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00B1 -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 Google Patents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00B1
KR102000600B1 KR1020170170483A KR20170170483A KR102000600B1 KR 102000600 B1 KR102000600 B1 KR 102000600B1 KR 1020170170483 A KR1020170170483 A KR 1020170170483A KR 20170170483 A KR20170170483 A KR 20170170483A KR 102000600 B1 KR102000600 B1 KR 10200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smart
advertisement
nodule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0029A (en
Inventor
오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슬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슬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슬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7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00B1/en
Publication of KR2019007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이한 색상의 작물을 파종하여 광고를 제작하는 스마트 파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 디자인 시안을 이용하여 디자인 패턴을 형성하고, 경작지의 지형을 3차원 모델링한 지형도에 일정 간격으로 그리드를 형성하여 그리드가 형성된 지형도에 디자인 패턴을 중첩시켜서 정합하고, 디자인 패턴이 중첩된 지형도에서 그리드의 각 지점의 색상에 대응하는 작물 품종을 매칭시키며, 작물 품종의 성장 주기에 따른 색상 변화를 고려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파종을 위한 작업 지시서를 형성하는 작물 광고 저작 도구(1);
상기 작물 광고 저작 도구(1)에서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여 파종을 위한 음성 또는 시각적 안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2);
동일 간격의 마디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한 태그를 가진 못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못줄 장치(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표시봉과 노끈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물 광고를 제작할 수 있는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eding system for producing advertisements by sowing crops of different colors corresponding to an advertisement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 advertisement production,
A design pattern is formed using an ad design census, a gri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topographical map modeling the terrain of the cultivated land, and the design patterns are superimposed on the topographical map on which the grid is formed, A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for matching the crop varieti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of the crops and perform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consider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period of the crop varieties to form a work order for sowing;
A mobile terminal (2) receiving a work instruction sheet from the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and providing a voice or visual guidance for sowing to an operator;
And a smart nodule device (3) including a nodule having a tag to which a serial number is assigned for each node of the same interv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seeding system for producing a crop advertisement which can conveniently produce a crop advertisement without using a display rod and a cord.

Description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본 발명은 광고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이한 색상의 작물을 파종하여 광고를 제작하는 스마트 파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eding system for producing advertisements by sowing crops of different colors corresponding to an advertisement image.

통상적으로 작물(예: 벼)을 파종하여 충분히 생장하면 작물을 생산하여 식용으로 활용하는 측면이 강하지만, 최근에는 넓은 논이나 경사지에 글자, 무늬 및 패턴 등을 새겨서 광고나 홍보를 하는 작물아트가 새로운 광고 기법으로 도입되면서, 도1과 같이 상이한 색상의 작물을 이용하여 특정한 무늬나 그림을 넓은 면적에 거대하게 심어서 기업이나 단체의 홍보나 관광객 유치에 활용하는 사례가 각광을 받고 있다.Generally, when crops (for example, rice) are planted and grown sufficiently, crops are produced and used for food. However, in recent years, crop art, which carries letters, patterns and patterns on a wide rice field or slope, As shown in FIG. 1, a new advertisement technique is introduced, and a specific pattern or a picture is widely planted in a large area using different colors of crops as shown in FIG. 1, and thus it is attracting attention for promoting a company or a group or attracting tourists.

그래서, 예를 들면 벼아트를 위해 논에 글자나 무늬(패턴) 등의 문양을 새기기 위해서는 벼의 품종별로 상이한 색상이나 생육 특성을 이용하여, 구별해야 하는 영역마다 다른 품종의 벼를 모심기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벼는 녹색을 띠기 때문에 녹색이 아닌 다른 색을 가지는 유색벼(도2에서는 자색벼, 연노랑색벼)와 일반 녹색벼를 이용하여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Thus, for example, in order to engrave patterns such as letters and patterns (patterns) in rice paddies, rice varieties of different kinds should be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to be distinguished by using different col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for each rice varieties. Typically, since rice is green, the pattern is formed by using colored rice having different colors other than green (in FIG. 2, purple rice, light yellow rice) and general green rice.

그런데, 종래에는 벼아트를 위해 논에 문양을 새기기 위해서는 도3에서와 같이 특정 영역을 구별하여 모심기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특정 영역을 구별하기 위하여 도4와 같이 표시봉과 노끈에 의해 특정 영역을 형성하여, 그 특정 영역 내에는 외부와 상이한 색상의 벼를 심어야 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engrave patterns on rice paddies, rice paddies are divided into specific regions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distinguish specific regions, a specific region is formed by a display rod and a string as shown in FIG. 4 , And the inside of the specific area should be planted with rice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outside.

