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39B1 - 휴대용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39B1
KR102001539B1 KR1020180032684A KR20180032684A KR102001539B1 KR 102001539 B1 KR102001539 B1 KR 102001539B1 KR 1020180032684 A KR1020180032684 A KR 1020180032684A KR 20180032684 A KR20180032684 A KR 20180032684A KR 102001539 B1 KR102001539 B1 KR 10200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trol circuit
brake
output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펨솔루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4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는 휴대용으로 제작됨으로써(배터리나 외부 계통전원 사용가능) 신속하고 편리하게 서보모터에서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를 해제 상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Portable Device for Releasing Spring-Applied Magnetic Disc Brake}
본 발명은 휴대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봇 관절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서보모터에서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를 해제 상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별도의 다른 언급이 없는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것음을 밝혀 둔다.
로봇 관절용에 사용되는 서보모터는 갑작스런 전원공급의 중단과 같은 특별한 상항에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걸림 상태를 유도하여 로봇 관절의 동작이 신속하게 정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로봇의 관절이 정지된 상태는 신체를 구속하여 위험한 상황을 만들기도 하고 로봇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 접힌 부분의 안쪽에 손이나 기구가 다다르지 못하게 하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때 브레이크 해제를 통하여 로봇 관절이 움직이게 함으로써 거기에 끼어있는 사람을 구하거나 로봇팔 등의 안쪽에 접힌 부분에 필요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생긴다.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해제를 위하여, 외부에서 단순히 일정한 DC(Direct Current) 전압을 인가하여 해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도 3의 DC 인가형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모델 참조), 일반적으로 서보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로봇 시스템에 장착된, 메인보드와 이에 연결된 서보드라이버 보드를 동작시켜 콘크롤러가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만들게하여 이를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도 4의 해제파형 요구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모델 참조)에 인가함으로써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풀림 상태로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메인보드, 통신선로, 서보드라이버 보드가 모두 정상 작동을 해야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가 해제될 수 있으며 시스템 전원(예, 50/60Hz AC100V, 50/60Hz AC200V 등)이 반드시 공급되어야만 동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 전원이 공급되기 어려운 상황이거나, 메인보드, 통신선로, 또는 서보드라이버 보드에 고장이 있는 경우 등에서, 시스템 전원의 준비나 시스템 부팅과 초기화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긴급한 인명사고 발생시 생명에 위험한 상황을 만들기도 하고 로봇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으로 제작됨으로써(배터리나 외부 계통전원 사용가능) 신속하고 편리하게 서보모터에서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를 해제 상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제공하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는, 배터리홀더 및 상기 배터리홀더의 출력부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DC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출력제어회로;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부와 상기 출력제어회로 사이에 연결된 파워스위치; DC출력모드를 위한 제1모드피드백회로; 신호파형출력모드를 위한 제2모드피드백회로; 및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상기 DC출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기 출력제어회로와 상기 제1모드피드백회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력제어회로는 DC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상기 신호파형출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기 출력제어회로와 상기 제2모드피드백회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력제어회로는 미리 정해진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DC전압에 의해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제1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제공을 위하여, 상기 출력제어회로가 상기 DC전압을 생성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DC전압을 유지하고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DC전압을 유지하는 형태의 상기 파형을 갖는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제2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제공을 위하여, 상기 출력제어회로가 상기 파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는, 상기 출력제어회로의 출력부의 2단자중 어느 한 단자에 연결된 퓨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는, 접지와 상기 출력제어회로 사이에 연결된 브레이크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스위치가 턴온시 상기 출력제어회로가 동작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는, 외부 AC 전원을 입력받아 제2DC 전원을 생성하여 제2다이오드를 통해 제2DC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다이오드의 출력부가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다이오드의 출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DC 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다이오드의 출력 전압보다 상기 제2다이오드의 문턱전압이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나 외부 계통전원의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용으로 제작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들고 다니면서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제공하여, 서보모터에서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를 해제 상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는,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긴급히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로봇 등에 서보모터 등을 조립하는 라인, 애프터서비스 현장, 또는 로봇의 관절이나 몸통 등 서보모터의 동작과 연관된 부분에서의 끼임사고 발생으로 인명 구조가 요구될 때 등에 있어서, 계통전원(예, 50/60Hz AC100V, 50/60Hz AC200V 등)을 투입하지 않고도 소형 배터리만으로도 독립적으로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모드별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DC 인가형 무여자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4는 해제파형 인가형 무여자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100)는, 제1전원공급부(110), 제2전원공급부(120), 파워스위치(130), 브레이크스위치(140), 출력제어회로(150), 제1모드피드백회로(160), 제2모드피드백회로(170), 모드선택스위치(180), 퓨즈(fuse)(190)를 포함한다.
