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82B1 -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82B1
KR102002382B1 KR1020170155279A KR20170155279A KR102002382B1 KR 102002382 B1 KR102002382 B1 KR 102002382B1 KR 1020170155279 A KR1020170155279 A KR 1020170155279A KR 20170155279 A KR20170155279 A KR 20170155279A KR 102002382 B1 KR102002382 B1 KR 10200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creen
winding
tak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857A (ko
Inventor
변태웅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플러스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플러스, 김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5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82B1/ko
Priority to PCT/KR2017/013441 priority patent/WO2019103181A1/ko
Priority to CA2986853A priority patent/CA2986853A1/en
Priority to US15/824,205 priority patent/US20190153777A1/en
Publication of KR2019005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스크린을 상/하 위치 조절하여 차광 또는 차폐 가능하도록 각각 롤수납되는 두 개의 권취롤본체를 갖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창호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수용공간을 갖는 롤커버와, 이 롤커버의 양단에 엔드플레이트를 갖는 블라인드하우징과; 상기 롤커버의 수용공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2스크린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롤수납된 제1,2권취롤본체와; 상기 제1,2권취롤본체와 어느 한쪽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권취롤본체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볼체인에 체인 연결되어 회전 구동으로 제1권취롤본체를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1권취롤본체와 구동기어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 중 일 방향의 회전만 제1권취롤본체에 전달하는 제1스위칭연결구와, 상기 제2권취롤본체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따라 제1,2권취롤본체 사이를 기어 이음 하는 중간기어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권취롤본체를 회전 작동시키는 종동기어와, 상기 제2권취롤본체와 종동기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회전력만 상기 제2권취롤본체에 전달하는 제2스위칭연결구를 갖는 기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2권취롤본체로 구분되는 권취롤본체는, 웨이트바를 갖는 스크린을 롤방식으로 회전하여 인출/수납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회전 작동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에 대응하여 반대측 엔드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의 타단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권취롤을 지지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의해나 권취봉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켜 롤수납된 스크린을 인출시키고, 상기 지지봉에 내장된 복귀스프링을 통해 상기 권취롤의 회전력을 축적한 후 탄성 복원시켜 스크린을 권취롤에 롤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를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고, 복귀스프링과 리미터를 통해 펼쳐진 스크린을 자동복귀로 신속한 수납 작동과 함께 차일드세이프를 확보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스크린의 신미성, 투광성, 차광성을 부여하여 희소가치가 상승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Description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Dual screen roll blind}
본 발명은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비해 두 개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인출/수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신미성, 투광/차광성을 모두 가질 수 있고, 차일드세이프를 확보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블라인드란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 롤블라인드는 전체적인 면적으로 동일한 투광량을 갖는 단일의 롤스크린을 하나의 권취봉에 감아 인출/수납을 통해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거나, 롤블라인드는 유리창의 상부에 설치된 권취봉에 롤스크린을 감아 올리는 구조로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롤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과 롤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여 투광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일부분(하부)은 완전 투광되고, 일부분(상부)은 완전 차단되는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의 전체 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투광량을 조절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투광부와 차광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두 장의 롤스크린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중첩된 양을 조절함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예로 첫 번째는 특허문헌 1의 "롤블라인드"로 창틀에 설치되고, 좌우 양단에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가 설치된 지지틀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틀의 엔드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2권취봉 및 상기 제1,2권취봉 중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구동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2권취봉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제1,2스크린과, 상기 제1,2스크린의 각 하단이 고정된 웨이트바 및 상기 제1,2권취봉을 상호 구속/해제시키는 클러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권취구동기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기어 및 상기 제2권취봉에 구속/해제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및 종동기어 사이에는 중간기어가 개재되며, 상기 종동기어는 그 일면에 원호 형상의 클러치소켓부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소켓부는 양단부을 가지고, 상기 제2권취봉에는 클러치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돌기가 상기 클러치소켓부 내에서 안내되면서 상기 클러치소켓부의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려 접촉함으로써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제2권취봉에 