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885B1 -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885B1
KR102001885B1 KR1020180164528A KR20180164528A KR102001885B1 KR 102001885 B1 KR102001885 B1 KR 102001885B1 KR 1020180164528 A KR1020180164528 A KR 1020180164528A KR 20180164528 A KR20180164528 A KR 20180164528A KR 102001885 B1 KR102001885 B1 KR 10200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locking
unlocking
stage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탁건
Original Assignee
코어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어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어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7C9/0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모션 인식을 이용함으로써 편의성과 보안성이 향상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모션 인식 기기를 포함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웨이크업 모션을 인식하고,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 특정된 오브젝트를 트랙킹하여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특정된 오브젝트의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에 따라, 상기 보안 기기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METHOD OF OPERATING SECURITY APPARATUS AND PROGRAM OF OPERATING SECURITY APPARATUS USING MO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안 기기는 출입문, 금고 등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구역 및 장치에 구비되어,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락킹과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기기이다(일 예로, 도어락).
사물 인터넷 기술(IoT; Internet of Things)과 스마트 홈 시스템(Smart home system)의 발달로 사용자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와 연동된 스마트 보안 기기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스마트 보안 기기는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를 휴대해야하며 보안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 기기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모션 인식 기기는 사물이나 사람의 움직임을 센서를 이용해 디지털로 옮기는 기기를 의미한다. 모션 인식의 방법은 기계식(접촉식 및 비접촉식), 자기식, 광학식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는 펄스 레이저광을 대기 중에 발사해 그 반사체 또는 산란체를 이용하여 거리 또는 대기현상 등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레이저 레이더라고도 한다. 반사광의 시간측정은 클럭펄스로 계산하며, 그 진동수 30MHz로 5cm, 150MHz로 1m의 분해능을 가져 기존의 카메라나 센서보다 월등한 탐지효율을 보인다.
따라서 보안 기기에 라이다의 원리를 적용한 모션 인식 기기를 장착하고 사용자의 모션을 정밀하게 인식하여 보안 기기를 작동한다면, 사용자 기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보안성도 뛰어난 보안 기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션 인식을 이용함으로써 편의성과 보안성이 향상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모션 인식 기기를 포함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웨이크업 모션을 인식하고,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 특정된 오브젝트를 트랙킹하여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특정된 오브젝트의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에 따라, 보안 기기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웨이크업 모션에 대한 제1알림이 표시되고,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에 대한 제2알림이 표시되고, 상기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에 대한 제3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상기 웨이크업 모션을 인식하고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캐닝 영역을 가지는 모션 인식 기기를 포함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웨이크업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따라,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동일한 스테이지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다른 스테이지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되어 복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안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웨이크업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대한 제1알림이 표시되고,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대한 제2알림이 표시되고, 상기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에 대한 제3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웨이크업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션 인식을 이용하며, 웨이크업 모션과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을 구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을 수행함으로써, 편의성과 보안성이 향상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 기기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안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보안 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안 기기(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 기기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안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보안 기기(100)는 다양한 보안 장소 및/또는 물건에 구비될 수 있고,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락킹과 락킹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락킹과 락킹 해제의 의미는 "보안 장소 및/또는 물건에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는 의미로 넓게 해석(일 예로, 특정 장소에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등)되며 락킹과 락킹 해제 그 자체의 문언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안 기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로도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보안 기기(100)가 도어에 장착되며,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도어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보안 기기(100)의 용도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안 기기(100)는 케이스(10), 모션 인식 기기(20) 및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보안 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로서, 합성 섬유 및 금속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모션 인식 기기(20)는 케이스(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스캐닝 영역(1) 내의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케이스(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션 인식 기기(20)와 통신하여 다양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 보안 기기(100)는 모션 인식 기기(20)와 통신하여, 모션 인식 기기(20)의 모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는 락킹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에는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광원(24)의 출사광이 오브젝트를 경유한 후 센서(25)로 조사되는 시간(ToF; Time-of flight)을 통해,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및 3차원 깊이 정보(3D Depth information) 등을 도출하고 이를 처리(일 예로, 인터랙션 처리 기술 적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대한 정보(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는 스캐닝 영역(1)은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테이지는 스캐닝 영역(1)에서 상호 다른 공간을 점유하는 장소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모션 정보는 "웨이크업 모션(2)"과,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과,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는 제1케이스(21), 제2케이스(22), 제3케이스(23), 광원(24), 센서(25), 미러(26), 모터(27), 제1기판(28) 및 제2기판(2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케이스(21), 제2케이스(22), 제3케이스(2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하여 "케이스"라고 호칭할 수 있고, 제1기판(28) 및 제2기판(29)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하여 "기판"으로 호칭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제1케이스(21), 제2케이스(22) 및 제3케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21), 제2케이스(22) 및 제3케이스(23)는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1케이스(21), 제2케이스(22) 및 제3케이스(23)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 및 광학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제1케이스(21) 및 제2케이스(22)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호 일측과 타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케이스(21)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케이스(22)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케이스(21)과 제2케이스(22)의 사이에 제3케이스(2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스(21)에는 광원(24), 센서(25) 및 제1기판(28)이 내장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22)에는 모터(27)와 제2기판(29)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에서는 광원 및 센서(24,25)와 모터(27)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모터(27)의 진동에 의해 광원 및 센서(24,25)의 광학적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는 컴팩트한 배치로 인해, 휴대하기 좋은 사이즈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Portable 용이).
