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73B1 -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 Google Patents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73B1
KR101999373B1 KR1020170159169A KR20170159169A KR101999373B1 KR 101999373 B1 KR101999373 B1 KR 101999373B1 KR 1020170159169 A KR1020170159169 A KR 1020170159169A KR 20170159169 A KR20170159169 A KR 20170159169A KR 101999373 B1 KR101999373 B1 KR 10199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
image
event
user
ch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1132A (en
Inventor
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북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북스고 filed Critical (주)북스고
Priority to KR102017015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벤트영역을 생성하는 이벤트영역생성부와, 상기 쉐프로부터 요리이미지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리이미지를 상기 이벤트영역에 배치 처리하는 이미지배치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생성모듈;
상기 이벤트영역을 분할 처리한 이벤트구역을 생성하는 이벤트구역설정부와,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퀘스트를 생성하는 퀘스트생성부 및, 각각의 상기 퀘스트마다 하나의 상기 이벤트구역을 일대일 대응 처리하는 이벤트대응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설정모듈;
상기 유저에게 상기 퀘스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부 및,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퀘스트의 종료 시점에 상기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활성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진행모듈;
상기 유저의 퀘스트 수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영역에 표시된 상기 요리이미지가 완전한 시각적 이미지로 완성된 완성도를 파악하는 완성도파악부 및, 상기 완성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상기 유저에게 상품제공을 안내하는 상품제공부를 포함하는 결과파악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vent providing system utilizing the cooking of a ch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uploading and storing a cooking image from the chef;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cooking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event area An event generation module including an image arrangement unit;
An event area setting unit for generating an event area in which the event area is divided, a ques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ques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an ev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one event corresponding to one event area An event setting module including a counterpart;
An event progress module for visually activating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 at the end of the quest by the user;
A completeness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completeness in which the cooked image displayed in the event area is completed with a complete visual image according to a quest of the user; and a produc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roduct to the user, And a result grasp module including a grasp part.

Description

쉐프의 요리 기반 이벤트 제공 시스템{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본 발명은 쉐프의 요리 기반 이벤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쉐프가 만든 요리를 기반으로 설문, 이미지 대조, 요리 모방 등의 퀘스트를 제공하여 각각의 퀘스트 완성에 따라 쉐프의 요리 이미지를 완성해나가며, 해당 요리 이미지의 완성에 따라 유저에게 쉐프의 요리 시식 등의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쉐프의 요리 기반 이벤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based event providing system of a che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quests such as questionnaires, image contrasts, and culinary imitations based on a dish made by a che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f's culinary-based event providing system that allows a chef to provide a product such as a culinary tasting to a user upon completion of the culinary image.

일반적으로 기업은 취급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 촉진, 신상품 홍보 등을 위해 여러 가지 판촉행사나 광고를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판촉행사 및 광고는 기업체가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므로 소비자는 수동적인 입장에 놓이게 되어 소비자의 판촉행사 및 광고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기 마련이다.Generally, companies conduct various promotions and advertisements to promote sales of goods or services to be handled, and to promote new products. However, these promotional events and advertisements are unilaterally provided to consumers so that consumers are placed in a passive position, and consumers' interest in promotional events and advertisements is reduced.

따라서, 이러한 판촉행사나 광고의 진행을 돕고 이를 통한 부가적인 수익의 창출을 위해 판촉행사 및 광고를 대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최근의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들은 사용자가 요청한 동영상을 제공하기 이전에 일정한 시간동안 광고를 시청해야만 요청한 동영상의 청취가 가능한 기능이 개발되었으며, 더 나아가 경품이나 상품 등을 걸고 다양한 광고를 시청하거나 판촉행사와 같은 이벤트에 참여하는 것을 유도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었으나, 사용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기 때문에 참여유도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ccordingly, a variety of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facilitate promotional events and advertisements, and act as promotional events and advertisements in order to generate additional revenue through these activities. For example, recent video streaming companies have developed a feature that allows users to listen to a requested video only after watching the advertise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providing the requested video, and furthermore, And technologies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events such as events have been developed,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induce participation because it is not attractive to users.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188179호 ‘위치정보와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한 보물찾기 게임식 광고/홍보 방법’에서는, 위치정보와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하여 관리서버가 모바일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하고,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찾아내면 관리서버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을 중단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보교환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한 보물찾기 게임식 광고/홍보 방법을 개시하였다.As a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88179 entitled " treasure hunting game advertisement / promotion method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And the management server stops provid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f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foun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a treasure hunt game utilizing such a system / RTI > advertisement / advertisement method.

더불어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홍보 이외에도, 기업 중에서도 식품 관련, 요식 관련 업체에서는 최근 들어 쉐프 마케팅이 대세가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쉐프 마케팅이라 함은 유명한 요리사, 즉 쉐프를 초빙하여 쉐프가 진행하는 쿠킹 클래스, 쉐프가 운영하는 가게 탐방, 혹은 쉐프가 운영하는 가게에 대한 식사권 등을 홍보에 이용함으로써 쉐프의 이미지, 요리, 운영 업장 등을 홍보에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인 것이다. 이는 최근 들어 일어난 쉐프 마케팅 붐에 힘입어 높은 성과를 보이는 홍보 마케팅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promoting these new methods, among companies, food-related and restaurant-related companies have recently become chef marketing. Chef marketing refers to a famous chef, that is, a chef who invites a chef to visit a restaurant operated by a chef, or a dinner ticket for a restaurant operated by a chef, so that the chef's image, It is a way to actively use it for public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ublicity marketing that shows high performance thanks to the recent chef marketing boom.

