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98B1 -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98B1
KR102000698B1 KR1020170108444A KR20170108444A KR102000698B1 KR 102000698 B1 KR102000698 B1 KR 102000698B1 KR 1020170108444 A KR1020170108444 A KR 1020170108444A KR 20170108444 A KR20170108444 A KR 20170108444A KR 102000698 B1 KR102000698 B1 KR 10200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ab
lens
bubble
lead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3146A (en
Inventor
김동언
Original Assignee
김동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언 filed Critical 김동언
Priority to KR102017010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98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4View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e.g. for viewing photographic slides, X-ray transparanc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H01M2/021
    • H01M2/021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및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을 포함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제조시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에 발생하여 이차전지의 누액 및 폭발 등의 원인이 되는 미세기포를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판별하여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the bending of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at least one right angle. A lead tab including a lens barrel for transferring the image to a camera lens to form an image and irradiating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to provide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and the sealant to an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It relates to a bubb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and the sealan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determine and inspect the microbubbles that cause leakage and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 is.

Description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본 발명은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제조시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에 발생하여 이차전지의 누액 및 폭발 등의 원인이 되는 미세기포를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판별하여 검사할 수 있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specting lead tab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generate microbubbles that occur between a metal sheet and a sealant of a lead tab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during the manufacture of a secondary battery, causing leakage and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device that can be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determined and inspected.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the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increasing rapidly. Among these secondary batteries, a lot of researches 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and discharge voltage have been made and commercialized. It is widely used.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젤리-롤이 원통형의 또는 각형의 금속 캔 내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도는 각형 전지와, 젤리-롤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the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battery or a rectangular battery in which a jelly-roll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nd a pouch-type battery in which the jelly-roll is incorporated in a pouch-shaped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Classified as

이러한 이차전지 중 파우치형 전지는 외부로 돌출된 리드(Lead)가 부착된 전지판이 전해액이 충진된 전해액튜브 속에 밀봉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통상적으로 리드는 전기 양도체인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으로 제작되고, 전해액튜브는 합성수지계통의 튜브로 제작되는데, 금속판과 합성수지재료 사이에 접합이 용이하지 않아 전해튜브에서 리드가 위치한 부위에서 전해액이 누설될 염려가 있다.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the pouch type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plate with a lead protruding outward is sealed in an electrolyte tube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In general, the lead is made of a metal plate such as aluminum, which is an electrical conductor, and the electrolyte tub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tube, which may not be easily bonded between the metal plate and the resin material, so that the electrolyte may leak from the place where the lead is located in the electrolytic tube. There i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드에 금속재료와 합성수지재료에 모두 잘 부착되는 성질을 가진 리드필름(Lead Film)을 먼저 용착한 후, 리드필름이 부착된 리드탭을 전해액튜브의 입구에 두고 입구를 열 등으로 용착하는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ead film having a property of attaching well to both a metal material and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irst deposited on a lead, and then the lead tab having the lead film attached is placed at the inlet of the electrolyte tube and the inlet is opened. A battery i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welding with a etc ..

또한, 이차전지의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생산설비에 의하여 대량으로 생산되며, 리드탭의 경우, 일정한 폭을 가진 금속재질의 띠 모양의 리드스트랩(Lead Strap)에 일정 간격으로 리드필름을 용착하여 이를 릴(Reel)에 감아 배터리 생산공정에 제공되며, 자동 배터리 제조기계에서 한 토막씩 절단되어 전지의 리드탭으로 사용된다. In addition, the part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generally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by automated production equipment, and in the case of the lead tab, the lead film is welded at regular intervals to a strip-shaped lead strap made of metal with a predetermined width. It is wound on a reel and provided to the battery production process. It is cut into pieces by an automatic battery manufacturing machine and used as a lead tab of a battery.

