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17B1 -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 Google Patents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17B1
KR102001317B1 KR1020170163914A KR20170163914A KR102001317B1 KR 102001317 B1 KR102001317 B1 KR 102001317B1 KR 1020170163914 A KR1020170163914 A KR 1020170163914A KR 20170163914 A KR20170163914 A KR 20170163914A KR 102001317 B1 KR102001317 B1 KR 10200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us
cleaning
sinusoidal
hollow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755A (ko
Inventor
강일규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주식회사 지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주식회사 지메디텍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7016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3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2Enemata; Irrigators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supplied directly from the pressurised water source, e.g. with medicament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81Sinus (maxill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부비동 세척 기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세척 기구는 중공(11)이 형성된 세척관(10), 상기 세척관(10)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11)과 외기를 연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 및 상기 세척관(10)과 연결되어 상기 중공(11)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주입기(2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관(10)은 상악동(M)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SINUSOIDAL CLEAN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 MAXILLARY SINUS AND ETHMOID SINUS}
본 출원은 부비동 세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동과 사골동의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부비동염은 부비동에 이상이 생겨 부비동 분비물이 잘 배출되지 않아 세균 감염 및 염증이 발생하여 점막이 붓고, 부비동 입구가 좁아지는 병이다. 흔히 축농증이라 불리우며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시술 방법은 기존 시술 방법보다 절개부위의 회복이 빠른 장점을 가진다. 풍선 카테터 시술은 카테터를 비강에 삽입하고, 부비동 입구부에서 카테터의 말단에 위치하는 풍선이 확장되어 부비동 입구를 확장하고 부비동 내부의 염증, 분비물 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시술이 이루어지더라도 부비동염의 특성상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시술 후 부비동을 주기적으로 세척하는 경우 재발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부비동 세척 기구의 경우 한번에 하나의 부비동만을 세척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문제이다.
부비동은 상악동, 접형동, 전두동 및 사골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척 기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세척 팁이 별개의 기울기를 가져야만 한다.
각 부비동 공간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세척 팁을 사용하여야 하며 한번에 하나의 부비동 공간만을 세척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부비동염은 어느 하나의 부비동 공간에만 발생하지 않고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러 부비동 공간을 주기적으로 세척하여야 하나,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부비동 세척 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럽 등록특허 제2393465호는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구와, 분사구와 별개인 통기구 구성을 개시하나, 통기구는 세척액 분사를 위한 것이 아닌 세척 과정 중 비강 내부의 과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동시에 여러 부비동 공간을 세척하는 것에는 실패하고 있다.
유럽등록특허문헌 제2393465호 (2016.05.31) 한국공개특허문헌 제2011-0021272호 (2011.03.04)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특히, 한번에 하나의 부비동 공간밖에 세척할 수 없는 종래의 부비동 세척 기구의 단점을 보완하여 동시에 상악동과 사골동을 세척할 수 있는 부비동 세척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중공(11)이 형성된 세척관(10), 상기 세척관(10)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11)과 외기를 연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 및 상기 세척관(10)과 연결되어 상기 중공(11)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주입기(2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관(10)은 상악동(M)에 삽입되는, 부비동 세척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은, 상기 세척관(10)이 상기 상악동(M)에 삽입된 제1 위치일 때, 사골동(E)을 향하는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관(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기(20)가 상기 세척관(10)에 유체를 주입하면 상기 중공(1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을 통해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이 외기와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을 모두 커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조작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관(10) 후단에 연결된 손잡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50)의 후단에는 상기 세척관(10)의 중공(11)과 연통하는 주입 채널(60)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 주입기(20)는 상기 주입 채널(6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에 따르면, 동시에 상악동과 사골동을 세척할 수 있어 축농증 수술 환자의 재발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악동과 사골동을 동시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축농증 수술을 받은 환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세척 기구를 이용하여 세척이 어려운 부비동 내부를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비교적 저가인 부비동 세척 기구의 이용만으로 축농증의 재발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에 가계에도 부담이 적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 또는 조작부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통공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어, 사골동 세척을 원하지 않는 경우 상악동만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세척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커버의 슬라이딩에 따라 (a) 통공이 개방된 상태 (b) 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비동 세척 기구를 이용하여 상악동과 사골동을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부비동은 비강과 연결되어 있는 공간으로 상악동, 접형동, 전두동 및 사골동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세척 기구는 여러 부비동 공간 중 상악동과 사골동을 세척하기 위한 것임을 미리 설명하여 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세척 기구(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세척 기구(100)는 세척관(10), 유체 주입기(20), 커버(30), 조작부(40), 손잡이(50) 및 주입 채널(60)을 포함한다.