제3케이스(23)는 투명부(23-1), 제1브라켓부(23-2) 및 제2브라켓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부(23-1)는 중공으로서 미러(26)가 내장될 수 있으며,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4)의 출사광과 오브젝트를 경유하여 센서(25)로 조사되는 광은 투명부(23-1)를 투과하여 각각 오브젝트 및 센서(25)를 향할 수 있다.
제1브라켓부(23-2)는 투명부(23-1)의 일측(상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케이스(2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브라켓부(23-2)에는 제1케이스(21)의 측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로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부(23-3)는 투명부(23-1)의 타측(하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2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브라켓부(23-3)에는 제2케이스(22)의 측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로드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24)은 광을 출사하는 소자일 수 있으며, 센서(25)는 광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광원(24)에서 출사된 광은 미러(26)에서 반사되어 오브젝트로 조사될 수 있다. 오브젝트를 경유한 광은 미러(26)에서 반사되며 센서(25)에서 획득되어 모션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24) 및 센서(25)는 제1기판(28)에 실장될 수 있으며, 제1기판(28)에서 미러(26)와 대향하는 면(하면)에 실장될 수 있다.
미러(26)는 제3케이스(23)에 내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미러(26)는 모터(27)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미러(26)의 회전에 의해 광원(24)의 출사광은 분포되어 넓은 모션 인식 스캐닝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미러(26)는 광학적 설계 요청에 의해 광원(24)의 출사광의 광축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미러(26)의 회전축은 광원(24)의 출사광의 광축과 나란하며, 미러(26)는 약 45도(Degree)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출사광을 대략적으로 전방, 후방, 좌측, 우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모터(27)는 제2케이스(22)에 내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모터(27)는 제2기판(29)에 실장되어, 전원과 제어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러(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27)는 본체(27-1), 샤프트(27-2) 및 지지대(2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7-1)는 제2기판(29)에서 미러(26)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27-2)는 본체(27-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기판(29)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샤프트(27-2)는 제2기판(29)의 하면에서 제2기판(29)을 관통하여 제2기판(29)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대(27-3)는 샤프트(27-2)로부터 일측(대략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미러(26)는 샤프트(27-2)와 지지대(27-3)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27-3)에는 미러(26)의 경사 배치를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미러(26)의 전방면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은 제1기판(28)과 제2기판(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8)은 제1케이스(21)에 내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28)에는 상술한 광원(24)와 센서(25) 외에 제어 모듈(28-1)이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28-1)은 제1기판(28)에서 미러(26)와 대향하는 면(하면) 및 미러(26)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1)은 센서(25)에서 생성된 모션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처리하여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1)은 모터(27)와 광원(2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28-1)은 모터(27)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광원(24)의 출사광의 파장 대역을 제어하여, 모션 인식의 분해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2기판(29)은 제2케이스(22)에 내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29)에는 상술한 모터(27) 외에 전원 모듈(29-1)과 충전 포트(29-2)가 실장될 수 있다. 전원 모듈(29-1)은 광원(24)와 센서(25)와 모터(27)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포트(29-2)는 전원 모듈(29-1)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포트(29-2)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포트(29-2)는 USB 포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전원 모듈(29-1)은 제2기판(29)에서 미러(26)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충전 포트(29-2)는 제2기판(29)에서 미러(26)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기판(28)과 제2기판(29)에는 제1기판(28)과 제2기판(29)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부재(29-3)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 부재(29-3)를 통해, 제어 모듈(28-1)의 제어 신호는 모터(27)에 전달될 수 있고, 전원 모듈(29-1)의 전원은 광원(24), 센서(25) 및 제어 모듈(28-1)로 전달될 수 있다.
