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09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093B1
KR102000093B1 KR1020120008326A KR20120008326A KR102000093B1 KR 102000093 B1 KR102000093 B1 KR 102000093B1 KR 1020120008326 A KR1020120008326 A KR 1020120008326A KR 20120008326 A KR20120008326 A KR 20120008326A KR 102000093 B1 KR102000093 B1 KR 10200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downlink data
transmission
subfram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212A (ko
Inventor
김윤선
김기일
이주호
이효진
조준영
지형주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093B1/ko
Priority to US14/375,108 priority patent/US10237860B2/en
Priority to PCT/KR2013/000668 priority patent/WO2013112020A1/ko
Publication of KR2013008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7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spreading code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pace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단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노멀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또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DMRS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기지국 각각이 운용하는 안테나가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3GPP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그리고 IEEE의 802.16 등 다양한 이동 통신 표준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히 LTE 시스템은 고속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으로 다양한 무선접속 기술을 활용하여 무선시스템 용량을 최대화한다. LTE-A 시스템은 LTE 시스템의 진보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LTE와 비교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능력을 가지고 있다.
LTE는 일반적으로 3GPP 표준단체의 릴리즈(Release) 8 또는 릴리즈 9에 해당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비를 의미하며, LTE-A는 3GPP 표준단체의 릴리즈 10에 해당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비를 의미한다. 3GPP 표준단체에서는 LTE-A 시스템의 표준화 이후에도 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면서 향상된 성능을 갖는 후속 릴리즈에 대한 표준화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
HSDPA, HSUPA, HRPD, LTE/LTE-A 등의 현존하는 3세대 및 4세대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적응 변조 및 부호(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이하 AMC)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 등의 기술을 이용한다. 상기의 AMC 방법을 활용하면 송신기는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채널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서 수신 오류 확률을 원하는 수준에 맞추고, 채널 상태가 좋으면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늘려서 수신 오류 확률을 원하는 수준에 맞추면서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감응 스케줄링 자원 관리 방법을 활용하면 송신기는 여러 사용자 중에서 채널 상태가 우수한 사용자를 선택적으로 서비스하기 때문에 한 사용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서비스해주는 것에 비해 시스템 용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용량 증가를 소위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Multi-user Diversity) 이득이라 한다. 요컨대 상기의 AMC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기로부터 부분적인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아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시점에 적절한 변조 및 부호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AMC 방법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방식과 함께 사용될 경우 전송되는 신호의 공간 계층(spatial layer)의 개수 또는 랭크(rank)를 결정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AMC 방법은 최적의 데이터율(data rate)을 결정할 때 단순히 부호화율과 변조방식만을 고려하지 않고 MIMO를 이용하여 몇 개의 계층(layer)으로 데이터를 전송할지도 고려하게 된다.
최근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다중 접속 방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차세대 시스템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GPP와 3GPP2는 OFDMA를 사용하는 진화 시스템에 관한 표준화를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OFDMA 방식은 CDMA 방식에 비해 용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OFDMA 방식에서 용량 증대를 낳는 여러 가지 원인 중의 하나는 주파수 축 상에서의 스케줄링(Frequency Domain Scheduling)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채널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에 따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을 통해 용량 이득을 얻었듯이 채널이 주파수에 따라 다른 특성을 활용하면 더 많은 용량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LTE/LTE-A 시스템에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eNB(eNodeB)가 단말에게 전송하는 무선자원은 주파수 축 상에서는 RB(resource block, 101) 단위로 나누어지며 시간 축 상에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 102) 단위로 나누어진다. LTE/LTE-A 시스템에서 RB는 일반적으로 12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이루어지며 180kHz의 대역을 차지하고, subframe은 14개의 OFDM 심볼구간으로 이루어지며 1 msec의 시간구간을 차지한다. LTE/LTE-A 시스템은 스케줄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간 축에서는 subframe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으며 주파수축에서는 RB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2는 LTE/LTE-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로 스케줄링 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인 1 subframe 및 1 RB의 무선자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무선자원은 시간축상에서 한 개의 subframe으로 이루어지며 주파수축상에서 한 개의 R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무선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subcarrier로 이루어지며 시간영역에서 1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져서 총 168개의 고유 주파수 및 시간 위치를 갖는다. LTE/LTE-A 시스템에서는 도 2의 각각의 고유 주파수 및 시간 위치를 RE(resource element)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자원에는 다음과 같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1.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한 개의 cell에 속한 모든 단말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기준신호이며 복수개의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특정 단말을 위하여 전송되는 기준신호이며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만 전송된다. DMRS는 총 8개의 DMRS 포트(port)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LTE/LTE-A 시스템에서는 port 7에서 port 14까지가 DMRS port에 해당하며, port들은 CDM 또는 FDM을 이용하여 서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직교성(orthogonality)을 유지한다.
3.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하며 도 2의 데이터 영역(data region)에서 기준신호(CRS 또는 DMRS)가 전송되지 않는 RE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4. CSI-RS(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한 개의 셀(cell)에 속한 단말들을 위하여 전송되는 기준신호의 채널상태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한 개의 cell에는 복수개의 CSI-RS가 전송될 수 있다.