세척관(10)은 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악동(M)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관(10)에는 중공(11)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중공(11)은 상악동(M)과 사골동(E)을 세척하는 세척액이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한다.
세척관(10)은 상악동(M)에 삽입될 수 있는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척관(10)의 기울기란 세척관(10)의 전단과 후단의 사잇각(α)을 의미한다. 즉, 세척관(10)이 상악동(M)에 삽입될 수 있는 기울기를 가짐에 따라 세척관(10)의 전단이 상악동(M)에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세척관(10)이 높은 강도의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악동(M)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처를 입힐 위험이 있으므로, 세척관(10)은 실리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악동(M)에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세척관(10) 외면에는 윤활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세척관(10)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이 형성된다.
통공(12, 13)은 중공(11)과 연통되며 세척관(10)이 상악동(M)에 삽입된 제1 위치일 때, 사골동(E)을 향하는 쪽에 위치하도록 세척관(10)에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유체 주입기(20)에 의한 유체 주입 시 세척관(10)과 통공(12, 13)을 통해 외부로 유체가 분사되어 상악동(M)과 사골동(E)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공(12, 13)의 크기는 중공(11)의 크기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12, 13)의 크기가 중공(11)의 크기 이상일 경우, 유체 주입기(20)에 의해 주입된 유체가 통공(12, 13)을 통해 대부분 분사되게 된다. 이 경우, 상악동(M)을 제대로 세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공(12, 13)의 크기를 중공(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악동(M)에도 충분한 양과 압력을 가진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주입기(20)는 세척관(10)과 연결되어 중공(11)에 유체를 주입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실린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공(11)에 일정 압력으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유체 주입기(20)의 구성은 본 출원의 핵심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30)는 통공(12, 13)을 커버하도록 세척관(10)에 마련되는 부분이다. 세척관(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통공(12, 13)이 외기와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통공(12, 13)을 모두 커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세척관(10)에 마련된다.
도 2-(a)는 커버(30)가 통공(12, 13)이 외기와 연통되도록 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한 도면이다. 커버(30)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통공(12, 13)과 중공(11) 모두를 통해 유체가 분사되므로 상악동(M)과 사골동(E) 모두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2-(b)는 커버(30)가 통공(12, 13)을 모두 커버하도록 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한 도면이다. 커버(30)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유체 주입기(20)에 의해 주입된 유체는 오로지 중공(11)을 통해서만 외부로 분사될 수 있어 상악동(M) 만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커버(30)를 조작함으로써, 상악동(M)과 사골동(E) 모두를 세척할 것인지 아니면 상악동(M)만을 세척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커버(30) 조작의 편의를 위해 커버(30)과 연결되어 커버(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40)가 구비된다. 조작부(40)는 커버(30)와 연결되어, 조작부(40)의 슬라이딩을 통해 커버(30)가 슬라이딩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50)는 세척관(10)의 후단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손잡이(50)를 파지한 상태로 상악동(M)과 사골동(E)을 세척할 수 있다.
손잡이(50)의 후단에는 세척관(10)의 중공(11)과 연통하는 주입 채널(60)이 형성된다. 유체 주입기(30)는 주입 채널(50)과 연결되어 중공(11)에의 유체 주입에 의해 상악동(M)과 사골동(E)을 동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세척관
11: 중공
12, 13: 통공
20: 유체 주입기
30: 커버
40: 조작부
50: 손잡이
60: 주입 채널

Claims (7)

  1. 중공(11)이 형성된 세척관(10);
    상기 세척관(10)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11)과 외기를 연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
    상기 세척관(10)과 연결되어 상기 중공(11)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주입기(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3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관(10)은 상악동(M)에 삽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은 상기 세척관(10)이 상기 상악동(M)에 삽입된 제1 위치일 때, 사골동(E)을 향하는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관(10)에 형성되는,
    부비동 세척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기(20)가 상기 세척관(10)에 유체를 주입하면 상기 중공(1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을 통해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부비동 세척 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이 외기와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12, 13)을 모두 커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조작부(40)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 세척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관(10) 후단에 연결된 손잡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50)의 후단에는 상기 세척관(10)의 중공(11)과 연통하는 주입 채널(60)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 주입기(20)는 상기 주입 채널(60)에 연결되는,
    부비동 세척 기구.
