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982B1 - 태권도복 상의 - Google Patents
태권도복 상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1982B1 KR102001982B1 KR1020180133837A KR20180133837A KR102001982B1 KR 102001982 B1 KR102001982 B1 KR 102001982B1 KR 1020180133837 A KR1020180133837 A KR 1020180133837A KR 20180133837 A KR20180133837 A KR 20180133837A KR 102001982 B1 KR102001982 B1 KR 102001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area
- wearer
- opening
- taekwond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권도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전방을 향하는 전방부,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후방을 향하고 상기 전방부와 마주하는 후방부,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칼라부, 상기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이 일 영역에서 분리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절개 영역 및 상기 절개 영역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태권도복 상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태권도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호신용 무술은 인류 역사에 있어서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된 운동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스포츠의 하나로서 또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한 운동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예를들면 태권도는 우리 나라 고유의 무술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다양한 국가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태권도는 예를 중시하는 무술로서 상의 및 하의를 포함하는 태권도복을 착용한 채 시범, 겨루기 또는 시합을 진행한다.
한편, 이러한 태권도복 상의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될 수 있고, 품새 또는 호구 착용 시합등의 경우에 따라 약간의 형태가 다른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태권도복 상의는 착용이 용이하지 않을뿐 아니라 태권도 대회 등의 경우에 태권도복 상의 착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태권도복 상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권도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전방을 향하는 전방부,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후방을 향하고 상기 전방부와 마주하는 후방부,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칼라부, 상기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이 일 영역에서 분리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절개 영역 및 상기 절개 영역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태권도복 상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칼라부, 상기 좌측 영역 또는 상기 우측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착용자가 조작하도록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선택적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도 1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태권도복 상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선택적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도 1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태권도복 상의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100) 및 후술할 모든 실시예들의 태권도복 상의는 태권도를 위하여 착용하는 도복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무술, 예를들면 유도나 격투기의 도복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100)는 전방부(110), 후방부(120), 칼라부(130), 절개 영역(150) 및 개폐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110)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110)는 다양한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면,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한 면혼방 재질 또는 신축성이 있는 스판덱스(spandex)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한편 전방부(110)는 사용자가 착용 시 몸통의 우측 및 좌측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몸통 우측에 대응하는 우측 영역(111) 및 몸통 좌측에 대응하는 좌측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은 일 영역에서 분리될 수 있고, 이는 절개 영역(150)에서 후술한다.
후방부(120)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후방을 향하고 상기 전방부(110)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부(120)는 다양한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전방부(110)를 형성하는 재료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후방부(120)와 전방부(110)는 재봉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110)와 후방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110) 및 후방부(120)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양팔에 대응하도록 소매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소매부(140)는 추가적 예로서 단부에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접음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접음부(141)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 재봉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부(130)는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는 관통부(MU)에 대응하도록 칼라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라부(130)는 전방부(110)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110) 및 후방부(12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칼라부(130)는 전방부(110) 및 후방부(120)와 별도로 형성된 후에 재봉 또는 접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방부(110) 및 후방부(120)의 상단에 관통부(MU)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110)에 앞트임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부(110)와 후방부(120)의 사이에 측면 트임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태권도복 상의(100)를 착용 시 착용의 편의성 및 운동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절개 영역(150)은 전방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이 분리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절개 영역(150)은 길게 연장되어 전방부(110)의 상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절개 