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094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094B1
KR101999094B1 KR1020130007519A KR20130007519A KR101999094B1 KR 101999094 B1 KR101999094 B1 KR 101999094B1 KR 1020130007519 A KR1020130007519 A KR 1020130007519A KR 20130007519 A KR20130007519 A KR 20130007519A KR 101999094 B1 KR101999094 B1 KR 10199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nk
information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558A (ko
Inventor
노태균
이경석
고영조
안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748,110 priority Critical patent/US9185733B2/en
Publication of KR2013008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셀룰러 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적응 전송을 위한 채널 상태 측정 방법,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LTE 시스템에 최적화된 셀룰러 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들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은 3GPP LTE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Method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단말 대 단말(devic-to-device)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러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송수신 및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간 직접 통신(이하, D2D 통신과 혼용; Device to Device 통신)은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인접한 두 단말 사이에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즉, 두 단말이 각각 데이터의 소스(source)와 목적(destination)이 되면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간 직접 통신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사용 케이스(use case)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논의가 있다. 일 예로서, 단말간 직접 통신은 록 콘서트 등에 참석한 방문자들에게 대용량의 자료(예컨대, 록 콘서트의 프로그램, 연주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로컬 미디어 서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들은 서빙셀과 접속하여 전화 통화와 인터넷 액세스 등은 종래의 셀룰러 링크를 이용하여 수행하되, D2D 통신의 상대 단말로 동작하는 로컬 미디어 서버로부터는 상술된 대용량의 자료를 D2D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D2D 링크는 동일 셀을 서빙 셀로 가지는 단말들간에만 가능한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셀을 서빙 셀로 가지는 단말들간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간 직접 연결 통신에서 셀룰러 망 기반의 D2D 통신 방식은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원하는 단말이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노드(셀룰러 망에서는 기지국)에 링크 설정을 요청하고, 중앙 노드는 상대 단말이 그 단말의 주변에 있는 경우 두 단말간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단말의 거의 모든 동작은 중앙 노드에 의해 관리되며, D2D 통신을 위해 셀룰러 링크 또는 다른 D2D 링크를 위해 할당된 무선자원이 재사용(reuse)될 수 있다.
종래 셀룰러 방식의 통신과 상술된 D2D 통신 방법에는 많은 장점과 단점이 교차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셀룰러 방식의 이동통신과 상술된 D2D 통신 방식이 결합된 형태의 통신 체계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셀룰러 망의 경우에서는 상술된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D2D 통신의 적응 전송, 스케쥴링, 전력 제어 등 많은 기술적 부분들이 지원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셀룰러 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적응 전송을 위한 채널 상태 측정 방법으로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과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채널 상태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셀룰러 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이 단말 대 단말 링크에 대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단말들에게 제공하고 단말들이 수신한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 성공 여부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셀룰러 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말 대 단말(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수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RS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채널 상태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단말 대 단말(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송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RS 송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SRS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단말 대 단말 링크의 간섭(interference)을 측정하여 상기 지기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채널 상태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제 1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n)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3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로부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o)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4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p)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가 초전송에 의한 것인지 재전송에 의한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release)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해제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제 5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과 충돌(collision)할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의 전송이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의 수신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n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7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제 2 D2D 링크의 버퍼 상태(buffer status)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와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이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한 최초의 전송일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은 항상 초전송 또는 항상 재전송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이 상기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한 최초의 전송일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은 이전에 전송된 제 2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성공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제 5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과 충돌(collision)할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의 전송이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 정보 전송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n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7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 1 D2D 링크를 통한 제 2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과 제 2 D2D 링크를 통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제 1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 할당 정보 또는 상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x)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해제 송신 할당 정보 또는 상기 해제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수신 또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 2 단말로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서브 프레임이 충돌할 경우, 상기 상기 해제 송신 할당 정보 또는 해제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의 전송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2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2 링크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 또는 항상 재전송으로서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2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2 링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된 제 2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1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1 링크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 또는 항상 재전송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1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1 링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된 제 1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을 위한 서브 프레임 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와 상기 초전송을 위한 서브 프레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로부터 초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초전송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초전송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상기 초전송을 위한 서브 프레임 주기 정보에 기초한 초전송을 위한 서브 프레임인 경우, 상기 초전송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향후 셀룰러 방식의 이동통신과 단말 대 단말 통신 방식이 결합된 형태의 셀룰러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을 이용하면, 셀룰러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 측정, 단말 대 단말 링크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전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LTE 시스템에 최적화된 셀룰러 망 기반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들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은 3GPP LTE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 두 단말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 속한 두 단말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일 예에서 제 1 D2D 링크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일 예에서 제 2 D2D 링크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중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relay) 및 펨토셀(femto-cell) 등을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동작 환경
본 발명에서의 '기지국'은 '하나의 셀(cell)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의미로 사용된다. 실제 통신 시스템에서의 '물리적인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물리적인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의 '기지국'을 여러 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각 셀마다 다르게 할당되는 파라미터는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값을 할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또는 MS(Mobile Station), 또는 RN(Relay Node), 또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등이 될 수 있다.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두 단말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기지국(통상적으로 서로 인접한 기지국들)에 속할 수도 있다.
