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69B1 -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 Google Patents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69B1
KR101999369B1 KR1020180156311A KR20180156311A KR101999369B1 KR 101999369 B1 KR101999369 B1 KR 101999369B1 KR 1020180156311 A KR1020180156311 A KR 1020180156311A KR 20180156311 A KR20180156311 A KR 20180156311A KR 101999369 B1 KR101999369 B1 KR 101999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edal member
cart
pivo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류경호
Original Assignee
(주)진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진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5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braking on the running surface, e.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배송 작업시 상품을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로서, 표시부와 측정부가 구비되고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의 바닥에 설치된 복수의 이동휠;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이동휠 중 적어도 2개의 이동휠에 동시에 접지되어 상기 이동휠의 이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Cart with wheel lock}
본 발명은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다양한 물건을 옮기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분야에 상용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점포로 납입되는 수주 상품은 상품의 집배송 기지인 배송센터에서 차량 운동수단 등에 의해 배송이 이루어진다. 이때 배송되는 상품은 각 상품의 벤더 또는 생산자에 의해 정리되어 물류 배송센터에 입고되며, 상기 물류 배송센터에서는 각 점포마다 주문에 따라 많은 종류의 상품을 납입처의 각 점포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벤더로부터 배송센터(물류 센터)에 납입된 상품은 재고용과 통과용으로 나누어지고, 이 중 재고용 상품은 재고 저장 장소에 보관된다. 이때 보관은 예를 들면 입체 자동 창고 또는 포크리프트 격납식 팰릿 랙이 사용된다. 이때 랙 선반에 격납된 팰릿 상의 상품 등의 피킹(PICKING)은 작업자가 출하 정보에 근거하여 꺼내지고, 피킹용 컨베이어에 적재하여 출하된다. 여기서 출하 정보라 함은 다수의 점포로부터의 상품을 주문받아 지역별이나 상점별로 출하하는 출하 지시서를 의미한다. 즉 여기서 출하 지시서는 배송지별 피킹 리스트이다.
이때 화장품 등과 같은 상품은 각 점포로부터 수주되는 양이 박스(카톤) 또는 팰릿 단위가 아니라 피스 단위와 같이 단품형태로 되는 경우가 거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의 상품을 다수의 수주 점포로 배송하는 화장품과 같은 상품은 통상적으로 피킹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피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점별로 주문받은 다품종 소량 상품을 물류 배송 센터 내에서 피킹한 후 배송하기 위해서는 물류 배송 센터의 해당 장소별 랙의 카톤박스에 적재된 해당 상품을 정확하게 피킹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품종 소량의 상품을 전문적으로 배송하는 물류배송 센터는 출지 작업 지시서를 피킹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하면서 수동으로 해당 배송지의 랙에 적재된 카톤박스에서 해당 상품을 피킹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상품을 전문적으로 배송하는 물류 배송 센터에는 피킹과 배송지별로 피킹된 상품이 정확한지를 검사하는 검품 공정이 복잡하여 물류비용이 증가되고, 배송지연등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다품종 상품들을 지정된 구역에 분류하는데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는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이동휠에 의해 이동하면서도 분류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작업시에는 경우에 따라 이동휠을 고정하여 피킹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는 이동휠을 고정하는 장치(브레이크 장치)의 조작부재가 카트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특히 다수의 이동휠을 개별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치의 경우에는 카트가 일측으로 유동되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에는 카트 본체를 들어 올려 고정시키는 플로어 락(FLOOR LOCK)을 적용한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플로어 락은 짐이 적재된 중량의 카트를 들어올리는데 큰 힘이 필요하므로 조작성이 떨어지며, 위치 고정시 중량의 카트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이 플로어 락 자체에 큰하중이 작용함으로써 내구성이 떨어짐은 물론이고,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횡하중에도 취약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89653호(공개일 2009년 8월 24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킹작업시 카트 본체가 횡하중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피킹작업을 보장할 수 있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류 배송 작업시 상품을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로서, 표시부와 측정부가 구비되고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의 바닥에 설치된 복수의 이동휠;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이동휠 중 적어도 2개의 이동휠에 동시에 접지되어 상기 이동휠의 이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가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부재, 상기 브라켓 부재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주 페달부재, 상기 브라켓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페달부재와 연결되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이동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부재, 상기 주 페달부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 보조 페달 선회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부재에서 선회되는 것으로 상기 주 페달부재를 연동시키는 보조 페달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주 페달부재의 선단에 스토퍼 연결축을 기점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 스토퍼 선회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장되어 상기 이동휠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스토퍼 봉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부재의 측면에는 일정길이의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 페달 부재와 상기 보조 페달 부재를 연결하는 이동 선회축이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선회축보다 