선택적으로 구속 내지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롤블라인드는 하나의 볼체인을 조작함으로써, 롤스크린의 개폐와 투광량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특히, 롤스크린의 개폐 구조와 투광량 조절 구조를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하나의 기계 구조로 제작하여, 구조의 간소화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가 우수하며, 반복적인 조작에 의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두 번째 예로는 특허문헌 2의 "듀얼 롤블라인드"가 제시된 기술은 투광부와 차광부을 각각 포함하는 제1,2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2권취봉을 구비하여, 상기 제1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기어 및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치합유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치합유지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클러치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클러치바디는 상기 치합유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세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팅홀과 상기 치합유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 롤블라인드는 하나의 볼체인으로 롤스크린의 투광량 조절과 롤스크린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며, 롤스크린의 초기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가 제1,2스크린을 감아 오르내리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볼체인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길게 늘어져 영,유아의 목조임으로 인한 질식사고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무한궤도 형으로 늘어진 종래 롤블라인드 장치의 볼체인은 종종 실내에서 뛰어다니는 어린 아이나, 또는 심신이 허약한 노약자들이 쉽게 하부로 늘어진 무한궤도 형의 끈에 걸려서 넘어지게 되어 크게 다치는 안전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한궤도 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볼체인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볼체인을 높게 위치시켜서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못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최근 법 계정을 통해 길이를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롤블라인드는 볼체인의 하단을 분리시켜서 그 길이를 짧게 하고, 어린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높게 위치시키게 되면, 제1,2스크린을 높이 조정하도록 볼체인을 당긴 다음, 볼체인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기능을 갖지 못한 것이어서 볼체인이 무한궤도 형이 아니고서는 반복적으로 제1,2스크린을 동작시켜야 하므로 스크린을 인출/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제1,2스크린의 투광부와 차광부를 서로 일치시키거나, 서로 어긋나도록 조절하는 유격 조절이 일정하게 형성된 것이어서, 다른 규격의 제1,2스크린에서 다른 크기의 투광부와 차광부를 서로 일치시키거나, 서로 어긋나도록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각 다른 롤블라인드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고,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크기의 투광부와 차광부를 갖는 제1,2스크린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것이었다.
KR 10-0866344 B1 KR 10-1037049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볼체인의 주행 방향에 따라 각 회전봉을 선택적으로 일 방향 회전시켜 권취롤에 감긴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기어유닛과 상기 회전봉 반대측에 구비되어 인출된 스크린을 탄성력에 의해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게 복귀스프링을 갖는 지지봉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스크린을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스크린을 각각 활용할 수 있어 신미성, 투광/차광성을 모두 가질 수 있고, 상기 권취봉에 구비되는 리미터와 상기 복귀스프링에 의해 차일드세이프를 확보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스크린을 상/하 위치 조절하여 차광 또는 차폐 가능하도록 각각 롤수납되는 두 개의 권취롤본체를 갖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창호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수용공간을 갖는 롤커버와, 이 롤커버의 양단에 엔드플레이트를 갖는 블라인드하우징과; 상기 롤커버의 수용공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2스크린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롤수납된 제1,2권취롤본체와; 상기 제1,2권취롤본체와 어느 한쪽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권취롤본체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볼체인에 체인 연결되어 회전 구동으로 제1권취롤본체를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1권취롤본체와 구동기어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 중 일 방향의 회전만 제1권취롤본체에 전달하는 제1스위칭연결구와, 상기 제2권취롤본체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따라 제1,2권취롤본체 사이를 기어 이음 하는 중간기어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권취롤본체를 회전 작동시키는 종동기어와, 상기 제2권취롤본체와 종동기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회전력만 상기 제2권취롤본체에 전달하는 제2스위칭연결구를 갖는 기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2권취롤본체로 구분되는 권취롤본체는, 웨이트바를 갖는 스크린을 롤방식으로 회전하여 인출/수납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회전 작동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에 대응하여 반대측 엔드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의 타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권취롤을 지지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의해나 권취봉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켜 롤수납된 스크린을 인출시키고, 상기 지지봉에 내장된 복귀스프링을 통해 상기 권취롤의 회전력을 축적한 후 탄성 복원시켜 스크린을 권취롤에 롤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봉은 상기 제1,2스위칭연결구로 구분되는 스위칭연결구에서부터 중심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로부터 상기 스위칭연결구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권취롤에 전달 시에만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유닛과; 상기 권취롤의 회전을 통해 스크린의 인출 작업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경우 