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941B1 -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941B1
KR101999941B1 KR1020190020406A KR20190020406A KR101999941B1 KR 101999941 B1 KR101999941 B1 KR 101999941B1 KR 1020190020406 A KR1020190020406 A KR 1020190020406A KR 20190020406 A KR20190020406 A KR 20190020406A KR 101999941 B1 KR101999941 B1 KR 10199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isplay device
fixing
vehic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후
Original Assignee
오병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2541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999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후 filed Critical 오병후
Priority to KR102019002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차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이나 작전의 수행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시야확보가 어려운 차량 즉, 장갑차나 전차(탱크) 등 장갑(裝甲)으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시야를 직접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차량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작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각지대를 없앰으로써 전투능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Description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easy to remove display device of rear camera for an armoured car}
본 발명은 장갑차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이나 작전의 수행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시야확보가 어려운 차량 즉, 장갑차나 전차(탱크) 등 장갑(裝甲)으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시야를 직접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차량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작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각지대를 없앰으로써 전투능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차(裝甲車)는 차체에 강철판을 입힌 전투용 차량을 말하며, 이러한 장갑차는 보병용전투차량과 대전차장갑차가 주된 장갑차이며, 그 밖에는 대공장갑차, 정찰장갑차, 포병사격지휘용 장갑차, 자주박격포, 탄약 운반 및 앰블런스용 장갑차 등이 있다.
이러한 장갑차는 전투 수행중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을 행하게 되어 시야가 매우 좁아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써 차량의 좌우방이나 후방은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도 8은 일반적인 전차의 구성도로써, 총알이나 포탄에 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 차량에 장갑(裝甲)이 장착된 장갑차나 탱크 등은 차량의 구조와 작전수행의 특성상 운전자가 외부시야를 직접 확인하고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외부를 보면서 운전하여야 하고 특히 차량의 측면이나 후방에는 카메라가 없어 장갑차량에 타고 있는 탑승자가 외부시야를 확인하면서 알려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현재 일반적인 승용차와 같은 차량의 경우 운행중 사각지대가 생기고, 이러한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여러가지의 발명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987호에 제안되어 있는 차량 전방향 시야확보시스템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카메라(101)를 사이드 미러(102)에 장착하여 콘트롤러(103)를 통해 360도 회전하여 차량의 전방향 시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카메라를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만으로 차량의 전체 방향의 시야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5055호에 제안되어 있는 차량의 측후방 시야확보를 위한 시스템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강우량을 감지하는 레인센서(rain sensor);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주행속도 또는 상기 레인센서에서 감지된 강우량을 근거로 사이드미러 제어신호 또는 촬영수단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사이드미러 제어신호 수신 시, 측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미러를 감싸는 미러 하우징의 각도를 상기 사이드미러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사이드 미러;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촬영수단 구동신호 수신 시 동작하여, 상기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측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사이드미러의 인위적인 위치변경은 운전자의 시야를 헷갈리게 하여 오히려 안전운전을 방해할 수 있고, 우천시 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영상이 사이드미러를 통해 직접 보는 영상보다 선명도가 뛰어나기가 어려워 그 효과 역시 두드러지지 않을 수 있으며, 장갑차나 탱크 등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장갑차나 탱크에 적용된 시야확보시스템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10-1910767호에 제안된 시야확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시야확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차량에 설치된 시야확보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시야를 확보하며,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좌우측방에 장착되는 카메라(C1, C2, ㆍㆍㆍ, Cn)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수단(10)과,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수단(20)과, 상기 영상촬영수단(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수단(20)으로 보내주기 위한 제어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30)은 디스플레이수단(20)의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여 영상촬영수단(10)에서 감지한 영상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수단(20)으로 보내주며, 상기 영상촬영수단(10)은 차량에 장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1, C2, ㆍㆍㆍ, Cn)와, 상기 카메라(C1, C2, ㆍㆍㆍ, Cn)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전송수단과,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속도와 구동위치에 대한 제어수단(30)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수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C1, C2, ㆍㆍㆍ, Cn)는 차량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시야각이 서로 겹쳐 설치되고, 시야각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고글(G)이 위치되면 고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겹치는 시야각에 위치한 카메라들의 영상이 서로 분할되어 나타나거나, 겹치는 시야각에 위치한 카메라들의 영상이 서로 겹쳐서 나타나되, 겹쳐서 나타날 경우 고글(G)의 위치에 따라 불투명도가 점차 변하며, 상기 제어수단(30)은 영상촬영수단(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수단(20)으로 보내기 위한 영상전송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2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명령을 파악하여 영상촬영수단(10)에 명령을 내리는 명령수단과, 영상촬영수단(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인 시야확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이 제안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 수단의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여 그 위치를 나타냄으로써 고정된 화면을 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9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50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07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이나 작전의 수행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되, 시야확보가 어려운 차량 즉, 장갑차나 전차(탱크) 등 장갑(裝甲)으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시야를 직접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차량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작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각지대를 없앰으로써 전투능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기를 내부고정용 거치대나 외부고정용 거치대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운전 중이나 작전 중 원하는 위치에서 후방카메라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갑차에 설치된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카메라(1)의 