따라서 쉐프가 만든 요리를 기반으로 설문, 이미지 대조, 요리 모방 등의 퀘스트를 제공하여 각각의 퀘스트 완성에 따라 쉐프의 요리 이미지를 완성해나가며, 해당 요리 이미지의 완성에 따라 유저에게 쉐프의 요리 시식 등의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쉐프 마케팅을 근간으로 기업이나 업장, 특정 서비스에 대한 광고 효과를 높인,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we provide quests such as questionnaires, image contrasts, and imitation of dishes based on the dishes made by the chefs. We finish the cooking image of the chef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ach quest, and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cooking image,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ent providing system that utilizes the chef's cuisine, which promotes the advertising effect on the company, the business, and the specific service based on the chef's marketing.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쉐프가 만든 요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퀘스트를 제공하여 각각의 퀘스트 완성에 따라 쉐프의 요리 이미지를 완성해나가며, 해당 요리 이미지의 완성에 따라 유저에게 쉐프의 요리 시식 등의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쉐프의 요리 기반 이벤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quests based on the dishes made by the chef to complete the cooking image of the chef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ach quest. And to provide a chef's culinary tasting system and other products such as a chef's culinary tasting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쉐프가 제공하는 요리이미지를 유저가 모방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방된 요리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쉐프의 요리와 유저의 요리 간의 플레이팅을 비교할 수 있는 퀘스트를 추가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the ability to imitate an image of a dish provided by a chef, input an image of the imitated dish, and provide a quest to compare the dish between the dish of the chef and the dish of the us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쉐프의 요리와 유저의 요리 간의 플레이팅 비교에 있어 이미지 분석을 도입하여 보다 객관화된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roduce image analysis in comparing chef dishes and user dishes to provide more objective comparative analysi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쉐프의 요리를 보고 일반 유저가 모방요리를 제작하게 한 뒤, 다른 유저로부터 상기 모방요리에 대한 설문을 수행받도록 하여 다수의 유저로부터 평가받은 설문을 기반으로 하는 퀘스트를 더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method and a cooking method which allow a general user to produce an imitation dish by watching a dish of a chef and then perform a questionnaire on the imitation dish from another user, So that i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쉐프의 요리를 보고 일반 유저가 모방요리를 제작하게 한 뒤, 쉐프로부터 해당 모방요리를 평가하도록 하여 쉐프의 평가점수를 퀘스트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general user to produce imitation dishes by viewing a chef's dish and then to evaluate the imitation dishes from the chef so that the chef's evaluation score can be reflected in the quest.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플레이팅 비교, 유저 간 설문, 쉐프의 평가점수 등을 기반으로 하는 각각의 퀘스트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이미지, 즉 쉐프의 요리 이미지가 퀘스트별로 시각화되는 영역 분할 비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 area division ratio in which a product image provided through each quest based on a plating comparison, a questionnaire between users, a score of a chef,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벤트영역을 생성하는 이벤트영역생성부와, 상기 쉐프로부터 요리이미지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리이미지를 상기 이벤트영역에 배치 처리하는 이미지배치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생성모듈; 상기 이벤트영역을 분할 처리한 이벤트구역을 생성하는 이벤트구역설정부와,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퀘스트를 생성하는 퀘스트생성부 및, 각각의 상기 퀘스트마다 하나의 상기 이벤트구역을 일대일 대응 처리하는 이벤트대응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설정모듈; 상기 유저에게 상기 퀘스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부 및,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퀘스트의 종료 시점에 상기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활성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진행모듈; 상기 유저의 퀘스트 수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영역에 표시된 상기 요리이미지가 완전한 시각적 이미지로 완성된 완성도를 파악하는 완성도파악부 및, 상기 완성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상기 유저에게 상품제공을 안내하는 결과파악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vent providing system using cooking of a ch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ent are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event area output to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owned by a user, An event generation module including a database for uploading and storing images and an image arrangement unit for arranging the cooking images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event area; An event area setting unit for generating an event area in which the event area is divided, a ques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ques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an ev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one event corresponding to one event area An event setting module including a counterpart; An event progress module for visually activating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 at the end of the quest by the user; A degree-of-comple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degree of completeness in which the cooking image displayed in the event area is completed with a complete visual image according to a quest of the user;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result of informing the user of product provision to the user, And a module.

나아가, 상기 이벤트설정모듈은, 상기 이벤트영역을 분할 처리하여 복수개의 이벤트구역을 설정하는 이벤트구역설정부와, 각각의 상기 이벤트구역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블라인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처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퀘스트의 종료 시점에 상기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의 블라인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vent set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vent zone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event zones by dividing the event zone, and a blind unit for blind processing each of the event zones, The blinds of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 are released at the end of the quest by the player.

더하여, 상기 퀘스트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퀘스트마다 하나의 상기 요리이미지를 퀘스트이미지로서 대응 처리한 플레이팅 퀘스트를 생성하는 이미지퀘스트생성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퀘스트제공부는, 상기 유저에게 플레이팅 퀘스트를 제공하는 이미지퀘스트수행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진행모듈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퀘스트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한 요리에 대한 모방이미지를 입력받는 모방이미지입력부와, 상기 퀘스트이미지와 상기 모방이미지를 비교 처리하여 수치화된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처리부는, 산출된 상기 유사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플레이팅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을 활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quest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quest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plating quest in which one of the cooking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quests is processed as a quest image, and the quest providing unit transmits, to the user, Wherein the event progress module includes an imitatio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itation image of a dish based on the quest image from the user, and an imitatio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imitation image, Wherein the activity processing unit further activates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plating quest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degree of similarity.

본 발명에 따른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은,The event providing system utilizing the cooking of a ch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쉐프가 만든 요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퀘스트를 제공하여 각각의 퀘스트 완성에 따라 쉐프의 요리 이미지를 완성해나가며, 해당 요리 이미지의 완성에 따라 유저에게 쉐프의 요리 시식 등의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쉐프의 요리 기반 이벤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며,1) Provide various quests based on the chef's dishes to complete the image of the chef's cooking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ach quest. Provide users with chef's cooking and other products according to completion of the cooking image Provides a chef's culinary-based event delivery system,

2) 쉐프가 제공하는 요리이미지를 유저가 모방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방된 요리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쉐프의 요리와 유저의 요리 간의 플레이팅을 비교할 수 있는 퀘스트를 추가 제공하고,2) The user can imitate the image of the dish provided by the chef, input the image of the imitated dish, and provide a quest to compare the dish between the dish of the chef and the dish of the user,

3) 쉐프의 요리와 유저의 요리 간의 플레이팅 비교에 있어 이미지 분석을 도입하여 보다 객관화된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3) By introducing image analysis to compare the chef 's dish with the user' s dish,

4), 쉐프의 요리를 보고 일반 유저가 모방요리를 제작하게 한 뒤, 다른 유저로부터 상기 모방요리에 대한 설문을 수행받도록 하여 다수의 유저로부터 평가받은 설문을 기반으로 하는 퀘스트를 더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4) It is possible to allow the general user to produce the imitation dish by watching the chef's dish, and then to conduct the questionnaire on the imitation dish from another user so that the user can further carry out the quest based on the questionnaire However,

5) 쉐프의 요리를 보고 일반 유저가 모방요리를 제작하게 한 뒤, 쉐프로부터 해당 모방요리를 평가하도록 하여 쉐프의 평가점수를 퀘스트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5) After seeing the chef's dish, the general user made the imitation dish, then evaluated the imitation dish from the chef so that the chef's score could be reflected in the quest,

6) 플레이팅 비교, 유저 간 설문, 쉐프의 평가점수 등을 기반으로 하는 각각의 퀘스트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이미지, 즉 쉐프의 요리 이미지가 퀘스트별로 시각화되는 영역 분할 비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6) It is made possible to set the area division ratio in which the image of the product provided through the respective quests based on the plating comparison, the inter-user questionnaire, and the evaluation score of the chef, that is, the cooking image of the chef is visualized for each quest.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영역과 이벤트구역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vent area and an event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쉐프(30)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10)은, 쉐프(30)와, 유저(20), 그리고 쉐프(30)와 유저(20) 사이의 이벤트를 중개하는 메인서버(40)로 이루어진다.1, an event providing system 10 using cooking of a chef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hef 30, a user 20, and a chef 30 and a user 20 And a main server 40 for mediating an event of the event.

쉐프(30)(chef)는 식당의 주방장, 즉 요리사를 의미하는 말이며, 본 발명에서는 해당 쉐프(30)가 만드는 요리에 대한 제목과 그에 대한 제작영상, 제작된 요리이미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퀘스트를 유저(20)가 수행토록 하여 이벤트를 제공한다. 더불어 유저(20)가 이러한 퀘스트를 완전히 수행하는 경우, 쉐프(30)의 요리를 직접 시식할 수 있는 기회, 혹은 쉐프(30)가 진행하는 쿠킹 클래스, 혹은 쉐프(30)가 운영하는 가게의 식사권과 같은 상품을 유저(20)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이벤트에 대한 유저(20)의 참여도를 높이며, 해당 참여에 의해 특정 기업이나 서비스 등을 홍보하는 경우 그 홍보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hef 30 means a chef or a chef of a restaurant.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quests based on the title of a dish made by the chef 30, a production image thereof, So that the user 20 performs the event and provides the event. In addition, when the user 20 completely performs such a quest, there is an opportunity to directly taste the dish of the chef 30 or a cooking class in which the chef 30 proceed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 20 in the event and to enhance the publicity in the case of promoting a specific company or service by participating in the event.