도전 부재(29-3)는 광경로를 차단하지 않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전 부재(29-3)는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광원(24)과 센서(25)를 제어 모듈(28-1)과 함께 제1기판(28)에 실장함으로써, 신호의 이동 경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션 인식 기기(20)는 전원의 소비량이 높은 모터(27)를 전원 모듈(29-1)과 함께 제2기판(29)에 실장함으로써, 전원의 이동 경로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도전 라인이 간편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1기판(28)과 제2기판(29)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부재(29-3)의 사이즈를 줄여, 도전 부재(29-3)에 의해 광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S10)와, 모션 인식 기기(20)에서 웨이크업 모션(2)을 인식하고,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S20)와, 특정된 오브젝트를 트랙킹하여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인식하는 단계(S30)와, 특정된 오브젝트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에 따라,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보안 기기 자체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를 수행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S10)는 사용자의 접근 시에만 모션 인식 기기(20)를 온(On)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이를 위해, 보안 기기(100)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션 인식 기기(20)에서 웨이크업 모션(2)을 인식하고,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S20)에서는 사용자의 웨이크업 모션(2)을 인식하고 웨이크업 모션(2)을 수행한 오브젝트(일 예로, 사용자의 손)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웨이크업 모션(2)에 의해 모션 인식 기기(20)의 스캐닝 영역(1)에 존재하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웨이크업 모션(2)을 수행한 오브젝트를 특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에서는 웨이크업 모션(3)에 대한 제1알림(31)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알림(31)은 "웨이크업 모션을 인식하였다는 문구와 락킹(또는 락킹 해제) 모션을 입력해달라는 안내 문구"일 수 있다.
특정된 오브젝트를 트랙킹하여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인식하는 단계(S30)에서는 웨이크업 모션(2)을 수행한 특정된 오브젝트를 트랙킹하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모션 인식 기기(20)의 스캐닝 영역(1)에 존재하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웨이크업 모션(2)을 수행한 오브젝트가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에서는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에 대한 제2알림(32)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알림(32)은 "모션 수행 중이라는 문구"일 수 있다.
특정된 오브젝트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에 따라,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S40)에서는 특정된 오브젝트가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에서는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에 대한 제3알림(33)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알림(33)은 "락킹(또는 락킹 해제) 완료라는 문구와 이를 표현한 자물쇠 아이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에서는 웨이크업 모션(2)과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 2단계에 거쳐 도어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할 수 있다.
나아가 도어의 주변에 사용자 외의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외부인의 시야의 사각지대에서 웨이크업 모션(2)과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웨이크업 모션(2) 후 특정된 오브젝트가 트래킹되기 때문에, 웨이크업 모션(2) 후 외부인이 나타난 경우, 외부인의 시야의 사각지대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보안성이 향상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캐닝 영역을 가지는 모션 인식 기기(2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S100)와, 모션 인식 기기(20)에서 웨이크업 모션(2)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S200)와, 모션 인식 기기(20)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S300)와,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따라,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의 접근 시에만 모션 인식 기기(20)를 온(On)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이를 위해, 보안 기기(100)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션 인식 기기(20)에서 웨이크업 모션(2)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S200)에서는 사용자의 웨이크업 모션(2)을 인식하고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된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웨이크업 모션(2)에 의해 모션 인식 기기(20)의 스캐닝 영역(1)에 존재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중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된 스테이지까지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기로 셋팅된 스테이지와 다른 스테이지에서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된 경우, 웨이크업 단계를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모션과 스테이지 2중 인식으로 보안성 향상).
한편, 디스플레이(30)에서는 웨이크업 모션(3)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웨이크업 모션(3)이 수행된 스테이지에 대한 제1알림(31)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알림(31)은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된 스테이지에 대한 문구와 웨이크업 모션을 인식하였다는 문구와 락킹(또는 락킹 해제) 모션을 입력해달라는 안내 문구"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스테이지에서 웨이크업 모션(3)을 수행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
모션 인식 기기(20)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S300)에서는 사용자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인식하고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된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에 의해 모션 인식 기기(20)의 스캐닝 영역(1)에 존재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된 스테이지까지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기로 셋팅된 스테이지와 다른 스테이지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된 경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단계를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모션과 스테이지 2중 인식으로 보안성 향상).