상기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에 영향을 받아 스크린의 현재 위치를 구속/해제하는 스토퍼유닛과; 상기 스토퍼유닛의 해제를 통해 상기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에 영향을 받아 상기 권취롤의 회전으로 스크린이 롤수납될 때, 상기 스크린이 초기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권취롤의 회전을 정지시켜 롤수납을 완료시키는 리미트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유닛은, 원통 형상의 상기 권취롤의 내경에 소켓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며, 내측에 클러치소켓부을 갖는 클러치플러그과; 상기 클러치소켓부에 삽입 구비되며,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슬라이드키를 갖는 리어클러치와; 상기 리어클러치에 대응하여 클러치면이 상호 대응으로 치합되는 프런트클러치와; 상기 스위칭연결구에 직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을 프런트클러치에 전달하는 구동회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위칭연결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회전체가 회전과 동시에 상기 프런트클러치를 회전 시키면, 상기 프런트클러치에 치합되는 리어클러치의 슬라이드키를 상기 클러치플러그의 내측 걸림돌기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위칭연결구, 구동회전체, 프런트클러치, 리어클러치 및 클러치플러그을 한 몸으로 구속시켜 상기 권취롤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클러치소켓부에 대응하여 클러치플러그의 반대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볼가이드홈이 스플라인 방식으로 내측 면을 이루는 스토퍼소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소켓부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면에 둘레를 따라 직선구간과, 기하학적으로 단차를 갖는 걸림구간을 갖는 라인홈이 형성된 스토퍼몸체와; 상기 볼가이드홈과 라인홈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에 인출/수납되는 스크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직선구간 및 걸림구간을 이동하면서 스크린의 위치 구속/해제를 반복 수행하는 구슬 형상의 볼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유닛은, 상기 스토퍼몸체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로드와; 상기 스크류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판과; 상기 스크류로드에 너트 형상으로 체결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로드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을 타고 스크류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리미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의 인출을 위해 권취롤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로드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미터가 초기 마감판 위치에서 나사산을 따라 점점 멀어지는 위치 이동을 하고, 상기 스크린의 롤수납으로 상기 권취롤의 역회전 시 상기 스크류로드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미터가 마감판이 있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리미터가 마감판에 접촉 시 상기 스크린의 수납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감판이 결합된 스크류로드의 끝 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권취롤의 고속 회전과 스크린의 빠른 롤수납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파손 방지를 위해 상기 권취롤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엔드플레이트,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 제1,2권취롤본체를 순차적으로 각각 관통 결합으로 구비되어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를 창호에 설치 시 또는 사용하던 중에 제1,2권취롤본체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을 초기 위치로 조절하는 세팅조절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고, 복귀스프링과 리미터를 통해 펼쳐진 스크린을 자동복귀로 신속한 수납 작동과 함께 차일드세이프를 확보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스크린의 신미성, 투광성, 차광성을 부여하여 희소가치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서 권취롤본체 및 기어유닛의 각 구성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서 권취롤본체 및 기어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서 기어유닛의 작동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서 클러치유닛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서 스토퍼유닛의 설치 및 작동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에서 세팅조절구의 작동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1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크린(210)을 상/하 위치 조절하여 차광 또는 차폐 가능하도록 각각 롤수납되는 두 개의 권취롤본체(200)과, 엔드플레이트(120)를 갖는 블라인드하우징(100)과, 상기 스크린(210)의 인출/수납을 위해 상기 권취롤본체(200)를 작동시키는 기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은 블라인드가 가지는 통상적인 구조로 창호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수용공간을 갖는 롤커버(110)와, 이 롤커버(110)의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권취롤본체(200)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로 구분되어 상기 롤커버(110)의 수용공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에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 제1,2스크린(210a,210b)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롤수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어유닛(300)은 상기 제1,2권취롤본체(200a,200b)와 어느 한쪽의 엔드플레이트(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권취롤본체(200a)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볼체인(310)에 체인 연결되어 회전 구동으로 제1권취롤본체(200a)를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기어(320)와가 설치되고,
상기 제1권취롤본체(200a)와 구동기어(320)의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 방향 중 일 방향의 회전만 제1권취롤본체(200a)에 전달하는 제1스위칭연결구(350a)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엔드플레이트(120)를 따라 제1,2권취롤본체(200a,200b) 사이를 기어 이음 하는 중간기어(330)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권취롤본체(200b)를 회전 작동시키는 종동기어(3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와 종동기어(340)의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340)의 회전력만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에 전달하는 제2스위칭연결구(350b)가 위치된다.
