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430B1 -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430B1
KR101999430B1 KR1020170036997A KR20170036997A KR101999430B1 KR 101999430 B1 KR101999430 B1 KR 101999430B1 KR 1020170036997 A KR1020170036997 A KR 1020170036997A KR 20170036997 A KR20170036997 A KR 20170036997A KR 101999430 B1 KR101999430 B1 KR 10199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power source
field signal
capac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978A (ko
Inventor
최종민
박정호
이승철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430B1/ko
Priority to US15/921,683 priority patent/US20180278295A1/en
Priority to JP2018051895A priority patent/JP6533605B2/ja
Priority to EP18163596.2A priority patent/EP3379208B1/en
Publication of KR2018010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2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04B5/001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4B5/00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자기장을 통해 통신하고, 자기장을 통해 통신한 신호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분석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금속 장비 내부에 배치되어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와, 측정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Magnetic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자기장을 통해 통신하고, 자기장을 통해 통신한 신호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분석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금속 장비의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장비의 외부에 센서를 배치하여 금속 장비 외부의 상태를 감지한 이후에 금속 장비 외부의 상태를 판단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고, 금속 장비 내부에 센서를 배치하더라도 센서의 센싱값을 정확하게 통신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 장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센싱하기 위해서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장비 내부 등의 센싱이 어려운 환경에서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자기장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여 배터리의 교체없이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점검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금속 장비 내부에 배치되어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와, 정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금속 장비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어댑터는,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장 수신부와,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전원을 저장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부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로 공급하여 전원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면, 제어부는 자기장 신호를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하고, 제1 용량은 전원부의 충전이 완료된 용량이다.
또한, 전원부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전원부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는 수신하는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를 충전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어댑터는, 제어부에서 분석한 상기 자기장 신호를 별도의 통신 장비와 통신할 수 있는 자기장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자기장 송신부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기장 신호를 송신한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방법은 센서가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와, 센서가 측정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 및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금속 장비의 내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원부에 충전되는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될 때까지 수신하는 자기장 신호를 전원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또한,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으로 충전이 된 후, 제어부는 수신하는 자기장 신호를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또한,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1 용량 이상이었던 전원부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면, 제어부는 전원부의 전원의 용량이 다시 제1 용량 이상이 되도록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자기장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금속 장비 내부 등의 센싱이 어려운 환경에서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여 배터리의 교체없이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자기장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어댑터(100) 및 센서 유닛(200)을 포함한다. 어댑터(100)는 안테나(110), 자기장 수신부(120), 전원부(130), 자기장 송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센서 유닛(200)은 센서(210) 및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한다.
센서(210)는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에 배치되어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센서(210)는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온도, 압력, 습도, 균열 등의 상태를 측정한다. 여기서, 센서(210)는 온도, 압력, 습도, 균열 등의 각각 검출하도록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0)는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내부에 배치되고, 센서(210)에서 측정한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한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220)는 센서(210)와 별도의 구성으로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220)는 센서(21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220)는 신호 변환부(222) 및 통신부(224)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부(222)는 센서(210)에서 측정한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한다. 통신부(224)는 변환한 자기장 신호를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한다.
안테나(110)는 인터페이스(220)에서 송신한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여, 자기장 수신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220)와 어댑터(100)간의 자기장 통신에 있어서, 인터페이스(220)와 어댑터(100)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하여 최대 전력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20)와 어댑터(100)의 거리 및 위치가 특정 거리 또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정하여 최대 전력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자기장 수신부(120)는 인터페이스(220)에서 송신한 자기장 신호를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50)에서 공급하는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30)는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코일 및 생성된 전류를 저장할 수 있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자기장 신호의 수신에 있어서,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커패시터에 저장한다. 여기서, 커패시터는 전류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으면 커패시터의 저장된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130)는 제어부(150)에서 자기장 신호가 공급되면, 자기장 신호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커패시터에 저장하고, 제어부(150)에서 자기장 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커패시터에 전류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으면, 전원부(150)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자기장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130)에 공급 및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에 기초하여 자기장 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전원부(130)를 모니터링하여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원부(130)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 전원부(130)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될 때까지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130)에 공급한다.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되기 전까지는 자기장 신호의 분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원부(130)는 제어부(150)에서 공급받은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 용량은 전원부(130)의 충전이 완료된 용량일 수 있고, 전원부(130)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자기장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에 충전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되면, 전원부(130)에 자기장 신호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고,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전원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전원부에 저장된 전원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130)로 다시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자기장 신호를 금속 장비의 내부 상태의 분석에는 사용하지 않고, 자기장 신호를 모두 전원부(130)로 공급하여 전원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용량은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이 모두 방전된 용량일 수 있고,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이 모두 방전되지 않더라도 자기장 신호를 분석할 수 없는 정도의 용량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되도록 자기장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되면, 저장된 전원을 사용하여 자기장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면, 제어부(150)는 자기장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전원부(130)에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별도의 전원 장치 없이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자기장 신호의 분석 결과를 자기장 송신부(140)에 제공한다.
