향 길이 이상이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삽입부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봉상 본체부의 경도 조작을 행할 때,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한층 더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봉상 본체부의 직경이 상기 탄소열원의 직경보다도 크고, 상기 삽입구의 내경이, 상기 탄소열원의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봉상 본체부의 직경보다도 작아도 된다. 상기 구성의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는, 탄소열원에 비해 봉상 본체부 쪽이 확경되어 있어, 탄소열원과 봉상 본체부의 경계부에는 단차면(段差面)이 형성된다. 이 단차면은, 전형적으로는, 탄소열원의 선단면과 평행한 면이며, 봉상 본체부 및 탄소열원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내경을, 탄소열원의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봉상 본체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규정함으로써, 삽입부에 대한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원활한 삽입을 실현함과 아울러, 봉상 본체부가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전체가 수용부 내에 수용된 시점에서, 탄소열원과 봉상 본체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차면이 삽입구의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연소 잔재 수용기에 대해서 봉상 담배 물품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삽입부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할 때, 기세가 지나쳐서 봉상 본체부까지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너무 세심하게 신경 쓰는 일없이 삽입부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탄소열원과 봉상 본체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차면이 삽입구의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얻어지는 감촉에 의해, 사용자는, 탄소열원의 전체가 삽입부 내에 삽입된 것을 간단히 지각(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계기로 탄소열원의 삽입 조작을 정지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이 원통 형상이고, 상기 삽입구의 내경이 상기 탄소열원의 직경과 대략 같아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봉상 본체부를 어느 방향으로 경도시켜도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기단부에 모멘트(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고, 게다가, 봉상 본체부의 경도 조작을 개시한 직후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기단부에 모멘트(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봉상 본체부로부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내경을 탄소열원의 직경과 대략 같은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삽입부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한 때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외주면에 원통 형상의 내주벽을 밀착시킨, 또는, 내주벽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탄소열원의 외주면을 내주벽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에 불씨가 남아 있었다고 해도, 탄소열원으로의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혹은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뚜껑부재가 해당 삽입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나 재 등이, 수납부와 연통하는 삽입부의 삽입구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까지의 어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와,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가 절취된 상기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봉상 본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꽁초 용기로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의 선단측에 원주 모양의 탄소열원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상자를 구비한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로서, 상기 꽁초 용기가 상기 수용상자에 연결되어 있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로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의 선단측에 원주 모양의 탄소열원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로서, 상기 수용부에, 상술까지의 어느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가 수용되어 있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로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봉상 담배 물품의 꽁초를 용이하게 폐기하는 데에 이바지하는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을 수용하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꽁초 용기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꽁초 용기의 텅 리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b)는, 꽁초 용기의 텅 리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도 1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의 아우터 통체(筒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도 1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도 1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도 1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꽁초 용기의 텅 리드가 닫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도 1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를 수용하는 패키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도 1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에 있어서의 내주벽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도 2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도 2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2] 도 2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3] 도 2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꽁초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도 2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5] 도 25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1)을 수용하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는, 수용상자(200)와, 이 수용상자(20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 꽁초 용기(300)를 구비한다. 수용상자(200)는, 소위 힌지 리드 박스이며, 본체부(210) 및 리드(220)를 구비한다. 본체부(210) 및 리드(220)는 힌지(23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210)에 대해서 리드(220)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상자(20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품(흡연 전)의 봉상 담배 물품(1)이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봉상 담배 물품(1)은, 봉상 본체부(2)와, 이 봉상 본체부(2)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탄소열원(3)을 구비하고 있다. 봉상 본체부(2)는, 에어로졸 발생 섹션(4), 필터(5), 포피(包被) 재료(6) 등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상 본체부(2)의 직경은, 탄소열원(3)의 직경에 비해 한층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봉상 본체부(2)의 직경이, 탄소열원(3)의 직경보다 포피 재료(6)의 두께의 2배 정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섹션(4)은, 가열되어 향끽미 성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섹션이다. 에어로졸 발생 섹션(4)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등의 열적으로 안정된 재료로 형성된 통체 내에, 예를 들면 시트 담배나 살담배를 충전한 것이어도 되고, 이들 시트 담배나 살담배를 포피 재료(6)의 내부에 직접 충전한 것이어도 된다.