이와 같이 제조된 이차전지는 비전 검사를 통해 전지셀의 외형을 검사하여 전지셀의 치수와 불량 여부 등을 검출하게 된다. 이 때, 제조된 전지셀의 리드탭 부분에서 금속시트와 실런트 필름 사이의 기포는 전지의 사용과정에서 온도상승에 따라 팽창하여 누액이나 폭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하게 검사되어야 한다.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dimensions and defects of the battery cell by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cell through vision inspection. At this time, the bubbles between the metal sheet and the sealant film in the lead tab portion of the manufactured battery cell expands as the temperature rises during use of the battery, causing leakage or explosion, and thus should be thoroughly inspected.

따라서, 이러한 전지셀의 리드탭 부분에 발생하는 기포를 검사하기 위해 검사자가 현미경을 이용하여 직접 전지셀의 리드탭 부분을 이동해가며 기포 발생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그러나, 기포의 고유한 형태와 광확산 특성으로 인하여 기포의 존재 유무를 정확하게 판별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기포의 형태가 다양하고 융착경계면이 균일하지 않아 현미경을 사용할 경우에도 두꺼운 융착 실런트 필름의 하부 기포는 육안으로 식별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spect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ead tab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he inspector moves directly through the lead tab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examines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y using a microscope. However, due to the inherent shape and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bubbl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resence of bubbles, and the shape of the bubble is varied and the boundary of the fusion is not uniform. Bubbles have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iscern with the naked eye.

한국등록특허 제10-0865166호(등록일: 2008.10.17)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65166 (Registration Date: 2008.10.17) 한국등록특허 제10-1605229호(등록일: 2016.03.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5229 (Registration Date: 2016.03.15)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제조시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에 발생하여 이차전지의 누액 및 폭발 등의 원인이 되는 미세기포를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판별하여 검사할 수 있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secondary battery lead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and the sealant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which can more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and inspect the microbubble that causes leakage and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t is to provide a tap bubble inspection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및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n apparatus for inspecting lead tab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a metal sheet of a lead tab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and a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and an image obtained from an objective lens. The lens barrel is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mitted to the camera lens to form an image and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art of the lead tab to generate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and the sealant. Consists of including infrared illumination provided by the objective len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와 상기 리드탭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 및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을 포함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A lens barrel which is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to be transferred to an camera lens to form an image, a polariz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ad tab, and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art of the lead tab to irradiate the metal of the lead tab Provided is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including infrared illumination for providing an interface image between a sheet and a sealant to an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와 상기 리드탭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 렌즈 위치를 상기 리드탭의 기포검사 위치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A lens barrel which is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ed to the camera lens to form an image; a polariz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ad tab; and a metal of the lead tab by irradiating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art of the lead tab. Infrared illumination that provides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sheet and the sealant to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bubble and positioning the objective lens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와 상기 리드탭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 렌즈 위치를 상기 리드탭의 기포검사 위치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은 적어도 2개의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져 2개의 렌즈 경통이 상기 리드탭의 양측 단부의 기포 검사를 각각 수행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A lens barrel which is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ed to the camera lens to form an image; a polariz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ad tab; and a metal of the lead tab by irradiating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art of the lead tab. Infrared illumination that provides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sheet and the sealant to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bubble and positioning the objective lens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The lens barrel may include at least two lens barrels, and the two lens barrels may include the lead. A test of the bubble in the side end portions to provide a cell test device for performing each of the lead tab.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와 상기 리드탭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 렌즈 위치를 상기 리드탭의 기포검사 위치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은 적어도 2개의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져 2개의 렌즈 경통이 상기 리드탭의 양측 단부의 기포 검사를 각각 수행하며, 상기 적외선 조명은 800 내지 1300nm 파장의 적외선을 상기 리드탭 하부에 조사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A lens barrel which is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ed to the camera lens to form an image; a polariz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ad tab; and a metal of the lead tab by irradiating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art of the lead tab. Infrared illumination that provides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sheet and the sealant to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bubble and positioning the objective lens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The lens barrel may include at least two lens barrels, and the two lens barrels may include the lead. Performing a test of the bubble in the side end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infrared light provides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of 800 to 1300nm wavelength for the lower lead tab.