또한, 모의 줄을 맞추고 일정 간격으로 벼를 심기 위하여 도5와 같은 못줄이 사용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못줄은 수십 내지 수백 미터의 나이론 줄에 빨간색 리본을 일정 간격으로 달아서 모를 심는 위치를 표시한다.In addition, a nail line as shown in FIG. 5 is used to plant the rice at regular intervals while aligning the lines. The nail lin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dicate positions where red ribbon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meters on a nylon line.

그런데, 표시봉과 노끈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에서는 직업지시서 상의 표시봉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논에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작업지시서의 표시봉의 위치와 일치하는 논의 위치에 표시봉을 설치하여 작업지시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벼아트가 달성되는데, 이렇게 논에서의 위치 좌표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고가의 정밀 측정 장치인 레이저 측량 장치나 DGPS장치를 사용해야 한다.However, in the prior art using the display rods and the rop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know the position in the padd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isplay rods on the job instruction sheet. The display rods are installed at the discussion positions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rods of the work instruction book,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al coordinates in the rice field, it is necessary to use an expensive precision measuring device, such as a laser measuring device or a DGPS device.

또한, 설령 이렇게 한다고 해도 문양이 복잡한 경우에는 표시봉의 개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표시봉들의 비용이 엄청나게 되고, 표시봉 및 노끈을 이용하여 복잡한 문양을 형성하는 논은 도6, 7과 같이 표시봉과 노끈이 밀집하게 배치되어 복잡하고 모심기 작업을 하기가 비좁은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작업자가 모심기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서 모심기 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되어, 종래기술에 따른 벼아트 방법은 큰 작업 소요시간과 고비용을 초래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pattern is complicated, the number of display rods increases exponentially in the case of complicated patterns, so that the cost of the display rods becomes enormous, and the rice rods which form complicated patterns using the display rods and the strings are, Since it is very complicated to arrange the ropes and crowde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worker to be plowed, so that the planting time is considerably long. Therefore, the rice ar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leads to a large work time and high cost .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38369호(2015.7.15.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8369 (registered on July 15, 2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표시봉과 노끈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물 광고를 제작할 수 있는 스마트 파종 시스템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seeding system capable of conveniently producing a crop advertisement without using a display rod and a string.

본 발명은,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 advertisement production,

광고 디자인 시안을 이용하여 디자인 패턴을 형성하고, 경작지의 지형을 3차원 모델링한 지형도에 일정 간격으로 그리드를 형성하여 그리드가 형성된 지형도에 디자인 패턴을 중첩시켜서 정합하고, 디자인 패턴이 중첩된 지형도에서 그리드의 각 지점의 색상에 대응하는 작물 품종을 매칭시키며, 작물 품종의 성장 주기에 따른 색상 변화를 고려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파종을 위한 작업 지시서를 형성하는 작물 광고 저작 도구(1);A design pattern is formed using an ad design census, a gri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topographical map modeling the terrain of the cultivated land, and the design patterns are superimposed on the topographical map on which the grid is formed, A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for matching the crop varieti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of the crops and perform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consider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period of the crop varieties to form a work order for sowing;

상기 작물 광고 저작 도구(1)에서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여 파종을 위한 음성 또는 시각적 안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2);A mobile terminal (2) receiving a work instruction sheet from the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and providing a voice or visual guidance for sowing to an operator;

동일 간격의 마디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한 태그를 가진 못줄을 포함하는 못줄 장치(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nail device (3) including a nail having a tag to which a serial number is assigned for each node of the same interval.

본 발명을 이용하면, 표시봉과 노끈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물 광고를 제작할 수 있는 스마트 파종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seeding system capable of conveniently producing a crop advertisement without using a display rod and a cord.