에어로졸 발생 섹션(4)의 선단에는, 탄소열원(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섹션(4)의 후단에는, 필터(5)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섹션(4) 및 필터(5)의 전체 외주와, 탄소열원(3)의 일부 외주는, 포피 재료(6)에 의해 감아져 일체화되어 있다. 포피 재료(6)는, 예를 들면 펄프를 주원료로 한 종이로 제작된 지관(紙管)이어도 된다. 이 지관에는, 통상의 시가렛에 사용하는 권지(卷紙), 후지(厚紙) 등을 사용해도 된다. 후지의 평량은, 100∼300g/㎡ 정도로 해도 된다. 필터(5)는, 통상의 시가렛에 사용되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탄소열원(3)은, 예를 들면 고순도의 탄소입자, 불연 첨가물, 유기 또는 무기의 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축성형 또는 압출성형한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주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필터(5)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발생 섹션(4)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흡구단(吸口端)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봉상 담배 물품(1)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열원(3)에는, 외부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관통구멍이나 홈이 탄소열원(3)의 길이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1)은, 선단측에 탄소열원(3)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구성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구성이 추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부호 3a는, 탄소열원(3)의 「기단부(基端部)」이며, 부호 3b는 탄소열원(3)의 「선단부」이다. 또한, 탄소열원(3)의 기단부(3a)는, 탄소열원(3)에 있어서 포피 재료(6)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영역 중 에어로졸 발생 섹션(4)에 가장 가까운 부위를 말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는, 힌지(400)를 통해, 수용상자(200)의 본체부(210)와 꽁초 용기(3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400)는, 본체부(210) 및 꽁초 용기(30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3은, 힌지(400)를 중심으로 하여 꽁초 용기(300)에 대해 수용상자(200)(본체부(210))를 전개시킨 상태의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쇄선은, 전개 도중에 있는 수용상자(2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에 있어서의 수용상자(200)의 리드(220)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드(220)를 개방하면, 수용상자(200)에 있어서의 본체부(210)에 수용되어 있는 봉상 담배 물품(1)이 외부로 노출되어, 봉상 담배 물품(1)을 자유롭게 취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꽁초 용기(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꽁초 용기(300)는, 봉상 담배 물품(1)의 꽁초를 수납하는 패키지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연 후에 있어서의 봉상 담배 물품(1) 중,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이하 「연소 찌꺼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분리하고,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꽁초 용기(300)의 내부에 직접 수납함과 아울러,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꽁초 용기(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수용한다(도 1, 3, 4 등을 참조). 또한, 사용한 봉상 본체부(2)란, 흡연 후에 있어서의 봉상 담배 물품(1)의 봉상 본체부(2)를 말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꽁초 용기(30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꽁초 용기(300)는, 시트 모양의 뚜껑부를 가지는 소위 텅 리드 패키지이며, 꽁초 수용부(310) 및 이에 연결되는 텅 리드(320)를 가진다. 텅 리드(320)는, 꽁초 수용부(310)의 상단 개구면(開口面)을 개폐하는 뚜껑부재이다. (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꽁초 용기(300)의 텅 리드(320)가 닫혀 있고, (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텅 리드(320)가 개방되어 있다. 꽁초 용기(300)에 있어서의 꽁초 수용부(310)에는, 텅 리드(320)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설부(舌部)(321)를 끼워넣기 위한 슬릿(절입부)(311)이 설치되어 있다. 꽁초 수용부(310)의 슬릿(311)에 텅 리드(320)의 설부(321)를 끼워넣음으로써, 텅 리드(320)가 닫힌다. 또한, 꽁초 용기(300)는, 텅 리드 패키지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힌지 리드 패키지나 슬라이드 패키지여도 된다. 꽁초 용기(300)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수용하는 연소 잔재 수용기(10)나, 흡연 후에 탄소열원(3)을 절취한 후의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수용할 수 있는 패키지이면 된다.
꽁초 용기(300)에 있어서의 꽁초 수용부(310)에는,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10)가 수용되어 있다. 이하,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꽁초 용기(300)에 있어서의 꽁초 수용부(310)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부에 상당한다.
도 6∼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바닥이 있는 원통 구조를 가진 용기이며, 일단측에 개구단(開口端)으로서의 삽입구(11)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측이 폐색단(閉塞端)으로서 저부(底部)(12)가 형성되어 있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내부에는, 삽입구(11)측에 삽입부(20)가 형성되고, 저부(12)측에 수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0)는, 흡연 후의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끼워넣기(삽입하기) 위한 부위이며, 수납부(30)는, 삽입부(20)에 있어서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절취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수납하는 부위이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삽입부(20) 및 수납부(30)는 공간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축방향에 있어서, 저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단부를 「하단」이라고 하고, 삽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단부를 「상단」이라고 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3개의 원통부재(13∼15)와, 부호 16으로 나타나는 아코디언 모양으로 절첩(折疊)된 종이 스프링부재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부호 13의 원통부재를 「통 본체」라고 하고, 부호 14의 원통부재를 「인너 통체」라고 하며, 부호 15의 원통부재를 「아우터 통체」라고 한다. 통 본체(13)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며, 인너 통체(14) 및 아우터 통체(15)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체이다. 인너 통체(14)의 외경은, 통 본체(13)의 내경 및 아우터 통체(15)의 내경과 같다. 그리고, 도 6,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너 통체(14) 및 아우터 통체(15)는, 통 본체(13)의 개구단측에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통 본체(13)에 있어서의 개구단으로부터 인너 통체(14)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통 본체(13)의 내주측에 인너 통체(14)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통체(15)는 인너 통체(14)의 외주측에 끼워지고(外嵌), 아우터 통체(15)의 하단면은 통 본체(13)의 상단면에 맞댐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통체(15)의 외경이, 통 본체(13)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통체(15)의 상단면은, 인너 통체(14)의 상단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우터 통체(15)의 내경은 인너 통체(14)의 외경과 같기 때문에, 아우터 통체(15)의 내경은, 인너 통체(14)의 두께 분량만큼 인너 통체(14)의 내경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치수를 예시하면, 통 본체(13)의 길이를 70㎜, 인너 통체(14)의 길이를 25㎜, 아우터 통체(15)의 길이를 10㎜, 인너 통체(14)의 상단과 아우터 통체(15)의 상단의 단차 치수를 2㎜로 하는 태양(態樣)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치수는, 예시적인 것이다.