5. 기타 제어채널(PHICH, PCFICH, PDCCH): 단말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제공하거나 상향링크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HARQ를 운용하기 위한 ACK/NACK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신호 외에 LTE-A 시스템에서는 다른 기지국의 전송하는 CSI-RS가 해당 셀의 단말들에게 간섭 없이 수신될 수 있도록 뮤팅(muting)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muting은 CSI-RS가 전송될 수 있는 위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단말은 muting이 적용된 해당 무선 자원을 건너뛰어 트래픽 신호를 수신한다. LTE-A 시스템에서 muting은 또 다른 용어로 zero-power CSI-RS라고도 하는데, 이는 muting의 특성상 CSI-RS의 위치에 적용되며 해당 위치에서 전송전력이 송신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에서 CSI-RS는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들의 개수에 따라 A, B, C, D, E, E, F, G, H, I, J로 표시된 위치(패턴)의 일부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muting도 A, B, C, D, E, E, F, G, H, I, J로 표시된 위치의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CSI-RS는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포트의 개수에 따라서 2개, 4개, 8개의 RE로 전송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개수가 2개일 경우 도 2에서 하나의 패턴의 절반에서 CSI-RS가 전송되며 안테나 포트 개수가 4개일 경우 하나의 패턴 전체에서 CSI-RS가 전송되고 안테나 포트 개수가 8개일 경우 두 개의 패턴을 이용하여 CSI-RS가 전송된다. 반면 muting의 경우 언제나 한 개의 패턴 단위로 이루어진다. 즉, muting은 복수개의 패턴에 적용될 수는 있지만 CSI-RS와 위치가 겹치지 않는 경우 한 개의 패턴의 일부에만 적용될 수는 없다. 단, CSI-RS의 위치와 muting의 위치가 겹칠 경우에 한해서 muting이 한 개의 패턴의 일부에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준신호(reference signal)를 전송해야 한다. 3GPP의 LTE-A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이 전송하는 CSI-RS를 이용하여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채널 상태는 기본적으로 몇 가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하향링크에서의 간섭량이 포함된다. 상기 하향링크에서의 간섭량은 인접 기지국에 속한 안테나 의하여 발생되는 간섭신호 및 열잡음 등이 포함되며 단말이 하향링크의 채널 상황을 판단하는데 중요하다. 한 예로 송신안테나가 한 개인 기지국에서 수신안테나가 한 개인 단말로 기준신호를 전송할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서 수신된 기준신호에서 하향링크로 수신할 수 있는 심볼당 에너지와 해당 심볼을 수신하는 구간에서 동시에 수신될 간섭량을 판단하여 간섭량에 대한 심볼 에너지의 비율(Es/Io)을 결정해야 한다. 결정된 Es/Io는 기지국으로 통보되어 기지국이 하향링크로 단말에게 어떤 전송속도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각 셀의 중간 지점에 기지국 장비가 배치되며 해당 기지국 장비는 한정된 장소에 위치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한 개의 셀에 속한 안테나들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CAS(Centralized Antenna System: 집중 안테나 시스템)이라고 한다. 반면 한 개의 셀에 속한 안테나(RRH: Remote Radio Head)들이 셀 내의 분산된 위치에 배치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라고 한다.
도 3은 LTE/LTE-A 시스템에서 시간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는 10msec에 해당하는 1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이 전송되고 있다. LTE/LTE-A 시스템에서 한 개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subframe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 개의 무선 프레임을 이루는 subframe들은 노멀(normal) subframe 또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subframe으로 구성된다.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의 차이점은, normal subframe의 경우 데이터 영역에 CRS가 존재하는 반면 MBSFN subframe의 경우 데이터 영역에 CRS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LTE/LTE-A 시스템에서 MBSFN subframe의 경우 릴리즈 10 이후의 단말들만이 DMR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수신을 위한 CRS가 필요 없다. 반면 normal subframe의 경우 릴리즈 10 이후의 단말들뿐만 아니라 릴리즈 8과 릴리즈 9 등의 단말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단말들이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CRS가 전송된다. 한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있는 subframe들 중 어떤 subframe이 normal subframe이고 어떤 subframe이 MBSFN subframe인지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보한다.
도 4는 일반적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분산된 배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두 개의 셀(400과 410)로 이루어진 분산안테나 시스템에 해당한다. 셀(400)은 한 개의 고출력 안테나(420)과 네 개의 저출력 분산 안테나들(440 내지 443)로 이루어진다. 셀(410)도 셀(4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출력 안테나(420)는 셀 영역에 포함되는 전역에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저출력 분산 안테나들(440 내지 443)은 셀 내의 제한된 영역에서 제한된 단말들에게 높은 데이터 속도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출력 분산 안테나들(440 내지 443) 및 고출력 안테나(420)는 430과 같이 모두 중앙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중앙제어기의 스케줄링 및 무선자원 할당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한 개의 지리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위치에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안테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안테나 그룹(RRH group)이라고 한다. 도 4와 같은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단말은 한 개의 지리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그룹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나머지 안테나 그룹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단말에게 간섭으로 작용한다.