이 때 유저(20)라 함은 일반적으로 이벤트에 참가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쉐프(30)의 요리 기반 이벤트가 특정 서비스나 기업에 대한 홍보나 마케팅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 해당 홍보 / 마케팅의 대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유저(20)는 시스템(10)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퀘스트를 수행하고, 퀘스트에 따라 이벤트를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여 퀘스트를 모두 수행할 시 상술한 상품을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20 generally refers to an object participating in an event. When the cuisine-based event of the chef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publicity or marketing for a particular service or company,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object of marketing. The user 20 can perform various quests provided through the system 10, visually activate the events according to the quests, and receive the above-mentioned commodities when performing all the quests.

메인서버(40)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이 진행되도록 하는 주체로서, 쉐프(30)로부터 요리에 대한 제작영상, 요리이미지 등을 제공받아 이를 유저(20)에게 제공한다던가, 퀘스트를 프로그램화 하여 유저(2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저(20)와 쉐프(30)가 한 자리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메인서버(40)의 중개를 통해 이벤트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상에서도 본 발명의 이벤트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ain server 40 is a main body for proceeding the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40 is provided with a production image, a cooking image, and the like from the chef 3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2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20. Therefore, even if the user 20 and the chef 30 are not located at one place, the event can proceed through intermediation of the main server 40, so that the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여기서 시스템(10)은 유저(20)가 보유한 단말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한 퀘스트 제공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유저(20)로부터 테이크아웃 주문기능(당일 혹은 전일 주문예약), 실시간 자리 예약, 케이터링 서비스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저(20)가 회원가입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입 이벤트를 진행하는 데에도 상기한 퀘스트가 활용될 수도 있는 것이며 더욱이 별도의 팝업창과 같은 시각적인 이벤트 효과를 통해 메뉴홍보나 업장 홍보가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system 10 performs the above-mentioned quest through an application driven by a terminal held by the user 20. Her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a takeout order function (order reservation for the same day or previous day), a real time The user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a seat reservation, a catering service and the like, and the above-mentioned quest may be utilized to proceed with a subscription event in which the user 20 can induce membership through an application. Further, ,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publicize the menu or publicity through the visual event effect.

추가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은 유저(20)에게 혜택(할인, 무료제공 등)을 주는 이벤트나 SNS등과 연계하여 고객을 통한 홍보 수행 시 할인권을 제공하는 이벤트, 다운 받은 유저(20) 중 일부를 추첨하여 초청행사(쿠킹클래스, 무료식사초대 등)를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n event providing a discount coupon when promoting through a customer in connection with an event or SNS giving a benefit (discount, free provision, etc.) to the user 20 downloaded the application, and a part of the downloaded user 20 It is also possible to invite invitations (cooking class, free meal invitation, etc.).

나아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장 내에서 유저(20)가 직접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하는 주문수단 대용으로서도 활용 가능하며,(이를 위해 유저(20)의 회원가입 정보 및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유저(20)와 유저(20)가 위치한 좌석이나 테이블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 매장 내 포스와의 연동 등 매장 연동기능구성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매장 연동기능구성을 더욱 심화하는 경우 조리과정이나 쉐프와의 대면이 가능한 채널로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substitute for an ordering method in which the user 20 directly orders an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user 20 can access the membership information of the user 20 and the user 20, The function of recognizing the seat or the table in which the store is located, and the function of interlocking with the POS in the store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eepening the function of the store interlocking function, As a possible channel,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for various applications of such an applic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쉐프(30)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는 기본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urther, the basic configur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event providing system 10 utilizing the cooking of the chef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영역(50)과 이벤트구역(51)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vent area 50 and an event area 5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쉐프(30)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이벤트생성모듈(100)과, 이벤트설정모듈(200), 이벤트진행모듈(300), 결과파악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and 3, the event providing system 10 utilizing the cooking of the chef 3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event generating module 100, an event setting module 200, A module 300, and a result recognition module 400.

이벤트생성모듈(100)은 유저(20)가 실제로 이벤트를 수행함에 따라 시각적으로 이벤트 진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유저(20)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유저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벤트영역(50)을 생성하고, 상기 쉐프(30)로부터 상기 쉐프(30)가 만든 요리를 촬영한 사진인 요리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이벤트영역(50)에 배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이벤트영역생성부(110)와 데이터베이스(120), 이미지배치부(130)를 포함한다.The event generation module 100 generates an event area 50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wned by the user 20 so that the user 20 can visually recognize the event progression as the user 20 actually performs the event ), And receives a cooking image, which is a photograph of a dish made by the chef (30), from the chef (30) and arranges it in the event area (50) A database 110, a database 120, and an image arrangement unit 130.

이벤트영역생성부(110)는 스마트폰과 같이 유저(20)가 소지한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벤트영역(50)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 때 이벤트영역(50)이라 함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웹페이지에 구비되어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벤트영역(50)의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이벤트영역(50)이라 함은 일종의 쿠폰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영역(50)을 형성한다는 것은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쿠폰의 영역을 생성하는 것과 같다.The event area generating unit 110 generates an event area 50 such as a smart phone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a terminal held by the user 20. The event area 50 may be a specific application or a web page And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event area 5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area 50 may also mean a kind of coupon. Thus, forming the event area 50 is equivalent to creating a coupon area to be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쉐프(30)로부터 쉐프(30)가 직접 만든 요리에 대한 요리이미지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요리이미지라 함은 쉐프(30)가 만든 음식의 플레이팅(plating)이 잘 보일 수 있는 이미지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플레이팅이 이루어진 접시와, 접시 위에 올려진 요리의 담음새가 완전히 보일 수 있는 사진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의 이벤트영역(50) 예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쉐프(30)는 이러한 요리이미지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데이터베이스(120)에 업로드하는 것이며, 다양한 상품이 제공될 수 있고 다양한 퀘스트가 제공될 수 있는 만큼 복수개의 요리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업로드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database 120 functions to upload and store a cooking image of a dish made by the chef 30 directly from the chef 30, and the cooking image refers to the image of the food made by the chef 30 It is based on the image that plating can be seen well. That is to say, it is based on a plate that has been plated, and a photograph that shows the fullness of the dishes on the plate. This can be confirmed by way of example of the event area 50 of FIG. The chef 30 uploads such a cooking image to at least one database 120 and uploads a plurality of cooking images to the database 120 as various products can be provided and various quests can be provided Of course it is possible.

이미지배치부(13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요리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이벤트영역(50)에 배치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벤트영역(50)을 꽉 채우도록 요리이미지를 배치 처리한다. 즉 하나의 이벤트영역(50)에는 하나의 요리이미지가 배치 처리되는 것이며, 후술하겠지만 유저(20)는 퀘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하나의 요리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전부 활성화하여 완성해나간다고 할 수 있다.The image arrangement unit 130 arranges any one of the cooking images stored in the database 120 in the event area 50 and arranges the cooking image so as to fill the event area 50 as shown in FIG. . That is, one cooking image is arranged in one event area 5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20 visually activates one cooking image and completes the cooking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quest.

이벤트설정모듈(200)은 이벤트영역(50)을 복수개의 이벤트구역(51)으로 분할 처리하고 각각의 이벤트구역(51)마다 퀘스트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이벤트구역설정부(210)와, 퀘스트생성부(220) 및, 이벤트대응부(230)를 포함한다.The event setting module 200 divides the event area 50 into a plurality of event areas 51 and assigns a quest to each event area 51. For this purpose, ), A quest generator 220, and an event counter 230.