통 본체(13), 인너 통체(14), 및 아우터 통체(15)에 사용되는 재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시트 모양의 알루미늄 무구재(無垢材)(예를 들면, 두께 200㎛ 정도)를 둥글게 하여 층상(層狀)으로 겹치고(重合), 표면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첩부(貼付)함으로써 통 모양으로 성형하고 있다. 이러한 통 본체(13), 인너 통체(14), 및 아우터 통체(15)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에는, 내열성(耐熱性)이 부여된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 인너 통체(14)의 상단측에 위치하는 개구단은 삽입구(11)를 형성하고 있으며, 삽입구(11)의 내경(직경)은,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직경과 같은 치수거나 약간 큰 치수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직경은 약 6.2㎜이다. 이에 대해,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삽입구(11)의 내경을, 탄소열원(3)의 직경보다도 1㎜ 큰 7.2㎜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봉상 담배 물품(1)의 흡연 후에 있어서, 흡연자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에 끼워넣기(삽입) 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11)의 내경은,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봉상 본체부(2)(포피 재료(6))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부호 17은,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한 「캡부재」이며, 해당 삽입구(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부재(17)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뚜껑부재에 상당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부재(17)는, 꽁초 용기(300)에 있어서의 텅 리드(32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텅 리드(320) 중, 텅 리드(320)가 닫힐 때에 꽁초 수용부(310)의 개구단을 덮는 면의 좌단(左端) 부근에 캡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캡부재(17)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캡부재(17)의 직경(외경)은, 삽입구(11)의 직경(인너 통체(14)의 내경)보다도 크고, 또한, 아우터 통체(15)의 내경과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꽁초 수용부(310)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도 5(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꽁초 수용부(310)에 있어서의 좌단 위치)에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수용한 상태에서 텅 리드(320)가 닫히면, 캡부재(17)가 아우터 통체(15)의 내주측으로 끼워 넣어진다. 그 결과, 캡부재(17)가 삽입구(11)의 상부를 덮게 되어, 삽입구(11)가 닫힌다.
또한, 캡부재(17)의 직경이 삽입구(11)의 직경(인너 통체(14)의 내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캡부재(17)가 인너 통체(14)의 내주측으로 끼워 넣어져, 빠지지 않게 되어 버릴 염려가 없다. 단,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캡부재(17)의 직경이 삽입구(11)의 직경보다도 작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부재(17)는, 꽁초 용기(300)에 있어서의 텅 리드(32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캡부재(17)의 직경이 삽입구(11)의 직경보다도 작은 경우에도, 캡부재(17)가 인너 통체(14)에 끼워져 빠지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부재(17)의 두께를 3㎜로 설정하는 태양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8에 나타내는 부호 18은, 인너 통체(14)의 내주벽(내주면)이며, 삽입부(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인너 통체(14)의 축방향의 길이(즉, 내주벽(18)의 축방향의 길이)가,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에 삽입하는 탄소열원(3)의 축방향 길이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길이가 약 10㎜인 것에 대해, 내주벽(18)의 길이는 탄소열원(3)보다도 긴 25㎜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봉상 담배 물품(1) 중,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기능과,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분리시킨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수용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사용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흡연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에 있어서의 수용상자(200)의 리드(220)를 개방함으로써, 수용상자(200)로부터 신품의 봉상 담배 물품(1)을 취출하여, 흡연할 수 있다. 봉상 담배 물품(1)의 흡연 후, 흡연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상자(200)에 대해서 꽁초 용기(300)를 전개시킴과 아울러, 꽁초 용기(300)의 텅 리드(320)를 개방한다. 이 상태로부터,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연 후의 봉상 담배 물품(1)을, 탄소열원(3)측으로부터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구(11)에 접근시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로 삽입한다(끼워 넣는다).
여기서, 삽입구(11)의 내경은, 탄소열원(3)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삽입구(11)의 내경은,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봉상 본체부(2)(포피 재료(6))의 직경(외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봉상 본체부(2)가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에 삽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한 봉상 본체부(2)(포피 재료(6))의 전단면(前端面)이, 삽입구(11)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너 통체(14)의 상단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봉상 담배 물품(1)이 위치 결정된다.