먼저, 전원공급은 제1전원공급부(110) 또는 제2전원공급부(1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원공급부(110)는, 배터리홀더(110)와 배터리홀더(110)의 출력부에 연결된 다이오드(112)를 포함하며, DC전원(예, 27V)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10)에 건전지(BAT)(예, 9V 3개 등)를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다.
주변에 계통전원(예, 50/60Hz AC100V, 50/60Hz AC200V 등)이 있는 경우에는, 제2전원공급부(120)의 연결부(10)(예, 커넥터)에 계통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제2전원공급부(120)가 외부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입력받아 제2DC 전원(예, 30~50V)을 생성하여 제2다이오드(124)를 통해 제2DC전원(예, 30~50V)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전원공급부(120)는 순차 연결된, 노이즈(예,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등) 제거를 위한 필터(121), 브리지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는 정류기(122), 정류기(122)의 출력 DC 전압을 필요한 전압크기로 변환하기 위한 DC/DC 변환기(123)(예, 플라이백 DC/DC 컨버터), 제2다이오드(124)를 포함한다.
제2다이오드(124)의 출력부가 제1전원공급부(110)의 다이오드(112)의 출력부와 연결되며, 제2전원공급부(120)가 생성하는 제2DC 전원의 전압(예, 30~50V)이 제1전원공급부(110)의 다이오드(112)의 출력 전압보다 제2다이오드(124)의 문턱전압이상으로 높은 크기로 생성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홀더(110)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다이오드(112)를 통해 DC전원(예, 27V)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도, 제2전원공급부(120)의 연결부(10)에 외부 AC 전원이 입력되면, 제2DC 전원의 전압(예, 30~50V)이 제1전원공급부(110)의 다이오드(112)의 출력 전압보다 제2다이오드(124)의 문턱전압이상으로 높으므로, 제2DC 전원의 전압(예, 30~50V)이 파워스위치(130)를 통해 출력제어회로(150)로 공급된다. 이때 배터리홀더(110)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력 소모는 없게 된다.
즉, 다이오드(112)의 출력부와 출력제어회로(150) 사이에 연결된 파워스위치(130)를 턴온(turn on) 상태로 하면, 출력제어회로(150)에 DC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다만, 파워스위치(130)가 턴온되었더라도 브레이크스위치(140)를 더 이용하여 출력제어회로(150)의 동작 여부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제 장치(100)의 접지와 출력제어회로(150) 사이에 연결된 브레이크스위치(140)는 턴온됨으로써 출력제어회로(150)를 인에이블 상태로 만들어 출력제어회로(150)가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력제어회로(150)의 해당 부분을 항상 접지 상태로 만들어 놓는 경우에, 브레이크스위치(14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다만 이와 같은 브레이크스위치(140)를 사용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출력제어회로(150)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고,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해제가 필요한 경우에만 브레이크스위치(140)를 턴온시킴으로써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의 전압을 서보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출력부(Vout)의 2단자중 어느 한 단자 이상에는 과전류시 출력을 차단시키도록 개방(open)됨으로써 출력제어회로(150)를 보호하기 위한 퓨(190)가 포함될 수 있다.