이벤트구역설정부(210)는 상기 이벤트영역(50)을 분할 처리하여 복수개의 이벤트구역(51)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 때 분할의 예시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분할 방식이나 개수, 각각의 이벤트구역(51)으로 분할되는 면적 등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이벤트영역(50)이 모두 동일한 면적을 갖는 이벤트구역(51)으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혹은 다양한 면적을 갖는, 즉 각각의 이벤트구역(51)의 면적이 모두 다르나 이것들이 합쳐져 하나의 이벤트영역(50)을 형성하는 형태 역시 가능하다.The event area setting unit 210 divides the event area 50 to generate a plurality of event areas 51. An example of the event area is shown in FIG. 3, The area to be divided into the event area 51 is not limited. Therefore, as shown in FIG. 3, one event area 50 may be divided into event areas 51 having the same area, or may have different areas, that is, areas of the event areas 51 are all different, So that a single event area 50 can be formed.

퀘스트생성부(220)는 유저(20)에게 제공될 실제 이벤트인 퀘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퀘스트라 함은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쉐프(30)의 플레이팅 따라하기, 쉐프(30)의 요리 제작영상을 보고 쉐프(30)의 요리를 따라하여 유저(20) 간 평가하기, 혹은 쉐프(30)의 요리 제작영상을 확인하고 쉐프(30)의 요리를 따라한 다음 해당 요리를 쉐프(30)로부터 직접 평가받기, 쉐프(30)에게 직접 요리 배우기 등 다양한 방식의 퀘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쉐프(30)가 제공하는 요리 제작영상 및 요리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온, 오프라인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이 퀘스트로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generates a quest, which is an actual ev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20, and the quest is performed by following the playing of the chef 30 as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can view the cooking image of the chef 30 and follow the cooking of the chef 30 to evaluate the user 20 or check the cooking image of the chef 30 and follow the cooking of the chef 30 Various kinds of quests can be performed such as directly receiving the evaluation of the dish from the chef 30 and learning the dish directly to the chef 3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on-line or off-line by using the cooking image and the cooking image provided by the chef 30 can be generated as a quest.

이벤트대응부(230)는 각각의 상기 퀘스트를 이벤트구역(51)에 대응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 때 하나의 퀘스트는 하나의 이벤트구역(51)에 대응 처리된다. 즉, 퀘스트와 일대일 구역이 일대일 대응, 즉 매칭 처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이벤트구역(51)을 선택한다면 특정 퀘스트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고, 혹은 특정 퀘스트를 수행한다면 대응된 특정 이벤트구역(51)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다.The event counter 230 processes each of the quests in the event area 51. At this time, one quest is processed in one event area 51. [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quest and the one-to-one zone correspond to one-to-one correspondence. Therefore, if a specific event area 51 is selected, a specific quest can be displayed, or if a specific quest is performed, the corresponding specific event area 51 can be activated.

이벤트진행모듈(300)은 유저(20)에게 실제로 퀘스트를 제공하고 퀘스트를 수행토록 한 다음, 퀘스트 수행에 따라 해당 퀘스트에 대응된 이벤트구역(51)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퀘스트제공부(310)와 활성처리부(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저(20)가 여러 개의 퀘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이벤트구역(51)이 시각적으로 점차 활성 처리되어 이벤트영역(50)에 배치된 요리이미지를 완성해나가는 형태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The event progress module 300 actually provides the user with the quest and executes the quest, and visually activates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quest in accordance with the execution of the quest. For this purpose, (310) and an activation processing unit (320). Accordingly, as the user 20 performs a plurality of quests, the event area 51 is visually and gradually activated to complete a cooking image disposed in the event area 50. [

퀘스트제공부(310)는 상술한 퀘스트생성부(220)를 통해 생성된 퀘스트를 유저(20)에게 실제로 안내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퀘스트 수행을 유저(20)에게 안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혹은 온라인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유저단말과 연동하여 유저(20)가 퀘스트를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혹은 유저(20)가 유저단말을 통해 이벤트구역(5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 다음, 선택된 이벤트구역(51)에 대응 처리된 퀘스트를 유저(20)에게 안내함으로써 유저(20)가 퀘스트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quest providing unit 310 functions to actually guide and provide the user 20 with the quest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quest generating unit 220. This allows the user to perform the quest execution through the offline activity to the user 20 Or may guide the user 20 to perform the quest in cooperation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an online web site or an application. Or allowing the user 20 to select one of the event areas 51 via the user terminal and then guiding the user 20 to a ques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vent area 51, .

활성처리부(320)는 유저(20)에 의한 퀘스트 종료 시점, 즉 퀘스트 수행 완료에 따라 해당 퀘스트에 대응된 이벤트구역(51)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3의 예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퀘스트 종료 시점이라고 함은 유저(20)가 제공받은 퀘스트를 완료했다는 것을 파악하는 시점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특정한 결과물(이미지, 동영상) 등을 제출하거나, 혹은 관리자가 직접 유저(20)의 퀘스트 수행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여 퀘스트 종료 시점을 파악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퀘스트 종료 판단 시 해당 퀘스트에 대응된 이벤트구역(51)이 활성 처리되는데, 이 때 활성 처리라 함은 도 3의 예에서도 나타날 수 있듯이 해당 퀘스트에 해당하는 이벤트구역(51)의 요리이미지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당 이벤트구역(51)을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ctivation processing unit 320 visually activates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quest according to the end time of the quest by the user 20, that is, completion of the quest, which can also be confirmed in the example of FIG. At this time, the termination time of the quest is a point of time when the user 20 is notified that the user 20 has completed the quest. In this case, a specific result (image, video) Or to determine when the quest ends. In this case,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quest is actively processed.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active process is a process of displaying the cooking image portion of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quest A method of highlighting the event area 51, or the like.

결과파악모듈(400)은 상기 유저(20)의 퀘스트 수행 완성도를 파악하고, 수행 완성도에 따라 유저(20)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완성도파악부(410)와 상품제공부(420)를 포함한다.The result grasping module 400 grasps the quest completion level of the user 20 and provides the product to the user 20 according to the perfection level. (420).

완성도파악부(410)는 상기 유저(20)의 퀘스트 수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영역(50)에 표시된 상기 요리이미지의 완성도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 때 완성도라 함은 상기 요리이미지가 완전한 시각적 이미지로 얼마나 완성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의 예시에서 확인하는 경우, 4개로 분할된 이벤트구역(51) 중 하나의 이벤트구역(51) (왼쪽 상단)만 활성 처리되어 있으므로, 해당 이벤트영역(50)의 요리이미지 완성도는 25%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mpleteness determination unit 410 determines the completeness of the cooked image displayed in the event area 50 according to the quest execution of the user 20. The completion of the cooked image means that the cooked image is a complete visual image It is to grasp whether it is completed. 3, since only one event area 51 (upper left) of the event area 51 divided into four is active, the cooked image completeness of the event area 50 is 25% It can be said that.

