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02B1 -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02B1
KR102000602B1 KR1020180149656A KR20180149656A KR102000602B1 KR 102000602 B1 KR102000602 B1 KR 102000602B1 KR 1020180149656 A KR1020180149656 A KR 1020180149656A KR 20180149656 A KR20180149656 A KR 20180149656A KR 102000602 B1 KR102000602 B1 KR 10200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fitting
block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18014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제 1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제 1사이드레그를 연결하는 제 1사이드브라켓, 제 2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제 2사이드레그를 연결하는 제 2사이드브라켓,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의 대응되는 테두리끼리 접한 연결부위의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센터레그를 연결하는 센터브라켓, 및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의 연결부위 틈새를 막는 틈새막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테이블을 연결하여 배치할 경우 각 테이블의 상판 간의 틈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상판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재를 연장 후, 브라켓에 각 상판을 조립함에 연동되어 돌출부재끼리를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상판끼리의 틈새 발생으로 인한 작업성 및 미감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을 연결하여 배치할 경우 각 테이블의 상판 간의 틈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상판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재를 연장 후, 브라켓에 각 상판을 조립함에 연동되어 돌출부재끼리를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상판끼리의 틈새 발생으로 인한 작업성 및 미감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필요한 책상은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각종 사물 및 서류의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서랍으로 구성되고, 서랍의 위치에 따라 편수 책상과, 양수 책상으로 구분됨과 아울러 근래에는 타이핑 책상과 같이 특수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재질에 따라서도 철재와 목재 책상으로 구분되나, 철재 책상의 경우 부식, 녹 발생 등으로 인하여 장기간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서랍장이 뒤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근래에는 목재 책상 또는 상판은 목재로, 다리 및 지지부는 철재로 구성된 책상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목재 책상은 원목 또는, 한 쌍의 합판으로 이루어진 외측판재 사이에 보강재를 넣어 구성된 판재를 절단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판을 제작하고, 이 상판의 양측 하방으로 측판을 세워 구비하되, 이들 양측판을 연결함과 아울러 후방을 막음하는 뒷판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측판의 저부에 지지부를 두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책상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8-0004080호(고안의 명칭: 각 다리별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에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책상은 상판의 하부에 직접적으로 통상 네 개의 다리를 볼트로써 체결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끝단과 상판의 하부의 체결부위를 지지하는 부위가 없어서 그 체결부위가 휘거나 변형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책상은 2개 이상을 연결할 경우 연결 부위에 틈새가 발생되어 먼지 등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연결 부위에서 필기 등 작업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책상은 레그를 바닥에 세운 상태에서 상판을 하나씩 얹어 조립하는 과정 중에 상판이 레그에 대해 위치 조정시 낙하하며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블을 연결하여 배치할 경우 각 테이블의 상판 간의 틈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상판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재를 연장 후, 브라켓에 각 상판을 조립함에 연동되어 돌출부재끼리를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상판끼리의 틈새 발생으로 인한 상판 연결 부위에서의 작업성 및 미감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바(bar) 타입의 보강부재를 축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브라켓을 상판끼리의 연결부위 또는 어느 하나의 상판에 단독으로 결합한 채 길이가 규격화된 보강부재를 적용하고자 하는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제 1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제 1사이드레그를 연결하는 제 1사이드브라켓; 제 2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제 2사이드레그를 연결하는 제 2사이드브라켓;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의 대응되는 테두리끼리 접한 연결부위의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센터레그를 연결하는 센터브라켓;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연결부위 틈새를 막는 틈새막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틈새막음부는,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상기 제 2플레이트를 향하는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제 1막음돌출부재; 상기 제 1막음돌출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제 2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 2막음돌출부재; 및 상기 제 1막음돌출부재와 상기 제 2막음돌출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를 상기 센터브라켓에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끼움돌기; 상기 제 2플레이트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끼움돌기; 상기 제 1끼움돌기를 삽입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에 함몰 형성되는 제 1끼움홈부; 및 상기 제 2끼움돌기를 삽입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에 함몰 형성되는 제 2끼움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끼움돌기와 상기 제 2끼움돌기는 둘레면에 외측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와 상기 제 2끼움홈부는 내측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브라켓은 대응되는 상기 외측경사면과 상기 내측경사면을 통해 상기 제 1막음돌출부재와 상기 제 2막음돌출부재를 밀착시키기 위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하측을 보강 지지하는 제 1보강부재의 일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 2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2플레이트의 하측을 보강 지지하는 제 2보강부재의 일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함하며, 상기 센터브라켓은 상기 제 1보강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 2보강부재의 타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보강부재와 상기 제 2보강부재는 호환을 위해 규격화된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브라켓은 상기 제 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플레이트를 단독으로 지지할 경우 대응되는 상기 제 1보강부재 또는 상기 제 2보강부재를 축 삽입하기 위해 연통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테이블을 연결하여 배치할 경우 각 테이블의 상판 간의 틈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상판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재를 연장 후, 브라켓에 각 상판을 조립함에 연동되어 돌출부재끼리를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상판끼리의 틈새 발생으로 인한 상판 연결 부위에서의 작업성 및 미감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바(bar) 타입의 보강부재를 축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브라켓을 상판끼리의 연결부위 또는 어느 하나의 상판에 단독으로 결합한 채 길이가 규격화된 보강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저면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틈새막음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를 단독 사용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저면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연결된 상태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틈새막음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를 단독 사용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테이블을 2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12,22) 및 틈새막음부(100)를 포함한다.