즉, 상기 기어유닛(300)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우선적으로 사용자는 두 개의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볼체인의 당김 위치를 결정한다.
먼저, 도 4a에 의하면, 사용자가 구동기어(320)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에 제1스크린(210a)을 펼치고자 선택하면 원을 따라 양쪽으로 늘어진 볼체인(310) 중 안쪽에 위치되는 볼체인(310)을 잡아당겨 상기 구동기어(3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320)에 연결된 제1스위칭연결구(350a)는 구동기어(320)를 따라 외륜(351)이 함께 회전하고, 그 내측에 위치된 롤링핀(357)이 구름방식으로 이동하면, 내륜(353)에 형성된 테이퍼편(355)을 따라 상기 롤링핀(357)이 테이퍼편(355)의 좁은 틈으로 이동하여 끼임 작용을 통해 상기 외륜(351)을 따라 내륜(353)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구속되어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스위칭연결구(350a)를 통해 상기 제1권취롤본체(200a)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과 동시에 기어 연결된 중간기어(330)를 통해 상기 종동기어(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되, 상기 종동기어(340)의 회전 방향을 구동기어(320)와 반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340)에 연결된 제2스위칭연결구(350b)는 종동기어(340)를 따라 외륜(351)이 함께 회전하고, 그 내측에 위치된 롤링핀(357)이 구름방식으로 이동하면서, 내륜(353)에 형성된 테이퍼편(355)을 따라 상기 롤링핀(357)이 테이퍼편(355)의 넓은 틈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테이퍼편(355)이 롤링핀(357)을 구속하지 못하므로 상기 외륜(351)이 회전하더라도 내륜(353)이 함께 회전하지 않아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반대로, 도 4b에 의하면, 사용자가 구동기어(320)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에 제2스크린(210b)을 펼치고자 선택하면 원을 따라 양쪽으로 늘어진 볼체인(310) 중 바깥쪽에 위치되는 볼체인(310)을 잡아당겨 상기 구동기어(3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320)에 연결된 제1스위칭연결구(350a)는 구동기어(320)를 따라 외륜(351)이 함께 회전하고, 그 내측에 위치된 롤링핀(357)이 구름방식으로 이동하면, 내륜(353)에 형성된 테이퍼편(355)을 따라 상기 롤링핀(357)이 테이퍼편(355)의 넓은 틈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테이퍼편(355)이 롤링핀(357)을 구속하지 못하므로 상기 외륜(351)이 회전하더라도 내륜(353)이 함께 회전하지 않아 상기 제1권취롤본체(200a)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과 동시에 기어 연결된 중간기어(330)를 통해 상기 종동기어(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되, 상기 종동기어(340)의 회전 방향을 구동기어(320)와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340)에 연결된 제2스위칭연결구(350b)는 종동기어(340)를 따라 외륜(351)이 함께 회전하고, 그 내측에 위치된 롤링핀(357)이 구름방식으로 이동하면서, 내륜(353)에 형성된 테이퍼편(355)을 따라 상기 롤링핀(357)이 테이퍼편(355)의 좁은 틈으로 이동하여 끼임 작용을 통해 상기 외륜(351)을 따라 내륜(353)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구속되어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스위칭연결구(350b)를 통해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상기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로 구분되는 권취롤본체(200)는 기본적으로 스크린(210)이 롤수납된 권취롤(230)과, 권취롤(230)의 일단에 결합되어 기어 연결된 권취봉(240)과, 타단에 결합되어 권취롤(230)을 지지하는 지지봉(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롤(230)은 웨이트바(211)를 갖는 스크린(210)을 롤방식으로 회전하여 인출/수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봉(240)은 상기 권취롤(230)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에 각각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20)은 상기 권취봉(240)에 대응하여 반대측 엔드플레이트(120)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230)의 타단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권취롤(230)을 지지한다.
