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21B1 - 광통신모듈 - Google Patents

광통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21B1
KR102001421B1 KR1020170028890A KR20170028890A KR102001421B1 KR 102001421 B1 KR102001421 B1 KR 102001421B1 KR 1020170028890 A KR1020170028890 A KR 1020170028890A KR 20170028890 A KR20170028890 A KR 20170028890A KR 102001421 B1 KR102001421 B1 KR 10200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tical communication
disposed
holde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718A (ko
Inventor
전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2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통신소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배치되어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덮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광통신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광통신모듈{OPTICAL COMMUNICATION MODULE}
실시 예는 광통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모듈은 각종 광통신 기능을 하나의 패키지 내에 수용하여 광섬유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모듈화한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전력 소비가 적고 장거리에 활용 가능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한 광송신기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하는 광수신기를 하나로 모듈화한 양방향 광통신모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광통신모듈은 플러그식으로 구성되어 호스트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플러그식 광통신모듈은 스프링과 래치(latch)를 이용하여 광섬유가 손쉽게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모듈의 작은 홈에 스프링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어려워지고,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는 조립이 간편한 광통신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장착 불량률이 감소하여 신뢰성이 우수한 광통신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통신소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배치되어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덮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및 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돌기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 제조방법은, 수용홈이 배치된 제1하우징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홀더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용홈을 노출시킨 후, 상기 수용홈에 스프링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홀더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용홈을 덮는 단계;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제2하우징을 결합하여 상기 홀더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광통신모듈의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삽입이 쉬워져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을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홀더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을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홀더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홈을 덮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통신모듈은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타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MSA 규약(Multiple Source Agreement)을 만족하는 다양한 타입의 트랜시버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을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은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통신소자(300), 및 하우징(200)의 일측(P1)에 배치되는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일측(P1)과 타측(P2)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210)은 하우징(200)의 일면을 형성하며 스프링(140)이 배치되는 수용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220)은 하우징(200)의 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200)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우징(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00)는 하우징(200)의 수용홈(211)을 덮는 결합부(120), 하우징(200)의 타측(P2)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130), 및 하우징(200)의 일측(P1)으로 연장된 핸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하우징(200)의 일측(P1)에 결합되며, 하우징(200)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211)을 덮을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하우징(200)의 일면과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는 모듈을 뒤집어서 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120)는 하우징(200)의 타면(제2하우징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부(120)가 하우징(200)의 타면을 노출시키므로 스프링의 삽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결합부(120)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결합부(120)는 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슬라이딩부(130)는 결합부(120)의 타측에 배치되고 하우징(200)의 타측(P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0)는 하우징(200)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0)는 핸들(110)에 의해 제1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일측(P1) 방향 또는 타측(P2)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핸들(110)은 결합부(120)의 일측(P1)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200)의 일측(P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핸들(110)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힘을 홀더(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들(110)을 잡아당기면 결합부(120)와 슬라이딩부(130)는 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00)의 일 측(P1)에 광섬유(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핸들(110)을 잡아당긴 후 광섬유를 모듈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의 후크(121)는 수용홈(211)에 배치된 탄성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10)을 잡아당기면 후크(121)가 스프링(140)을 가압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0)는 홀더(10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광통신소자(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섬유와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통신소자(300)는 회로기판(330), 회로기판(330)에 연결된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소자(300)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송신기와 광수신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또는 드라이버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광통신소자(300)는 TOSA(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및/또는 ROSA(Receiver Optical Sub-Assembly)를 포함하는 광통신부품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조립 방법은 수용홈(211)이 배치된 제1하우징(210)에 홀더(100)를 배치하는 단계, 홀더(1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홈(211)을 노출시킨 후 수용홈(211)에 스프링(140)을 삽입하는 단계, 홀더(1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홈을 덮는 단계, 및 제1하우징(210)에 제2하우징(220)을 결합하여 홀더(100)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홀더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을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홀더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홈을 덮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100)를 제1하우징(2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홀더(100)를 들어올려 제1하우징(210)에 배치된 수용홈(211)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211)에 스프링(14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결합부(120)에 수용홈(211)과 대응되는 작은 홈을 형성하여 스프링(140)을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작은 홈에 스프링(140)을 정확하게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어려워지고 스프링(140)이 수용홈(211)에 정확히 배치되지 않아 홀더(10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르면, 홀더(100)를 들어올려 수용홈(211)을 거의 노출시키므로 조립자가 손쉽게 스프링(140)을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홀더(100)는 제1하우징(210)과 먼저 결합되므로 제2하우징(220)을 감싸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120)의 측면에는 한 쌍의 돌기부(122)가 제1하우징(2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210)의 측면에는 돌기부(122)가 수용되는 리세스(21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100)는 돌기부(122)가 리세스(213)의 측벽(214)에 걸리는 각도까지 들어올려질 수 있다. 만약 홀더(100)가 제한 없이 들어올려지는 경우 홀더(100)와 제1하우징(210)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리세스(213)는 돌기부(1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122)는 리세스(213)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움직일 수 있다.
리세스(213)는 하우징(200)의 일 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즉, 리세스(213)는 일측 방향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 삽입이 완료되면 홀더(100)를 다시 반대 방향을 회전시켜 수용홈(211)을 덮을 수 있다. 결합부(120)는 수용홈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수용홈을 이탈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210)의 내부에 광통신소자(300)를 삽입하고,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을 결합할 수 있다. 홀더(100)의 슬라이딩부(13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측면에 배치된 결합홈(212, 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0)의 상부는 제1하우징(210)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구속되며 슬라이딩의 하부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이 결합되면 슬라이딩부(130)는 하우징의 결합방향(하우징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하우징(220)은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1)는 결합부(12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부(120)가 하우징(200)의 타면을 노출시키므로 지지부(221)가 없는 경우 결합부(12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부(221)가 결합부(120)의 측면을 지지하므로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통신소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배치되어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덮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배치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돌기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기부 사이가 이격되고,
    상기 수용홈 상에 배치된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리세스의 측벽에 걸리는 각도까지 들어올려지는 광통신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및 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노출시키는 광통신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구간을 갖는 광통신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핸들을 포함하는 광통신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광통신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광통신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광통신모듈.
  9. 삭제
KR1020170028890A 2017-03-07 2017-03-07 광통신모듈 KR10200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90A KR102001421B1 (ko) 2017-03-07 2017-03-07 광통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90A KR102001421B1 (ko) 2017-03-07 2017-03-07 광통신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718A KR20180102718A (ko) 2018-09-18
KR102001421B1 true KR102001421B1 (ko) 2019-10-02