자기장 송신부(140)는 제어부(150)에서 자기장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한다. 이때, 자기장 송신부(14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하고, 별도의 통신 장비는 센서 유닛(200)일 수 있고, 센서 유닛(200) 이외의 다른 장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이 힘든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내부와 그 외부 간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별도의 전원 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구성을 간소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성이 간소화됨에 따라, 어댑터(100)는 공간이 협소한 지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자기장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210)는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고, 인터페이스(220)는 센서(210)에서 측정한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인터페이스(220)는 변환한 자기장 신호를 자기장을 통해 자기장 수신부(120)로 송신한다. 이때, 인터페이스(220)는 어댑터(100)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별도의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110)는 인터페이스(220)에서 송신하는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여 자기장 수신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220)와 자기장 수신부(120)간의 자기장 통신에 있어서, 인터페이스(220)와 자기장 수신부(120)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하고, 인터페이스(220)와 자기장 수신부(120)의 거리 및 위치가 특정 거리 또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정하여 최대 전력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어댑터(100)와 센서 유닛(200) 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자기장 통신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210)는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감지한다(S410). 구체적으로, 센서(210)는 금속 장비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균열 정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센서(210)는 금속 장비의 상태뿐만 아니라 지중 시설, 수중 시설의 상태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인터페이스(220)는 센서(210)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자기장 신호를 송신한다(S420). 구체적으로, 신호 변환부(222)는 센서(210)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고, 통신부(224)는 변환된 자기장 신호를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통신부(224)는 자기장을 통해 자기장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자기장 수신부(120)는 인터페이스(220)에서 송신되는 자기장 신호를 수신한다(S430). 여기서, 자기장 수신부(120)는 수신한 자기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이어서, 전원부(130)는 제어부(150)에서 자기장 신호를 공급받아 전원을 생성한다(S440).
구체적으로, 전원부(130)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에 자기장 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전원부(130)는 공급받은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저장한다. 여기서, 전원부(130)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생성된 전류는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기 신호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자기장 신호를 분석한다(S450).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면, 전원부(130)에 자기장 신호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고, 자기장 신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금속 장비 내부의 온도를 판단하여 금속 장비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금속 내부의 압력을 판단하여 금속 장비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제1 용량 이상이었던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면, 전원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다시 제1 용량 이상이 되도록 자기장 신호를 공급한다.
이어서, 자기장 송신부(140)는 제어부(150)에서 분석한 자기장 신호를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한다(S460). 구체적으로, 자기장 송신부(140)는 자기장 신호를 통해 판단한 지중 시설, 수중 시설 및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한다. 이때, 자기장 송신부(14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할 수 있고, 별도의 통신 장비는 센서 유닛(2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자기장을 통해 통신하고, 자기장을 통해 통신한 신호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분석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어댑터
110: 안테나
120: 자기장 수신부
130: 전원부
140: 자기장 송신부
150: 제어부
200: 센서 유닛
210: 센서
220: 인터페이스
222: 신호 변환부
224: 통신부

Claims (12)

  1. 금속 장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
    측정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장 수신부;
    상기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을 저장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상기 전원부로 공급하여 전원을 생성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 용량은 상기 전원부의 충전이 완료된 용량인 자기장 통신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금속 장비 내부에 배치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전원부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수신하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한 상기 자기장 신호를 별도의 통신 장비와 통신할 수 있는 자기장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송신부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장 신호를 송신하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8. 센서가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서가 측정한 감지 신호를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금속 장비의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 및 상기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신호는 어뎁터에 의해 수신되되,
    상기 어뎁터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장 수신부;
    상기 자기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자기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을 저장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장비의 내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을 생성하기 위해서, 전원부에 충전되는 전원의 용량이 제1 용량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의 용량이 상기 제1 용량 이상으로 충전이 된 후, 상기 제어부는 수신하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기장 통신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 이상이었던 상기 전원부에 저장된 전원의 용량이 제2 용량 이하로 감소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의 용량이 다시 상기 제1 용량 이상이 되도록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상기 전원부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장 통신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장비 내부의 상태를 자기장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장 통신 방법.