도1은 벼아트의 여러 활용 예들을 도시함.
도2는 벼아트에 활용된 벼의 모습을 도시함.
도3는 종래기술에서 벼아트를 위해 특정 영역을 구별하는 모심기를 도시함.
도4는 종래기술에서 노끈과 표시봉을 이용하여 영역을 구별하고 모심기를 하는 모습을 도시함.
도5은 종래기술에 따른 못줄 장치를 도시함.
도6, 도7은 종래기술에서 복잡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끈과 표시봉의 배치를 도시함.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못줄 장치를 도시함.
도9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함.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 과정을 도시함.
도11은 본 발명에서 디자인 시안에 따른 디자인 패턴을 도시함.
도12는 본 발명에서 벼 색상별 그래픽 작업지시서를 도시함.
도13은 본 발명에서 각 지점의 파종 작물을 위한 텍스트 형태의 작업지시서를 도시함.
도1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못줄 연동을 위한 그리드 인덱싱을 도시함.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Figure 1 shows several applications of rice art.
Figure 2 shows the appearance of rice used in rice art.
Fig. 3 shows a seedling for distinguishing a specific region for rice art in the prior art.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a region is distinguished and a seedling is used by using a rope and a display rod in the prior art.
5 shows a n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6 and 7 illustrate arrangements of ropes and display rods used to form complex patterns in the prior art.
Fig. 8 shows a nautical apparatu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the autho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a design pattern according to a design schem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graphical work instruction sheet for each color of r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a work instruction sheet in the form of a text for a seeding crop at each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llustrates grid indexing for smart grid interworking in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ow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마트 못줄 장치에 대해 도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smart nodu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스마트 못줄은 도8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줄에서 동일 간격의 마디마다 인덱싱(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이 인덱싱은 비닐이나 방수포에 숫자를 표시한 태그에 의해 형성되어 도8의 하단 좌측 도면과 같은 인덱싱이 부여된 못줄이 형성되고, 이 인덱싱 부여 못줄을 막대기에 감으면 도8의 하단 우측 도면과 같은 못줄 장치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8, the smart nacel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indexing (serial number) for each nodule at the same intervals in a nail, and the indexing is formed by a tag indicating a number in vinyl or waterproof pile, A nail with the indexing as shown in the left drawing is formed and the nail device as shown in the bottom right of Fig. 8 is formed when the nail is index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은 PC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작업 지시서를 형성하는 작물 광고 저작 도구(1)와, 이 저작도구(1)에서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여 파종을 하기 위한 시각적/음성적 안내를 하는 모바일 단말기(2)(예: 스마트폰)와, 상기 도8과 같이 동일 간격의 마디마다 인덱싱이 부여된 스마트 못줄 장치(3)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for forming a work instruction book using a PC or a notebook, a mobile terminal (2) for receiving visual and / or voice guidance for seeding by receiving a work instruction from the authoring tool (1) (E.g., a smart phone), and a smart nodule device 3 indexed at every interval of the same interval as shown in FIG.

그래서, 작물 광고 저작 도구(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작업 지시서를 형성하여 이를 모바일 단말기(2)로 전송하고, 작업 지시서를 수신한 모마일 단말기(2)는 시각적이나 TTS 음성 안내를 하여 스마트 못줄 장치(3)을 이용하여 작물 광고용 파종을 하게 한다.Therefore, the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forms a work instruction sheet according to a method described below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2, and the parent terminal 2 receiving the work instruction sheet visually or TTS voice guidance So that the smart nodule device 3 is used for sowing for crop advertisement.

다음으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저작 도구(1)에서 작업 지시서를 형성하는 과정을 벼아트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process of forming the work instruction sheet in the authoring tool 1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with rice art.

먼저, 벼아트를 하기 위한 디자인 패턴을 형성한다(S1). 이러한 디자인 패턴은 기존 사진이나 그림을 이용할 수도 있고, 컴퓨터의 그래픽 도구를 이용하여 그린 그림일 수도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11의 상단과 같은 광고 디자인 시안을 이용하면 저작 도구(1)에서는 도11의 하단과 같은 디자인 패턴이 형성된다.First, a design pattern for rice art is formed (S1). Such a design pattern can be an existing picture or picture, or a picture drawn using a computer graphic tool. Thus, for example, if the advertisement design template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11 is used, the designing pattern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11 is formed in the authoring tool 1.

다음으로, 벼아트를 하기 위한 경작지 지형 정보(크기, 형상)를 획득한다(S2). 지형정보는 실제 경작지 현장에서 토탈스테이션 등과 같은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서 획득할 수도 있고, 구글 지도 등과 같은 기존의 측량된 데이터에서 획득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Next, cultivating landform information (size, shape) for rice art is acquired (S2). The terrai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a distance measurement device such as a total station at an actual farm site, or acquired from existing surveyed data such as a Google map or the like.