이처럼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흡연자는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도시키는 경도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20)에 삽입되어 있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도, 상기 경도 조작에 따라 삽입부(20) 내에서 경도하려고 하기 때문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선단부(3b)와 기단부(3a)의 쌍방이, 삽입부(20)(인너 통체(14))에 있어서의 내주벽(18)에 충돌한다. 내주벽(18) 중, 도 11에 있어서 부호 18a로 나타나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가,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이 행해진 때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기단측과 맞닿는 부위에 상당한다. 또한, 내주벽(18) 중, 도 11에 있어서 부호 18b로 나타나는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가,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이 행해진 때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선단측과 맞닿는 부위에 상당한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 내주벽(18)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는,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설치된다. 도 12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삽입부(20)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 C는,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을 나타낸 것이며,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중심축에 일치한다. 삽입부(20)의 횡단면은,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斷面)이다. 상기와 같이, 내주벽(18)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는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내주벽(18)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란,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와 횡단면 중심(C)을 잇는 선분(L1)과,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와 횡단면 중심(C)을 잇는 선분(L2)이 이루는 각도 θ가 90°보다 크고 또한 270°보다 작은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점 A에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가 위치하고, 점 B1에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선분(L1)과 선분(L2)이 이루는 각도 θ1은 약 180°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점 A에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가 위치하고, 점 B2에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선분(L1)과 선분(L2')이 이루는 각도 θ2는 약 135°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점 A에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가 위치하고, 점 B3에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선분(L1)과 선분(L2'')이 이루는 각도 θ3은 약 225°로서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모든 예시는, 내주벽(18)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이 이루어진 결과, 내주벽(18)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사용한 봉상 본체부(2)와 연결하는 탄소열원(3)의 선단부(3b)와 맞닿고,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와 삽입부(20)의 횡단면 반대측에 위치하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가 탄소열원(3)의 기단부(3a)와 맞닿는다. 그 결과,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토크)가, 탄소열원(3)의 기단부(3a)에 작용함으로써,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절취할 수 있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부(20)에 있어서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절취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낙하하여, 삽입부(20)에 연통하는 수납부(30)에 수납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수납부(30)에 3개의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수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의하면, 삽입부(20)의 내주벽(18)에 의해 봉상 담배 물품(1)의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할 수 있고, 절취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부(20)에 연설하는 수납부(30)에 낙하시킴으로써 수납할 수 있다. 이처럼,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부(30)에 있어서의 용량이 부족한 사태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의하면, 삽입부(20)에 있어서의 내주벽(18)이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가 가지는 열에 의해 용손(溶損)하거나 할 염려가 없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수납부(30)도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소열원(3)을 보관하고 있는 동안에 연소 잔재의 열에 의해 수납부(30)가 상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의하면, 내주벽(18)의 내주 반경을, 탄소열원(3)의 반경과 같은 치수, 또는, 클리어런스를 고려하여 탄소열원(3)의 반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삽입부(20)의 횡단면 중심으로부터 내주벽(18)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와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의 각각까지의, 해당 횡단면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탄소열원(3)의 반경과 대략 같아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한 때,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와 탄소열원(3)의 기단부(3a)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영 또는 작은 치수로 할 수 있고, 또한,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와 탄소열원(3)의 선단부(3b)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영 또는 작은 치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개시한 직후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기단부(3a)에 모멘트(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절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할 때의 삽입 용이성의 향상, 및, 삽입 시에 있어서의 재의 비산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탄소열원(3)의 직경에 비해 내주벽(18)의 내경(직경) 쪽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탄소열원(3)의 직경과 내주벽(18)의 내경(직경)과의 차를 너무 크게 하면,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한 때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부러뜨리기 어렵게 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내주벽(18)의 내경(직경)을 탄소열원(3)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로 설정할 경우, 쌍방의 치수 차를 2㎜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고, 1㎜ 이하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할 때의 삽입 용이성, 삽입 시에 있어서의 재의 비산 억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 시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절취 용이성을, 높은 레벨로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의하면, 삽입부(20)에 있어서의 내주벽(18)을 원통 형상으로 하고, 삽입구(11)의 내경을 탄소열원(3)의 직경과 대략 같게 하는 구조를 채용했기 때문에, 봉상 본체부(2)를 어느 방향으로 경도시켜도,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개시한 직후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기단부에 모멘트(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어, 매우 용이하게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절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부(20)에 있어서의 내주벽(18)을 원통 형상으로 하고, 삽입구(11)의 내경을 탄소열원(3)의 직경과 대략 같게 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한 