영역(150)을 통하여 전방부(110)는 일 영역에서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이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분리된 부분을 통하여 착용자는 용이하게 태권도복 상의(100)를 착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방부(110) 및 후방부(120)의 사이의 공간의 폭을 확대하지 않고도 착용자가 용이하게 태권도복 상의(100)의 탈의 및 착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 영역(150)에는 개폐부(170)가 배치되어 절개 영역(150)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이러한 내용은 후술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개 영역(150)의 일 단부는 전방부(110)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방부(110)는 연결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영역(113)은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연결 영역(113)은 전방부(110)의 하측 단부와 절개 영역(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 영역(150)이 전방부(110)의 하측 단부에까지 연장되지 않고 하측 단부와 이격되어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 영역에서 연결,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113)에서는 연결되므로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의 손상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착의나 탈의 시 전방부(110)의 하측 단부에서의 연결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착용자의 착의 및 탈의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개폐부(170)가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일단에서는 연결 영역(113)으로 제한되어 개폐부(170)의 손상이나 이탈을 용이하게 감소하여 절개 영역(150)에 대한 개폐 동작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개 영역(150)의 길이, 예를들면 착용자의 몸통의 상하 기준 방향으로의 길이는 연결 영역(113)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개폐부(170)는 상기 절개 영역(150)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70)는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개 영역(150)이 개방되어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이 개방 영역(151)을 통하여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개 영역(150)이 폐쇄되어 우측 영역(111) 및 좌측 영역(112)이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170)는 절개 영역(150)의 전체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절개 영역(15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칼라부(130)도 절개 영역(150)에 대응하도록 절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칼라부(130)는 절개 부분(135)을 포함할 수 있고, 절개 부분(135)은 개폐부(170)를 통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절개 부분(135)은 우측 부분(131) 및 좌측 부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개폐부(170)는 다양한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개폐부(170)는 지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71) 및 본체(1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72)는 띠 형태와 유사하고 절개 영역(15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칼라부(130)의 절개 부분(135)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72)는 띠와 유사한 형태에 이(tooth)가 형성되고, 이(tooth)를 막음하는 막음부를 연결 영역(113)과 인접한 영역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71)는 본체(172)를 따라 운동하면서 절개 영역에 대한 개폐를 진행할 수 있다. 손잡이부(171)는 예를들면 파지 영역 및 이와 연결되고 본체(172)의 이(tooth)를 따라 운동하여 이(tooth)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손잡이부(171)를 위로 올려서 본체(172)에 대한 잠금 과정을 통하여 절개 영역(150)을 닫고, 이와 함께 절개 부분(135)에 대한 잠금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71)를 아래로 내려서 본체(172)에 대한 해제 과정을 통하여 절개 영역(150)을 개방하고, 이와 함께 절개 부분(135)에 대한 개방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60)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개폐부(17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커버부(160)는 개폐부(170)의 손잡이부(171)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손잡이부(171)를 들어올려 개폐부(17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개폐부(170)가 최상단까지 운동한 위치에서 개폐부(17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70)가 개폐부(17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어, 태권도의 동작 또는 겨루기나 시합 중 착용자의 상대방의 주먹이나 신체의 다른 영역이 개폐부(170), 예를들면 손잡이부(171)와 접하여 통증을 느끼거나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160)에는 다양한 표시, 예를들면 태권도 연맹 표시등을 부착하여 시각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커버부(160)는 칼라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영역(160a)을 통하여 커버부(160)는 칼라부(130)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영역(160a)은 재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 영역(160a)은 접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버부(160)는 칼라부(130)에 연결된 채 들어올려 개폐부(170), 구체적으로 개폐부(170)의 손잡이부(171)를 노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160)는 들어올린 후 소정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160)는 적절한 두께 또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택적 실시예로서의 커버부(160')는 상면부(160a'), 바닥부(160b') 및 중간부(160c')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160c')는 예를들면 상면부(160a') 또는 바닥부(160b')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에로서 중간부(160c')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160c')는 부직포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160)를 들어올린 후 고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칼라부(13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단추 부재(19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단추 부재(190)는 스냅 단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볼록부(191) 및 오목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191)는 커버부(160)의 하면에 배치되고, 오목부(192)는 볼록부(191)에 대응하도록 칼라부(13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볼록부(191) 및 오목부(192)의 위치가 상호 바뀔 수도 있다.