도 4와 같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CRS를 전송하는 경우 한 개의 셀에 속한 모든 안테나들이 CRS 전송에 참여한다. 한 개의 셀에 속한 모든 안테나는 CRS를 전송하거나 다른 안테나들이 CRS를 전송하는데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CRS가 전송되는 RE 위치에서 다른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한 개의 셀에 속한 모든 안테나가 CRS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CRS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는 셀에 속한 모든 안테나에서 전송된다. 반면 한 개의 셀에 속한 일부 안테나들만 CRS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CRS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안테나들은 다른 안테나들에서 전송되는 CRS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하여 해당 CRS가 전송되는 RE 위치에서 다른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CRS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는 CRS를 전송하는 안테나들에서만 전송된다.
도 5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CRS를 기반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DMRS를 기반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셀(500)에서는 CRS 기반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셀(510)에서는 DMRS 기반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CRS 기반의 데이터 전송은 셀 내에 속한 모든 안테나들이 특정 단말을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반면 DMRS 기반의 데이터 전송은 셀 내에 속한 안테나 중 일부에서는 특정 단말을 위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지만 특정 단말을 위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나머지 안테나들에서는 다른 단말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셀(500)에서는 셀 내에 속한 모든 안테나들이 UE1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며, 셀(510)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UE3과 UE4에게 각각 DMRS를 할당함으로써 UE3과 UE4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CRS를 기반으로 전송하는 것은 DMRS를 기반으로 전송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CRS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분산안테나 시스템의 모든 안테나들에서 신호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우수한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Normal subframe에서는 CRS가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에 normal subframe에서 DMR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DMRS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할당해야 하는 무선자원이 발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CRS는 셀에 속한 모든 단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통신호이기 때문에 단말별로 다른 CRS를 할당할 수 없다. 즉, CRS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경우 셀 내의 모든 안테나들이 이 단말을 위하여 신호를 전송하거나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의 무선관리 관점에서 CRS를 위한 데이터 전송에 불필요한 무선자원을 할당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LTE/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마다 고유의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상황 및 기지국에 구현된 기능 등을 고려하여 단말별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송 모드를 선택한다. 한 예로 LTE/LTE-A 릴리즈 10에서 지원되는 전송 모드 9는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하향링크 송신을 수행하며 최대 8개의 송신안테나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 모드와 별로도 LTE/LTE-A 시스템에는 폴백 전송(fallback transmission)도 지원한다. 상기 폴백 전송은 채널상태가 좋지 못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한 예로 전송 모드에 따른 하향링크 송신 방법이 단말의 채널상태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폴백 전송을 이용하여 단말의 전송 모드를 보다 적합한 것으로 변경해 준다.
폴백 전송에서는 안정되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선채널의 역동적 변화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를 활용한다. LTE/LTE-A 릴리즈 10에서 CRS가 존재하는 normal subframe에서는 송신 다이버시티 방법의 일종인 SFBC(Space Frequency Block Code)를 활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한다. 단, CRS가 존재하지 않는 MBSFN subframe에서는 DMRS port 7을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한다.
하기의 표 1은 LTE/LTE-A에서 릴리즈 10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는 전송 모드와 폴백 전송을 정리한 것이다.
하향링크 전송 전송 모드 9 폴백 전송
Normal Subframe DMRS 기반 rank 1~ 8을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CRS 기반 SFBC 하향링크 전송
MBSFN Subframe DMRS 기반 rank 1~ 8을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DMRS 기반 port7을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LTE/LTE-A 단말의 전송 모드는 기지국의 판단에 따라 설정되지만 폴백 전송은 기지국이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상기 표 1과 같이 전송된다.
LTE/LTE-A 시스템에서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시 간섭 랜덤화(randomization)를 위하여 DMRS가 스크램블링(scrambling)된다. 상기 DMRS 스크램블링을 위한 시퀀스(sequence)는 시퀀스 생성기(sequence generator)에서 어떤 초기 상태(initial state)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초기 상태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2006944550-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ns는 무선 프레임 내에서 몇 번째 슬롯인지를 나타내는 슬롯 ID이다. LTE/LTE-A 시스템의 경우 한 개의 subframe이 두 개의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Figure 112012006944550-pat00002
는 셀마다 갖는 Cell ID로서 0에서 503까지의 값을 가지며 단말이 셀에 초기 접속(initial access) 또는 핸드오버(handover)시에 해당 셀의 CRS를 수신하면서 획득하는 정보이다. nSCID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ID이며, 폴백 전송을 위한 DMRS의 경우 그 값이 0으로 고정된다.