때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외주면에 원통 형상의 내주벽(18)을 밀착시킨, 또는, 탄소열원(3)의 외주면에 내주벽(18)을 근접시킨 상태로 대향(對向)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소열원(3)으로의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혹은 감소시킬 수 있어,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를 몇 초 동안(예를 들면, 5초 정도) 유지함으로써, 탄소열원(3)에 남아 있는 불씨를 적합하게 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탄소열원(3)을 소화한 후, 도 11에 나타낸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함으로써, 해당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의하면, 삽입구(11)의 내경이, 탄소열원(3)의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봉상 본체부(3)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할 때, 기세가 지나쳐서 봉상 본체부(2)까지 삽입부(20)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너무 세세하게 신경 쓰는 일없이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할 수 있고, 봉상 본체부(2)의 전단면이 인너 통체(14)의 상단면에 맞닿은 때에 얻어지는 감촉에 의해, 탄소열원(3) 전체가 삽입부(20) 내에 삽입된 것을 지각(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계기로 탄소열원(3)의 삽입 조작을 정지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내주벽(18)의 길이를, 탄소열원(3)의 축방향 길이 이상 확보했으므로,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할 때, 해당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한층 더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아우터 통체(15)의 내경을, 인너 통체(14)의 내경(즉, 삽입구(11)의 내경)보다도 크게 했으므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에 삽입할 때에, 탄소열원(3)을 삽입구(11)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단, 탄소열원(3)을 삽입구(11)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로서 이용되는 아우터 통체(15)의 형상은, 도 6 등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통체(15)와 인너 통체(14)의 경계부에,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축방향과 수직인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아우터 통체(15)의 변형예를 채용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아우터 통체(15)가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면(15a)을 가지고 있어,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부(20)에 삽입할 때, 탄소열원(3)의 선단부(3b)가 가이드면(15a)을 미끄러짐으로써, 삽입구(11)로 유도되기 쉬워진다. 또한, 가이드면(15a)의 도중 또는 하단부에서 봉상 본체부(2)의 전단면이 맞닿음으로써, 기세가 지나쳐 봉상 본체부(2)가 삽입부(20)에 삽입되는 것이 억제되어, 봉상 담배 물품(1)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삽입부(20)의 변형예처럼, 삽입부(20)에 관련한 내주벽(18)의 내경을, 내주벽(18)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中途部)에서 확경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내주벽(18)의 내경은, 부호 D1로 나타나는 위치에서 한층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D1로 나타나는 깊이는,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을 삽입한 때에, 탄소열원(3)의 선단부(3b)가 위치하는 깊이에 위치해 있으며, 이하에서는, 「삽입 시 탄소열원 선단 깊이」라고 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삽입부(20)에 있어서의 삽입 시 탄소열원 선단 깊이(D1)보다도 삽입구(11)측의 제1 구간(Z1)에 있어서는, 내주벽(18)의 내경이 탄소열원(3)의 직경과 대략 같게 설계되어 있다. 이에 대해, 삽입부(20)에 있어서의 삽입 시 탄소열원 선단 깊이(D1)보다도 내측의 제2 구간(Z2)에 있어서는, 제1 구간(Z1)보다도, 탄소열원(3)의 외주면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크게 하도록 했다. 이에 의하면, 삽입부(20)에 있어서의 제1 구간(Z1)에 있어서는, 그 내주벽(18)의 내경을 탄소열원(3)의 직경과 대략 같게 함으로써, 탄소열원(3)의 꽁초를 절취하기 쉽다. 또한, 삽입부(20)에 있어서의 제2 구간(Z2)에 있어서는, 제1 구간(Z1)에 비해서 내주벽(18)의 내경을 크게 했으므로, 제1 구간(Z1)에 있어서 절취한 탄소열원(3)의 꽁초가 제2 구간(Z2)에서 막혀 버리는 일없이, 원활하게 하방의 수납부(30)로 탄소열원(3)의 꽁초를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부(20)는, 여러 가지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 삽입부(20)는, 삽입구(11)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벽(2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호 11a는, 삽입구(11)의 일부를 구성하는 U자 연부(緣部)이며, 가이드벽(21)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21a는, 가이드벽(21)의 상단 연부이다. U자 연부(11a)는, 가이드벽(21)의 상단 연부(21a)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20)의 내주벽(18)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를 포함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U자 연부(11a)의 근방에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가이드벽(2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보다 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는, 봉상 담배 물품(1)을 흡연한 후, 가이드벽(21)을 따라 탄소열원(3)의 꽁초를 삽입구(11)를 향해 미끄러져 가, 해당 꽁초를 삽입구(11)로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의 꽁초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가이드벽(21)으로부터 바로 앞에 일으켜 세우도록 경도시킨다. 이에 의해, 내주벽(18)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탄소열원(3)의 선단부(3b)와 맞닿고,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가 탄소열원(3)의 기단부(3a)와 맞닿은 상태에서, 경도 조작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토크)를 탄소열원(3)의 기단부(3a)에 작용시킴으로써,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절취한 후의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는,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꽁초 용기(300)의 꽁초 수용부(310)에 직접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소 잔재 수용기(10)와,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수용하는 꽁초 용기(300)를 구비한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100)에 의하면,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봉상 담배 물품(1)의 꽁초를 용이하게 폐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는, 삽입구(11)에 대해서 캡부재(1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나 재 등이, 수납부(30)와 연통하는 삽입부(20)의 삽입구(11)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11)로부터 캡부재(17)를 떼어냄으로써, 수납부(30)에 수납하고 있던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모아서 폐기해도 된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저부(12)에, 폐기용 캡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폐기용 캡부재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거꾸로 된 자세로 하는 일없이,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특히, 도 5(a),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꽁초 용기(300)의 꽁초 수용부(310)에 연소 잔재 수용기(10)가 수용되고, 또한, 텅 리드(320)의 내면에 캡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텅 리드(320)를 닫는 조작에 연동하여,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아우터 통체(15)의 내주측에 캡부재(17)가 감합(嵌合)되는 결과, 삽입구(11)를 닫을 수 있다. 또한, 텅 리드(320)의 열림 조작에 연동하여, 아우터 통체(15)에 대한 캡부재(17)의 감합이 해제되는 결과, 삽입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꽁초 용기(300)의 텅 리드(320)가 닫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저부(12)에는, 아코디언 모양으로 절첩된 종이 스프링부재(1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꽁초 수용부(310)에 수용된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종이 스프링부재(16)의 반발력에 의해 항상 상방(꽁초 수용부(310)의 개구단 방향)을 향해 부세(付勢)되어 있다.