Family

ID=6371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90A KR102001421B1 (ko) 2017-03-07 2017-03-07 광통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36B1 (ko) 2019-12-03 2021-02-04 육수 광통신 모듈용 호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8793B2 (ja) * 2006-02-24 2011-12-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ラガブル光トランシーバ
US20130077921A1 (en) * 2011-09-28 2013-03-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Optical-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silient member for urging ferrule against lens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9185B1 (en) * 2007-08-31 2008-09-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lug-in module with latch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8793B2 (ja) * 2006-02-24 2011-12-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ラガブル光トランシーバ
US20130077921A1 (en) * 2011-09-28 2013-03-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Optical-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silient member for urging ferrule against lens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36B1 (ko) 2019-12-03 2021-02-04 육수 광통신 모듈용 호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718A (ko)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017B2 (ja) 光コネクタ
JP4515141B2 (ja) 光トランシーバ
JP5404760B2 (ja) シャッター部材を有する光ファイバーアダプタ
US20180254831A1 (en)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98099B2 (en) Latch for communication module
US10976506B2 (en) Optical transceiver
US9964714B2 (en) Optical connector
US8500342B2 (en) Opto-electronic communication module having retainer for aligning optical ports
JP2010033088A (ja) 光電変換素子
JP7279424B2 (ja) 光トランシーバ
US9904020B2 (en) Connecting component
JP5905922B2 (ja) 光モジュール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765104A (zh) 光纤连接器及光通信模块
JP2007155863A (ja) 光トランシーバの放熱構造
KR102001421B1 (ko) 광통신모듈
JP2018146639A (ja) 光トランシーバ
US20020154362A1 (en) Optical link module
JP2011123429A (ja) 光コネクタとレンズブロックの接続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JP7035321B2 (ja) 光トランシーバ
CA3012317C (en) Locking in-place small form factor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JP6375155B2 (ja) 光モジュール
JP6506138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用レセプタクル
JP5328687B2 (ja) 光コネクタとレンズブロックの接続構造、及び光モジュール
WO2017082109A1 (ja)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セットの組み立て方法
JP2011141443A (ja) 光コネクタとレンズブロックの接続構造、及び光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