LTE/LTE-A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폴백 전송이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이를 통보하기 위하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하여 PDCCH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DCI 포맷(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1A에 따른 형식으로 전송된다. 상기 PDCCH는 CRS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채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할 때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단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또는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CRS 또는 DMRS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Enhanced)-PDCCH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기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기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된,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또는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신호생성기와 상기 다중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CRS 또는 DMRS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또는 DMRS중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CRS 또는 DMRS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폴백 전송을 위한 제어정보와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또는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CRS 또는 DMRS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멀 서브프레임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할 때 상황에 따라 CRS 기반 또는 DMRS 기반으로 폴백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양한 무선환경에 적절한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시 이용되는 DMRS의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분산된 안테나의 위치마다 다르게 적용되거나 단말마다 다르게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분산된 위치의 안테나들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되는 간섭을 랜덤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할 때 채널 상황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DMRS 기반으로 폴백 전송을 수행할 때 다이버시티 전송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급변하는 무선채널 환경에서 안정적인 수신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LTE/LTE-A 시스템에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LTE/LTE-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로 스케줄링 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인 1 subframe 및 1 RB의 무선자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LTE/LTE-A 시스템에서 시간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분산된 배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CRS를 기반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DMRS를 기반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하는지 DMRS를 기반으로 하는지를 통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폴백 전송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3GPP EUTRA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는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폴백 전송이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이 normal subframe인지 아니면 MBSFN subframe인지 여부에 따라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 또는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이 이루어진다. 즉, 표 1과 같이 전송 모드는 DMRS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라도 normal subframe에서의 폴백 전송은 무조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이 언제나 CRS를 기반으로 하는 하향링크 전송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의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는 한 개의 셀 내에 속한 모든 안테나의 전송자원을 폴백 전송을 수신하는 단말을 위하여 할당해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는 수신성능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자원 할당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LTE/LTE-A 시스템에서 eNB가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Cell ID에 따라 결정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scrambling sequence)를 이용하여 DMRS를 스크램블링 시킨다. 이와 같은 스크램블링 방법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DMRS를 기반으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경우 한 개의 셀 내에서 복수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안테나들이 배치되는데, 폴백 전송시 Cell ID에 따라 DMRS의 스크램블링이 결정되는 초기 상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스크램블링을 수행할 경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로 다른 안테나들이 각각 다른 단말에게 DMRS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할 때 동일한 초기 상태를 이용하게 된다. 동일한 초기 상태를 이용할 경우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발생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해 서로 간섭이 랜덤화 되지 못하여 성능저하를 초래한다.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간섭에 의한 성능저하는 DMRS를 이용한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 언제나 DMRS port 7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 악화된다. 그런데 다른 전송지점에서 다른 DMRS port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 DMRS가 서로에게 미치는 간섭효과를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의 간섭에 의한 성능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한 폴백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제1 실시예>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시 항상 CRS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이 CRS 또는 DMRS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면 기지국은 상황에 따라 적절히 CRS 또는 DMRS를 이용한 폴백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폴백 전송을 수신해야 하는 단말의 수신성능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는 특정 단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하고 셀 내의 다른 안테나들에서 다른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이 상기와 같이 normal subframe에서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과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에게 이를 통보할 수 있는 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normal subframe에서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과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 중 어느 것이 전송되는지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통신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 방법1>
방법1에서는 폴백 전송이 수행됨을 통보하는 채널이 PDCCH인 경우에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짐을 통보하고, E(Enhanced)-PDCCH인 경우에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짐을 통보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폴백 전송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DCI 포맷 1A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여 통보한다. 상기 DCI 포맷 1A는 PDCCH 또는 E-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PDCCH는 CRS를 기반으로 하여 전송되는 제어채널이고 E-PDCCH는 DMRS를 기반으로 하여 전송되는 제어채널이다.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을 통보하는 DCI 포맷 1A가 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에 단말은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을 통보하는 DCI 포맷 1A가 E-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에 단말은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방법 1과 같이 DCI 포맷 1A가 PDCCH로 전송되었는지 아니면 E-PDCCH로 전송되었는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아니면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통보하는 것은 별도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방법2>
방법2에서는 폴백 전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하는 제어정보 형식인 DCI 포맷 1A에 폴백 전송 방식을 알리기 위한 1비트의 제어정보인 폴백 전송 타입 비트(type bit)를 추가한다.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을 통보하는 DCI 포맷 1A 내의 폴백 전송 type bit가 0일 경우에 단말은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을 통보하는 DCI 포맷 1A 내의 폴백 전송 type bit가 1일 경우에 단말은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방법 2에서는 DCI 포맷 1A내에 폴백 전송 type bit를 추가함으로써 DCI 포맷 1A를 전송하는 채널(PDCCH 또는 E-PDCCH)과 관계 없이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통보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추가적인 1 비트의 제어정보가 필요하지만 기지국 입장에서 PDCCH 또는 E-PDCCH 전송과 관계없이 보다 자유로운 판단을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 1과 방법 2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 방식을 단말에게 통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LTE/LTE-A 시스템에서는 도 6과 같이 PDCCH 또는 E-PDCCH가 PDSCH와 함께 전송된다. 이때 PDCCH 또는 E-PDCCH는 데이터 채널인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단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ubframe(600)에서는 PDCCH 또는 E-PDCCH가 PDSCH와 같이 전송된다. 방법1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할 경우에는 DCI 포맷 1A을 PDCCH로 전송하며,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할 경우에는 DCI 포맷 1A을 E-PDCCH로 전송한다. 또한 방법2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할 경우에는 DCI 포맷 1A에 포함된 폴백 전송 type bit를 '0'으로 설정하여 PDCCH 또는 E-PDCCH로 전송하며,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할 경우에는 DCI 포맷 1A에 포함된 폴백 전송 type bit를 '1'으로 설정하여 PDCCH 또는 E-PDCCH로 전송한다.