결국, 상기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에 의해나 권취봉(240)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권취롤(230)을 회전시켜 롤수납된 스크린(210)을 인출시키고, 상기 지지봉(220)에 내장된 복귀스프링(221)을 통해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력을 축적한 후 탄성 복원시켜 스크린(210)을 권취롤(230)에 롤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봉(240)은 상기 제1,2스위칭연결구(350a,350b)로 구분되는 스위칭연결구(350)에서부터 중심축(410)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로부터 상기 스위칭연결구(35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권취롤(230)에 전달 시에만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유닛(400)과;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을 통해 스크린(210)의 인출 작업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경우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영향을 받아 스크린(210)의 현재 위치를 구속/해제하는 스토퍼유닛(500)과; 상기 스토퍼유닛(500)의 해제를 통해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영향을 받아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으로 스크린(210)이 롤수납될 때, 상기 스크린(210)이 초기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을 정지시켜 롤수납을 완료시키는 리미트유닛(6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유닛(400)은 도 5를 참조하면, 원통 형상의 상기 권취롤(230) 내경에 소켓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며, 내측에 클러치소켓부(421)을 갖는 클러치플러그(420)과; 상기 클러치소켓부(421)에 삽입 구비되며, 지지스프링(433)에 의해 탄성 지지된 슬라이드키(431)를 갖는 리어클러치(430)와; 상기 리어클러치(430)에 대응하여 클러치면이 상호 대응으로 치합되는 프런트클러치(440)와; 상기 스위칭연결구(350)에 직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을 프런트클러치(440)에 전달하는 구동회전체(4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위칭연결구(3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회전체(450)가 회전과 동시에 상기 프런트클러치(440)를 회전 시키면, 상기 프런트클러치(440)에 치합되는 리어클러치(430)의 슬라이드키(431)를 상기 클러치플러그(420)의 내측 걸림돌기(423)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위칭연결구(350), 구동회전체(450), 프런트클러치(440), 리어클러치(430) 및 클러치플러그(420)을 한 몸으로 구속시켜 상기 권취롤(230)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러치유닛(400)은 스위칭연결구(350)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구동회전체(450) 및 프런트클러치(440)가 순차적으로 치합되어 회전되고, 마지막에 리어클러치(430)의 슬라이드키(431)를 상기 프런트클러치(440)에 의해 바깥쪽으로 강제 돌출 시켜 클러치소켓부(421)의 걸림돌기(423)에 걸려 순차적으로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유닛(500)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소켓부(421)에 대응하여 클러치플러그(420)의 반대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볼가이드홈(511)이 스플라인 방식으로 내측 면을 이루는 스토퍼소켓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소켓부(510)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면에 둘레를 따라 직선구간(523)과, 기하학적으로 단차를 갖는 걸림구간(525)을 갖는 라인홈(521)이 형성된 스토퍼몸체(520)와; 상기 볼가이드홈(511)과 라인홈(521)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230)에 인출/수납되는 스크린(2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직선구간(523) 및 걸림구간(525)을 이동하면서 스크린(210)의 위치 구속/해제를 반복 수행하는 구슬 형상의 볼키(530)로 구성된다.
이때, 도 7에 의하면, (a)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의 구동에 의해 클러치플러그(420)가 회전하면서 스토퍼소켓부(510)에 구비된 볼가이드홈(511)에 의해 각각의 볼키(530)가 저속으로 걸림구간(525)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부분에 걸림 없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상기 권취롤(230)에 스크린(210)이 인출되고, (b) 사용자가 볼체인(310)을 통한 구동을 정지하면 지지봉(220)에 구비된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소폭 이동하면서 걸림구간(525)에 위치되는 볼키(530)가 걸림부분에 끼어 스크린(2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위치 고정하게 되며, (c) 사용자가 펼쳐진 스크린(210)을 수납하기 위해 웨이트바(211)를 살짝 밑으로 잡아 당겼다가 놓치면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 때보다 고속으로 회전하여 스크린(210)이 권취롤(230)에 수납되면서 상기 볼키(530)가 걸림구간(525)을 무시하고 직선구간(523)을 따라 원활이 회전하여 롤수납 작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미트유닛(600)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몸체(52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로드(610)와; 상기 스크류로드(6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판(620)과; 상기 스크류로드(610)에 너트 형상으로 체결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로드(610)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을 타고 스크류로드(6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리미터(6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210)의 인출을 위해 권취롤(23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로드(610)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미터(630)가 초기 마감판(620) 위치에서 나사산을 따라 점점 멀어지는 위치 이동을 하고, 상기 스크린(210)의 롤수납으로 상기 권취롤(230)의 역회전 시 상기 스크류로드(610)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미터(630)가 마감판(620)이 있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리미터(630)가 마감판(620)에 접촉 시 상기 스크린(210)의 수납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판(620)이 결합된 스크류로드(610)의 끝 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권취롤(230)의 고속 회전과 스크린(210)의 빠른 롤수납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파손 방지를 위해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6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640)는 유압유를 갖는 탱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를 순차적으로 각각 관통 결합으로 구비되어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10)를 창호에 설치 시 또는 사용하던 중에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210)을 초기 위치로 조절하는 세팅조절구(700)가 더 구비된다.