편의상, 플레이트(12,22)는 제 1플레이트(12) 및 제 2플레이트(22)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제 1플레이트(12)는 어느 하나의 테이블의 상판에 해당되고, 제 2플레이트(22)는 다른 하나의 테이블의 상판에 해당된다.
아울러, 제 1플레이트(12)는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의 제 1사이드브라켓(16)을 구비한다. 이때, 제 1사이드브라켓(16)은 제 1플레이트(12)의 일측 하면에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제 1사이드브라켓(1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제 1플레이트(12)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플레이트(22)는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의 제 2사이드브라켓(26)을 구비한다. 특히, 제 2사이드브라켓(26)은 제 2플레이트(22)의 일측 하면에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제 2사이드브라켓(2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제 2플레이트(22)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사이드브라켓(16)은 각각 또는 동시에 제 1사이드레그(14)를 연결하고, 제 2사이드브라켓(26)은 각각 또는 동시에 제 2사이드레그(24)를 연결한다.
물론, 제 1사이드레그(14)와 제 2사이드레그(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는 사용 공간의 확장을 위해 대향하는 테두리끼리가 접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의 접하여 연결되는 부위는 센터브라켓(36)을 구비한다. 센터브라켓(36)은 제 1사이드브라켓(16)과 제 2사이드브라켓(26)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이때, 제 1사이드브라켓(16), 센터브라켓(36) 및 제 2사이드브라켓(26)은 제 1플레이트(12)의 가로너비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래서, 센터브라켓(36)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터브라켓(36) 각각은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의 이웃한 타측 가장자리를 동시에 접하여 지지한다.
아울러, 센터브라켓(36)은 각각 또는 동시에 센터레그(34)를 연결한다. 물론, 센터브라켓(36)과 센터레그(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센터브라켓(36)은 다양한 방식으로 센터레그(34)를 연결한다.
한편, 센터브라켓(36)이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를 동시에 구속 연결하더라도,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에 의해 틈새가 발생된다. 그래서, 이물질이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 사이의 틈새에 퇴적되거나, 또는 틈새로 인해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 사이의 위치에서 필기 등의 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틈새막음부(100)가 구비된다.
틈새막음부(100)는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의 연결부위 틈새를 최대한 막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틈새막음부(100)는 제 1막음돌출부재(110), 제 2막음돌출부재(120) 및 구속부(130)를 포함한다.
제 1막음돌출부재(110)는 제 2플레이트(22)의 대향하는 테두리를 향하도록 제 1플레이트(12)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고, 제 2막음돌출부재(120)는 제 1플레이트(12)의 대향하는 테두리를 향하도록 제 2플레이트(22)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가 이웃하게 배치될 경우,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는 접하게 된다. 이때,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는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을 갖는 등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속부(130)는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를 센터브라켓(36)에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구속부(130)는 제 1끼움돌기(131), 제 2끼움돌기(132), 제 1끼움홈부(133) 및 제 2끼움홈부(134)를 포함한다.
제 1끼움돌기(131)는 제 1플레이트(12)의 타측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 2끼움돌기(132)는 제 2플레이트(22)의 타측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1끼움돌기(131)는 제 1플레이트(12)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 2끼움돌기(132)는 제 2플레이트(22)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끼움홈부(133)는 제 1끼움돌기(131)를 삽입하도록 센터브라켓(36)에 함몰 형성되고, 제 2끼움홈부(134)는 제 2끼움돌기(132)를 삽입하도록 센터브라켓(36)에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끼움돌기(131)가 제 1끼움홈부(133)에 삽입되고, 제 2끼움돌기(132)가 제 2끼움홈부(134)에 삽입된 후, 센터브라켓(36)이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에 동시에 결속됨으로써,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구속부(130)는 외측경사면(135)과 내측경사면(136)을 포함한다.