상품제공부(420)는 완성도의 고저에 따라 유저(20)에게 상품제공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완전한 요리이미지를 완성함에 따라, 즉 완성도 100%를 달성함에 따라 유저(20)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상품 제공의 기준에 있어서는 완성도가 굳이 100%일 필요는 없으며, 이는 시스템(10) 또는 관리자, 쉐프(30) 등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상품은 바람직하게는 해당하는 이벤트영역(50)에 배치 처리된 요리이미지에 대한 실제 식사권 일 수 있다. 즉, 해당 요리이미지와 동일한 요리에 대한 식사권 등을 상품으로써 제공하여, 실제 쉐프(30)의 요리를 맛볼 수 있도록 상품으로써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roduct supplier 420 guides the user 20 to provide produc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product. Generally, the user completes the complete cooking image, that is,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degree of completeness is 100% in terms of the standard of providing goods, and thi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system 10, the manager, the chef 30, and the like. The commodity provided at this time may preferably be the actual commodity ticket for the cooking imag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event area 50.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meal coupons and the like for the same dish as the corresponding cooking image as a product so as to taste the dish of the actual chef 30.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2,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쉐프(30)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는 세부 구성 및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event providing system 10 utilizing the cooking of the chef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FIG. 2 and FIG.

먼저 상기 이벤트설정모듈(200)은 이벤트구역(51)을 생성하고 해당 이벤트구역(51)과 퀘스트를 일대일 대응 처리하며, 활성처리부(320)는 퀘스트 수행에 따라 대응된 이벤트구역(51)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데, 이에 대한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event setting module 200 generates an event area 51, and processes the event area 51 and the quest one-to-one correspondence. The activity processing part 320 visualizes the corresponding event area 51 as a visual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이를 위해서는 이벤트설정모듈(200)에 블라인드부(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블라인드부(240)는 생성된 이벤트구역(51) 전체를 블라인드 처리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이벤트구역(51)이 블라인드 처리됨으로써 유저(20)는 유저단말을 통해서도 이벤트영역(50)에 배치된 요리이미지를 확인하지 못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the event setting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blind part 240. [ The blind part 240 blinds the generated event area 51 so that each event area 51 is blind processed so that the user 20 can view the cooking image .

그러나 이러한 경우 유저(20)가 점차적으로 퀘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퀘스트 종료 시점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활성처리부(320)가 해당 퀘스트와 대응된 이벤트구역(51)의 블라인드 처리를 해제하여 이벤트구역(51)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유저(20)는 해당 이벤트구역(51)에 배치된 요리이미지의 일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퀘스트를 여러 번 진행함에 따라 이벤트영역(50)에 배치된 요리이미지를 점차적으로 완성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however, when the user 20 gradually performs the que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d of the quest is finished, the active processing unit 320 releases the blind processing of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quest, Is visually activat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user 20 can visually confirm a part of the cooking image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event area 51. As the user proceeds the quest several times, the cooking image disposed in the event area 50 is gradually It is possible to complete it.

다음으로 본 발명의 퀘스트생성부(220)를 통해 생성될 수 있는 퀘스트의 실시예들을 하나씩 설명하도록 하겠다.Next, embodiments of a quest that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quest creator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e by one.

첫째로,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요리이미지를 확인하고 실제로 유저(20)가 쉐프(30)의 플레이팅을 따라하도록 하는 플레이팅퀘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유저(20)가 수행토록 할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can check the cooking image and actually create a playing quest that allows the user 20 to follow the chef 30's plating, thereby allowing the user 20 to perform .

이를 위해 상기 퀘스트생성부(220)는 이미지퀘스트생성파트(2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미지퀘스트생성파트(221)는 하나의 퀘스트에 하나의 요리이미지를 퀘스트이미지로 대응 처리하여 이를 플레이팅 퀘스트로서 생성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퀘스트라 함은 하나의 플레이팅 퀘스트가 되는 것인데, 플레이팅 퀘스트에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요리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퀘스트이미지로서 대응 처리되는 것이다. 이 때 플레이팅 퀘스트는 이벤트구역(51) 중 어느 하나와 대응 처리된다.For this,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may include an image quest generating part 221. The image quest generating part 221 may process one image of a cooking image as a quest image in one quest, . That is, one quest in this embodiment is one plating quest. In the plating quest, any one of cooking images stored in the database 120 is processed as a quest image. At this time, the plating quest is processed in correspondence with any one of the event areas 51.

이 경우 퀘스트제공부(310)는 이미지퀘스트수행파트(311)를 통해 유저(20)에게 플레이팅 퀘스트를 제공하는 것인데, 플레이팅 퀘스트를 제공한다는 것은 결국 플레이팅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퀘스트이미지를 유저(20)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퀘스트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퀘스트 수행을 유저(20)에게 알리고, 이것이 플레이팅 퀘스트임을 다시 알리며, 그 후 유저단말에 퀘스트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을 통해 퀘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fferer 310 provides a playing quest to the user 20 through the image quest performing part 311. Providing the playing quest means that the que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quest is eventually sent to the user 20 (20). 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quest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quest through the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20 of the execution of the quest, informing that it is the plating quest, and then outputting the quest image to the user terminal .

이와 같은 플레이팅 퀘스트가 유저(20)에게 제공되면 유저(20)는 퀘스트이미지를 파악하고 실제로 요리를 따라하거나, 혹은 요리를 하지 않더라도 비슷한 재료로 플레이팅을 따라하여 퀘스트이미지를 따라한 요리를 제작하게 된다.When such a plating quest is provided to the user 20, the user 20 grasps the quest image and follows the cooking image or follows a batting with a similar material to prepare a dish according to the quest image .

따라서 이벤트진행모듈(300)은 유저(20)가 실제로 퀘스트이미지를 따라한 요리를 실제로 제작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모방이미지입력부(330)를 포함하여 퀘스트이미지를 따라하여 제작한 요리를 촬영한 모방이미지를 입력받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인 유저단말을 통해 유저(20)가 실제로 제작한 요리를 촬영하여 모방이미지로써 입력하게 한다. 이 때 모방이미지는 그 구도가 퀘스트이미지와 동일해야 하며, 모방이미지입력부(330)는 퀘스트이미지의 구도를 파악하고 동일한 구도가 나올 때까지 모방이미지의 반복 촬영을 요청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event progress module 300 confirms whether the user 20 has actually produced a dish based on the image of the quest image. For this purpose, the user of the event progress module 300 photographs the dish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quest image including the imitation image input unit 330 The imitation image is input. This allows the user 20 to take a picture of a dish actually produced by the user 20 through a user terminal, which is a smart phone, and input it as a mimic image. At this time, the imitation image must have the same composition as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input unit 330 can grasp the composition of the quest image and request repeated imitation of the imitation image until the same composition is obtained.

또한 이벤트진행모듈(300)은 유사도산출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실제로 퀘스트이미지와 모방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수치화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90%. 유사도 70% 등으로 얼마나 유사하게 유저(20)가 쉐프(30)의 플레이팅을 따라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때 만약 유사도가 100%인 경우, 퀘스트트이미지를 그대로 입력한 것이라 가정하고 모방이미지의 재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현실적으로 100% 유사한 플레이팅 모방은 불가능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vent progress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40, and the similarity may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query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For example, 90% similarity. The degree of similarity is 70%, and the like, to evaluate how the user 20 has followed the plating of the chef 30. However, in this case, if the similarity is 100%, it may be requested to re-input the imitation image, assuming that the quest image is input as it is. (In reality, it is assumed that imitating 100% similar plating is impossible.)

따라서 이와 같이 유사도가 산출되면 실제로 유저(20)가 플레이팅 퀘스트를 수행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활성처리부(320)는 산출된 유사도의 고저에 따라 제공된 플레이팅 퀘스트와 대응 처리된 이벤트구역(51)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유사도 기준이 10% 인 경우, 유사도 10% 이상이 충족되기만 해도 플레이팅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이벤트구역(51)이 활성 처리되는데, 만약 유사도 기준이 70% 인 경우 퀘스트이미지와 70% 이상 유사한 모방이미지를 입력해야만 플레이팅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이벤트구역(51)이 활성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similarity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20 has actually performed the plating quest, and accordingly, the activity processing unit 3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aying query provided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similarity, (51) can be visually activated. In this case, if the degree of similarity is 10%, even if the degree of similarity of 10% or more is satisfied,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plating quest is actively processed. If the degree of similarity is 70% The imitation image may be input so that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plating quest is activated.