도 17(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텅 리드(320)의 설부(321)를 꽁초 수용부(310)의 슬릿(311)에 끼워넣고,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리드(320)를 닫으면, 그에 연동하여 삽입구(11)가 캡부재(17)에 의해 폐쇄된다. 그때,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텅 리드(320) 및 이에 고정되어 있는 캡부재(17)에 의해, 하방(꽁초 수용부(310)의 저면 방향)을 향해 압입된다. 즉, 종이 스프링부재(16)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연소 잔재 수용기(10)가 하방으로 압입됨으로써, 종이 스프링부재(16)가 (a)의 상태에 비해 한층 더 줄어든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텅 리드(3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종이 스프링부재(16)의 반발력에 의해,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구(11)가 캡부재(17)로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나 재 등을, 삽입구(11)로부터 한층 더 외부로 방출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꽁초 용기(300)의 꽁초 수용부(310)에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수용하고, 그 꽁초 용기(300)를 수용상자(200)와 힌지 연결하고 있지만, 이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패키지 등에 수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부(12)에는 종이 스프링부재(16)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캡부재(17)는, 삽입구(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나사식 캡이어도 되고, 다른 방식의 캡이어도 된다. 또한, 캡부재(17)는, 아우터 통체(15)의 외면에 끼워 맞추는(外嵌合) 방식의 뚜껑부재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수납부(30)를 삽입부(20)와 동일 지름으로 하고 있지만, 이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삽입부(20)보다도 수납부(30)의 횡단면적을 크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수납부(30)에 있어서의 수납 용적을 늘릴 수 있어, 수납부(30)에 더 많은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꽁초 용기(300)의 꽁초 수용부(310)에 수용하는 대신에, 수용상자(200)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8은,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수용하는 패키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수용상자(2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수용상자(200)에 있어서, 본체부(210) 내에, 신품의 봉상 담배 물품(1)과 함께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수용해도 된다. 이 경우,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수용하는 본체부(210)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수용기(10)는, 삽입부(20)에 있어서의 내주벽(18)을 원통 형상으로 하고, 삽입구(11)의 내경을 탄소열원(3)의 직경과 대략 같게 하는 구조를 채택했지만, 이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삽입부(20)에 탄소열원(3)을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한 때, 탄소열원(3)의 기단부(3a) 및 선단부(3b)에 각각 맞닿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삽입부(20)의 내주벽(18)에 설치되어 있다면 된다.
도 1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있어서의 내주벽(18)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내주벽(18)의 형상이 정방형(正方形)이며, 도 19(b)는 내주벽(18)의 형상이 대략 타원형이고, 도 19(c)는, 내주벽(18)의 형상이 삼각형이다. 또한, 도 19(d)는, 원통형의 연소 잔재 수용기(10)에, 한 쌍의 돌기부(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돌기부의 일부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절취하는 내주벽(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파선은, 삽입부(20)에 삽입된 탄소열원(3)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C는, 삽입부(20)의 횡단면 중심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r1은, 삽입부(20)의 횡단면 중심(C)으로부터 내주벽(18)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r2는, 삽입부(20)의 횡단면 중심(C)으로부터 내주벽(18)에 있어서의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19(a)∼도 19(d)에 나타내는 각 변형예는, 삽입부(20)의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삽입부(20)의 횡단면 중심(C)으로부터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까지의 거리 r1과, 횡단면 중심(C)으로부터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의 거리 r2의 쌍방이, 탄소열원(3)의 반경과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한 때,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의 기단부에 모멘트(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어,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내주벽(18)의 베리에이션을 예시한 것이며, 그 밖의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상 담배 물품(1)은, 탄소열원(3)의 직경에 비해 봉상 본체부(2)의 직경이 한층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탄소열원(3)의 직경과 봉상 본체부(2)의 직경(포피 재료(6)의 외경)이 동일 치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봉상 담배 물품(1)의 흡연 후, 흡연자는, 사용한 봉상 본체부(2)와 연결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삽입부(20)에 삽입하고,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함으로써, 해당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탄소열원(3)의 직경과 봉상 본체부(2)의 직경(포피 재료(6)의 외경)이 동일 지름인 경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 잔재 수용기(10)의 내부에, 탄소열원(3)의 선단부(3b)와 맞닿는 스토퍼(19)를 삽입부(20)의 내주벽(18)으로부터 돌설(突設)시켜도 된다. 한 쌍의 스토퍼(19)는, 예를 들면, 탄소열원(3)이 기단부(3a)까지 삽입부(20)에 삽입된 시점에서, 탄소열원(3)의 선단부(3b)와 맞닿도록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흡연자는, 흡연 후에 있어서의 봉상 담배 물품(1)의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부(20)에 삽입하고, 탄소열원(3)의 선단부(3b)가 스토퍼(19)에 맞닿아 위치 결정된 시점에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함으로써, 탄소열원(3)을 봉상 본체부(2)로부터 절취한다. 그 후, 예를 들면, 연소 잔재 수용기(10)를 기울이는 등 하여, 스토퍼(19)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낙하시킴으로써,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수납부(30)에 수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따른 꽁초 용기(300A)를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꽁초 용기(300A)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꽁초 용기(300A)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꽁초 용기(300A)는, 내부에 연소 잔재 수용기(10A)와,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가지는 용기본체(33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330)의 정부(頂部)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뚜껑(3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뚜껑(340)을 개방함으로써 연소 잔재 수용기(10A) 및 수용공간(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330)의 저부에는, 배출용 뚜껑(35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1에는, 슬라이드 뚜껑(340)을 닫은 상태의 꽁초 용기(300A)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에는, 슬라이드 뚜껑(340)을 연 상태의 꽁초 용기(300A)를 나타내고 있다.