모드선택스위치(180)는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의 출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모드선택스위치(180)에 의해서 어느 한쪽 접점, 즉, DC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제1모드피드백회로(160)가 출력제어회로(150)와 연결되고, 출력제어회로(150)와 제1모드피드백회로(160)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는 DC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모드선택스위치(180)에 의해서 다른 한쪽 접점, 즉, 신호파형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제2모드피드백회로(170)가 출력제어회로(150)와 연결되고, 출력제어회로(150)와 제2모드피드백회로(170)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는 미리 정해진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출력제어회로(150), 제1모드피드백회로(160), 제2모드피드백회로(170)는, 수동소자(예,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등), 능동소자(예,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증폭기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제어회로(150)는 위와 같은 DC출력모드와 신호파형출력모드의 신호를 생성하는데 공통적인 소자들로 이루어진 공통회로를 포함하며, DC출력모드에서는 출력제어회로(150)의 공통회로와 제1모드피드백회로(160)에 포함된 소자들이 병합된 회로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는 소정의 DC 전압(VA)(예, 27V)을 유지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신호파형출력모드에서는 출력제어회로(150)의 공통회로와 제2모드피드백회로(170)에 포함된 소자들이 병합된 회로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는 미리 정해진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해제 모드별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모드(MODE1)인 DC출력모드에서는 파워스위치(130)가 턴온되면(브레이크스위치(140)가 있는 경우 브레이크스위치(140)의 턴온 포함), 출력제어회로(150)와 제1모드피드백회로(160)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는 소정의 DC 전압(VA)(예, 27V)을 유지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제2모드(MODE2)인 신호파형출력모드에서는 파워스위치(130)가 턴온되면(브레이크스위치(140)가 있는 경우 브레이크스위치(140)의 턴온 포함), 출력제어회로(150)와 제2모드피드백회로(170)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는 미리 정해진 파형을 갖는 신호,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예, 0.2초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DC전압(VB1)(예, 27V)을 유지하고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DC전압(VB2)(예, 7V)을 유지하는 형태의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선택스위치(180)에 의해 제1모드(MODE1)인 DC출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DC전압에 의해 브레이크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제1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도 3의 DC 인가형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모델 참조)에 제공을 위하여, 출력제어회로(150)가 DC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DC 인가형 서보모터는 DC전압(VB1)(예, 27V)이 인가되면 브레이크 걸림상태의 해제가 시작되고 DC전압의 공급이 차단되면 다시 브레이크 걸림 상태로 복귀하는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일례이다. 일반적으로 DC전압의 제공은 서보모터 내부의 여자 코일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킴으로써 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브레이크 해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모드선택스위치(180)에 의해 제2모드(MODE2)인 신호파형출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예, 0.2초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DC전압(VB1)(예, 27V)을 유지하여 과여자하고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DC전압(VB2)(예, 7V)을 유지하는 형태의 파형을 갖는 신호에 의해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제2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도 4의 해제파형 요구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모델 참조)에 제공을 위하여, 출력제어회로(150)가 위와 같은 파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해제파형 요구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예, 0.2초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DC전압(VB1)(예, 27V)을 유지하면서 브레이크 해제가 시작되고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DC전압(VB2)(예, 7V)을 유지하는 형태의 파형을 갖는 신호에 의해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DC전압의 공급이 차단되면 다시 브레이크 걸림 상태로 복귀하는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일례이다.
이와 같은 도 4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도 2와 같이 전압의 크기를 VB1(예, 27V)에서 VB2(예, 7V)로 줄임에 따라 전류 소모가 IB1(예, 0.7A)에서 IB2(예, 0.2A)로 감소하고, 이에 따라 도 3의 DC 인가형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DC전압(VB1)(예, 27V)과 전류(IB1) (예, 0.2A)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델과 비교하여 전력소모가 적다. 따라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도 4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가 도 3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보다 더 잘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예에서 DC 인가형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DC전압(VB1)(예, 27V)에 의해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해제가 이루어지고, 해제파형 요구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예, 0.2초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DC전압(VB1)(예, 27V)을 유지하면서 브레이크 해제가 시작되고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DC전압(VB2)(예, 7V)을 유지하는 형태의 파형을 갖는 신호에 의해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100)는, DC 인가형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 라도 다른 다양한 DC전압의 크기에 의해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해제가 이루어지는 서보모터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제어회로(150)의 공통회로와 제1모드피드백회로(160)에 포함된 소자들이 병합된 회로가, 해당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인가될 적절한 DC전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100)는, 해제파형 요구된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라도 다른 다양한 모양의 신호 형태에 의해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가 이루어지는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제어회로(150)의 공통회로와 제2모드피드백회로(170)에 포함된 소자들이 병합된 회로가, 해당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인가될 적절한 해당 파형 형태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하여 실현할 수 있다.