상기 렌즈 경통은 카메라 렌즈 방향으로 연장된 접안 렌즈부, 상기 접안 렌즈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경통부 및 상기 수평 경통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대물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s barrel may include an eyepiece len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a horizontal barrel portion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eyepiece lens and extending horizontally, and an objective lens portion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have.

상기 접안 렌즈부와 수평 경통부 사이의 연결부 및 수평 경통부와 대물 렌즈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각각 프리즘 또는 반사거울이 배치될 수 있다.Prisms or reflective mirrors may be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yepiece portion and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and the objective lens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수평 경통부는 리드탭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의 수평 경통부일 수 있다.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may be a horizontal barrel portion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lead tab.

상기 리드탭의 폭 길이는 40 내지 85mm일 수 있다.The width of the lead tab may be 40 to 85mm.

상기 카메라 렌즈의 직경 사이즈는 50 내지 100 mm일 수 있다.The diameter size of the camera lens may be 50 to 100 mm.

상기 기포의 직경 사이즈는 10 내지 40μm일 수 있다.The diameter size of the bubble may be 10 to 40μm.

상기 적외선 조명은 850 내지 1000nm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명일 수 있다.The infrared light may be infrared light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of 850 to 1000nm wavelength.

상기 제어부는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기법에 의해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by a pattern matching technique.