도 8에 의하면, 상기 세팅조절구(700)는 내측에 스플라인 형상을 갖는 고정스플라인(710)이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결합 구멍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410)의 끝단에 밀착스프링(730)에 의해 외측에 스플라인 형상을 갖는 작동스플라인(720)이 고정스플라인(710)에 치합되면서 밀착 구비된다.
이때, 사용자는 (b) 별도의 지그 또는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스플라인(720)을 엔드플레이트(120)의 안쪽으로 밀어 치합을 해제 및 회전시켜 중심축(410)의 회전을 통해 권취롤본체(200)가 회전하여 스크린(21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중에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 저하 또는 각 유닛들 간에 슬립으로 발생되는 위치 변화를 다시 세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고, 복귀스프링과 리미터를 통해 펼쳐진 스크린을 자동복귀로 신속한 수납 작동과 함께 차일드세이프를 확보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스크린의 신미성, 투광성, 차광성을 부여하여 희소가치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100: 블라인드하우징
110: 롤커버
120: 엔드플레이트
200: 권취롤본체
200a: 제1권취롤본체
200b: 제2권취롤본체
210: 스크린
210a: 제1스크린
210b: 제2스크린
211: 웨이트바
220: 지지봉
221: 복귀스프링
230: 권취롤
240: 권취봉
300: 기어유닛
310: 볼체인
320: 구동기어
330: 중간기어
340: 종동기어
350: 스위칭연결구
350a: 제1스위칭연결구
350b: 제2스위칭연결구
400: 클러치유닛
410: 중심축
420: 클러치플러그
421: 클러치소켓부
423: 걸림돌기
430: 리어클러치
431: 슬라이드키
433: 지지스프링
440: 프런트클러치
450: 구동회전체
500: 스토퍼유닛
510: 스토퍼소켓부
511: 볼가이드홈
520: 스토퍼몸체
521: 라인홈
523: 직선구간
525: 걸림구간
530: 볼키
600: 리미트유닛
610: 스크류로드
620: 마감판
630: 리미터
640: 감속기
700: 세팅조절구

Claims (7)

  1. 두 개의 스크린(210)을 상/하 위치 조절하여 차광 또는 차폐 가능하도록 각각 롤수납되는 두 개의 권취롤본체(200)를 갖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10)에 있어서,
    창호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수용공간을 갖는 롤커버(110)와, 이 롤커버(110)의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20)를 갖는 블라인드하우징(100)과;
    상기 롤커버(110)의 수용공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에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2스크린(210a,210b)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롤수납된 제1,2권취롤본체(200a,200b)와;
    상기 제1,2권취롤본체(200a,200b)와 어느 한쪽의 엔드플레이트(1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권취롤본체(200a)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볼체인(310)에 체인 연결되어 회전 구동으로 제1권취롤본체(200a)를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기어(320)와, 상기 제1권취롤본체(200a)와 구동기어(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기어(320)의 회전 방향 중 일 방향의 회전만 제1권취롤본체(200a)에 전달하는 제1스위칭연결구(350a)와,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에 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엔드플레이트(120)를 따라 제1,2권취롤본체(200a,200b) 사이를 기어 이음 하는 중간기어(330)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권취롤본체(200b)를 회전 작동시키는 종동기어(340)와,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와 종동기어(3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340)의 회전력만 상기 제2권취롤본체(200b)에 전달하는 제2스위칭연결구(350b)를 갖는 기어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로 구분되는 권취롤본체(200)는,
    웨이트바(211)를 갖는 스크린(210)을 롤방식으로 회전하여 인출/수납하는 권취롤(230)과;
    상기 권취롤(230)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에 각각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에 회전 작동하는 권취봉(240)과;
    상기 권취봉(240)에 대응하여 반대측 엔드플레이트(120)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230)의 타단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권취롤(230)을 지지하는 지지봉(2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에 의한 권취봉(240)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권취롤(230)을 회전시켜 롤수납된 스크린(210)을 인출시키고, 상기 지지봉(220)에 내장된 복귀스프링(221)을 통해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력을 축적한 후 탄성 복원시켜 스크린(210)을 권취롤(230)에 롤수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권취봉(240)은,
    상기 제1,2스위칭연결구(350a,350b)로 구분되는 스위칭연결구(350)에서부터 중심축(410)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로부터 상기 스위칭연결구(35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권취롤(230)에 전달 시에만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유닛(400)과;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을 통해 스크린(210)의 인출 작업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경우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영향을 받아 스크린(210)의 현재 위치를 구속/해제하는 스토퍼유닛(500)과;