이렇게 디자인 패턴과 경작지 지형 정보가 준비되면, 디자인 패턴에 따라 경작지의 각 지점에 파종하기 위한 품종을 결정하는 도10과 같은 저작 과정을 수행한다(S3). 여기서, 도10의 상단에는 디자인 시안(좌측)이 경작지에 파종하기 위한 파종 패턴(우측)으로 변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10의 하단에는 이러한 저작 과정을 수행하는 절차가 나타나 있다.When the design pattern and the cultivated landform information are prepared, a chewing process as shown in FIG. 10 is performed (S3) for determining the cultivars to be sown at each point of the cultivated land according to the design pattern. 10 shows that the design cyan (left side) is converted to a seeding pattern (right side) for sowing on the cultivated land, and the procedure for performing such a chewing process is shown at the bottom of FIG.

먼저,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경작지 지형을 3D 모델링을 한다(S(3-1)). 논과 같이 경사가 거의 없는 평면 지형용인 경우에는 모델링된 평면 지형도가 도출되고, 언덕과 같이 등고선으로 표시되는 경사 지형용인 경우에는 모델링된 계단식 지형도가 도출된다.First, 3D modeling of the cultivated terrain is conducted to sow the crop (S (3-1)). In the case of a flat terrain with little inclination, such as rice fields, a modeled flat topographic map is derived. In the case of an inclined terrain with a contour line such as a hill, a modeled terrain topographical map is derived.

이제, 모델링된 지형도에 파종 간격에 대응하는 그리드를 설정한다(S(3-2)). 이 파종용 그리드 설정에 의해 모델링된 지형도에 파종 간격에 대응하는 일정 간격의 그리드가 형성된다.Next, a grid corresponding to the sowing interval is set in the modeled topographic map (S (3-2)). A grid having a constant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owing interval is formed in the topographic map modeled by the sowing grid setting.

다음으로, 그리드가 형성된 모델링된 지형도에 디자인 패턴을 중첩(오버레이)시켜서 정합시킨다(S(3-3)). Next, the design patterns are superimposed (overlapped) on the modeled topographical map on which the grid is formed (S (3-3)).

이제, 디자인 패턴이 중첩되어 정합된 지형도를 보면서, 색상과 일치하거나 근접한 품종을 배정하여 매칭시킨다(S(3-4)). Now, the design patterns are superimposed to match the matching topographic map, and a matching or close varietal is assigned and matched (S (3-4)).

마지막으로, 작물의 성장 주기에 따른 색상 변화를 고려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하여(S(3-5)), 작물 성장 주기마다 나타나는 작물 아트가 적절한지를 판단하여 적절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품종을 배정하여 다시 3차원 모델링을 하여 적절한지 판단한다.Finally, 3-D modeling is performed considering th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growth cycle of the crop (S (3-5)), and it is judged whether the crop arts appearing at each crop growth period is appropriate. Dimensional modeling is performed again to determine whether it is appropriate.

그래서, 이상과 같은 저작 과정을 수행하면, 벼 색상별 그래픽 작업 지시서가 형성되거나, 텍스트 형태의 작업지시서가 형성된다.Thus, when the autho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 graphic work instruction sheet for each color of rice is formed, or a work instruction sheet of a text form is formed.

예를 들면, 도10의 상단의 그림에 대응하는 벼 색상별 그래픽 작업지시서는 도12와 같이 형성되고, 도13 좌측과 같은 마럴린 몰로 사진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작업 지시서가 도13의 우측과 같이 형성되게 된다.For example, a graphic work instruction sheet for each color of ri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diagram of FIG. 10 is formed as shown in FIG. 12, and a work instruction sheet in the form of a text corresponding to a photograph with Marolin Molto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

여기서, 도13의 우측의 텍스트 작업지시서에는 파종 면적의 각 그리드 지점에 파종해야 하는 벼 품종의 명칭과 이 품종의 코드번호가 명시되는데, 예를 들면, R 4 : 녹원찰벼(code=4)”와 같은 작업지시는 0행의 4번째 마디에는 코드번호가 4인 녹원찰벼를 파종하라는 지시이다.In the text work instruction sheet on the right side of Fig. 13, the names of the rice varieties to be sown at the respective grid points of the seeding area and the code numbers of these varieties are specified. For example, R 4: Is an instruction to sow a green wool rice with a code number of 4 in the fourth node of the 0-th row.