도 6에서 600과 같은 normal subframe에서는 기지국이 상기 방법1 또는 방법2에 따라 폴백 전송을 CRS 또는 DMRS로 수행하지만 610과 같은 MBSFN subframe에서는 무조건 DMRS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한다.
<방법3>
상기 방법1과 방법2와 같이 PDCCH 또는 E-PDCCH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이 CRS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아니면 DMRS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지를 통보하는 것 외에 방법 3으로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시그널링을 이용하여 normal subframe에서 CRS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할 지 아니면 DMRS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할 지를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표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전송은 폴백 전송과 전송 모드에 의하여 결정되는 전송이 존재한다. 표 1의 전송 모드 9과 같은 전송 모드는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복수개의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지와 어느 DMRS port를 이용할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반면 폴백 전송의 경우 제어정보에는 복수개의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지시하는 정보와 어느 DMRS port를 이용할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때문에 LTE/LTE-A 릴리즈 10에서는 폴백 전송시 언제나 일정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DMRS port 7이 이용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DMRS를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에는 수학식 1과 같이 Cell ID를 함수로 하는 초기 상태에 의하여 발생되는 시퀀스로 스크램블링 된다.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이와 같이 Cell ID에 따라 달라지는 시퀀스로 스크램블링 되는 경우 분산된 위치의 안테나들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되는 간섭이 랜덤화되지 않고 수신성능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시 이용되는 DMRS의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분산된 안테나의 위치마다 다르게 적용되거나 단말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폴백 전송시 이용되는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 및 DMRS port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방법1>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는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및 DMRS port를 상위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통보한다. 이와 같이 상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것은 별도의 PDCCH 또는 E-PDCCH를 이용한 제어정보의 전달을 필요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백 전송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는 전송 모드에 의하여 결정되는 복수의 초기 상태 중 하나를 지정함으로써 상위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방법 1에 따라 폴백 전송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를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한 한 예이다.
하향링크 전송 설정된 전송 모드에 의한 전송 Normal Subframe에서의 폴백 전송 MBSFN Subframe에서의 폴백 전송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초기 상태 A
초기 상태 B
초기 상태 C
초기 상태 A 초기 상태 B
DMRS Port Port 7~Port 14 Port 7 Port 8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방법1을 적용할 경우 상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각 단말의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서의 폴백 전송시 사용하는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및 DMRS port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서 개별적으로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이유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초기 상태들을 이용함으로써 폴백 전송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선택의 폭을 확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표 2에서 초기 상태 A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송지점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랜덤화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고, 초기 상태 B는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한 개의 전송지점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랜덤화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상기 표 2와 같이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 대해 개별적으로 초기상태를 설정할 경우 기지국이 상황에 맞게 폴백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normal subframe을 위한 DMRS port와 MBSFN subframe을 위한 DMRS port를 개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단말에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MU-MIMO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한 예로 MBSFN subframe에서 한 단말은 DMRS port 7을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신하고 다른 단말은 DMRS port 8을 이용하여 폴백 전송을 수신할 경우 DMRS port 7과 DMRS port 8 사이의 직교성을 유지하여 채널추정 등에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상위 시그널링은 단말마다 개별적으로 전송되는 UE 특정(specifi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방법2>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1에서는 상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를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방법1에서는 폴백 전송을 위한 초기 상태 설정을 위하여 상위 시그널링이 이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위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법2에서는 이와 같은 상위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피하고자 전송 모드에 의하여 결정되는 복수의 초기 상태 중 하나를 사전에 약속된 방법으로 선택하여 이용한다. 즉,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초기 상태 A, 초기 상태 B, 초기 상태 C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 중 각각 한 개를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서의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로 지정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복수개의 초기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초기 상태들의 순서를 고려하여 언제나 제일 먼저 설정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초기 상태들의 값 중 가장 작거나 큰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의 고유 ID인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값을 선택 가능한 초기 상태들의 총 개수로 모듈로(modulo) 연산하여 그 값에 해당되는 초기 상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법 2에서는 폴백 전송에서 이용되는 DMRS port도 별도의 상위 시그널링 없이 기지국이 지원 가능한 복수개의 DMRS port 중 하나를 사전에 약속된 방법으로 선택하여 이용한다. DMRS port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단말의 고유 ID인 RNTI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한 예로 폴백 전송으로 이용되는 DMRS port가 port 7, port 8의 두 가지이면 RNTI 값에 modulo 2 연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가 0일 경우에는 port 7을 이용하고 그 결과가 1일 경우에는 port 8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단말이 측정하는 CSI-RS들의 Cell ID 중 한 개에 modulo 2와 같은 연산을 취하여 그 결과에 따라 DMRS port 7 또는 DMRS port 8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방법3>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1에서는 상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및 DMRS port를 개별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방법2에서는 별도의 상위 시그널링 없이 normal subframe과 MBSFN subframe에서 폴백 전송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및 DMRS port를 사전에 약속된 방법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1과 방법2 외에 방법 3에 따라 PDCCH 또는 E-PDCCH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가지 정보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즉, 방법3에 따르면 기지국은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및 DMRS port에 대한 정보를 폴백 전송을 위한 DCI 포맷 1A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어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PDCCH 또는 E-PDCCH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DCI 포맷 1A에 포함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 및 DMRS port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이 수신할 폴백 전송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폴백 전송을 수행할 경우 기지국이 어떤 방식으로 이를 전송하고 단말은 이를 어떻게 수신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폴백 전송을 특정 단말에게 전송한 후 이를 수신한 단말이 폴백 전송을 제대로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폴백 전송을 수행시 단말의 무선채널 환경이 전송 모드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채널 환경이 열악할 경우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을 수행하는 상향링크의 채널 환경도 열악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폴백 전송시 상향링크의 전송전력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폴백 전송시 상향링크의 전송전력을 정리한 것이다.