    상기 스토퍼유닛(500)의 해제를 통해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영향을 받아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으로 스크린(210)이 롤수납될 때, 상기 스크린(210)이 초기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을 정지시켜 롤수납을 완료시키는 리미트유닛(6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유닛(400)은,
    원통 형상의 상기 권취롤(230) 내경에 소켓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며, 내측에 클러치소켓부(421)을 갖는 클러치플러그(420)과;
    상기 클러치소켓부(421)에 삽입 구비되며, 지지스프링(433)에 의해 탄성 지지된 슬라이드키(431)를 갖는 리어클러치(430)와;
    상기 리어클러치(430)에 대응하여 클러치면이 상호 대응으로 치합되는 프런트클러치(440)와;
    상기 스위칭연결구(350)에 직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을 프런트클러치(440)에 전달하는 구동회전체(4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위칭연결구(3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회전체(450)가 회전과 동시에 상기 프런트클러치(440)를 회전 시키면, 상기 프런트클러치(440)에 치합되는 리어클러치(430)의 슬라이드키(431)를 상기 클러치플러그(420)의 내측 걸림돌기(423)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위칭연결구(350), 구동회전체(450), 프런트클러치(440), 리어클러치(430) 및 클러치플러그(420)을 한 몸으로 구속시켜 상기 권취롤(230)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500)은,
    상기 클러치소켓부(421)에 대응하여 클러치플러그(420)의 반대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볼가이드홈(511)이 스플라인 방식으로 내측 면을 이루는 스토퍼소켓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소켓부(510)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면에 둘레를 따라 직선구간(523)과, 기하학적으로 단차를 갖는 걸림구간(525)을 갖는 라인홈(521)이 형성된 스토퍼몸체(520)와;
    상기 볼가이드홈(511)과 라인홈(521)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230)에 인출/수납되는 스크린(2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직선구간(523) 및 걸림구간(525)을 이동하면서 스크린(210)의 위치 구속/해제를 반복 수행하는 구슬 형상의 볼키(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유닛(600)은,
    상기 스토퍼몸체(52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로드(610)와;
    상기 스크류로드(6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판(620)과;
    상기 스크류로드(610)에 너트 형상으로 체결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로드(610)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을 타고 스크류로드(6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리미터(6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210)의 인출을 위해 권취롤(23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로드(610)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미터(630)가 초기 마감판(620) 위치에서 나사산을 따라 점점 멀어지는 위치 이동을 하고, 상기 스크린(210)의 롤수납으로 상기 권취롤(230)의 역회전 시 상기 스크류로드(610)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미터(630)가 마감판(620)이 있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리미터(630)가 마감판(620)에 접촉 시 상기 스크린(210)의 수납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620)이 결합된 스크류로드(610)의 끝 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221)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권취롤(230)의 고속 회전과 스크린(210)의 빠른 롤수납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파손 방지를 위해 상기 권취롤(23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6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구동기어(320) 또는 종동기어(340),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를 순차적으로 각각 관통 결합으로 구비되어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10)를 창호에 설치 시 또는 사용하던 중에 제1,2권취롤본체(200a,200b)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210)을 초기 위치로 조절하는 세팅조절구(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KR1020170155279A 2017-11-21 2017-11-21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KR10200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79A KR102002382B1 (ko) 2017-11-21 2017-11-21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PCT/KR2017/013441 WO2019103181A1 (ko) 2017-11-21 2017-11-23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CA2986853A CA2986853A1 (en) 2017-11-21 2017-11-27 Dual screen roll blind
US15/824,205 US20190153777A1 (en) 2017-11-21 2017-11-28 Dual screen roll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79A KR102002382B1 (ko) 2017-11-21 2017-11-21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57A KR20190057857A (ko) 2019-05-29
KR102002382B1 true KR102002382B1 (ko) 2019-10-01

Family

ID=6653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279A KR102002382B1 (ko) 2017-11-21 2017-11-21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53777A1 (ko)