KR1020170036997A 2017-03-23 2017-03-23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9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97A KR101999430B1 (ko) 2017-03-23 2017-03-23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5/921,683 US20180278295A1 (en) 2017-03-23 2018-03-15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18051895A JP6533605B2 (ja) 2017-03-23 2018-03-20 磁界通信システムおよび磁界通信方法
EP18163596.2A EP3379208B1 (en) 2017-03-23 2018-03-23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97A KR101999430B1 (ko) 2017-03-23 2017-03-23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78A KR20180107978A (ko) 2018-10-04
KR101999430B1 true KR101999430B1 (ko) 2019-07-11

Family

ID=6183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97A KR101999430B1 (ko) 2017-03-23 2017-03-23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78295A1 (ko)
EP (1) EP3379208B1 (ko)
JP (1) JP6533605B2 (ko)
KR (1) KR101999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9583A (zh) * 2020-11-03 2021-04-09 贵州维多源电力科技有限公司 基于电力自动化设备的网络在线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9674A1 (en) * 2005-02-01 2008-07-03 Orestes J Varonis Bearing With Cage-Mounted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697A (ja) * 1994-03-31 1995-10-20 Idec Izumi Corp 非接触交信装置
JP4032703B2 (ja) * 2001-11-01 2008-01-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センサ付軸受装置
JP2005301645A (ja) * 2004-04-12 2005-10-27 Ntn Corp ワイヤレス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レスセンサ付軸受装置
JP5052079B2 (ja) * 2006-09-08 2012-10-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センサ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容器類
US9158290B2 (en) * 2009-12-16 2015-10-13 Robert Bosch Gmbh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rrangement and method
KR101339690B1 (ko) * 2011-12-30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6221711B2 (ja) * 2013-12-11 2017-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US9451339B2 (en) * 2014-01-24 2016-09-20 University Of Dayton Sensor communication system for metal enclos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9674A1 (en) * 2005-02-01 2008-07-03 Orestes J Varonis Bearing With Cage-Mounted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3605B2 (ja) 2019-06-19
EP3379208A1 (en) 2018-09-26
US20180278295A1 (en) 2018-09-27
JP2018160893A (ja) 2018-10-11
EP3379208B1 (en) 2019-11-20
KR20180107978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2427B1 (en) Transceiver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
EP3396807B1 (en) Energy receiver, detection method, power transmission system, detection device, and energy transmitter
EP2602908B1 (en) Detect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detecting method
EP2737331B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a change in object presence in a magnetic field
KR20110110987A (ko)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RU2015107465A (ru) Беспроводная индуктивная передача мощности
RU2742197C1 (ru) Аккумулирующая энергию rfid-схема, rfid-метка с функцией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и способы
KR102154306B1 (ko)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20140015333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for load valu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1999431B1 (ko)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650B1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이물질 감지 방법
KR101999430B1 (ko)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2517A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101999432B1 (ko) 터빈 블레이드의 플러터 측정을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2936A (ko) 정전용량형 센서 디바이스 및 정전용량형 센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N109193974A (zh) 一种优化无线充电稳定性的方法
CN112054604A (zh) 一种距离检测方法及装置
Seren et 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ing for an Untethered Downhole Logging Tool
US20120257473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ystem an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ystem
KR20190042426A (ko)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KR20110125490A (ko) 선박의 상태 측정 시스템, 이것의 감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