하향링크 전송 설정된 전송 모드에 의한 전송 Normal Subframe에서 폴백 전송 MBSFN Subframe에서의 폴백 전송
상향링크
전송전력
Tx Power=Level A
Figure 112012006944550-pat00003
Figure 112012006944550-pat00004
상기 표 3에서 하향링크에서 폴백 전송이 이루어질 경우 이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상기 폴백 전송이 normal subframe에서 이루어졌는지 아니면 MBSFN subframe에서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ACK/NACK 신호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특정 상향링크 전송전력에 상대적인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는 기준이 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설정된 전송 모드에 의한 전송이 이루어질 때 적용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Level A)을 이용한다.
상기 표 3은 특정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기준으로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설정하는 예를 기재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 외에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절대적인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폴백 전송이 이루어질 때 이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전송전력으로 전송한다. 이때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통보되어 설정된다.
상기 표 3과 같은 방법 외에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지국이 폴백 전송을 CRS를 기반으로 하는지 아니면 DMRS를 기반으로 하는지를 기준으로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DMRS를 기반으로 한 폴백 전송일 경우 어떤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한 초기 상태가 이용되었는지에 따라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폴백 전송을 개선시키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DMRS를 기반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LTE/LTE-A 시스템의 경우 다이버시티 전송을 위해서는 SFBC(Space Frequency Block Code)와 같은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 LTE/LTE-A 시스템의 전송 다이버시티는 CRS를 기반으로 하며,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의 경우 rank가 1인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빔포밍은 급변하는 무선채널 환경에서 전송 다이버시티에 비하여 열화된 수신 성능을 제공한다.
전송 다이버시티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RB 내에서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는 전송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전송방식은 CRS가 아닌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DMRS를 기반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전송 방식은 폴백 전송을 복수개의 DMRS port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한 개의 RB 내에서 폴백 전송으로 전송되는 RE들을 복수개의 DMRS port에 각각 할당하며, 한 개의 RB내에서 특정 DMRS port에 할당된 RE들을 해당 DMRS port와 동일한 프리코딩(precoding)으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 기지국은 과정 700에서 어느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 700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단말을 결정한 후 기지국은 과정 710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 중 폴백 전송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710에서 폴백 전송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과정 720과 같이 DCI 포맷 1A가 아닌 설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DCI 포맷으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반면 과정 710에서 폴백 전송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이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과정 730에서 해당 폴백 전송이 MBSFN subframe에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normal subframe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730에서 폴백 전송이 MBSFN subframe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740과 같이 단말에게 DMRS를 기반으로 한 폴백 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은 DCI 포맷 1A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DMRS를 기반으로 폴백 전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은 DMRS 스크램블링을 위한 초기 상태와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에 대한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또한 DMRS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폴백 전송은 상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 730에서 폴백 전송이 normal subframe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750에서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할지 아니면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할 지를 결정한다. 상기 과정 750에서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을 경우 기지국은 과정 760에서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전송하고 단말에게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한다. 또한 기지국은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DMRS 스크램블링을 위한 초기 상태와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에 대한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또한 DMRS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폴백 전송은 상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 750에서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기지국은 과정 770에서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행하고 단말에게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통보한다. 또한 기지국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게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 폴백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의 과정 800에서 단말은 PDCCH/E-PDCCH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이어서 단말은 과정 810에서 상기 과정 800의 PDCCH/E-PDCCH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결과를 바탕으로 하향링크 스케줄링 승인(scheduling grant)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810에서 하향링크 scheduling grant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다음 subframe에서 다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반면 과정 810에서 하향링크 scheduling grant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단말은 과정 820에서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폴백 전송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820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폴백 전송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PDCCH/E-PDCCH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된 DCI 포맷이 DCI 포맷 1A인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단말은 상기 과정 820에서 폴백 전송이 아니라고 판단할 경우 과정 830에서 전송 모드에 의하여 정의된 전송방식에 따라 기지국이 전송한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한다.