상기 제어부는 딥러닝(Deep Learning) 방식에 의해 리드탭에 존재하는 다량의 기포 영상 또는 결함(Defect) 영상을 학습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tores the result data of learning a large amount of bubble images or defect images present in the lead tap by a deep learning method,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bubbles by using the result data. Can b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전달된 리드탭의 기포 영상을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tore the bubble image of the lead tab delivered to the camera lens in a separate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이차전지의 제조시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에 발생하여 이차전지의 누액 및 폭발 등의 원인이 되는 미세기포를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판별하여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and the sealant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during manufacturing of the secondary battery to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micro-bubbles that cause leakage and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 is a testa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에 의해 기포의 존재 여부가 검사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리드탭의 기포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 및 리드탭의 검사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에서 적외선 조명을 조사하여 리드탭의 기포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에서 렌즈 경통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탭의 기포 모습을 촬영한 영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의 적외선 조명의 적외선 파장대역에 따른 카메라의 감도변화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의 리드탭 검사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ead tab of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resence of bubbles is inspected by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inspecting the presence of bubbles in the lead tab and th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using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ce of bubbles in the lead tab by irradiating the infrared light i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lens barrel i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micrograph of an image of a bubble of a lead tab using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sensitivity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infrared wavelength band of the infrared light of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larged lead tab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erical values are merely example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에 의해 기포의 존재 여부가 검사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리드탭의 기포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 및 리드탭의 검사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에서 적외선 조명을 조사하여 리드탭의 기포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lead tab of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whose existence of bubbles is inspected by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ead tap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shown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sence of the bubble in the lead tab and th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Figure 3 is a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checking the presence of bubbles in the lead tab by irradiating the infrared light.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에서 렌즈 경통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탭의 기포 모습을 촬영한 영상의 현미경 사진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의 적외선 조명의 적외선 파장대역에 따른 카메라의 감도변화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lens barrel i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ead tap using the lead tap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graph of an image capturing a bubble state is disclosed, and FIG. 6 discloses a graph showing a sensitivity change of a camera according to an infrared wavelength band of an infrared light of a lead tap bubb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기포검사 장치의 리드탭 검사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larged lead tab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상기 금속시트(210)를 둘러싸는 실런트(210)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113a)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C)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110) 및 상기 리드탭(200)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실런트(220)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210 of the lead tab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ant 210 surrounding the metal sheet 210. A device for inspecting the lens barrel 110 and the lead tab 200 to bend the path of the light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113a)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to the camera (C) to form an image. Infrared light 130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200 to provide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of the lead tab 200 to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상기 금속시트(210)를 둘러싸는 실런트(220)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113a)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C)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110),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와 상기 리드탭(200)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120) 및 상기 리드탭(200)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실런트(220)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surrounding the metal sheet 210 of the lead tab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s a lens barrel 110 for bending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113a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ing the image to the camera C lens,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110 is formed. The polarizing filter 120 disposed between the 113b and the lead tab 200 and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200 are irradiated with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of the lead tab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frared light 130 for providing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상기 금속시트(210)를 둘러싸는 실런트(220)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113a)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C)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110),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와 상기 리드탭(200)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120), 상기 리드탭(200)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실런트(220)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130)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 렌즈(113a) 위치를 상기 리드탭(220)의 기포검사 위치(220a)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surrounding the metal sheet 210 of the lead tab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s a lens barrel 110 for bending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113a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ing the image to the camera C lens,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110 is formed. The polarizing filter 120 disposed between the 113b and the lead tab 200 and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200 are irradiated with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of the lead tab 200. Infrared illumination 130 that provides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lens barrel 110 to the objective lens 113a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are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It includes a control unit 140 to be positioned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220a of the tab 220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상기 금속시트(210)를 둘러싸는 실런트(220)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113a)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C)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110),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와 상기 리드탭(200)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120), 상기 리드탭(200)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실런트(220)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130)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 렌즈(113a) 위치를 상기 리드탭(220)의 기포검사 위치(220a)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110)은 적어도 2개의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져 2개의 렌즈 경통이 상기 리드탭(200)의 양측 단부(260, 270)의 기포 검사를 각각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surrounding the metal sheet 210 of the lead tab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s a lens barrel 110 for bending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113a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ing the image to the camera C lens,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110 is formed. The polarizing filter 120 disposed between the 113b and the lead tab 200 and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200 are irradiated with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of the lead tab 200. Infrared illumination 130 that provides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lens barrel 110 to the objective lens 113a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are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It includes a control unit 140 to be positioned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220a of the tab 220 And, the lens barrel 110 can be configured as at least 2, perform the check of the cell is made up of two lens barrel of the lens barrel side end portions (260, 270) of the lead tabs 200,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상기 금속시트(210)를 둘러싸는 실런트(220)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113a)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C)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110),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와 상기 리드탭(200)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120), 상기 리드탭(200)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200)의 금속시트(210)와 실런트(220)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130)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 렌즈(113a) 위치를 상기 리드탭(220)의 기포검사 위치(220a)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110)은 적어도 2개의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져 2개의 렌즈 경통이 상기 리드탭(200)의 양측 단부(260, 270)의 기포 검사를 각각 각각 수행하며, 상기 적외선 조명(130)은 800 내지 1300nm 파장의 적외선을 상기 리드탭(200) 하부에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surrounding the metal sheet 210 of the lead tab 2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s a lens barrel 110 for bending the light path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113a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ring the image to the camera C lens,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110 is formed. The polarizing filter 120 disposed between the 113b and the lead tab 200 and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200 are irradiated with the metal sheet 210 and the sealant 220 of the lead tab 200. Infrared illumination 130 that provides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lens barrel 110 to the objective lens 113a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are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It includes a control unit 140 to be positioned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220a of the tab 220 The lens barrel 110 may include at least two lens barrels, and two lens barrels may perform bubble inspection on both ends 260 and 270 of the lead tab 200, respectively. Silver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an infrared ray of 800 to 1300nm wavelength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200.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대물렌즈(113a)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C)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110)을 통해 좁은 폭간격을 갖는 리드탭에서 넓은 폭 간격을 갖는 리드탭에 이르기가지 다양한 폭 간격을 갖는 리드탭들을 2개의 경통을 한쌍으로 배치하여 리드탭 외곽 테두리부의 기포(200a)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That is,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nds the path of the light fo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113a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ransfers the image to the camera C lens to form the lens barrel 110. Through the two tabs arranged in a pair of lead tabs having various width intervals ranging from lead tabs having a narrow width to lead tabs having a wide width, the bubble 200a of the outer edge of the lead tab is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Can be checked