단추 부재(190)를 통하여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는 커버부(160)를 칼라부(130)에 고정할 수 있고, 원하는 때에 고정을 손쉽게 해제한 후 커버부(16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부(160)를 들어올린 후 고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칼라부(13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벨크로 부재(19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벨크로 부재(195)는 제1 형태부(193) 및 제2 형태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태부(193)는 커버부(160)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2 형태부(194)는 제1 형태부(193)에 대응하도록 칼라부(13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형태부(193) 및 제2 형태부(194)의 서로 걸림을 통하여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는 커버부(160)를 칼라부(130)에 고정할 수 있고, 원하는 때에 고정을 손쉽게 해제한 후 커버부(16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160)는 전방부(110)의 일 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부(170)의 손잡이부(171)를 최상단으로부터 아래로 이동하여 절개 영역(150)의 일 영역이 개방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예를들면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과 좌측 영역(112)의 사이에 개방 영역(15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개방 영역(151)을 통하여 칼라부(130)의 절개 부분(135)의 우측 부분(131) 및 좌측 부분(132)도 분리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목을 태권도복 상의(100)에 넣거나 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개폐부(170)의 손잡이부(171)를 아래로 완전히 이동하여 절개 영역(150)의 전체가 개방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예를들면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과 좌측 영역(112)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 영역(151)은 도 8과 비교할 때 더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절개 영역(150)을 통하여 전방부(110)의 우측 영역(111)과 좌측 영역(112)은 연결 영역(113)을 제외한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0은 태권도복 상의(100)의 개방 영역(151)이 제일 크게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착용자는 용이하게 태권도복 상의(100)을 착의하거나 탈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는 전방부, 후방부, 칼라부, 절개 영역 및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를 통하여 절개 영역에 대한 개방과 폐쇄를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복을 착용하는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절개 영역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는 태권도복 상의를 용이하게 탈의 및 착의하여 착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을 통하여 절개 영역의 단부가 제한되어 전방부의 하측 단부까지 개방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태권도복 상의의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착용자가 탈의 및 착의 시 전방부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의 하측 단부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어 착의 및 탈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태권도복 상의의 용이한 탈의 및 착의가 가능하여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하도록 태권도복 상의를 제작 시 지나치게 큰 폭을 갖는 형태, 즉 박스 형태의 태권도복 상의 대신 적절한 크기의 도복, 예를들면 슬림형 태권도복 상의를 제작할 수 있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뿐 아니라, 착용자가 착용 시 태권도복 상의의 수려함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절개 영역을 개폐부에 의하여 개방 영역을 폐쇄한 시점, 예를들면 개폐부의 손잡이부를 상단까지 올린 경우에 절개 영역이 개방되지 않아 착용자가 착용후, 착용자의 전방에서 볼 때 절개 영역에 대한 인지가 곤란하므로 정식 태권도복 및 공인 태권도복으로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 할 것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를 이용하여 개폐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손잡이부가 최상단에 있을 때 손잡이부를 덮도록 하여 태권도복 상의의 심미감을 향상하고 착용자의 상대방의 부상이나 통증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한편, 태권도 겨루기 또는 경기 시 호구를 착용하는데 이러한 호구는 절개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절개 영역은 겨루기나 경기 시에 호구에 의하여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태권도복 상의에 대한 기존의 시각적 심미감의 변화가 없어 각종 태권도 대회등에도 용이하게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3 및 14는 도 11의 태권도복 상의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200)는 전방부(210), 후방부(220), 칼라부(230), 절개 영역(250) 및 개폐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210)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210)는 다양한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210)의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은 일 영역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방부(2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후방부(220)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후방을 향하고 상기 전방부(210)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부(22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210) 및 후방부(220)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양팔에 대응하도록 소매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소매부(240)는 추가적 예로서 끝단에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접음부(24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접음부(241)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 재봉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부(230)는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는 관통부(MU)에 대응하도록 칼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라부(230)는 전방부(210)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210) 및 후방부(22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칼라부(2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210)에 앞트임부(2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부(210)와 후방부(220)의 사이에 측면 트임부(2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태권도복 상의(200)를 착용 시 착용의 편의성 및 운동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절개 영역(250)은 전방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210)의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이 분리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절개 영역(250)은 길게 연장되어 전방부(210)의 상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절개 