상기 스토퍼 연결축이 상기 브라켓 부재의 높이 방향에서 더 높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조 페달부재의 말단이 눌러지면 상기 보조 페달 선회축을 기점으로 선회되어 상기 이동 선회축이 상기 안내공을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상기 주 페달 부재를 상기 스토퍼 연결축을 기점으로 선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간편하게 주 페달부재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이동휠을 일시에 고정할 수 있어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카트에 횡하중이 가해져도 카트 본체가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페달부재와 별개로 보조 페달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휠의 고정 및 해정 작동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브레이크부의 구성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의 이동휠이 고정된 상태(제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의 이동휠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의 브레이크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의 브레이크부가 이동휠을 제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및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브레이크부의 제동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는, 프레임부(10)로 이루어지고 표시부(60) 및 측정부(50)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가 장착된 카트 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카트 본체의 하단에는 전원부(40; 충전 베터리)가 장착되어 이들 전자 기기들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프레임부(10)에는 다수의 적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적재부에는 배송지별 카톤(상품 박스)이 적재되고 이후 출하 상품을 배송지별로 피킹 겹납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부(10)의 바닥에는 카트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 쌍의 전방 이동휠(21)과 한 쌍의 후방 이동휠(22)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 이동휠(21)이 위치한 프레임부(10)의 전방 중간측에는 브레이크부(30)가 장착된다. 이때 브레이크부(30)는 작업자의 한번의 동작으로 한 쌍의 전방휠(21)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레이크부(30)는 프레임부(10)의 전방 하단측에 고정되는 장착부재(31)와 장착부재(31)에 하부에 설치된 주 페달부재(32)와 보조 페달부재(33)를 포함한다. 아울러 주 페달 부재(33)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전방 이동휠(21)에 밀착되어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37)도 포함한다.
도 3a, 3b 및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장착부재(31)의 하부면에는 브라켓 부재(35)가 장착된다. 이 브라켓 부재(35)에는 주 페달부재(32)와 보조 페달부재(33)가 선회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주 페달부재(32)는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브라켓 부재(35)에서 선회되고, 이를 통해 스토퍼 부재(37)를 회전시켜 한 쌍의 이동휠(21a,21b)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도 3a 및 도 3b는 주 페달 부재(32)가 눌러진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37)의 스토퍼 봉(31a)이 이동휠(21a,21b)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도 4a 및 도 4b는 보조 페달 부재(33)가 눌러진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37)의 스토퍼 봉(31a)이 선회되어 이동휠(21a,21b)의 이동제한을 해제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크부(30)의 작동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를 같이 참조하면 브레이크부(30; 도 1 참조)는, 프레임부(10)의 하단에 장착된 장착부재(31)에 결합된 브라켓 부재(35)와, 브라켓 부재(35)에 선회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주 페달부재(32)와, 브라켓 부재(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페달부재(32)와 연결되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이동휠(21a,21b)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부재(37), 주 페달부재(32)에 일단이 연결되고 브라켓 부재(35)에 보조 페달 선회축(S1)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브라켓 부재(35)에서 선회되는 것으로 주 페달부재(32)를 연동시키는 보조 페달 부재(33)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스토퍼 부재(35)는 스토퍼 본체(31b)와 스토퍼 봉(31a)으로 구성된다. 이 중 스토퍼 부재(35)는 주 페달부재(32)의 선단에 스토퍼 연결축(S4)을 기점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라켓 부재(35)에 스토퍼 선회축(S4; 도 7)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토퍼 봉(31a)은 스토퍼 본체(31b)의 양측에 각각 연장되어 이동휠(21a,21b)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스토퍼 봉(31a)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브라켓 부재(35)의 측면에는 부체꼴 형상의 안내공(31h)이 형성되어, 주 페달부재(32)와 보조 페달부재(33)를 연결하는 이동 선회축(S2)이 안내공(31h)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주 페달부재(32)는 대략 선단측이 높은 절곡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 선회축(S2)보다 스토퍼 연결축(S4)이 브라켓 부재(35)의 수직 방향에서 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주 페달부재(32)의 말단이 눌러지게 되면 도 8에서의 이동 선회축(S2)의 안내공(31h)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이동 선회축(S2)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주 페달부재(S32)의 선단에 스토퍼 연결축(S4)으로 연결된 스토퍼 본체(31b)가 스토퍼 선회축(S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 본체(31b)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 봉(31b)이 이동휠(21a,21b)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이동휠(21a.21b)에 대한 제동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보조 페달부재(33)의 말단이 눌러지면 보조 페달 선회축(S1)을 기점으로 선회되어 도 7의 상태에서 이동 선회축(S2)은 안내공(31h)을 따라 상승되는 된다. 이때 주 페달부재(32)도 이동 선회축(S2)에 연결된 주 페달부재(32)를 스토퍼 연결축(S4)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들어 올림)시켜 원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스토퍼 본체(31b)도 스토퍼 연결축(S4)이 하강하게 됨으로써 스토퍼 본체(31b)가 스토퍼 선회축(S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 페달부재(33)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도 7에서 도 8의 상태를 취하게 되어 이동휠(21a,21b)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간편하게 주 페달부재(32)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이동휠(21a,21b)을 일시에 고정할 수 있어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카트에 횡하중(측면하중)이 가해져도 카트 본체가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페달부재(32)와 별개로 보조 페달부재(33)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휠(21a,21b)의 고정 및 해정 작동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부