촬영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2)와, 상기 디스플레이기(2)를 장갑차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내부고정용 거치대(10)와, 장갑차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고정용 거치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기(2)를 내부고정용 거치대(10)나 외부고정용 거치대(20)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이나 작전의 수행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되, 시야확보가 어려운 차량 즉, 장갑차나 전차(탱크) 등 장갑(裝甲)으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시야를 직접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차량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작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각지대를 없앰으로써 전투능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기를 내부고정용 거치대나 외부고정용 거치대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운전 중이나 작전 중 원하는 위치에서 후방카메라의 영상을 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부고정용 거치대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섹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고정용 거치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고정용 거치대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
도 8은 일반적인 전차의 구성도
본 발명은 장갑차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이나 작전의 수행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시야확보가 어려운 차량 즉, 장갑차나 전차(탱크) 등 장갑(裝甲)으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시야를 직접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차량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작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각지대를 없앰으로써 전투능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부고정용 거치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섹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고정용 거치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고정용 거치대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갑차에 설치된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카메라(1)의 촬영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2)와, 상기 디스플레이기(2)를 장갑차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내부고정용 거치대(10)와, 장갑차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고정용 거치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기(2)를 내부고정용 거치대(10)나 외부고정용 거치대(20)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먼저, 후방카메라(1)는 장갑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나 선탑자가 보기 어려운 쪽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며, 상기 후방카메라(1)에서 촬영한 영상은 유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해 디스플레이기(2)로 전달되어 화면으로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기(2)는 내부고정용 거치대(10)와 외부고정용 거치대(20)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나 선탑자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거치대를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하는 상황에서는 내부고정용 거치대(10)에 디스플레이기(2)를 고정하여 차량의 후방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의 외부로 상체가 나온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에는 외부고정용 거치대(20)에 디스플레이기(2)를 고정하여 후방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고정용 거치대(10)는 장갑차 내부에 설치된 내부브라켓(1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2)과, 상기 고정브라켓(12)을 내부브라켓(11)에 고정하는 고정볼트(13)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2)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기(2)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4)로 결합된 착탈브라켓(3)이 구성되며, 상기 착탈브라켓(3)의 일측에는 네오디뮴 자석(6)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2)과 착탈브라켓(3)은 네오디뮴 자석(6)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먼저, 내부브라켓(11)은 장갑차 내부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브라켓(11)은 냉각수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내부브라켓(11)에는 고정브라켓(12)이 고정 결합된다.
도시된 고정브라켓(12)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평판이 세 번 절곡된 형상 즉, "
Figure 112019018495450-pat00001
" 형상으로써 내부브라켓(11)에 고정볼트(13)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볼트(13)를 내부브라켓(11) 쪽으로 이동시킬수록 더욱 견고한 고정이 되는 방식이며, 이러한 방식 이외에 용접이나 접착테이프 또는 클립 등을 사용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2)에는 착탈브라켓(3)이 착탈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는 착탈브라켓(3)의 일측 즉, 하부에 네오디뮴 자석(6)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네오디뮴 자석(6)은 디스플레이기(2)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크기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자력의 크기는 디스플레이기(2)가 차량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기(2)는 착탈브라켓(3)과 힌지(4)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힌지(4)는 가이드홈(5)을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기(2)를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고정이 됨으로써 운전자에 대한 가시성을 높여주며, 상기 가이드홈(5)은 위로 볼록한 형상의 홈과 아래로 볼록한 형상의 홈 두 개가 상하에 형성되어 있어 힌지(4)의 위치가 임의로 틀어지는 것 즉, 차량의 진동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2)의 일측에는 충격흡수용 스펀지(14)가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장착시나 차량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이 디스플레이기(2)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기(2)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착탈브라켓(3)을 고정브라켓(12)에 안착시킬 때 상기 디스플레이기(2)를 충격흡수용 스펀지(14)에 밀착시킨 다음 네오디뮴 자석(6)으로 고정해주면 차량의 진동이 스펀지(14)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되어 디스플레이기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고정용 거치대(20)는 장갑차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브라켓(21)에 고정되는 가이드브라켓(2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22)을 외부브라켓(2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2)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기(2)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4)로 결합된 착탈브라켓(3)이 구성되며, 상기 착탈브라켓(3)의 일측에는 네오디뮴 자석(6)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22)과 착탈브라켓(3)은 네오디뮴 자석(6)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외부브라켓(21)은 장갑차의 외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별도로 구성하거나 장갑차에 설치되어 있는 잠만경용 브라켓을 이용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는 외부브라켓(21)이 장갑차의 장갑(7, 裝甲)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브라켓(21)에는 가이드브라켓(2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22)에는 디스플레이기(2)와 고정되어 있는 착탈브라켓(3)이 네오디뮴 자석(6)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22)은 판 형상의 하판(22b)과, 상기 하판(22b)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착탈브라켓(3)의 하부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돌기(25)가 형성된 상판(22a)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22a)과 하판(22b) 사이에는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가 구성되어 상기 하판(22b)을 외부브라켓(21)에 형성된 고정홈에 넣고 상기 상판(22a)을 하판(22b)의 상부에 위치시켜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에 의해 서로 고정해주게 된다.