영역(250)을 통하여 전방부(210)는 일 영역에서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이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분리된 부분을 통하여 착용자는 용이하게 태권도복 상의(200)를 착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방부(210) 및 후방부(220)의 사이의 공간의 폭을 확대하지 않고도 착용자가 용이하게 태권도복 상의(200)의 탈의 및 착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개 영역(250)의 일 단부는 전방부(210)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방부(210)는 연결 영역(213)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영역(213)은 전방부(210)의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연결 영역(213)은 전방부(210)의 하측 단부와 절개 영역(2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 영역(250)이 전방부(210)의 하측 단부에까지 연장되지 않고 하측 단부와 이격되어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 영역에서 연결,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213)에서는 연결되므로 전방부(210)의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의 손상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착의나 탈의 시 전방부(210)의 하측 단부에서의 연결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착용자의 착의 및 탈의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개 영역(250)의 길이, 예를들면 착용자의 몸통의 상하 기준 방향으로의 길이는 연결 영역(213)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개폐부(270)는 상기 절개 영역(250)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270)는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개 영역(250)이 개방되어 전방부(210)의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이 절개 영역(250)이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개 영역(250)이 폐쇄되어 우측 영역(211) 및 좌측 영역(212)이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270)는 절개 영역(250)의 전체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절개 영역(25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칼라부(230)도 절개 영역(250)에 대응하도록 절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칼라부(230)는 절개 부분(235)을 포함할 수 있고, 절개 부분(235)은 개폐부(270)를 통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절개 부분(235)은 우측 부분(231) 및 좌측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개폐부(270)는 다양한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개폐부(270)는 지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271) 및 본체(2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72)는 띠 형태와 유사하고 절개 영역(25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칼라부(230)의 절개 부분(235)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72)는 띠와 유사한 형태에 이(tooth)가 형성되고, 이(tooth)를 막음하는 막음부를 연결 영역(213)과 인접한 영역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71)는 본체(272)를 따라 운동하면서 절개 영역에 대한 개폐를 진행할 수 있다. 손잡이부(271)는 예를들면 파지 영역 및 이와 연결되고 본체(272)의 이(tooth)를 따라 운동하여 이(tooth)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손잡이부(271)를 위로 올려서 본체(272)에 대한 잠금 과정을 통하여 절개 영역(250)을 닫고, 이와 함께 절개 부분(235)에 대한 잠금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71)를 아래로 내려서 본체(272)에 대한 해제 과정을 통하여 절개 영역(250)을 개방하고, 이와 함께 절개 부분(235)에 대한 개방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2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260)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개폐부(27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커버부(260)는 개폐부(270)의 손잡이부(271)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손잡이부(271)를 들어올려 개폐부(27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개폐부(270)가 최상단까지 운동한 위치에서 개폐부(27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270)가 개폐부(27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어, 태권도의 동작 또는 겨루기나 시합 중 착용자의 상대방의 주먹이나 신체의 다른 영역이 개폐부(270), 예를들면 손잡이부(271)와 접하여 통증을 느끼거나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260)에는 다양한 표시, 예를들면 태권도 연맹 표시등을 부착하여 시각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커버부(260)는 칼라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영역(미도시)을 통하여 커버부(260)는 칼라부(230)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영역(미도시)은 재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 영역(미도시)은 접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버부(260)는 칼라부(230)에 연결된 채 들어올려 개폐부(270), 구체적으로 개폐부(270)의 손잡이부(271)를 노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260)는 들어올린 후 소정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260)는 적절한 두께 또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커버부(26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의 변형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단추 부재(29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단추 부재(290)는 스냅 단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볼록부(291) 및 오목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200)는 보호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280)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개폐부(270)에 대응되도록 전방부(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보호부(280)는 개폐부(270)의 손잡이부(271)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개폐부(270)가 최상단까지 운동한 위치에서 개폐부(270)와 중첩되도록, 구체적으로 개폐부(270)의 손잡이부(271)와 중첩되도록 보호부(280)가 전방부(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280)는 태권도복 상의(200)를 착용한 착용자의 가슴이나 기타 피부가 개폐부(270), 예를들면 손잡이부(271)에 의하여 눌려 통증을 느끼거나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호부(280)는 커버부(260)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커버부(260)가 개폐부(270)상에서 손잡이부(271)를 덮고 있을 때 보호부(280)를 전체적으로 가리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가릴 수 있다.
보호부(280)는 칼라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보호부(280)는 칼라부(230)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고, 재봉 영역 또는 접합 영역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호부(280)는 전방부(210)의 우측 영역(211) 또는 좌측 영역(212)에 연결될 수 있다.