이 때 상술한 구성에서의 핵심은 바로 유사도산출부(340)라 할 수 있다. 퀘스트이미지와 유저(20)가 입력한 모방이미지를 실제로 비교 처리하고 수치화된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 유사도산출부(340)의 구성인데, 바람직하게 상기 유사도산출부(340)는 외곽선검출파트(341), 객체인식파트(342), 기본비교파트(343), 폐곡선검출파트(344), 색상검출파트, 추가비교파트(345), 최종비교파트(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ey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the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40. The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40 preferably includes an outline detecting unit 341 and a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40. The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40 calculates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input by the user 20, An object recognition part 342, a basic comparison part 343, a closed curve detection part 344, a color detection part, an additional comparison part 345 and a final comparison part 346.

외곽선검출파트(341)는 상기 퀘스트이미지와 상기 모방이미지 각각으로부터 에지(edge)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로부터 외곽선을 각각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곽선은 각각의 퀘스트이미지와 모방이미지 내에서 곡선을 나타내는 점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라 함은 특정 객체를 촬영한 것이므로 여러 가지 객체나 그림자 등의 외곽선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외곽선을 획득하는 외곽선 검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객체 인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outline detection part 341 detects an edge from each of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and acquires an outline from the detected edge. Where the outline includes a list of points representing the curves in each quest image and imitation image. In general, an image is an image of a specific object. Therefore, the object includes various outlines such as an object or a shadow. By repeatedly detecting the outline to acquire the outline, the efficiency of object recognition can be improved.

객체인식파트(342)는 검출된 상기 외곽선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퀘스트이미지로부터 기준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모방이미지로부터 모방객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검출된 외곽선을 포함하는 영역을 다수개로 설정한 뒤, 해당 영역 내에서 외곽선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경우 객체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제외할 수도 있다. 그 후 외곽선 중 폐곡선을 이루는 것은 완성된 특정 객체인 것으로 간주한 뒤, 이를 인식 처리하여 객체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퀘스트이미지로부터 인식된 객체는 비교의 기준인 기준객체가 되며, 모방이미지로부터 인식된 개체는 비교의 대상인 모방객체가 된다.The object recognizing part 342 recognizes the reference object from the quest image based on the detected outline and recognizes the imitation object from the imitation image. To this end, the object recognizing part 342 recognizes an area including the detected outline If the outline is too large or too small in the area after setting it as a number, it may be regarded as an object and excluded. After that, a closed curve of the outline is regarded as a completed specific object, and it can be recognized as an object by recognition processing. At this time, the object recognized from the quest image becomes the reference object which is the reference of comparison, and the object recognized from the imitation image becomes the imitation object to be compared.

기본비교파트(343)는 기준객체와 모방객체를 비교 처리하여 수치화된 기본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 때 기준객체와 모방객체의 비교 처리라 함은 외곽선으로부터 인식된 객체의 형태를 비교 처리하는 것이다. 즉, 외곽선 내에 포함된 색상보다는 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와 객체의 크기 등을 비교 처리하여 기본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며, 이 때 기본유사도는 상술한 것처럼 % 단위로 나타날 수 있다.The basic comparison part 343 compares the reference object with the imitation object to calculate the numerical basic similarity. The comparison processing of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imitation object at this time is to compare the shape of the recognized object from the outline . That is, the basic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 the image with the size of the object, rather than the colors included in the outline, and the basic similarity may be expressed in units of% as described above.

폐곡선검출파트(344)는 인식된 기준객체 및 모방객체 내에 더 포함된 폐곡선을 검출해내는 것으로서, 기준객체 및 모방객체의 인식은 큰 외곽선만을 인식한 것이었다면, 폐곡선 검출을 통해 기준객체와 모방객체 내에 포함된 세밀한 세부객체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외관이나 형상이 폐곡선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착안한 것이다.The closed curve detection part 344 detects a closed curve further included in the recognized reference object and the imitation object. If the recognition of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imitation object is only recognition of a large outline, To identify the fine detail objects contained within.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general appearance and shape are composed of closed curves.

색상검출파트는 검출된 각각의 폐곡선에 대해 색상을 검출, 인식하여 검출색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폐곡선 영역에 대해 색상을 검출해내어 이를 검출색상으로 지정한다. 따라서 각각의 폐곡선 내에서의 색상 분포 등을 이를 통해 판단해낼 수 있다.The color detection part detects and recognizes hues for each closed curve detected, and designates the detected hue as a detected color, and detects a color for each closed curve area to designate it as a detection color. Therefore, the color distribution in each closed curv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is.

추가비교파트(345)는 기준객체와 모방객체 각각으로부터 검출된 폐곡선 및 폐곡선 내에 분포된 검출색상을 상호 비교 처리하여 세부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는 큰 아웃라인이라 할 수 있는 기준객체 / 모방객체 내에 포함된 세밀한 폐곡선의 형상 및, 각각의 폐곡선 형상 내에서 검출된 검출색상을 쌍방 비교하여 큰 객체 내에서의 세부객체 분포와 각각의 세부객체의 색상을 비교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부유사도는 세부객체 분포와 세부객체 색상 비교에 따른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며, 이러한 세부유사도 역시 70%, 80% 등 % 단위로 도출될 수 있다.The additional comparison part 345 compares the detection colors distributed in the closed curve and the closed curve detected from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imitation object to calculate the detailed similarity, The shape of the detailed closed curve and the detected color detected in each closed curve shap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ompare the detail object distribution within the large object with the color of each detailed object. Therefore, the degree of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according to the detailed object distribution and the detailed object color comparison,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can also be derived in units of 70%, 80%, and so on.

최종비교파트(346)는 상기 기본유사도와 상기 세부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퀘스트이미지와 상기 모방이미지에 대한 수치화된 최종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객체의 아웃라인을 비교한 기본유사도에 세부객체 분포와 세부객체에 포함된 색상을 비교 처리한 세부유사도를 반영하여 최종적인 유사도인 최종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 때 최종유사도 역시 % 단위로 산출될 수 있다.The final comparison part 346 calculates a numerical final similarity value of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based on the basic similarity and the detailed similarity, The final similarity which is the final similarity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similarity degree obtained by comparing the colors included in the object. At this time, the final similarity can also be calculated in units of%.

이와 같은 유사도 산출 방식을 통해 보다 정밀화된 플레이팅 퀘스트에서의 퀘스트이미지와 모방이미지 간의 비교 처리 및 그를 통한 수치화된 유사도 산출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산출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이벤트구역(51)의 활성 처리 여부가 제어되어 유저(20)가 이벤트영역(50)을 완성해나갈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similarity calcul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mparison process between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in a more precise plating quest, and to calculate the similarity calculated numerically through the comparison process. Further, based on the calculated similarity, So that the user 20 can complete the event area 50.