결국,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저작 도구(1)를 이용하면, 파종 면적 전체에 대한 벼 색상별 그래픽 작업지시서 또는 텍스트 작업지시서가 형성된다.As a result, when using the authoring tool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graphic work instruction sheet or a text work instruction sheet for each color of rice is formed.

다음으로, 저작 도구(1)에서 그래픽 또는 텍스트 작업 지시서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2)를 소지한 작업자들이 작업 영역에 파종을 하는 과정을 도14, 1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1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못줄 연동을 위한 그리드 인덱싱을 도시한 것이고,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and FIG. 15, a process in which workers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2 having received the graphic or text work instruction sheet in the authoring tool 1 seed the work area will be described. Here, FIG. 14 shows grid indexing for smart grid interlock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show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ow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럴린 몰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마트 못줄의 그리드 인덱싱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파종 방법의 순서를 도15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Now, the order of the see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by applying grid indexing of a smart grid corresponding to an image with a Marlin Mall as shown in FIG.

먼저, 도15에서 벼아트를 실시하고자 하는 논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종축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인덱싱이 시작하는 못줄(종축 기준 못줄)을 설치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2)는 “논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종축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인덱싱이 시작하는 못줄을 설치하세요”라고 음성 또는 시각적 안내를 하여 작업자가 종축 기준 못줄을 설치한다.First, in order to set up a nail (vertical axis reference nail) starting indexing from above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discussion to perform rice art in FIG. 15, Install a nail which starts indexing from the top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By voice or visual guidance, the operator installs the vertical reference nail.

이제, 모바일 단말기(2)는 종축 인덱스(R)를 1로 할당하고(S11), 음성으로 “첫 번째 행에 못줄을 설치하세요”라는 음성 안내를 하거나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1번째 행에 못줄을 설치하라는 시각적 안내를 하면,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종축 기준 못줄의 1번 인덱스에 따른 1번째 행에 못줄을 설치한다.Now, the mobile terminal 2 assigns the subordinate axis index R to 1 (S11) and gives a voice guidance saying " install a nail on the first row " by voice or a text or graphic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 If a visual guidance is given to install a nail on the first row, the operator then installs a nail on the first row according to index 1 of the longitudinal reference nail.

이제, 횡축 인덱스(C)를 1로 할당하여(S12), 종축 인덱스(R)=1이고 횡축 인덱스(C)=1 인 지점부터 모심기를 시작할 준비를 한다.Now, the transverse axis index C is assigned to 1 (S12), and the seedling axis is prepared to start from the point where the longitudinal axis index R = 1 and the transverse axis index C = 1.

다음으로, 횡축 인덱스(C)가 마지막 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S13), 마지막 열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종축 인덱스(R)=1인 지점에 모심기하라는 안내(음성 또는 시각적 안내)를 하고 이 지점에 대한 모심기가 완료되었다는 것이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기(2)는 횡축 인덱스(C)를 1만큼 증가시켜서 횡축 인덱스(C)=2가 되게 한다(S14).Next, it is judged whether the transverse axis index C exceeds the last row (S13). Since it does not exceed the last row, a guidance (voice or visual guidance) is issued to the point where the longitudinal axis index R = The mobile terminal 2 increments the transverse index C by one to make the transverse index C = 2 (S14).

그리고 나서 단계(S13)로 되돌아가서 다시 마지막 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여전히 마지막 열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단계(S14)에서 횡축 인덱스(C)=2 인 지점에 모심기 안내를 하고 이 지점에 대한 모심기가 완료되었다는 것이 입력되면 횡축 인덱스(C)를 1만큼 증가시켜서 횡축 인덱스(C)=3가 되게 하고 다시 단계(S13)에서 마지막 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3 to determine whether the last row is exceeded. In this case, since the last row is not exceeded, the guide is guided to the point where the transverse index C = 2 in step S14, The index of the transverse axis C is incremented by one to make the transverse index C = 3,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st index is exceeded in the step S13.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첫 번째 행인 종축 인덱스(R)=1에서 마지막 열까지 모심기를 완료하고 횡축 인덱스(C)를 1만큼 증가시키면 단계(S13)에서 횡축 인덱스(C)가 마지막 열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 단계(S15)으로 진행한다.This process is repeated to increase the transverse index C by one by completing the seedling from the first row to the last row from the first row to the last row and if the transverse index C exceeds the last column in step S13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S15.