보호부(280)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커버부(260)보다 부드럽고 촉감이 좋은 솜이나 섬유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는 전방부, 후방부, 칼라부, 절개 영역 및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를 통하여 절개 영역에 대한 개방과 폐쇄를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복을 착용하는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절개 영역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는 태권도복 상의를 용이하게 탈의 및 착의하여 착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을 통하여 절개 영역의 단부가 제한되어 전방부의 하측 단부까지 개방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태권도복 상의의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착용자가 탈의 및 착의 시 전방부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의 하측 단부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어 착의 및 탈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를 이용하여 개폐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손잡이부가 최상단에 있을 때 손잡이부를 덮도록 하여 태권도복 상의의 심미감을 향상하고 착용자의 상대방의 부상이나 통증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손잡이부가 최상단에 있을 때 손잡이부와 중첩되도록 보호부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고 통증이나 부상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태권도복 상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태권도복 상의의 배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300)는 전방부(310), 후방부(320), 칼라부(330), 절개 영역(350) 및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310)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310)는 다양한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310)의 우측 영역(311) 및 좌측 영역(312)은 일 영역에서 분리될 수 있다.
후방부(320)는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후방을 향하고 상기 전방부(310)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양팔에 대응하도록 소매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소매부(340)는 추가적 예로서 끝단에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접음부(34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접음부(341)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 재봉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부(330)는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는 관통부(MU)에 대응하도록 칼라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라부(330)는 전방부(310)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방부(310)에 앞트임부(3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의 사이에 측면 트임부(3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태권도복 상의(300)를 착용 시 착용의 편의성 및 운동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300)는 하나 이상의 통풍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통풍 영역(3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통풍 영역(317)은 하나 이상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메쉬 형태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통풍 영역(317)은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통풍 영역(317)은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의 사이에 형성되고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의 하측 단부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구체적 예로서 측면 트임부(310b)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통풍 영역(317)은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의 사이에 형성되고 소매부(340)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풍 영역(317)은 인접한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의 다른 영역보다 통기성이 높은 영역으로서, 재봉 방법등으로 인접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풍 영역(317)은 태권도복 상의(300)의 통풍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착용자가 착용 시 땀이나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착용자가 땀을 많이 흘리는 곳 중 하나인 겨드랑이 부근에 제1 통풍 영역(317)이 대응되어 착용자의 편의성 및 쾌적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복 상의(300)의 세탁 시 세정 및 건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300)는 제2 통풍 영역(31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통풍 영역(319)은 하나 이상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메쉬 형태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통풍 영역(319)은 전방부(310) 또는 후방부(320)에 착용자의 등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칼라부(3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소매부(340)를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제2 통풍 영역(319)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통풍 영역(319)은 후방부(320)의 일 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착용자의 등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통풍 영역(319)은 태권도복 상의(300)의 통풍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착용자가 착용 시 땀이나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착용자가 땀을 많이 흘리는 곳 중 하나인 목의 윗부분 또는 등의 부근에 제2 통풍 영역(319)이 대응되어 착용자의 편의성 및 쾌적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복 상의(300)의 세탁 시 세정 및 건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절개 영역(350)은 전방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310)의 우측 영역(311) 및 좌측 영역(312)이 분리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절개 영역(350)은 길게 연장되어 전방부(310)의 상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연결 영역(313)은 전방부(310)의 하측 단부와 절개 영역(3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미도시)는 상기 절개 영역(350)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미도시)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36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의 변형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13 및 도 14에 설명한 것과 같은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태권도복 상의는 전방부, 후방부, 칼라부, 절개 영역 및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를 통하여 절개 영역에 대한 개방과 