또한, 상기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리드탭(200) 단부(260, 270)의 기포검사 위치(220a)에 존재하는 미세 기포에 대한 시인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800 내지 1300nm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명(130)을 이용하여 리드탭(200)의 기포(200a) 존재 여부 검사시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device is irradiated with an infrared ray of 800 to 1300nm wavelength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fine bubbles present in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220a of the lead tab 200 end (260, 270). By using the infrared light 130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when checking the presence of the bubble (200a) of the lead tab 200.

이와 관련하여,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실런트 필름(220)을 금속시트(210)의 양쪽에서 샌드위치 형태로 접합하는 과정에서 금속시트(210) 경계부분의 공기가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기포(200a)로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기포(200a)는 이차전지의 온도상승에 따라 팽창하여 누액 및 폭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제조 완료 후, 리드탭(200)의 기포 존재 여부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이때, 대략 10 내지 40μm의 직경 크기를 갖는 미세기포(200a)들을 현미경을 통해 검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기포(200a)의 경우, 기포의 형태가 다양하고, 광확산 특성이 일정치 않으며, 융착경계면이 균일하지 않아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sealant film 220 to both sides of the metal sheet 210 in the form of a sandwich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air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metal sheet 210 does not completely escape to the bubble 200a. If there is remaining, such a bubble (200a) is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econdary battery to cause leakage and explosion. Therefore,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resence of bubbles in the lead tab 200, at this time, the micro-bubbles (200a) having a diameter size of approximately 10 to 40μm through the microscope.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icro bubble (200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bble has a variety of forms,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is not constant, the fusion boundary is not uniform,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is not hig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는 미세기포(200a)의 공기층과 실런트 필름(220) 사이의 투과율과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미세기포(200a)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외선 조명(130)을 리드탭(200)의 하부에 배치하여 미세기포(200a)의 공기층과 실런트 필름(220) 사이의 투과율과 굴절율의 차이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800 내지 1300nm 파장의 적외선을 리드탭(200)과 편광필터(120)에 조사하여 렌즈 경통(110)의 대물렌즈(113a)에 10 내지 40μm의 직경 사이즈를 갖는 기포 영상에 대한 빛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리드탭(200)의 기포(200a) 존재 여부 검사시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ead tab bubbl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rared light (infrared illumination) that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micro-bubbles (200a) by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and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air layer of the micro-bubbles (200a) and the sealant film 220 ( 130 is disposed under the lead tab 200 to max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ttance and th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air layer of the microbubble 200a and the sealant film 220, the lead tab 200 to the infrared ray having a wavelength of 800 to 1300nm And irradiated to the polarization filter 120 to provide light to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for the bubble image having a diameter size of 10 to 40 μm, thereby allowing the presence of the bubbles 200a of the lead tab 200. It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in the inspection.

여기서, 상기 적외선 조명(130)의 적외선 파장범위는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000nm 파장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관찰용 카메라로 주로 사용되는 CCD 카메라의 경우 도 6의 그래프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파장 1000nm이상에서는 카메라 감도가 매우 낮아질 수 있으므로, CCD 카메라(Charge-coupled device camera) 등이 적절한 카메라 감도를 발휘할 수 있는 850 내지 1000nm 파장 범위로 상기 적외선 조명(130)의 적외선 파장범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frared wavelength range of the infrared illumination 130 may be preferably set to a wavelength range of 850 to 1000nm. That is, in the case of a CCD camera mainly used as an observation camera,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6, since the camera sensitivity may be very low at an infrared wavelength of 1000 nm or more, a charge-coupled device camera or the like may exhibit an appropriate camera sensitivity. The infrared wavelength range of the infrared illumination 130 is preferably set to a wavelength range of 850 to 1000nm.