외측경사면(135)은 제 1끼움돌기(131)와 제 2끼움돌기(132)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내측경사면(136)은 제 1끼움홈부(133)와 제 2끼움홈부(134)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특히,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가 대향한 상태에서, 외측경사면(135)은 제 1끼움돌기(131)의 제 2끼움돌기(132)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둘레면에 형성되고, 제 2끼움돌기(132)의 제 1끼움돌기(131)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둘레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내측경사면(136)은 삽입되는 제 1끼움돌기(131)의 외측경사면(135)과 면접되도록 제 1끼움홈부(133)의 내부 일측에만 형성되고, 삽입되는 제 2끼움돌기(132)의 외측경사면(135)과 면접되도록 제 2끼움홈부(134)의 내부 일측에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 1끼움홈부(133)와 제 2끼움홈부(134)는 개방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외측경사면(135)과 내측경사면(136)이 접한 채, 제 1끼움돌기(131)가 제 1끼움홈부(133)에 삽입되면서, 제 1막음돌출부재(110)는 이웃하게 배열되는 제 2막음돌출부재(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경사면(135)과 내측경사면(136)이 접한 채, 제 2끼움돌기(132)가 제 2끼움홈부(134)에 삽입되면서, 제 2막음돌출부재(120)는 이웃하게 배열되는 제 1막음돌출부재(1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센터브라켓(36)은 체결부재(38)에 의해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에 결속되며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에 밀착됨에 따라, 제 1막음돌출부재(110)와 제 2막음돌출부재(120)가 더욱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제 1사이드레그(14), 센터레그(34) 및 제 2사이드레그(24)가 바닥에 세워진 후, 제 1플레이트(12)가 제 1사이드레그(14)와 센터레그(34)에 얹혀지고, 제 2플레이트(22)가 센터레그(34)와 제 2사이드레그(24)에 얹혀지면서, 제 1끼움돌기(131)는 제 1끼움홈부(133)에 삽입되며, 제 2끼움돌기(132)는 제 2끼움홈부(134)에 삽입됨으로써, 조립 과정 중에 제 1플레이트(12) 또는 제 2플레이트(22)가 레그(14,24,34)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 1보강부재(40)는 제 1플레이트(12)의 가로너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제 1사이드브라켓(16)과 센터브라켓(36)에 연결되고, 제 2보강부재(50)는 제 2플레이트(22)의 가로너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제 2사이드브라켓(26)과 센터브라켓(36)에 연결된다.
이때, 제 1플레이트(12)는 제 1보강부재(40)의 궤적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설치블록(42)을 구비한다. 제 1보강부재(40)가 제 1설치블록(42) 각각에 끼워진 채 일측이 제 1사이드브라켓(1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센터브라켓(36)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플레이트(12)를 보강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제 2플레이트(22)는 제 2보강부재(50)의 궤적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설치블록(52)을 구비한다. 제 2보강부재(50)가 제 2설치블록(52) 각각에 끼워진 채 일측이 제 2사이드브라켓(2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센터브라켓(36)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2플레이트(22)를 보강 지지한다.
이때, 제 1보강부재(40)와 제 2보강부재(50)는 호환이 가능하도록 규격화된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1플레이트(12) 또는 제 2플레이트(22)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플레이트(12)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센터브라켓(36)은 대응되는 제 1사이드브라켓(16) 방향으로 소정 이동 후 제 1플레이트(12)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 2플레이트(22)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센터브라켓(36)은 대응되는 제 2사이드브라켓(26) 방향으로 소정 이동 후 제 2플레이트(22)에 결합된다.
특히, 센터브라켓(36)은 제 1보강부재(40) 또는 제 2보강부재(5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200)을 통공한다.