한편, 디스플레이(30)에서는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된 스테이지에 대한 제2알림(32)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알림(32)은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된 스테이지에 대한 문구와 모션 수행 중이라는 문구"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스테이지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수행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과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따라,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S400)에서는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올바른 스테이지에서 수행된 경우, 이에 따라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에서는 도어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에 대한 제3알림(33)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알림(33)은 "락킹(또는 락킹 해제) 완료라는 문구와 이를 표현한 자물쇠 아이콘"일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은 오브젝트(일 예로, 사용자의 손)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오브젝트의 형태가 변화하는 모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은 오브젝트의 형태가 고정된 상태에서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화하는 모션일 수도 있다. 나아가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은 오브젝트의 위치와 형태가 모두 변화하는 모션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 중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스테이지 1)와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스테이지 1)는 동일한 스테이지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2와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 중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도 12의 경우 스테이지 1; 도 13의 경우 스테이지 2)와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도 12의 경우 스테이지 5; 도 13의 경우 스테이지 9)는 다른 스테이지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복수의 스테이지 중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기설정된 조건(사용자가 미리 셋팅)에 따라 그룹핑되어 복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인의 위치에 따라 웨이크업 모션(2)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선택하여, 외부인의 시야의 사각지대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3)을 수행할 수 있다(복수의 그룹 중 웨이크업 모션에 의해 선택된 그룹을 이용).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에서는 모션뿐만 아니라 스테이지까지 일치해야 도어가 락킹 또는 락킹 해제되므로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보안 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보안 기기(220)는 케이스(210), 모션 인식 기기(220) 및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에는 모션을 수행하는 오브젝트가 수용되는 공간인 포켓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211)는 모션을 수행하는 오브젝트가 인입되는 개방 부분 외에는 외부와 차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인의 시야의 사각지대에서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캐닝 영역을 가지는 모션 인식 기기를 포함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웨이크업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따라, 상기 보안 기기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웨이크업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대한 제1알림이 표시되고,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에 대한 제2알림이 표시되고, 상기 보안 기기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에 대한 제3알림이 표시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동일한 스테이지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다른 스테이지인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락킹 또는 락킹 해제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되어 복수의 그룹을 형성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기기에서 웨이크업 모션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상기 웨이크업 모션이 수행되는 스테이지를 인식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9. 삭제
  10.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64528A 2018-12-18 2018-12-18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KR10200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28A KR102001885B1 (ko) 2018-12-18 2018-12-18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28A KR102001885B1 (ko) 2018-12-18 2018-12-18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30A Division KR20200075721A (ko) 2019-07-15 2019-07-15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885B1 true KR102001885B1 (ko) 2019-07-19

Family

ID=6751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528A KR102001885B1 (ko) 2018-12-18 2018-12-18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8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515A (ko) * 2004-02-23 2005-08-26 박선식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출입통제제어방법
KR20110097851A (ko) * 2008-11-18 2011-08-31 아이덴트 테크놀로지 에이지 용량성 센서 시스템
KR20150130495A (ko) * 2013-03-15 2015-11-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적어도 두 개의 제어 객체들에 의해 수행되는 제스처의 검출
KR101888784B1 (ko) * 2017-02-14 2018-08-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개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515A (ko) * 2004-02-23 2005-08-26 박선식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출입통제제어방법
KR20110097851A (ko) * 2008-11-18 2011-08-31 아이덴트 테크놀로지 에이지 용량성 센서 시스템
KR20150130495A (ko) * 2013-03-15 2015-11-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적어도 두 개의 제어 객체들에 의해 수행되는 제스처의 검출
KR101888784B1 (ko) * 2017-02-14 2018-08-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개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29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ly tracking a target using a triangulation technique
US2019002598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ximity touch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238719A1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Blurring and Revealing Persons Appearing in Images
Pradhan et al. Smartphone-based acoustic indoor space mapping
CN102591488B (zh) 改进的输入设备和相关联的方法
US113015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 concealed monitoring
US20210207974A1 (en)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with Expedient Determination of Location of One or More Object(s) Within a Bounded Perimeter of 3D Space Based on Mapping and Navigation to a Precise POI Destination Using a Smart Laser Pointer Device
CA24932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KR102059825B1 (ko) 보호 커버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909225B2 (e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precluding entry of authentication codes in multi-person environments
KR20170105536A (ko) 광학 근접 센서 및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6700129B1 (en) Electronic board system and coordinates-inputting pen
US201603497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ximity Sensors and Mode Switching Functionality
KR20140088545A (ko) 광학 태블릿 스타일러스 및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19218274A1 (zh) 一种光源模组、图像获取装置、身份识别装置及电子设备
US20210072834A1 (en) A gestur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redicting mobile device location relative to user
WO2019233199A1 (zh) 验证方法、验证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278532A1 (en) Mems package with double-sided mirror
KR102001885B1 (ko)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KR20200075721A (ko) 모션 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기의 작동 방법 및 보안 기기의 작동 프로그램
JP2016030894A (ja) 電気錠システム
US20210118255A1 (en) Seamless access control system using wearables
WO2019233168A1 (zh) 验证方法、验证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117008A1 (en) Knocking gesture access control system
US20210035396A1 (en) Prestaging, gesture-based, access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