그래서, 단계(S15)에서는 종축 인덱스(R)를 1만큼 증가시켜서 종축 인덱스(R)=2가 되고 횡축 인덱스(C)를 1로 리셋시켜서 2번째 행의 첫 번째부터 모심기를 시작할 준비를 하게 된다. Thus, in step S15, the vertical axis index R is increased by 1, the vertical axis index R is set to 2, the horizontal axis index C is reset to 1, and the seedling is prepared to start from the first row in the second row .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에서는 음성으로 "2번째 행에 못줄을 설치하세요”라는 음성 안내를 하거나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2번째 행에 못줄을 설치하라는 시각적 안내를 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종축 방향의 양 가장자리 못줄의 2번 인덱스에 따른 못줄 장치를 2번째 행에 설치한다.Then, the mobile terminal 2 gives a voice guidance such as "install a nail in the second row " by voice or a visual guidance to install a nail in the second row in a text or graphic form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 Accordingly, the operator installs the nord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index on both the longitudinal edge nails in the second row.

그리고 나서, 단계(S16)에서 종축 인덱스(R)가 마지막 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아직 마지막 행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단계(S13)로 돌아가서 2번째 행(R=2) 각각에 대한 모심기 안내를 하여 2번째 행 전체에 대한 모심기를 완료하게 된다.Then, in step S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rtical axis index R exceeds the last row. Since the last row is not yet exceed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3 to guide the mother row for the second row (R = 2) And completes the seedling for the entire row.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마지막 행까지 완료하면, 단계(S16)의 판단 결과 마지막 행을 초과하게 되어 본 발명의 모심기 과정이 종료되게 된다.If this process is repeated and the process is completed to the last row, 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the step S16, the last row is exceeded and the seedl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ded.

결국, 본 발명의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을 이용하면, 동일 간격의 마디마다 인덱스가 부여된 못줄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의 안내에 따라 종축 기준 못줄을 설치한 후에 차례로 행 단위로 횡축 못줄을 이동시키면서, 저작 도구(1)에서 출력되는 작업지시서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2)의 안내에 따라 각 행의 각 열에 대응하는 색상의 파종을 하게 되어 간단하고 편리하게 파종을 하게 되어, 종래기술과 같이 표시봉과 노끈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을 구별함에 따른 고비용과 큰 작업시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using the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 advertising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ordinate reference nail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mobile terminal 2 by using a nail with an index for each node of the same interval,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of the mobi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work instruction sheet outputted from the authoring tool 1 while moving the transverse shaft nail, the color corresponding to each column of each row is s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igh cost and a large working time by distinguishing a specific area by using a display rod and a cord as in the prior art.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벼를 모심기하여 원하는 패턴이 논에 나타나게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벼가 아닌 다른 작물(보리, 밀 등)이나 꽂, 나무들도 품종마다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경우 또는 동일 품종이라도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ired pattern is displayed on the rice paddy by planting the rice. However, in the case of different crops (barley, wheat, etc.)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of having different colors.