즉, 하판(22b)은 직사각형의 판이며, 상기 하판(22b)의 상부에는 상판(22a)이 설치되는데, 도시된 실시예는 하판(22b)과 상판(22a)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써, 하판(22b)을 외부브라켓(21)의 하부로 위치시키고 상판(22a)을 하판(22b)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판(22a)과 하판(22b)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을 통해 체결볼트(23)를 체결시킨 다음 체결너트(24)로서 견고하게 고정한다.
물론, 외부브라켓(21)에도 상판(22a)과 하판(22b)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나 관통부가 있어야만 체결볼트(23)가 외부브라켓(21)을 관통하여 상판(22a)과 하판(22b)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로써, 상기 가이드돌기(25)의 일측에는 네오디뮴 자석(8)이 설치되어 있어 착탈브라켓(3)에 고정된 네오디뮴 자석(6)과 함께 디스플레이기의 고정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즉, 가이드브라켓(22)의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25)의 일측에 네오디뮴 자석(8)을 추가로 설치하여 착탈브라켓(3)에 고정된 네오디뮴 자석(6)에 의한 고정과 함께 또 다른 고정부재를 추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기(2)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이룰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이나 작전의 수행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되, 시야확보가 어려운 차량 즉, 장갑차나 전차(탱크) 등 장갑(裝甲)으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시야를 직접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차량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기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작전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각지대를 없앰으로써 전투능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기를 내부고정용 거치대나 외부고정용 거치대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운전 중이나 작전 중 원하는 위치에서 후방카메라의 영상을 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후방카메라 2. 디스플레이기 3. 착탈브라켓
4. 힌지 5. 가이드홈 6. 네오디뮴 자석
7. 장갑 8. 네오디뮴 자석
10; 내부고정용 거치대
11. 내부브라켓 12. 고정브라켓 13. 고정볼트
14. 스펀지
20; 외부고정용 거치대
21. 외부브라켓 22. 가이드브라켓 23. 체결볼트
24. 체결너트 25. 가이드돌기

Claims (6)

  1. 장갑차에 설치된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카메라(1)의 촬영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2)와, 상기 디스플레이기(2)를 장갑차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내부고정용 거치대(10)와, 장갑차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고정용 거치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기(2)를 내부고정용 거치대(10)나 외부고정용 거치대(20)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외부고정용 거치대(20)는 장갑차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브라켓(21)에 고정되는 가이드브라켓(2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22)을 외부브라켓(2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2)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기(2)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4)로 결합된 착탈브라켓(3)이 구성되며, 상기 착탈브라켓(3)의 일측에는 네오디뮴 자석(6)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22)과 착탈브라켓(3)은 네오디뮴 자석(6)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브라켓(22)은 판 형상의 하판(22b)과, 상기 하판(22b)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착탈브라켓(3)의 하부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돌기(25)가 형성된 상판(22a)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22a)과 하판(22b) 사이에는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가 구성되어 상기 하판(22b)을 외부브라켓(21)에 형성된 고정홈에 넣고 상기 상판(22a)을 하판(22b)의 상부에 위치시켜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에 의해 서로 고정해주는 것이 특징인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고정용 거치대(10)는 장갑차 내부에 설치된 내부브라켓(1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2)과, 상기 고정브라켓(12)을 내부브라켓(11)에 고정하는 고정볼트(13)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2)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기(2)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4)로 결합된 착탈브라켓(3)이 구성되며, 상기 착탈브라켓(3)의 일측에는 네오디뮴 자석(6)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2)과 착탈브라켓(3)은 네오디뮴 자석(6)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2)의 일측에는 충격흡수용 스펀지(14)가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장착시나 차량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이 디스플레이기(2)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는 것이 특징인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25)의 일측에는 네오디뮴 자석(8)이 설치되어 있어 착탈브라켓(3)에 고정된 네오디뮴 자석(6)과 함께 디스플레이기(2)의 고정력을 배가시키는 것이 특징인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20406A 2019-02-21 2019-02-21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06A KR101999941B1 (ko) 2019-02-21 2019-02-21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06A KR101999941B1 (ko) 2019-02-21 2019-02-21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941B1 true KR101999941B1 (ko) 2019-07-12