도 1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 두 단말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단말(101)과 제 2 단말(102)은 제 1 기지국(110)에 속해 있으면서, 단말들(101, 102)은 제 1 기지국(110)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한다.
한편, 도 2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 속한 두 단말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말(211)은 제 1 기지국(210)에 속해 있고, 제 2 단말(221)은 제 2 기지국(220)에 속해 있다. 제 1 단말(211)은 제 1 기지국(210)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주고 받고, 제 2 단말(221)은 제 2 기지국(220)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주고 받는다.
또한, 제 1 기지국(210)과 제 2 기지국(220)은 중앙 제어국(central control station; 230)에 연결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중앙 제어국은 각 단말이 각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정보를 취합하여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시 및 조정(coordination)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는 중앙 제어국(230)이 제 1 및 제 2 기지국(210, 220)과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중앙 제어국은 제 1 및 제 2 기지국을 포함한 특정 기지국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즉, 제 1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가 중앙 제어국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물리적인 기지국'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두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 경우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속한 양 경우(도 1 및 도 2에서 예시된 환경)를 비교할 때,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과 정보를 주고 받는다는 점에서 동일하고,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도 1 및 도 2의 환경을 비교하면, 도 2의 환경에서는 제 2 단말(221)이 정보를 주고 받는 기지국이 제 1 기지국인지 제 2 기지국인지 차이가 있지만, 제 2 단말이 제 1 기지국과 또는 제 2 기지국과 주고 받는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결국,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단말과 단말이 주고 받는 정보와 단말과 기지국이 주고 받는 정보는 두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 경우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속한 경우 모두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은 두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속한 경우를 가정하였지만, 특별히 따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두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으로 지칭되는 기지국들은 반드시 서로 다른 기지국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은 동일한 기지국일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이하, 제 1 D2D 링크로 명칭되기도 함)와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이하, 제 2 D2D 링크로 명칭되기도 함)의 이중화(duplex) 방식에 따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분류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와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를 사용하되 시간 분할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이하에서는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이라 명칭한다.
또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와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여 주파수 분할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이하에서는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이라고 명칭한다.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이 시간 분할 방식(TDD: Time Division Duplexing)일 경우,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은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 중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subframe)만 사용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만 사용할 수도 있고,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이 주파수 분할 방식(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일 경우,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은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 중 상향링크 주파수 밴드만 사용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주파수 밴드만 사용할 수도 있고,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주파수 밴드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은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이 주파수 분할 방식일 경우,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은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주파수 밴드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적응 전송을 위한 SRS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적응전송(adaptive transmission)을 위해 한 단말은 다른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기준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운딩기준신호는 주기적(periodic)으로 또는 비주기적(aperiodic)으로 전송 및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상태를 측정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채널상태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기반으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은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와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가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과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제 1 실시예와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에 적용될 수 있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제 1 실시예
상술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와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 중 한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의 일 실시예를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일 예에서 제 1 D2D 링크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제 1, 2 링크) 중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을 가정하였다. 도 3의 실시예는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 또는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310)은 제 1 단말(311)에게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 할 수 있고(S310), 제 2 기지국(320)은 제 2 단말(321)에게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311).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운딩기준신호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3GPP에서 각각 상향링크에서 정의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이 될 수 있다.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는 단말별(UE-specific)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와 셀별(cell-specific)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나눌 수 있다.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범위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호핑주파수범위(Hopping frequency bandwidth)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위치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전송주기 및 서브 프레임 옵셋을 나타내는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순환천이(cyclic shift)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전송콤(transmission comb)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지속여부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안테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3GPP에서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범위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호핑주파수범위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위치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전송주기 및 서브 프레임 옵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각각 srs-Bandwidth, srs-HoppingBandwidth, freqDomainPosition, srs-ConfigIndex이 될 수 있다.