제 1보강부재(40)와 제 2보강부재(50)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플레이트(12) 또는 제 2플레이트(22)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제 1보강부재(40)가 연통홀(200)에 삽입되어 센터브라켓(36)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제 2보강부재(50)가 연통홀(200)에 삽입되어 센터브라켓(36)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제 1플레이트(12)와 제 2플레이트(22)가 단독 또는 연결되게 설치시, 센터브라켓(36)은 위치 이동된 후 동일한 제 1보강부재(40) 또는 제 2보강부재(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제 1플레이트 16: 제 1사이드브라켓
22: 제 2플레이트 26: 제 2사이드브라켓
36: 센터브라켓 38: 체결부재
100: 틈새막음부 110: 제 1막음돌출부재
120: 제 2막음돌출부재 130: 구속부
131: 제 1끼움돌기 132: 제 2끼움돌기
133: 제 1끼움홈부 134: 제 2끼움홈부
135: 외측경사면 136: 내측경사면
200: 연통홀

Claims (6)

  1. 제 1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제 1사이드레그를 연결하는 제 1사이드브라켓; 제 2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제 2사이드레그를 연결하는 제 2사이드브라켓;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의 대응되는 테두리끼리 접한 연결부위의 하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센터레그를 연결하는 센터브라켓;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연결부위 틈새를 막는 틈새막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막음부는,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상기 제 2플레이트를 향하는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제 1막음돌출부재; 상기 제 1막음돌출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제 2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 2막음돌출부재; 및 상기 제 1막음돌출부재와 상기 제 2막음돌출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를 상기 센터브라켓에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끼움돌기; 상기 제 2플레이트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끼움돌기; 상기 제 1끼움돌기를 삽입하는 제 1끼움홈부; 및 상기 제 2끼움돌기를 삽입하는 제 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브라켓은 내부를 격벽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 1끼움홈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브라켓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홈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브라켓의 타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 1끼움돌기가 상기 제 1끼움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끼움돌기가 상기 제 2끼움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조립 과정 중에,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상기 제 1사이드레그와 상기 제 2사이드레그 및 상기 센터레그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 1끼움돌기와 상기 제 2끼움돌기는 둘레면에 외측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센터브라켓에 구획되게 함몰된 상기 제 1끼움홈부와 상기 제 2끼움홈부는 내측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브라켓은, 대응되는 상기 외측경사면과 상기 내측경사면을 통해 상기 제 1막음돌출부재와 상기 제 2막음돌출부재를 밀착시키기 위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하측을 보강 지지하는 제 1보강부재의 일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 2사이드브라켓은 상기 제 2플레이트의 하측을 보강 지지하는 제 2보강부재의 일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함하며,
    상기 센터브라켓은 상기 제 1보강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 2보강부재의 타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강부재와 상기 제 2보강부재는 호환을 위해 규격화된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브라켓은, 상기 제 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플레이트를 단독으로 지지할 경우, 대응되는 상기 제 1보강부재 또는 상기 제 2보강부재를 축 삽입하기 위해 연통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1020180149656A 2018-11-28 2018-11-28 가구 KR10200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56A KR102000602B1 (ko) 2018-11-28 2018-11-28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56A KR102000602B1 (ko) 2018-11-28 2018-11-28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602B1 true KR102000602B1 (ko) 2019-07-16

Family

ID=6747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56A KR102000602B1 (ko) 2018-11-28 2018-11-28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637A (ja) * 1997-09-25 1999-04-06 Uchida Yoko Co Ltd 補助天板連結机
JP2001120377A (ja) * 1999-10-27 2001-05-08 Uchida Yoko Co Ltd デスクの連結構造
JP2002360363A (ja) * 2001-06-07 2002-12-17 Itoki Crebio Corp 家具における脚部の連結装置
KR101379283B1 (ko) * 2013-08-26 2014-03-28 주식회사 코아스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637A (ja) * 1997-09-25 1999-04-06 Uchida Yoko Co Ltd 補助天板連結机
JP2001120377A (ja) * 1999-10-27 2001-05-08 Uchida Yoko Co Ltd デスクの連結構造
JP2002360363A (ja) * 2001-06-07 2002-12-17 Itoki Crebio Corp 家具における脚部の連結装置
KR101379283B1 (ko) * 2013-08-26 2014-03-28 주식회사 코아스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387Y1 (ko) 다기능 통기성 물건 보관함
GB1578672A (en) Drawer of plastics material
CA2140210C (en) A fitting
AU2010268131A1 (en) Drawer
US20030184195A1 (en) Single piece tub frame and support
KR102000602B1 (ko) 가구
CA1285014C (en) Drawer
US6325473B1 (en) Pull-out guide for drawers
CN1938495B (zh) 板构造
US6485120B1 (en) Drawer glide for drawer slide assembly
CA1048588A (en) Joint structure
US2941775A (en) Bracket support
CA2196515C (en) Drawer
US20040195122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member tip parts into mounting holes
US20080061665A1 (en) Furniture Drawer
KR101379283B1 (ko)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US3292986A (en) Rail slide
US3850482A (en) Method of installing drawer guide, and structure
US5658059A (en) Support rail to be mounted on a side of a cabinet of an article of furniture
KR101746715B1 (ko) 보강재를 구비한 오픈 책장 및 조립 방법
US4786123A (en) Drawer
JP6026728B2 (ja) 食器棚用レール部材
KR200442849Y1 (ko) 책상용 연결장치
GB2342567A (en) Liner for storage furniture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