두 번째로 설명할 수 있는 퀘스트 실시예에 대해 지금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두 번째 퀘스트 실시예는 설문 퀘스트로서, 쉐프(30)로부터 제공받은 요리이미지와 해당 요리이미지의 제목, 제작영상을 유저(20)에게 제공한 뒤 실제로 유저(20)가 그 요리를 모방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플레이팅만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요리 전반을 따라하여 비슷한 맛을 낼 수 있느냐를 평가하는 것인데, 이 때 평가의 주체는 다른 유저(20)가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다른 유저(20)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이 요리가 실제로 맛이 있는지, 플레이팅이 보기 좋은지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퀘스트는 설문퀘스트라 할 수 있다.A second example of a quest that can be explained is now described. The second quest embodiment is a question quest in which the user 20 is provided with a cooking image provided from the chef 30, a title and a production image of the cooking image, and then the user 20 imitates the cooking . This is not merely mimicking the plate, but actually assessing whether or not it can produce a similar taste according to the overall cooking, in which case the subject of evaluation can be another user 20. In other words, a questionnaire about a plurality of other users 20 allows the user to evaluate whether the dish is actually delicious, whether the dish is good to look at. Therefore, the quest at this time is a question quest.

이를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120)는 쉐프(30)로부터 요리이미지 뿐 아니라 해당 요리이미지에 대한 제작영상, 즉 촬영된 요리이미지를 실제로 제작할 때, 즉 요리를 직접 하는 과정을 촬영한 제작영상과 해당 요리의 제목을 더 입력받아 저장해야 함은 물론이다.In order to do this, the database 120 first acquires not only a cooking image but also a production image of the cooking image, that is, a captured cooking image from the chef 30, that is, Of course, you need to enter and save more titles.

더불어 퀘스트생성부(220)는 설문퀘스트생성파트(222)를 통해 하나의 상기 요리제목 및 그에 대응된 제작영상을 하나의 상기 설문퀘스트로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설문퀘스트라 함은 특정 요리제목과 그를 제작하는 제작영상이라 할 수 있으며, 설문퀘스트 역시 특정 이벤트구역(51)과 대응 처리된다.In addition, the quest creator 220 can designate one cook title and a corresponding production image as one question quest through the question quest creation part 222. That is, one question quest may be a specific cooking title and a production image for producing the question, and the question quest is also proces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pecific event area 51.

퀘스트제공부(310)는 더 포함될 수 있는 설문퀘스트수행파트(312)를 통해 유저(20)에게 설문퀘스트를 제공하는데, 이 때 설문퀘스트의 제공이라 함은 요리제목과 그 요리에 대한 제작영상을 유저(20)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저(20)는 요리제목과 제작영상을 기반으로 실제로 요리를 따라하여 모방요리를 제작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방요리는 다수의 다른 유저(20)에 의해 설문을 기반으로 평가된다.The quest provider 310 provides a questionnaire query to the user 20 through a question quest execution part 312 tha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case, the provision of the question quest query includes providing a cook title and a production image for the dish To the user 20. Therefore, the user 20 actually produces dishes based on the cooking title and the produced images, and the imitation dishes are evalua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s by a number of other users 20.

따라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이벤트진행모듈(300)은 상기 유저(20)가 상기 제작영상을 따라 제작한 모방요리에 대해 다른 상기 유저(20)로부터 설문을 수행하여 설문값을 입력받는 설문수행부(350)와 입력받은 상기 설문값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는 결과도출부(360)를 더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다른 유저(20)로부터 모방요리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활성처리부(320)는 상기 결과값의 고저에 따라 상기 설문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51)을 활성 처리하게 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perform the evaluation, the event progress module 300 may include a questionnaire execution unit for performing a questionnaire from another user 20 on the imitation food produced by the user 20 according to the production image, And the result extracting unit 360 for extracting a result value of the input questionnaire value from the plurality of other users 20, and the activation processing unit 320 can receive the evaluation value The event area 51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quest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이 때 설문의 내용은 ‘이 모방요리의 플레이팅은 어떤가요’ ‘이 모방요리의 맛은 어떤가요’ 등의 문항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플레이팅과 맛 등은 주관적인 가치이므로 객관식보다는 주관식 답안을 통해 다른 유저(20)들이 해당 모방요리를 설문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an be composed of questions such as "How is the plate of this imitation dish", "How is the taste of this imitation dish", etc. At this time, since plating and taste are subjective values, So that the other users 20 can evaluate the imitation dishes through questionnair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쉐프(30)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vent providing system 10 utilizing the cooking of the chef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시스템 20 : 유저
30 : 쉐프 40 : 메인서버
50 : 이벤트영역 51 : 이벤트구역
100 : 이벤트생성모듈 110 : 이벤트영역생성부
120 : 데이터베이스 130 : 이미지배치부
200 : 이벤트설정모듈 210 : 이벤트구역설정부
220 : 퀘스트생성부 221 : 이미지퀘스트생성파트
222 : 설문퀘스트생성파트 223 : 모방퀘스트생성파트
230 : 이벤트대응부 240 : 블라인드부
300 : 이벤트진행모듈 310 : 퀘스트제공부
311 : 이미지퀘스트수행파트 312 : 설문퀘스트수행파트
313 : 모방퀘스트수행파트 320 : 활성처리부
330 : 모방이미지입력부 340 : 유사도산출부
341 : 외곽선검출파트 342 : 객체인식파트
343 : 기본비교파트 344 : 폐곡선검출파트
345 : 추가비교파트 346 : 최종비교파트
350 : 설문수행부 360 : 결과도출부
370 : 평가점수입력부 400 : 결과파악모듈
410 : 완성도파악부 420 : 상품제공부
500 : 분할제어모듈 510 : 과거평가점수파악부
520 : 과거결과값파악부 530 : 할당비율조절부
540 : 과거유사도파악부
10: System 20: User
30: Chef 40: Main server
50: Event area 51: Event area
100: Event generation module 110: Event area generation unit
120: database 130: image arrangement unit
200: Event setting module 210: Event area setting part
220: Quest Generation Unit 221: Image Quest Generation Part
222: Create question quests Part 223: Create imitation quests
230: Event counterpart 240: Blind part
300: Event progress module 310:
311: Performing an image quest part 312: Performing a question quest part
313: Executing the imitation quest part 320:
330: imitation image input unit 340:
341: Outline detection part 342: Object recognition part
343: Basic comparison part 344: closed curve detection part
345: Additional comparison part 346: Final comparison part
350: Survey performing part 360: Result deriving part
370: score input unit 400: result recognition module
410: Completion determination section 420:
500: Split control module 510: past evaluation score determination unit
520: past result value determination unit 530: assignment ratio adjustment unit
540: past similarity determination unit