출력제어회로(150)는 위와 같은 DC출력모드와 신호파형출력모드의 신호를 생성하는데 공통적인 소자들로 이루어진 공통회로를 포함하며, DC출력모드에서는 출력제어회로(150)의 공통회로와 제1모드피드백회로(160)에 포함된 소자들이 병합된 회로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는 소정의 DC 전압(VA)(예, 27V)을 유지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신호파형출력모드에서는 출력제어회로(150)의 공통회로와 제2모드피드백회로(170)에 포함된 소자들이 병합된 회로의 동작에 의해 출력제어회로(150)의 출력부(Vout)는 미리 정해진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100)는, 배터리나 외부 계통전원의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용으로 제작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들고 다니면서 2가지 모드에 대한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제공하여, 서보모터에서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를 해제 상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100)는,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긴급히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로봇 등에 서보모터 등을 조립하는 라인, 애프터서비스 현장, 또는 로봇의 관절이나 몸통 등 서보모터의 동작과 연관된 부분에서의 끼임사고 발생으로 인명 구조가 요구될 때 등에 있어서, 계통전원(예, 50/60Hz AC100V, 50/60Hz AC200V 등)의 투입을 이용하여 또는 계통전원의 투입없이 소형 배터리만으로도 독립적으로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1전원공급부(110)
제2전원공급부(120)
파워스위치(130)
브레이크스위치(140)
출력제어회로(150)
제1모드피드백회로(160)
제2모드피드백회로(170)
모드선택스위치(180)
퓨즈(190)

Claims (5)

  1. 서보모터의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홀더 및 상기 배터리홀더의 출력부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DC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출력제어회로;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부와 상기 출력제어회로 사이에 연결된 파워스위치;
    DC출력모드를 위한 제1모드피드백회로;
    신호파형출력모드를 위한 제2모드피드백회로; 및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상기 DC출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기 출력제어회로와 상기 제1모드피드백회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력제어회로는 DC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상기 신호파형출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기 출력제어회로와 상기 제2모드피드백회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력제어회로는 미리 정해진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DC전압에 의해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제1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제공을 위하여, 상기 출력제어회로가 상기 DC전압을 생성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DC전압을 유지하고 이후 상대적으로 낮은 DC전압을 유지하는 형태의 상기 파형을 갖는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제2 자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제공을 위하여, 상기 출력제어회로가 상기 파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회로의 출력부의 2단자중 어느 한 단자에 연결된 퓨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접지와 상기 출력제어회로 사이에 연결된 브레이크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스위치가 턴온시 상기 출력제어회로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AC 전원을 입력받아 제2DC 전원을 생성하여 제2다이오드를 통해 제2DC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다이오드의 출력부가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다이오드의 출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DC 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다이오드의 출력 전압보다 상기 제2다이오드의 문턱전압이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브레이크 해제 장치.
KR1020180032684A 2018-02-27 2018-03-21 휴대용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 KR10200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3826 2018-02-27
KR1020180023826 2018-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39B1 true KR102001539B1 (ko) 2019-07-19

Family

ID=6751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84A KR102001539B1 (ko) 2018-02-27 2018-03-21 휴대용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894A (ja) * 2005-03-25 2006-10-05 Seiko Epson Corp 多関節ロボットのモータブレーキ解除装置
JP4320556B2 (ja) * 2003-04-02 2009-08-26 株式会社安川電機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11156611A (ja) * 2010-01-29 2011-08-18 Nidec Sankyo Corp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200467B2 (ja) * 2015-08-07 2017-09-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ブレーキの異常を検出する機能を備えたモータ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556B2 (ja) * 2003-04-02 2009-08-26 株式会社安川電機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06263894A (ja) * 2005-03-25 2006-10-05 Seiko Epson Corp 多関節ロボットのモータブレーキ解除装置
JP2011156611A (ja) * 2010-01-29 2011-08-18 Nidec Sankyo Corp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200467B2 (ja) * 2015-08-07 2017-09-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ブレーキの異常を検出する機能を備えたモータ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92273A (en) Switching power supply operable on dual/multiple voltage level inputs; UPS
JP5675893B2 (ja) 電気自動車用インバータ−充電器統合装置及び制御方法
US9083267B2 (en) Electric motor vehicle
EP2237400A2 (en) Modular power adapter
EP2461935A1 (en) Auxiliary power supply for a welding machine
JP2014176170A (ja) 受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US7728456B2 (en) Vehicle auxiliary electric-power-supplying system
JP5308840B2 (ja) 給電調整装置を備えたロボットシステム
PH12013000011B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A2291447A1 (en) Dual operator phase control engine driven welder
KR102001539B1 (ko) 휴대용 무여자 작동형 자기 디스크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
JP2013230082A (ja) 初期過渡電流抑制
KR101951675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JP2007053897A5 (ko)
US4326236A (en) Control system for an electro-magnetic brake
US6294887B1 (en) Motor brake device for a robot
JP2004248489A (ja) モータ用電源供給装置
JP7060204B2 (ja) 電源装置、医用電気機器
US7432697B2 (en) Universal input device for a tap changer
JP2000233090A (ja) ミシンの制御装置
AU2014344218B2 (en) Drive system
KR101265267B1 (ko) 고압 전원장치
JP2009528010A5 (ko)
US9694693B1 (en) Control system for multi-purpose vehicle
KR20170126822A (ko) 엘이디점등용 컨버터회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