또한, 상기 편광필터(120)는 적외선(IR, Infrared Ray) 전용 편광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외선 조명(130)은 전체적인 광량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퓨저(Diffuser)가 설치된 적외선 조명으로서, 확산각이 큰 적외선(IR, Infrared Ray) Chip LED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형태의 적외선 조명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퓨저 역시 일반적인 가시광선용 디퓨저가 아니라 적외선(IR, Infrared Ray) 전용 디퓨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Chip LED와 디퓨저의 간격은 10mm 이상 확보된 형태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larization filter 120 is preferably using an infrared (IR, Infrared Ray) polarization filter, the infrared illumination 130 is an infrared light with a diffuser (Diffuser) is installed to ensure the uniformity of the overall light amount For example, infrared illumination of a form in which infrared ray (IR) chip having a large diffusion angle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eferable. At this time, the diffuser is also preferably a diffuser for infrared (IR, Infrared Ray), not a general diffuser for visible ligh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hip LED and the diffuser is preferably secured 10mm or more.

상기 렌즈 경통(110)은 카메라(C) 렌즈 방향으로 연장된 접안 렌즈부(111), 상기 접안 렌즈부(111)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경통부(112) 및 상기 수평 경통부(112)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대물 렌즈부(1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안 렌즈부(111)와 수평 경통부(112) 사이의 연결부 및 수평 경통부(112)와 대물 렌즈부(113) 사이의 연결부에는 각각 프리즘(P1, P2) 또는 반사거울이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 경통부(112)는 리드탭(20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의 수평 경통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lens barrel 110 may be an eyepiece lens 11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C lens, a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that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eyepiece lens 111, and extends horizontally, and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bjective lens 113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vertically extending. At this time, the prism (P1, P2) or the reflection mirror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yepiece 111 and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and the objective lens portion 113, respectively.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may include a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ead tab 200.

즉, 상기 렌즈 경통(110)은 접안 렌즈부(111)와 대물 렌즈부(113)를 연결하는 수평 경통부(112)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폭길이를 갖는 리드탭들을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주로 적용될 수 있는 폭 길이가 40 내지 85mm인 리드탭의 경우, 렌즈의 직경 사이즈가 50 내지 100 mm인 2대의 관찰 카메라(C)와 상기 리드탭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의 수평 경통부(112)를 포함하는 렌즈 경통(110) 2개를 이용하여 리드탭(200) 양측 단부(260, 270)의 기포검사 위치(220a)를 한번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That is, the lens barrel 110 is adjusted by using a camera having a camera lens having various diameter sizes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connecting the eyepiece portion 111 and the objective lens portion 113. Lead tabs with width can be inspected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ead tab having a width of 40 to 85 mm, which can be mainly applied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two observation cameras C having a diameter size of 50 to 100 mm and an inner direction of the lead tab Using the two lens barrels 110 including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112 having an extended structure,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220a of both ends 260 and 270 of the lead tab 200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pected at once. have.

한편, 상기 제어부(140)를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기법에 의해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110)의 대물 렌즈(113a) 위치를 상기 리드탭(220)의 기포검사 위치(220a)에 정위치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s by a pattern matching (Pattern Matching) techniqu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ive lens 113a of the lens barrel 110 bubbl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220 ( 220a).