Claims (13)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으로서,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벤트영역을 생성하는 이벤트영역생성부와, 상기 쉐프로부터 요리이미지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리이미지를 상기 이벤트영역에 배치 처리하는 이미지배치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생성모듈;
상기 이벤트영역을 분할 처리한 이벤트구역을 생성하는 이벤트구역설정부와,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퀘스트를 생성하는 퀘스트생성부 및, 각각의 상기 퀘스트마다 하나의 상기 이벤트구역을 일대일 대응 처리하는 이벤트대응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설정모듈;
상기 유저에게 상기 퀘스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부 및,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퀘스트의 종료 시점에 상기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활성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진행모듈;
상기 유저의 퀘스트 수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영역에 표시된 상기 요리이미지가 완전한 시각적 이미지로 완성된 완성도를 파악하는 완성도파악부 및, 상기 완성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상품제공을 안내하는 상품제공부를 포함하는 결과파악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쉐프로부터 상기 요리이미지에 대한 제작영상 및 요리제목을 입력받고,
상기 퀘스트생성부는,
하나의 상기 요리제목 및 그에 대응된 제작영상을 하나의 설문퀘스트로 지정하는 설문퀘스트생성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퀘스트제공부는,
상기 유저에게 상기 설문퀘스트를 제공하는 설문퀘스트수행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진행모듈은,
상기 유저가 상기 제작영상을 따라 제작한 모방요리에 대해 다른 상기 유저로부터 설문을 수행하여 설문값을 입력받는 설문수행부 및, 입력받은 상기 설문값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는 결과도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처리부는,
상기 결과값의 고저에 따라 상기 설문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을 활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As an event providing system utilizing chef's cooking,
A database for uploading and storing a cooking image from the chef;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cooking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event area An event generation module including an image arrangement unit;
An event area setting unit for generating an event area in which the event area is divided, a ques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ques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an ev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one event corresponding to one event area An event setting module including a counterpart;
An event progress module for visually activating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 at the end of the quest by the user;
A completeness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completeness in which the cooking image displayed in the event area is completed with a complete visual image according to a quest of the user; and a product providing unit for guiding product provis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tion A result acquisition module,
The database includes:
Receiving a production image and a cooking title for the cooking image from the chef,
The above-
And a question quest creation part for designating one cook title and a corresponding production image as one question quest,
The quest provider,
And a question execution part for providing the questionnaire quest to the user,
The event progress module includes:
And a result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result value of the inputted questionnaire value, wherein the questionnaire result is obtained by performing a questionnaire from another user on the imitation food produc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image,
The active process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event processing unit activates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qu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설정모듈은,
각각의 상기 이벤트구역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블라인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처리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퀘스트의 종료 시점에 상기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의 블라인드를 해제하여 상기 이벤트구역을 시각적으로 활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vent setting modul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blind part for blind processing each of said event areas,
The active process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event area is visually activated by releasing the blinds of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 at the end of the quest by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퀘스트마다 하나의 상기 요리이미지를 퀘스트이미지로서 대응 처리한 플레이팅 퀘스트를 생성하는 이미지퀘스트생성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퀘스트제공부는,
상기 유저에게 플레이팅 퀘스트를 제공하는 이미지퀘스트수행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진행모듈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퀘스트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한 요리에 대한 모방이미지를 입력받는 모방이미지입력부와,
상기 퀘스트이미지와 상기 모방이미지를 비교 처리하여 수치화된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처리부는,
산출된 상기 유사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플레이팅 퀘스트에 대응 처리된 상기 이벤트구역을 활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Further comprising an image quest generating part for generating a plating quest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ooking images as a quest image for each of the quests,
The quest provider,
Further comprising an image quest performing part for providing the player with a plating quest,
The event progress module includes:
An imitatio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itation image of a dish prepared based on the quest image from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similarity calculating unit for comparing the quest image with the imitation image to calculate a numerical similarity,
The active processing unit includes:
And activating the ev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plating ques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egree of similarit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산출부는,
상기 퀘스트이미지와 상기 모방이미지 각각으로부터 에지(edge)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로부터 외곽선을 각각 획득하는 외곽선검출파트 및,
검출된 상기 외곽선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퀘스트이미지로부터 기준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모방이미지로부터 모방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파트 및,
상기 기준객체와 상기 모방객체를 비교 처리하여 기본유사도를 산출하는 기본비교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milarity-
An outline detection part for detecting an edge from each of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and acquiring an outline from the detected edge,
An object recognition part for recognizing a reference object from the quest image based on the detected outline and recognizing an imitation object from the imitation image,
Further comprising a basic comparison part for comparing the reference object with the imitation object and calculating a basic similarit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산출부는,
상기 기준객체 및 상기 모방객체 내에 포함된 폐곡선을 검출하는 폐곡선검출파트와,
검출된 상기 폐곡선 내에서 색상을 검출하여 검출색상으로 지정하는 색상검출파트 및,
상기 기준객체 및 상기 모방객체로부터 각각 검출된 상기 폐곡선 및 상기 검출색상을 비교 처리하여 세부유사도를 산출하는 추가비교파트와,
상기 기본유사도와 상기 세부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퀘스트이미지와 상기 모방이미지에 대한 수치화된 최종유사도를 산출하는 최종비교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프의 요리를 활용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milarity-
A closed curve detection part for detecting a closed curve included in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imitation object,
A color detection part for detecting a color in the closed curve and designating the color as a detection color,
An additional comparison part for comparing the closed curve detected from each of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imitation object and the detected color to calculate a detailed similarity,
Further comprising a final comparison part for calculating a numerical final similarity of the quest image and the imitation image based on the basic similarity and the detailed similar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9169A 2017-11-27 2017-11-27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KR101999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69A KR101999373B1 (en) 2017-11-27 2017-11-27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69A KR101999373B1 (en) 2017-11-27 2017-11-27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32A KR20190061132A (en) 2019-06-05
KR101999373B1 true KR101999373B1 (en) 2019-07-11

Family

ID=6684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69A KR101999373B1 (en) 2017-11-27 2017-11-27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83B1 (en) * 2019-07-16 2021-06-07 조강훈 Franchise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32B1 (en) * 2016-07-19 2017-01-18 주식회사 중원게임즈 System for Providing Event of Distribution Cyber Game Mone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191A (en)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손노리 Apparatus and method for issuing quest
KR20140035712A (en) * 2012-09-14 2014-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of object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32B1 (en) * 2016-07-19 2017-01-18 주식회사 중원게임즈 System for Providing Event of Distribution Cyber Game Mon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32A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tzer Explorations in the sociology of consumption: Fast food, credit cards and casinos
Leidner Fast food, fast talk: Service work and the routinization of everyday life
Burke Virtual reality for marketing research
KR102293257B1 (en)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Mort Paths to mass consumption: Britain and the USA since 1945
Svejenova et al. Creative entrepreneurs
US20130046620A1 (en) Fast and Versatile Graphical Scoring Device and Method, and of Providing Advertising Based Thereon
KR101999373B1 (en) An Ev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Chef’s Dish
Brooks Marketing with strategic empathy: inspiring strategy with deeper consumer insight
Tabrani et al. The marketing concept in Islamic perspective: a literature review
US20210201547A1 (en) Display of related objects in compartmentalized virtual display units
Evangelista Artificial intelligence in fashion: how consumers and the fashion system are being impacted by AI-powered technologies
Malinowska et al.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catering services in the opinion of consumers and catering staff
Nebioğlu et al. How Is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Performed in a Fast-Casual Restaurant?
Harrington Chef as CEO: An analogy and teaching tool
Seyitoğlu A Conceptual Study on Menu Planning and The Selection of Menu Items
Beksh Business plan for an anime-themed café
Yip et al. The Effect of a Restaurant’s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Repurchase Behaviour: A Case Study of An Upscale Restaurant
Bui Standardization versus Adaptation Strategy in International Marketing Mix–The case of KFC in Vietnamese market
Caldito et al. The Impact of Brand Equity of Korean Barbeque Restaurants on Purchase Decision among Generation-Z in Metro Manila
Ilina Algorithm for developing a marketing strategy in the B2C market on the example of a national Russian brand
PATYAL IKEA EFFECT: CREATING CUSTOMER VALUE THROUGH CUSTOMER ENGAGEMENT
Burke Virtual Reality for Shopper Research
MA Retailtainment, digitalization, and sportization. How sports and health retail can be changed by digital apps
Bouanga ANALYSING MARKETING MIX STRATEG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FOR THE AFRICAN LOINCLOTH PATTERNS INTEGRATION: CASE OF AFRICAN STUDENTS IN KYRENIA, NORTHERN CYP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