21: 전방 이동휠
22: 후방 이동휠
30: 브레이크부
32: 주 페달부재
33: 보조 페달부재
31a: 스토퍼 봉
31b: 스토퍼 본체
35: 브라켓 부재
37: 스토퍼 부재
40: 전원부
50: 측정부
60: 표시부
S1:보조 페달 선회축
S2: 이동 선회축
S3: 스토퍼 선회축
S4: 스토퍼 연결축

Claims (6)

  1.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이동휠;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이동휠 중 적어도 2개에 동시에 접지되어 상기 이동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브라켓 부재, 상기 브라켓 부재에 선회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주 페달부재, 상기 브라켓 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페달부재와 연결되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이동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부재, 상기 주 페달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 보조 페달 선회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부재에서 선회되는 것으로 상기 주 페달부재를 연동시키는 보조 페달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 부재의 측면에는 일정길이의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 페달부재와 상기 보조 페달부재를 연결하는 이동 선회축이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주 페달부재의 선단에 스토퍼 연결축을 기점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 스토퍼 선회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스토퍼 본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이동휠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스토퍼 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선회축보다 상기 스토퍼 연결축이 상기 브라켓 부재의 수직 방향에서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페달부재의 말단이 눌러지면 상기 보조 페달 선회축을 기점으로 상기 주 페달 부재가 선회되어 상기 이동 선회축이 상기 안내공을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 연결축을 기점으로 상기 주 페달 부재를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KR1020180156311A 2018-12-06 2018-12-06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KR101999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11A KR101999369B1 (ko) 2018-12-06 2018-12-06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11A KR101999369B1 (ko) 2018-12-06 2018-12-06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69B1 true KR101999369B1 (ko) 2019-07-11

Family

ID=6725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11A KR101999369B1 (ko) 2018-12-06 2018-12-06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7917A (zh) * 2019-09-09 2019-12-24 河南聚能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装配式保温装饰组合外墙移动骨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537U (ko) * 1991-04-04 1992-11-16 주식회사 을지정밀 우편물 운반차의 제동장치
KR20090063840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페달을 위한 역회전 장치
JP2010163056A (ja) * 2009-01-15 2010-07-29 Nansin Co Ltd 台車の制動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537U (ko) * 1991-04-04 1992-11-16 주식회사 을지정밀 우편물 운반차의 제동장치
KR20090063840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페달을 위한 역회전 장치
JP2010163056A (ja) * 2009-01-15 2010-07-29 Nansin Co Ltd 台車の制動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7917A (zh) * 2019-09-09 2019-12-24 河南聚能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装配式保温装饰组合外墙移动骨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2611B (zh)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US11993459B2 (en)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with improved goods transfer between two storage locations
WO2019224282A1 (en) Transfer station configured to handle cargo and cargo receptacle sorting method
CN106005866A (zh) 一种基于移动机器人的智能仓储系统
US20100303603A1 (en) Portable Adjustable Height Platform
JP6871291B2 (ja) 貨物の積み降ろし装置
US11453555B2 (en) Storage and order-picking system with a reduced processing tim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3223429A (en) Foldable utility cart
CN110892428A (zh) 全自动自助商店
JP2014524869A (ja) 人間工学的に改良された配送車両および方法
US9120630B1 (en) Pallet stacker conveyor
US9873548B2 (en) Extensible pallet rotation apparatus
KR101999369B1 (ko) 이동휠 고정이 가능한 카트
US2569050A (en) Article lifting and transporting dolly
WO2012032865A1 (ja) 仕分システムと仕分方法
JP2022124853A (ja) 搬送システム、搬送方法、及び搬送プログラム
US11008202B2 (en) Cart transport vessel
US20210269243A1 (en)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having improved transfer of goods between two storage areas
US20030180130A1 (en) Cart and lift system
CN110817741A (zh) 一种商品批发用货物搬运车
KR102389786B1 (ko) 디지털 피킹 방법
BE1019931A3 (nl) Werkwijze voor een logistiek systeem van individuele stukgoederen.
JP5840592B2 (ja) ピッキング用台車
KR200398310Y1 (ko) 물품상자 운반용 카트
KR102537460B1 (ko) 박스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