즉, 상기 제어부(140)는 딥러닝(Deep Learning) 방식 등을 통해 파우치 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차전지 등의 리드탭에 존재하는 다량의 기포 영상 또는 결함(Defect) 영상을 학습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미세기포(200a)의 판별 및 식별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카메라(C) 렌즈에 전달된 리드탭의 기포 영상을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을 위한 딥러닝(Deep Learning)에 사용함으로써,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의 미세기포 판별 및 식별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40 stores data of a result of learning a large amount of bubble images or defect images existing in lead tabs of various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pouch batteries through a deep learning method. In addition,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by using the result data,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for the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icro-bubble (200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stores the bubble image of the lead tab transmitted to the camera C lens in a separate storage unit and uses the deep tap for deep learning for pattern match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icro bubble determin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bubble inspection device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렌즈 경통
120: 편광필터
130: 적외선 조명
140: 제어부
110: lens barrel
120: polarization filter
130: infrared light
140: control unit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극단자와 연결된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를 둘러싸는 실런트 사이의 기포 생성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대물렌즈로부터 입수된 영상에 대한 빛의 경로를 적어도 1회 이상 직각으로 절곡시켜 카메라 렌즈에 전달하여 결상시키는 렌즈 경통;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와 상기 리드탭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필터;
상기 리드탭의 하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리드탭의 금속시트와 실런트 사이의 경계면 영상을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렌즈로 제공하는 적외선 조명; 및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렌즈 경통의 대물 렌즈 위치를 상기 리드탭의 기포검사 위치에 정위치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은 적어도 2개의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져 2개의 렌즈 경통이 상기 리드탭의 양측 단부의 기포 검사를 각각 수행하며,
상기 적외선 조명은 850 내지 1000nm 파장의 적외선을 상기 리드탭 하부에 조사하고,
상기 렌즈 경통은 카메라 렌즈 방향으로 연장된 접안 렌즈부, 상기 접안 렌즈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경통부 및 상기 수평 경통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대물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안 렌즈부와 수평 경통부 사이의 연결부 및 수평 경통부와 대물 렌즈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각각 프리즘 또는 반사거울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 경통부는 리드탭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의 수평 경통부이며,
상기 리드탭의 폭 길이는 40 내지 85mm이고,
상기 카메라 렌즈의 직경 사이즈는 50 내지 100mm이며,
상기 기포의 직경 사이즈는 10 내지 40μm이고,
상기 적외선 조명은 적외선(IR, Infrared Ray) Chip LED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형태의 적외선 조명으로서 상기 Chip LED와 10mm 이상 간격으로 적외선(IR, Infrared Ray) 전용 디퓨저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리드탭 검사용 적외선 조명인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
An apparatus for insp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a metal sheet of a lead tab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and a sealant surrounding the metal sheet.
A lens barrel configured to bend the path of light with respect to the image obtained from the objective lens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right angles and to transfer the image to the camera lens;
A polarization filter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ad tab;
An infrared illuminator that irradiates infrared ray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 tab to provide an interface image between the metal sheet of the lead tab and the sealant to the objective lens of the lens barre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ubble and positioning the objective lens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t the bubble inspection position of the lead tab;
Including,
The lens barrel consists of at least two lens barrels, the two lens barrels each perform a bubble inspection of both ends of the lead tab,
The infrared light is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of 850 to 1000nm wavelength below the lead tab,
The lens barrel includes an eyepiece len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a horizontal barrel portion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eyepiece lens portion and extending horizontally, and an objective lens portion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
Prisms or reflection mirrors are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yepiece portion and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and the objective lens portion, respectively.
The horizontal barrel portion is a horizontal barrel portion of the structure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ead tab,
The width of the lead tab is 40 to 85mm,
The diameter size of the camera lens is 50 to 100mm,
The diameter size of the bubble is 10 to 40μm,
The infrared light is an infrared light in which infrared (IR, Infrared Ray) chip LED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inspection in which an infrared (IR, infrared ray) diffuser is formed at intervals of 10 mm or more from the chip LED is formed. Lead tap bubble inspection device which is infrared light for home u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기법에 의해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ubble exists by a pattern matching techniqu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딥러닝(Deep Learning) 방식에 의해 리드탭에 존재하는 다량의 기포 영상 또는 결함(Defect) 영상을 학습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기포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stores data of a result of learning a large amount of bubble images or defect images existing in the lead tap by a deep learning method,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bubble using the result data. Lead tap bubble inspection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전달된 리드탭의 기포 영상을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리드탭 기포 검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bubble image of the lead tab delivered to the camera lens in a separate storage unit.
KR1020170108444A 2017-08-28 2017-08-28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KR102000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44A KR102000698B1 (en) 2017-08-28 2017-08-28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44A KR102000698B1 (en) 2017-08-28 2017-08-28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46A KR20190023146A (en) 2019-03-08
KR102000698B1 true KR102000698B1 (en) 2019-10-01