상기 과정 820에서 폴백 전송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단말은 폴백 전송을 수신한 subframe이 MBSFN subframe인지 아니면 normal subframe인지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해당 subframe이 MBSFN subframe일 경우 단말은 과정 850과 같이 DMRS를 기반으로 한 폴백 전송을 수신한다. 이때 단말은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DMRS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초기 상태와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DMRS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폴백 전송은 상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해당 subframe이 normal subframe일 경우 단말은 과정 860과 같이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하는지 아니면 CRS를 기반으로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 860의 결과에 따라 폴백 전송이 CRS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은 과정 870에 따라 C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신하며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 상향링크 전송전력 결정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진다. 반면 폴백 전송이 DMRS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은 과정 880에 따라 DMRS를 기반으로 하는 폴백 전송을 수신한다. 이때 단말은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DMRS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초기 상태와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DMRS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폴백 전송은 상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기지국은 제어기(900), PDCCH/E-PDCCH 신호 생성기(910), PDSCH 신호 생성기(920), 다중화기(930) 및 OFDMA 송신기(940)를 포함한다. 제어기(900)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폴백 전송의 전송여부, 폴백 전송의 DMRS 또는 CRS 기반 전송여부를 결정한다. 상기의 결정이 이루어지면 제어기(900)는 PDCCH/E-PDCCH 신호 생성기(910) 및 PDSCH 신호 생성기(920)에서 결정사항에 맞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PDCCH/E-PDCCH 신호 생성기(910) 및 PDSCH 신호 생성기(920)에서 생성된 신호는 제어기(900)의 제어에 따라 다중화기(930)에서 다중화 되고 OFDMA 전송기(940)를 통해 송신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서 단말은 OFDMA 수신기(1000), 역다중화기(1010), PDCCH/E-PDCCH 신호 디코더(1020), 제어기(1030), PDCSH 신호 디코더(1040) 및 전력 제어기(1050)를 포함한다.
OFDMA 수신기(100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OFDMA 수신기(100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는 제어기(1030)의 제어에 따라 역다중화기(1010)에서 PDCCH/E-PDCCH 및 PDSCH 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PDCCH/E-PDCCH 신호 디코더(1020)와 PDSCH 신호 디코더(1040)로 입력되어 디코딩 된다. 또한 제어기(1030)는 PDCCH/E-PDCCH의 전송여부, DCI 포맷 1A의 전송여부, MBSFN 또는 normal subframe의 전송여부, PDCCH/E-PDCCH에 실린 정보 등을 고려하여 폴백 전송을 어떻게 수신할 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PDCCH 신호 디코더(1020)와 PDSCH 신호 디코더(1040)로 통보한다. 또한 PDCCH/E-PDCCH의 전송여부, DCI 포맷 1A의 전송여부, MBSFN 또는 normal subframe의 전송여부, PDCCH/E-PDCCH에 실린 정보, 상위 시그널링에 의하여 설정된 파라미터 등을 고려하여 폴백 전송에 대한 ACK/NACK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ACK/NACK 송신기(1050)로 통보한다.

Claims (4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service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 내의 폴백 전송을 알리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1 채널은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2 채널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 아니면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폴백 전송 타입 비트를 포함함 - ;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도록 구성되는 역다중화기;
    상기 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역다중화된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DM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C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고, 상기 제2 채널은 E-PDCCH(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단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CRS 또는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됨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를 이용하여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ACK/NACK 송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된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상기 ACK/NACK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설정하여 상기 ACK/NACK 송신기로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ACK/NACK 송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수신된 제어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ACK/NACK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설정하여 상기 ACK/NACK 송신기로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DMRS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MBSFN(MultimediaBroadcast multicastservice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 내의 폴백 전송을 알리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1 채널은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2 채널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 아니면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폴백 전송 타입 비트를 포함함 - ;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DM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C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고, 상기 제2 채널은 E-PDCCH(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데이터 수신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CRS 또는 상기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됨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를 이용하여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된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상기 ACK/NACK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수신된 제어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ACK/NACK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설정하여 상기 ACK/NACK 신호의 송신기로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DMRS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MBSFN(MultimediaBroadcast multicastservice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 내의 폴백 전송을 알리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신호 생성기 -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1 채널은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2 채널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 아니면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폴백 전송 타입 비트를 포함함 - ;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신호 생성기;
    상기 제1 신호 생성기 및 상기 제2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를 다중화하도록 구성되는 다중화기;
    상기 다중화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DM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C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고, 상기 제2 채널은 E-PDCCH(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기지국 장치.
  23. 삭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CRS 또는 상기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됨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이용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를 이용하여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기 단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ACK/NACK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된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전송전력으로 상기 ACK/NACK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ACK/NACK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제어정보를 송신한 제어채널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전송전력으로 상기 ACK/NACK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DMRS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MBSFN(MultimediaBroadcast multicastservice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 내의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폴백 전송을 알리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1 채널은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2 채널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 아니면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폴백 전송 타입 비트를 포함함 - ;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DM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CRS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C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그리고 상기 폴백 전송 타입 비트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폴백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DMRS 에 기초하여 송신된다고 결정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DMRS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고, 상기 제2 채널은 E-PDCCH(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데이터 전송 방법.