KR (1) KR102002382B1 (ko)
CA (1) CA2986853A1 (ko)
WO (1) WO2019103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1892A1 (en) * 2016-10-14 2018-04-14 Hunter Douglas, Inc. Adjustable internal double limit stop for roller shades
US11713620B2 (en) * 2017-10-24 2023-08-01 Maxxmar Inc. Blind control having a narrow profile drive
US20190343318A1 (en) * 2018-05-14 2019-11-14 Chen Tian Co., Ltd. Curtain controller assembly structure
TWI700424B (zh) * 2019-07-18 2020-08-01 程田有限公司 捲控兩用雙管裝置
TWI701009B (zh) * 2019-09-20 2020-08-11 程田有限公司 窗簾控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779A (ja) * 2006-04-27 2007-11-15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
JP2015148069A (ja) * 2014-02-05 2015-08-20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用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1433A (en) * 1945-09-29 1952-01-08 North John Window shade
US4418739A (en) * 1982-01-15 1983-12-06 Appropriate Technology Corporation Insulating window covering
JP3282981B2 (ja) * 1996-12-18 2002-05-2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KR100768403B1 (ko) * 2006-07-05 2007-10-18 김정민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US20090173454A1 (en) * 2008-01-09 2009-07-09 Li-Ming Cheng Double-layer window covering and transverse moving apparatus thereof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JP5361676B2 (ja) * 2009-11-18 2013-12-04 トーソー株式会社 カムク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間仕切り装置及び二重スクリーン日射遮蔽装置
KR100998173B1 (ko) *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037049B1 (ko) 2010-10-20 2011-05-26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131850B1 (ko) * 2011-03-02 2012-04-13 주식회사 윈플러스 롤 블라인드
US9062493B2 (en) * 2011-05-16 2015-06-23 Maxxmar Inc.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US9670719B2 (en) * 2012-05-11 2017-06-06 Mario M Marocco Double blind with vertical shade
CA2905693A1 (en) * 2013-03-15 2014-09-18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492020B1 (ko) * 2013-07-30 2015-02-10 김대영 롤 블라인드
KR101681553B1 (ko) * 2014-12-17 2016-12-01 전춘구 이중 블라인드 커튼
AU2016222265B2 (en) * 2015-02-19 2020-07-16 Rollease Acmeda Pty Ltd Unidirectional winder
FR3035423B1 (fr) * 2015-04-24 2021-06-18 Castel Jean Louis Dispositif d'occultation multifonctions a modules, notamment pour pergola
US10017984B2 (en) * 2016-06-15 2018-07-10 Tribute Window Covering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blind rollers
CA3003114A1 (en) * 2017-04-28 2018-10-28 Springs Window Fashions, Llc Center drop shade mou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779A (ja) * 2006-04-27 2007-11-15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
JP2015148069A (ja) * 2014-02-05 2015-08-20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用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3777A1 (en) 2019-05-23
KR20190057857A (ko) 2019-05-29
CA2986853A1 (en) 2019-05-21
WO2019103181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382B1 (ko)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US9976345B2 (en) Blind body brake mechanism for non pull cord window blind
EP2696025B1 (en) Sunlight-shielding device
US20110247768A1 (en) Child-Resistant Roller Blind Apparatus
KR101270204B1 (ko)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EP3368737B1 (en) Blind apparatus
CA2895060C (en) Improved single-cord type blind
KR20150014599A (ko) 롤 블라인드
KR100815924B1 (ko) 한 줄로 승 하강이 가능한 롤 스크린 블라인드
EP3902969B1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and window covering
KR101289531B1 (ko) 무소음 듀얼롤 블라인드장치
US20230059350A1 (en) Automatic lowering or lifting roller shutter
KR20200022472A (ko) 롤러 블라인드용 와인딩 장치
US20230349228A1 (en) Dual blind curtain provided with divided tape belt
CN104329010B (zh) 一种一键拉伸窗帘降落的窗帘单向控制装置及其窗帘
FI125040B (fi) Menetelmä rullaverhon lukitsemiseksi sekä rullaverhon lukitusmekanismi
KR20090112229A (ko) 롤스크린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