Family

ID=6580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44A KR102000698B1 (en) 2017-08-28 2017-08-28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43B1 (en) 2021-06-04 2021-09-17 주식회사 테크디알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ir void at the lead film of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7710B (en) * 2019-06-26 2022-02-18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 of wet-process optical cement device
KR20220037664A (en)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Inspection metho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638520B1 (en) * 2021-06-11 2024-02-20 주식회사 엔에스머티리얼즈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lead tab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470B1 (en) * 2005-10-04 2006-02-07 (주)글로벌링크 Denting test equipment o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KR101711073B1 (en) 2016-07-25 2017-02-28 (주)제이엘케이인스펙션 Micro cracks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flexible touch screen panel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08B1 (en) * 2006-08-25 2008-04-24 주식회사 엘티케이 Automated optical inspective apparatus for electrode tab of secondary battery
KR100865166B1 (en) 2007-08-13 2008-10-24 회광하이테크 주식회사 Lead film bonding machine for lithum battery
KR101105679B1 (en) * 2009-09-10 2012-01-18 주식회사 미르기술 Vision inspection apparatus
KR101605229B1 (en) 2013-09-10 2016-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Vision apparatus for measuring appearance of battery cell ta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470B1 (en) * 2005-10-04 2006-02-07 (주)글로벌링크 Denting test equipment o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KR101711073B1 (en) 2016-07-25 2017-02-28 (주)제이엘케이인스펙션 Micro cracks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flexible touch screen panel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43B1 (en) 2021-06-04 2021-09-17 주식회사 테크디알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ir void at the lead film of battery
US11835468B2 (en) 2021-06-04 2023-12-05 Tech Dr.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ir void at lead film of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46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698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 blowhole of Lead-Tab
EP248205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in flat glass and detecting method using same
CN110389021B (en) Lens image generating system, diopter power and thickness determining and defect detecting method
KR101317947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ylinder
KR102303643B1 (en)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ir void at the lead film of battery
CN108020921A (en) Method for the optical property for determining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6407576B2 (en) Model eye module, intraocular lens inspection apparatus and intraocular lens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4279970A (en) Electronic component thickness measurement method, a series of electronic compon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ries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apparatus
CN206710068U (en) Large-numerical aperture immersion oil camera lens wave aberration detection means
KR102141380B1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System for Aluminum Pouch Sealing Using Ultrasonic Wave
CN103969219A (en) Silicon oil detector and power terminal assembly
CN112414677B (en)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ize of light spot in optical element body with high precision
CN106018432A (en) Large-size optical lens surface qualit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KR20140148067A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defect of optical films
CN100344959C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quality of fibre-optical
CN205374866U (en) Hard tube endoscope objective
CN107702643B (en) Normal direction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KR101824622B1 (en) Welding tip inspection apparatus having lighting diffuser plate
CN111324007A (en) Automatic optical detector for mask plate
CN207318051U (en) Aberration detection device and aberration detecting system
JP7273786B2 (en) FILM-TYPE BATTERY INSPEC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18077184A (en) Article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KR101331603B1 (en) Reflex type liquid level gau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218995177U (en) Visual inspection device of multiaspect formation of image
CN206114556U (en) Blue glass examines test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