Family

ID=672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406A KR101999941B1 (ko) 2019-02-21 2019-02-21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9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99B1 (ko) 2020-11-09 2021-10-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원격 주행/감시 모드의 상황 인식 및 원격 통제 시스템
KR102316196B1 (ko) 2020-11-09 2021-10-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360도 하이브리드형 상황 인식 및 원격 통제 시스템
CN114013384A (zh) * 2022-01-07 2022-02-08 江苏夜视光电科技有限公司 夜视仪用减震型安装支架
US11527736B2 (en) 2020-04-17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87A (ko) 2002-02-02 2003-08-09 민영기 차량 전방향 시야 확보 시스템
WO2008106943A1 (de) * 2007-03-08 2008-09-12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Gepanzertes, insbesondere militärisches fahrzeug
KR20120124299A (ko) * 2011-05-03 2012-11-13 김성곤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KR20140084455A (ko) *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 뒷좌석 승객용 모니터 장착 브래킷 구조
KR20160085055A (ko) 2015-01-07 2016-07-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측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시스템
KR101910767B1 (ko) 2018-04-13 2019-01-04 오병후 시야확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87A (ko) 2002-02-02 2003-08-09 민영기 차량 전방향 시야 확보 시스템
WO2008106943A1 (de) * 2007-03-08 2008-09-12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Gepanzertes, insbesondere militärisches fahrzeug
KR20120124299A (ko) * 2011-05-03 2012-11-13 김성곤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KR20140084455A (ko) *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 뒷좌석 승객용 모니터 장착 브래킷 구조
KR20160085055A (ko) 2015-01-07 2016-07-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측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시스템
KR101910767B1 (ko) 2018-04-13 2019-01-04 오병후 시야확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736B2 (en) 2020-04-17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16199B1 (ko) 2020-11-09 2021-10-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원격 주행/감시 모드의 상황 인식 및 원격 통제 시스템
KR102316196B1 (ko) 2020-11-09 2021-10-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360도 하이브리드형 상황 인식 및 원격 통제 시스템
CN114013384A (zh) * 2022-01-07 2022-02-08 江苏夜视光电科技有限公司 夜视仪用减震型安装支架
CN114013384B (zh) * 2022-01-07 2022-03-25 江苏夜视光电科技有限公司 夜视仪用减震型安装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941B1 (ko) 착탈이 편리한 장갑차용 후방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
CA2482963C (en) Combat vehicle, especially armored vehicles and tanks
US10530973B2 (en) Vision systems using multiple cameras
KR101572896B1 (ko) 전차주변 전장상황인식 시스템
CA2658899C (en) Armoured support vehicle
JPH1163891A (ja) 武器の安定化装置を有する武器の制御システム
EP1527606B1 (en) Viewing system
CA2718150A1 (en) Weapons control systems
CN109774847A (zh) 滑板车
US20190152392A1 (en) Vehicle mounted collision avoidanc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A2795958A1 (en) Vehicle comprising a turret mount, an auxiliary mount, and a viewing device arranged on the auxiliary mount
US20190225152A1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wireless camera antenna and charging topology
US67153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 pursued vehicle
US7283042B1 (en) System for observing the area laterally behind a vehicle
CN113848992B (zh) 一种基于无人机和武装打击机器人的目标检测定位与自动射击系统
JP2004306886A (ja) 車両用監視装置
KR102298623B1 (ko) Hmd를 활용한 전차의 상황인식시스템
US8704891B2 (en) External mounted electro-optic sight for a vehicle
CN108322705A (zh) 基于视角显示的特种车辆舱外观察系统及视频处理方法
JP3057400B2 (ja) コックピット移動式戦闘車両
EP0116159A2 (en) Active defense motor vehicle
JP2011207396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CN111976604A (zh) 一种车顶摄像系统
CN112525005A (zh) 一种智能盾牌
KR102234599B1 (ko) 전차의 360도 상황인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28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729

Effective date: 202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