연소 잔재 수용기(10A)에 관해서는, 도 6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와 기본 구조는 공통이다. 즉, 연소 잔재 수용기(10A)는, 내부에 원주 모양의 중공부를 가지는 통형 용기이며, 상단측에 개구단으로서의 원형 삽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 잔재 수용기(10A)는, 삽입구(11)측으로부터 중공 모양의 삽입부(20) 및 수납부(30)를 가지고 있다. 삽입구(11), 삽입부(20), 수납부(30) 등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다. 즉, 삽입부(20)는, 내주벽(18)을 가지며, 삽입부(20)의 횡단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18a) 및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봉상 담배 물품(1)의 흡연 후, 흡연자는, 꽁초 용기(300A)의 슬라이드 뚜껑(340)을 열고, 연소 잔재 수용기(10A)에 의해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하여,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연소 잔재 수용기(10A)의 수납부(30)에 수용한다. 연소 잔재 수용기(10A)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에서 설명한 대로다. 즉, 흡연 후의 봉상 담배 물품(1)을, 탄소열원(3)측으로부터 연소 잔재 수용기(10A)의 삽입구(11)에 접근시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로 삽입한다(끼워 넣는다). 여기서, 삽입구(11)의 내경은, 탄소열원(3)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삽입구(11)의 내경은, 봉상 담배 물품(1)에 있어서의 봉상 본체부(2)(포피 재료(6))의 직경(외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봉상 본체부(2)가 삽입구(11)로부터 삽입부(20) 내에 삽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사용한 봉상 본체부(2)(포피 재료(6))의 전단면이, 삽입구(11)의 가장자리 면(緣面)에 맞닿은 상태로, 봉상 담배 물품(1)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삽입구(11)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흡연자는 사용한 봉상 본체부(2)의 경도 조작을 행한다. 그 결과, 경도 조작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토크)를 탄소열원(3)의 기단부(3a)(도 2 참조)에 작용하게 되어,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간단하게 절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분리한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는, 그대로 하방으로 낙하하여, 수납부(30)에 수납된다. 한편,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와 분리한 사용완료된 봉상 본체부(2)는, 수용공간(S)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타이밍에서, 사용자는, 용기본체(330)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용 뚜껑(350)을 떼어내어, 연소 잔재 수용기(10A)의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와, 수용공간(S)에 수용되어 있는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를, 모아서 폐기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실시형태 3에 따른 꽁초 용기(300B)를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실시형태 3에 따른 꽁초 용기(300B)의 사시도이다. 꽁초 용기(300B)는, 내부에 연소 잔재 수용기(10B)와,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가지는 용기본체(33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330)의 정부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뚜껑(3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뚜껑(340)을 개방함으로써 연소 잔재 수용기(10A) 및 수용공간(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330)의 저부에는, 배출용 뚜껑(35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4에는, 슬라이드 뚜껑(340)을 닫은 상태의 꽁초 용기(300B)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5에는, 슬라이드 뚜껑(340)을 연 상태의 꽁초 용기(300B)를 나타내고 있다. 연소 잔재 수용기(10B)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소 잔재 수용기(10A)와 동일 구조이다.
실시형태 3의 꽁초 용기(300B)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2의 꽁초 용기(300A)와 동일하게, 봉상 담배 물품(1)의 흡연 후에, 꽁초 용기(300B)의 슬라이드 뚜껑(340)을 열고, 연소 잔재 수용기(10B)에 의해 사용한 봉상 본체부(2)로부터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적합하게 절취하여,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를 연소 잔재 수용기(10B)의 수납부(30)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와 분리한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는, 수용공간(S)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타이밍에서, 사용자는, 용기본체(330)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용 뚜껑(350)을 개방함으로써, 연소 잔재 수용기(10B)의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 탄소열원(3)의 연소 잔재와, 수용공간(S)에 수용되어 있는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모아서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S)은, 사용한 봉상 본체부(2)를 1개씩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수용공간(S)에, 복수의 사용이 끝난 봉상 본체부(2)를 가지런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는, 여러 가지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봉상 담배 물품
2…봉상 본체부
3…탄소열원
10…연소 잔재 수용기(收容器)
11…삽입구
12…저부
13…통 본체
14…인너 통체
15…아우터 통체
16…종이 스프링부재
17…캡부재
18…내주벽
18a…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
18b…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
20…삽입부
30…수납부
100…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200…수용상자
210…본체부
220…리드
300…꽁초 용기
310…꽁초 수용부
320…텅 리드

Claims (10)

  1.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의 선단측에 원주(圓柱) 모양의 탄소열원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收容器)로서,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삽입하는 삽입구, 및, 해당 삽입구에 연설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상기 봉상 본체부로부터 절취하는 내주벽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설되며, 상기 내주벽에 의해 절취된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수납하는 수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벽은,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를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봉상 본체부의 경도(傾倒)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기단측과 맞닿는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와, 상기 삽입부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의 반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의 선단측과 맞닿는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를 가지는,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 및 상기 수납부는 내열성(耐熱性)을 가지는,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횡단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내주벽에 있어서의 상기 연소 잔재 기단 당접부와 상기 연소 잔재 선단 당접부의 각각까지의, 해당 삽입부의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의 각 거리가, 상기 탄소열원의 반경과 대략 같은,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탄소열원의 축방향 길이 이상인,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봉상 본체부의 직경이 상기 탄소열원의 직경보다도 크며,
    상기 삽입구의 내경이, 상기 탄소열원의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봉상 본체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이 원통 형상이고, 상기 삽입구의 내경이 상기 탄소열원의 직경과 대략 같은,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뚜껑부재가 해당 삽입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8.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와, 상기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가 절취된 상기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봉상 본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꽁초 용기.