  33. 삭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CRS 또는 상기 DMRS 중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됨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를 이용하여 상기 DMRS에 대한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기 상태와 포트값을 상기 단말에게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ACK/NACK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된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전송전력으로 상기 ACK/NACK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ACK/NACK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 제어채널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전송전력으로 상기 ACK/NACK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DMRS를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DMRS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20008326A 2012-01-27 2012-0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26A KR102000093B1 (ko) 2012-01-27 2012-0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4/375,108 US10237860B2 (en) 2012-01-27 2013-01-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CT/KR2013/000668 WO2013112020A1 (ko) 2012-01-27 2013-0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26A KR102000093B1 (ko) 2012-01-27 2012-0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212A KR20130087212A (ko) 2013-08-06
KR102000093B1 true KR102000093B1 (ko) 2019-07-15

Family

ID=4887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326A KR102000093B1 (ko) 2012-01-27 2012-0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7860B2 (ko)
KR (1) KR102000093B1 (ko)
WO (1) WO2013112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03B1 (ko) * 2010-04-29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기지국과,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
US10057828B2 (en) * 2014-06-02 2018-08-21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6162874B (zh) * 2015-04-10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信息接收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10999886B2 (en) * 2015-08-10 2021-05-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harmonization between CRS and DM-RS based transmission modes in unlicensed spectrum
US10129770B2 (en) * 2016-04-06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receivers
KR20180068677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970390B2 (en) * 2018-02-15 2021-04-06 Intel Corporation Mechanism to prevent software side channels
US10952196B2 (en) * 2018-02-16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DMRS indication for transmissions scheduled by fallback DCI in NR
US10778293B2 (en) * 2018-02-16 2020-09-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transmit diversity fallback
US20190313370A1 (en) * 2018-04-05 2019-10-10 Qualcomm Incorporated Crs-based unicast pdsch transmission in mbsfn subframes
WO2020235453A1 (ja) * 2019-05-17 2020-11-2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1569B2 (en) * 2009-03-24 2015-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dentifying a MBSFN subframe at a user equipment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26842A1 (en) * 2009-04-27 2010-11-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ference signals for positioning measurements
WO2010131487A1 (ja) * 2009-05-15 2010-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US8260356B2 (en) * 2009-06-18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method used to scramble dedicated reference signals
KR101349840B1 (ko) * 2009-06-22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020062A2 (en) * 2009-08-14 2011-02-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Frame structure and control signaling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KR101641388B1 (ko) * 2009-08-19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의 참조신호 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국
KR101573001B1 (ko) * 2009-08-24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 및 그의 기준 신호 이용 방법
WO2011034317A2 (en) * 2009-09-17 2011-03-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US8923905B2 (en) * 2009-09-30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crambling sequence initializat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s
US8437300B2 (en) * 2009-10-12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multi-layer beamforming
KR101789326B1 (ko) * 2009-10-21 201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496004B1 (en) * 2009-10-27 2016-03-02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ay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re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755365B2 (en) * 2009-11-08 2014-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CSI-RS, and a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the CSI-RS
US8364162B2 (en) 2010-01-14 2013-01-29 Hitachi, Ltd. UE initiated frequency partitioning based CoMP scheme for downlink cellular communications
JP5134635B2 (ja) 2010-01-18 2013-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2514443A (ja) 2010-02-17 2012-06-21 ゼットティーイー(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te−advanceシステムにおけるcsi−rs送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87458B1 (ko) * 2010-02-18 2016-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심볼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253197B1 (ko) * 2010-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참조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JP5411782B2 (ja) * 2010-04-0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873733B1 (ko) * 2010-05-06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80766B2 (en) * 2010-08-16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ing for 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PDCCH)
EP3627749A1 (en) * 2010-09-07 2020-03-25 Sun Patent Trust Transmission / recept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within a first resource region and/or a second resource region
EP2667524A4 (en) * 2011-01-23 2017-10-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by a r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64648B1 (ko) * 2011-01-26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84238B2 (en) * 2011-09-12 2015-07-14 Blackberry Limited Searching space and operation for enhanced PDCCH in LTE systems
US9350510B2 (en) * 2011-09-28 2016-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95355A1 (en) * 2011-12-20 2013-06-27 Intel Corporation Multicast service using unicast subframe
KR102015124B1 (ko) * 2012-01-11 2019-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3316A1 (en) 2015-01-01
WO2013112020A1 (ko) 2013-08-01
KR20130087212A (ko) 2013-08-06
US10237860B2 (en)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09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2423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network supporting coordinated transmission
JP6129374B2 (ja) 複数アンテナをサポート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状態情報参照信号の設定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00045681A1 (en) Enhanced down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lte
US9621242B2 (en) Downlink control signalling for indication of interfering layers
JP674297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5800980B2 (ja) Ofdmaシステムにおけるue特定動的ダウンリンクスケジューラーのシグナリング方法
KR10197766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방법 및 장치
KR102117448B1 (ko) Massive MIMO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0064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状態情報をフィードバック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767997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7056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사용자 다중입력다중출력 전송 방법
WO2012150665A1 (ja) チャネル状態情報通知方法、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498417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120281657A1 (en) Method for downlink multi-antenna multi-base station interference coordination and base station
KR20140001080A (ko) 물리적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맵핑정보 제공방법 및 그 송수신포인트, 물리적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방법, 그 단말
JP2015518305A (ja) 拡張型物理ダウンリンク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サーチスペースの設定方法
KR20120048015A (ko) 조정 멀티포인트 전송을 위한 개선들
KR201200477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감소를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86529B1 (ko) 셀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