또한, 3GPP에서 사운딩기준신호의 순환천이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전송콤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지속여부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안테나 정보는 각각 cyclicShift, transmissionComb, duration, srs-AntennaPort이 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310)은 제 1 단말(311)에게 또한 제 2 기지국(320)은 제 2 단말(321)에게 동일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S310, S311). 즉,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가 제 1 단말에게는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가 되며, 제 2 단말에게는 사운딩기준신호 수신을 위한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재사용(reuse)할 경우, 재사용하는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는 사운딩기준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주파수범위를 나타내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대역폭 설정 정보, 사운딩기준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서브 프레임 설정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최대주파수대역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3GPP에서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대역폭 설정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서브 프레임 설정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최대주파수대역폭 정보는 각각 srs-BandwidthConfig, srs-SubframeConfig, srs-MaxUpPts가 될 수 있다.
각 기지국이 각 단말에게 전송하는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 할 수 있다.
먼저,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단말(31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기지국(310)은 제 1 단말(31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즉, 이전에 설정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을 이용). 그리고 제 2 기지국(320)은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말(32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제 1 단말(31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말(32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기지국(310)은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단말(31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제 2 단말(32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즉, 이전에 설정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을 이용).
마지막으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가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와 다를 경우, 제 1 기지국(310)은 제 1 단말(311)에게 또 제 2 기지국(320)은 제 2 단말(321)에게 동일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재사용할 경우, 재사용하는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단말(311)은 수신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딩기준신호를 제 2 단말(321)에게 전송한다(S320).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말(321)은 제 2 기지국(320)에게 수신한 사운딩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상향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또는 상향링크 물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330).
채널상태정보는 랭크정보, 프리코딩행렬정보, 프리코딩타입정보, 채널품질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채널상태정보, 랭크정보, 프리코딩행렬정보, 프리코딩타입정보, 채널품질정보는 3GPP에서 각각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RI(Rank Indication),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PTI(Precoding Type Indicator),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될 수 있다.
한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 중 한 링크(제 1 D2D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을 도 3을 통해 앞서 설명하였고,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 중 다른 링크(제 2 D2D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일 예에서 제 2 D2D 링크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 중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를 가정한다.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의 송수신과 사운딩기준신호의 송수신은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 또는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의 송수신은 도 3을 통해 설명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의 송수신과 동일한 과정을 따를 수 있다.
즉, 제 2 기지국(420)은 제 2 단말(421)에게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 할 수 있고(S411), 제 1 기지국(410)은 제 1 단말(411)에게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410).
일 실시예로,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사운딩기준신호는 3GPP에서 상향링크에서 정의된 SRS가 될 수 있고,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사운딩기준신호는 3GPP에서 하향링크에서 정의된 SRS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향링크에서 정의된 SRS란 단말이 기지국에게 또는 또 다른 단말에게 하향링크 주파수밴드에서 SRS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는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와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나눌 수 있다.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범위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호핑주파수범위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위치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전송주기 및 서브 프레임 옵셋을 나타내는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순환천이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전송콤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지속여부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안테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에게 또한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동일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재사용할 경우, 재사용하는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단말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는 사운딩기준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주파수범위를 나타내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주파수대역폭 설정 정보, 사운딩기준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서브 프레임 설정 정보, 사운딩기준신호의 최대주파수대역폭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각 기지국이 각 단말에게 전송하는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 할 수 있다.