KR1020170163914A 2017-12-01 2017-12-01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KR10200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14A KR102001317B1 (ko) 2017-12-01 2017-12-01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14A KR102001317B1 (ko) 2017-12-01 2017-12-01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55A KR20190064755A (ko) 2019-06-11
KR102001317B1 true KR102001317B1 (ko) 2019-07-17

Family

ID=6684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14A KR102001317B1 (ko) 2017-12-01 2017-12-01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3128A1 (en) 2007-01-24 2008-07-31 John Morriss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eatment and/or diagnosis of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WO2012052827A1 (en) 2010-10-21 2012-04-26 MARTÍNEZ, Jhon, Jairo Guide cannula and kit for irrigation, suction and washing paranasal sinuses
US20130184574A1 (en) 2011-07-25 2013-07-18 Richard R. Newhauser, JR.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nasal irrigation or suctioning of the sinuses
JP2014018655A (ja) * 2012-07-18 2014-02-03 Lih-Chiu Wu 鼻腔洗浄カテーテル装置
KR200478516Y1 (ko) 2015-05-07 2015-10-14 하지희 비강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90005U1 (it) 2009-02-04 2010-08-05 Flaem Nuova Spa Adattatore per fialette comprimibili di soluzioni fisiologiche e simili
KR101204507B1 (ko) 2009-08-25 2012-11-26 정은임 비강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3128A1 (en) 2007-01-24 2008-07-31 John Morriss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eatment and/or diagnosis of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WO2012052827A1 (en) 2010-10-21 2012-04-26 MARTÍNEZ, Jhon, Jairo Guide cannula and kit for irrigation, suction and washing paranasal sinuses
US20130184574A1 (en) 2011-07-25 2013-07-18 Richard R. Newhauser, JR.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nasal irrigation or suctioning of the sinuses
JP2014018655A (ja) * 2012-07-18 2014-02-03 Lih-Chiu Wu 鼻腔洗浄カテーテル装置
KR200478516Y1 (ko) 2015-05-07 2015-10-14 하지희 비강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55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9398C (en) Ear irrigation device
CN107647905B (zh) 一种腹腔穿刺器
WO2009064834A3 (en) Meibomian gland intraductal diagnostic and treatment methods and related apparatus
CN107949343A (zh) 用于抽除根管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60123989A (ko) 배액 세척 헤드
DK1094789T3 (da) Apparat til at udføre kirurgi inde i nethinden under anvendelse af separation af den indvendige grænsemembran (Ilm) ved hjælp af et fluid (FILMS)
US8529546B2 (en) Sinusal guide cannula and kit for irrigation, suction and washing
KR101481887B1 (ko)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KR20090131089A (ko) 비강 세척기용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비강 세척기
KR101260676B1 (ko) 중이염 치료용 천자침 안내기
EP2687250B1 (en) Nasal flushing device
MX2019005511A (es) Cateter plegable de expulsion nasal.
KR102001317B1 (ko) 상악동과 사골동 동시 세척이 가능한 부비동 세척 기구
CN204147317U (zh) 鼻腔免填塞中隔负压吸引器
TWM551482U (zh) 導尿管
KR20140117872A (ko) 전립선 치료용 벌룬 카테터
KR101974275B1 (ko) 상악동 세척 기구
JP3718314B2 (ja) 内視鏡の吸引管路洗浄具
CN105268090A (zh) 一种防治宫腔粘连的布药装置
KR101487087B1 (ko) 액체 분출 방지용 캐뉼러
KR101142684B1 (ko) 관장용 카테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시술방법
CN202909178U (zh) 可冲洗泪道的泪道植入管
EP1656878A4 (en) Borescope
KR101762066B1 (ko) 부비동 병변 제거용 풍선기구
CN210644698U (zh) 一种新型术腔引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