Claims (7)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 디자인 시안을 이용하여 디자인 패턴을 형성하고, 경작지의 지형을 3차원 모델링한 지형도에 일정 간격으로 그리드를 형성하여 그리드가 형성된 지형도에 디자인 패턴을 중첩시켜서 정합하고, 디자인 패턴이 중첩된 지형도에서 그리드의 각 지점의 색상에 대응하는 작물 품종을 매칭시키며, 작물 품종의 성장 주기에 따른 색상 변화를 고려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작물 광고 제작 영역의 각 지점의 파종 작물의 색상에 대한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의 작업 지시서를 형성하는 작물 광고 저작 도구(1);
동일 간격의 마디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한 태그를 가진 못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못줄 장치(3);
상기 작물 광고 저작 도구(1)에서 각 지점의 파종 작물의 색상에 대한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의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여, 상기 작물 광고 제작 영역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가장자리부터 상기 스마트 못줄 장치(3)를 설치하게 하는 음성 또는 시각적 안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장자리에 설치된 스마트 못줄 장치(3)를 하나의 그리드 만큼씩 상하 또는 좌우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설치하게 하고 상기 스마트 못줄 장치(3)의 각 마디에 해당하는 파종을 하게 하는 음성 또는 시각적 안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
In a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 advertising,
A design pattern is formed using an ad design census, a gri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topographical map modeling the terrain of the cultivated land, and the design patterns are superimposed on the topographical map on which the grid is formed, And 3-dimensional modeling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cycle of the crop varieties, so that the text or graphics of the color of the seeded crop at each point of the crop ad production area A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for forming a work order of the form;
A smart nodule device (3) including an underside having a tag assigned serial numbers for each node of the same interval;
Receiving the work instruction sheet in the form of text or graphics on the colors of the seeding crops at the respective points in the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so that the smart nodule device 3 from the left or right edge of the crop advertisement production area And the smart nodule device 3 installed on the edge is sequentially moved upward or downward by one grid to install the smart nodule device 3 on the edge of the smart nodule device 3, And a mobile terminal (2) for providing the operator with voice or visual guidance for sowing corresponding to the see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광고 저작 도구(1)는 PC 또는 노트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p advertisement authoring tool (1) is a PC or a notebook compu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2) is a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는 TTS 음성 안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광고 제작을 위한 스마트 파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guidance is a TTS voice guidance.
삭제delete
KR1020170170483A 2017-12-12 2017-12-12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KR102000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83A KR102000600B1 (en) 2017-12-12 2017-12-12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83A KR102000600B1 (en) 2017-12-12 2017-12-12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29A KR20190070029A (en) 2019-06-20
KR102000600B1 true KR102000600B1 (en) 2019-07-16

Family

ID=6710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483A KR102000600B1 (en) 2017-12-12 2017-12-12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0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369B1 (en) * 2015-01-09 2015-07-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rop art image
KR101743157B1 (en) * 2016-03-16 2017-06-02 (주)테슬라시스템 Guide Line Apparatus for Setting out Rows of Rice Seedling using LED lam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121B1 (en) * 2008-09-12 2011-10-19 괴산군 Method for forming picture of rice field using colored rice
KR20100138070A (en) * 2009-06-24 2010-12-31 주식회사 트라앤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colored crops
KR101810207B1 (en) * 2016-03-16 2017-12-18 (주)테슬라시스템 Installation Method of Indicating Pole using DGPS Receiver and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369B1 (en) * 2015-01-09 2015-07-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rop art image
KR101743157B1 (en) * 2016-03-16 2017-06-02 (주)테슬라시스템 Guide Line Apparatus for Setting out Rows of Rice Seedling using LED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29A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232B2 (en) Fertilizer map creation method, fertilizer map creation system, fertilizer map creation device, and fertilizer map creation program
Thorp et al. Methodology for the use of DSSAT models for precision agriculture decision support
EP33878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7807540A (en) A kind of agriculture intelligent platform based on image procossing
CN101561871B (en) Method for recognizing manually-set road sign in agricultural machine visual navigation
UA123591C2 (en) Cloud detection on remote sensing imagery
CN109349031B (en) Drawing method for rice field 3D colored drawing
CN103430170B (en) Operate auxiliary program and operation servicing unit
CN103778512A (en) Vegetable cultivation situ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10456820B (en) Pesticide spraying system based on ultra-bandwidth wireless positioning and control method
Wu et al. Three-dimensional architecture of axile roots of field-grown maize
KR102000600B1 (en) Smart Seeding System for Crops Advertizing Production
CN114036615A (en) Virtual information planning and intelligent arrangement system for garden engineering construction
CN109272855B (en) Method for making agricultural and tourism integrated landscape pattern
US20120055085A1 (en) Garden bedding system
KR101810207B1 (en) Installation Method of Indicating Pole using DGPS Receiver and Portable Terminal
CN208399690U (en) A kind of plant pit positioning device with automation setting-out system
KR101743157B1 (en) Guide Line Apparatus for Setting out Rows of Rice Seedling using LED lamp
KR1015383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rop art image
CN110738133B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image contour boundaries of different agricultural facilities
CN104396688B (en)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Pinus massoniana Lamb excellent strain selected test woods
CN110326502A (en) A kind of colour direct sowing of rice is drawn a picture accurate plant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ruscolini et al. Drone services for plant water-status mapping
Česnulevičius et al. Classical and modern remote mapping methods for vegetation cover
Tong et al. Augmented Reality in the Integrative Internet of Things (AR-IoT): Application for Precision Fa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