  9.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의 선단측에 원주 모양의 탄소열원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상자를 구비한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로서,
    청구항 8에 기재된 꽁초 용기가 상기 수용상자에 연결되어 있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10. 담배 재료를 수용하는 봉상 본체부의 선단측에 원주 모양의 탄소열원이 설치된 봉상 담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로서,
    상기 수용부에,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가 수용되어 있는,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KR1020187014834A 2015-10-29 2015-10-29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KR102002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540 WO2017072909A1 (ja) 2015-10-29 2015-10-29 棒状たばこ物品における炭素熱源の燃え殻収容器、吸い殻入れ、及び棒状たばこ物品用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766A KR20180074766A (ko) 2018-07-03
KR102002741B1 true KR102002741B1 (ko) 2019-07-22

Family

ID=5862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34A KR102002741B1 (ko) 2015-10-29 2015-10-29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69326A4 (ko)
JP (1) JP6423545B2 (ko)
KR (1) KR102002741B1 (ko)
WO (1) WO2017072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85A1 (ko) 2018-06-28 2020-01-02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색종 치료용 방사성 화합물 및 그의 용도
US11470877B1 (en) * 2021-04-13 2022-10-18 Johan Tumba Cigarette butt holding container
GB202108734D0 (en) * 2021-06-18 2021-08-04 Nicoventures Trading Ltd Packing for a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4058772A1 (en) * 2022-09-13 2024-03-21 Johan Tumba Cigarette butt holding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886B2 (ja) 1996-05-02 2001-05-14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縦形頭上弁エンジン
WO2014136721A1 (ja) 2013-03-08 2014-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
WO2014136872A1 (ja) 2013-03-08 2014-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263A (en) * 1936-04-28 1937-11-23 Edward C Moulton Combined ashtray and snuffer
GB9517884D0 (en) * 1995-09-01 1995-11-01 Rothmans International Ltd Carton for smoking articles
JPH09322750A (ja) 1996-06-03 1997-12-16 Nippon Tansan Gas Co Ltd 紙巻タバコの火消し具
NZ334763A (en) * 1996-10-15 2000-10-27 Rothmans Benson & Hedges Cigarette sidestream smoke and free-burn rate control device
JP2001086973A (ja) 1999-07-22 2001-04-03 Hajime Ohara 吸殻収納式シガレットケース
JP2004115123A (ja) 2002-09-24 2004-04-15 Kakushi Nakatsuka 灰皿の機能を持たせたタバコのパッケージ
JP4333924B2 (ja) 2006-03-28 2009-09-16 太成 増田 煙草消火装置
KR101175286B1 (ko) * 2009-09-11 2012-08-20 조윤곤 담배 이너 케이스
KR101258194B1 (ko) * 2009-11-04 2013-05-02 서선옥 휴대용 담뱃불 소화기
JP3165886U (ja) * 2010-11-26 2011-02-10 洋志 野口 携帯用のタバコ切断機能付きタバコ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886B2 (ja) 1996-05-02 2001-05-14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縦形頭上弁エンジン
WO2014136721A1 (ja) 2013-03-08 2014-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
WO2014136872A1 (ja) 2013-03-08 2014-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766A (ko) 2018-07-03
EP3369326A1 (en) 2018-09-05
JP6423545B2 (ja) 2018-11-14
EP3369326A4 (en) 2019-09-04
WO2017072909A1 (ja) 2017-05-04
JPWO2017072909A1 (ja)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741B1 (ko) 봉상 담배 물품에 있어서의 탄소열원의 연소 잔재 수용기, 꽁초 용기, 및 봉상 담배 물품용 패키지
US10005588B2 (en) Case for tobacco products
RU25820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картридж для него
US20050236282A1 (en) Compartmentalized cigarette snuffer and receptacle
US5934894A (en) Apparatus for storage and use of rolled tobacco products
US10364987B2 (en) Water and scent resistant smoking accessory
US20110203600A1 (en) Cutting and storage device
CA2091600C (en) Cigarette extinguishing storage device
US6161550A (en) Cigar holder with cutter
JP2019050770A (ja) タバコ製品
TWI583314B (zh) 棒狀煙草物品中之碳熱源的燃燒殘渣收容器、煙蒂收容器及棒狀煙草物品用包裝
EP2953489B1 (en) Extinguisher for a smoking article
KR102443983B1 (ko) 흡연 물품용 소화기
KR20220071237A (ko) 리테이너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3165886U (ja) 携帯用のタバコ切断機能付きタバコケース
KR101274453B1 (ko) 재떨이가 구비된 담뱃갑
US20240148056A1 (en) Device for Extinguishing and Retaining Smokable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KR20180052211A (ko) 담배 깍지를 장착하는 담뱃갑
US10842185B1 (en) Two-in-one smoking apparatus to clean tobacco pipes and to refill tobacco papers
KR200169274Y1 (ko) 담뱃갑
JP5778837B1 (ja) 煙草ケ−ス
JP2001086973A (ja) 吸殻収納式シガレットケース
JPH1033156A (ja) 煙草消火具
KR200301919Y1 (ko) 다목적 흡연 용구
WO2020039195A1 (en) Object inser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