폐쇄를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복을 착용하는 착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절개 영역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는 태권도복 상의를 용이하게 탈의 및 착의하여 착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을 통하여 절개 영역의 단부가 제한되어 전방부의 하측 단부까지 개방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태권도복 상의의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착용자가 탈의 및 착의 시 전방부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의 하측 단부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어 착의 및 탈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를 이용하여 개폐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손잡이부가 최상단에 있을 때 손잡이부를 덮도록 하여 태권도복 상의의 심미감을 향상하고 착용자의 상대방의 부상이나 통증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풍 영역 또는 제2 통풍 영역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땀이나 열이 용이하게 배출되고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하여 착용자의 편의성과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태권도복 상의
110, 210, 310: 전방부
120, 220, 320: 후방부
130, 230, 330: 칼라부
150, 250, 350: 절개 영역
160, 260, 360: 커버부
110, 210, 310: 전방부
120, 220, 320: 후방부
130, 230, 330: 칼라부
150, 250, 350: 절개 영역
160, 260, 360: 커버부
Claims (4)
- 태권도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전방을 향하는 전방부;
착용자의 몸통에 대응되고 후방을 향하고 상기 전방부와 마주하는 후방부;
착용자의 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칼라부;
상기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이 일 영역에서 분리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절개 영역; 및
상기 절개 영역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부는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와 구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사용자 착용 기준으로 상기 칼라부의 전방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칼라부의 전방의 일 영역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칼라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칼라부의 전방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칼라부의 전방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연결하도록 최상단의 위치에 배치 시 상기 개폐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태권도복 상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칼라부의 전방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연결되는 태권도복 상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착용자가 조작하도록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태권도복 상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837A KR102001982B1 (ko) | 2018-11-02 | 2018-11-02 | 태권도복 상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837A KR102001982B1 (ko) | 2018-11-02 | 2018-11-02 | 태권도복 상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1982B1 true KR102001982B1 (ko) | 2019-07-19 |
Family
ID=6751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3837A KR102001982B1 (ko) | 2018-11-02 | 2018-11-02 | 태권도복 상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198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788Y1 (ko) * | 2002-11-05 | 2003-01-29 | 주식회사 일선상사 | 사용이 편리한 태권도복 상의 |
KR200465208Y1 (ko) * | 2011-06-09 | 2013-02-07 | 우정민 | 슬라이드파스너를 가지는 의류용 상지구 커버 |
KR20130036530A (ko) * | 2011-10-04 | 2013-04-12 | 유성규 | 들뜸을 방지하는 태권도복 |
JP2014198929A (ja) * | 2008-12-09 | 2014-10-23 | ダイネーゼ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 使用者の個人保護のための装置に関連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衣服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837A patent/KR102001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788Y1 (ko) * | 2002-11-05 | 2003-01-29 | 주식회사 일선상사 | 사용이 편리한 태권도복 상의 |
JP2014198929A (ja) * | 2008-12-09 | 2014-10-23 | ダイネーゼ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 使用者の個人保護のための装置に関連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衣服 |
KR200465208Y1 (ko) * | 2011-06-09 | 2013-02-07 | 우정민 | 슬라이드파스너를 가지는 의류용 상지구 커버 |
KR20130036530A (ko) * | 2011-10-04 | 2013-04-12 | 유성규 | 들뜸을 방지하는 태권도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04922B2 (en) | Transformable glove | |
US8898813B2 (en) | Easy access individual needs one piece garment | |
US5157792A (en) | Body armor vest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20150181960A1 (en) | Pull-over pouch | |
AU2019257367B2 (en) | Outerwear garment with a concealed stretch back layer | |
US20060075538A1 (en) | Head and face protector | |
US9247774B2 (en) | Easy access individual needs one piece garment | |
CA2807099C (en) | Wearable sports guard | |
KR20110027385A (ko) | 일회용 보호가운 | |
US4752973A (en) | Glove | |
EP3361893A1 (en) | Hood lock cord system | |
US9220307B2 (en) | Dual-use handcovering for protecting the hand of wearer from the atmospheric condition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
KR102001982B1 (ko) | 태권도복 상의 | |
US20160174616A1 (en) | Athletic jersey with cut-resistant portion | |
US20200282243A1 (en) | Advanced Multi-Threat Base Ensemble for Emergency Responders | |
CN208211519U (zh) | 一种防砍伤的防护服 | |
US6490735B2 (en) | Garment having a comfort element | |
US20120204318A1 (en) | Personal apparel garment particularly for health conscious three-finger-glove hand cover prophylactics | |
RU190620U1 (ru) | Пальто зимнее для ребенка - инвалида-колясочника | |
US20080276343A1 (en) | Draped garment with pockets | |
JP3138401U (ja) | 手を覆う抑制具 | |
EP2898786A2 (en) | Sweatshirt | |
JP6467228B2 (ja) | フードの構造体 | |
CN216456581U (zh) | 防毒服装 | |
JP3214944U (ja) | 衣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