먼저,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말(42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 2 기지국(420)은 제 2 단말(42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지국(410)은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41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제 2 단말(42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41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 2 기지국(420)은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말(42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제 1 단말(411)이 속한 셀의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지국(410)은 제 1 단말(411)에게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즉, 이전에 설정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을 이용).
마지막으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가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와 다를 경우, 제 1 기지국(410)은 제 1 단말(411)에게 또한 제 2 기지국(420)은 제 2 단말(421)에게 동일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로 재사용할 경우, 재사용하는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셀별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단말(421)은 수신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딩기준신호를 제 1 단말(411)에게 전송한다(S420).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411)은 제 1 기지국(410)에게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상향링크 물리데이터채널 또는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채널상태정보의 송수신은 단말 대 단말 통신이 시간 분할인지 주파수 분할인지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먼저 주파수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일 경우,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송수신은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송수신과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송수신은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송수신과 동일한 과정을 따른다. 즉 채널상태정보는 랭크정보, 프리코딩행렬정보, 프리코딩타입정보, 채널품질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일 경우,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므로, 채널 가역성(channel reciprocity)을 이용하여,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제 1 단말의 제 1 기지국으로의 채널상태정보 보고는 간소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이 존재할 경우,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랭크정보, 프리코딩행렬정보 및 프리코딩타입정보는 제 2 단말이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는 랭크정보, 프리코딩행렬정보 및 프리코딩타입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랭크정보와 프리코딩행렬정보 및 프리코딩타입정보와는 달리 제 2 단말의 간섭 환경과 제 1 단말의 간섭 환경이 서로 다르므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통해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이 전송한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도출한다. 그리고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는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 제 2 실시예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을 도 3 및 4을 통해 앞서 설명하였다.
한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 중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과 채널상태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단말 대 단말 통신이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인 경우를 가정한다면,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과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제어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두 링크 중 제 2 단말(521)에서 제 1 단말(511)로의 링크를 가정하였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단말(521)에서 제 1 단말(511)로의 링크에 대해서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송수신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 분할 단말 대 단말 통신일 경우,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므로, 채널 가역성(channel reciprocity)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에 대한 사운딩기준신호 송수신 및 채널상태정보 송수신이 존재할 경우,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에 대한 랭크정보와 프리코딩행렬정보와 프리코딩타입정보는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는 랭크정보, 프리코딩행렬정보 및 프리코딩타입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제 2 단말의 간섭 환경과 제 1 단말의 간섭 환경이 서로 다르므로,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통해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수신한 간섭을 측정하여 간섭정보를 도출한다. 그리고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는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간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 제 3 실시예
한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전력제어를 위해서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경로 손실(path-loss)을 알아야 할 수 있다.
경로 손실은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또는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사운딩기준신호를 이용해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는 사운딩기준신호의 송신전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운딩기준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은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전력정보에 따라 사운딩기준신호를 전송하며,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사운딩기준신호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전력정보와 사운딩기준신호의 실제 수신전력을 비교하여 경로 손실을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추정한 경로 손실 정보를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운딩기준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므로, 기지국은 수신한 경로 손실 정보와 채널상태정보를 토대로 송신전력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송신전력제어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는 송신할당정보의 형태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송신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수신할당정보의 형태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수신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송신할당정보와 수신할당정보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송신전력제어정보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할정보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송신전력제어정보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결정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이 주파수 분할 방식이며, 단말 대 단말 통신이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적 개념은 다른 방식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설명된다. 즉, 이하의 서술에서 제 1 단말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송신 단말이 되며, 제 2 단말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수신 단말이 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에는 이하에서 후술되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 1 D2D 링크와 제 2 D2D 링크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중 실시예 5와 실시예 6의 경우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제 1 D2D 링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제 2 D2D 링크)가 추가되거나, 제 1 D2D 링크와 제 2 D2D 링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하나의 D2D 링크가 해제되는 경우의 링크들간의 연계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는 복수 개의 HARQ 프로세스(process)가 존재할 수 있다. 각 HARQ 프로세스의 동작 절차는 동일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여기에서는 하나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케줄링은 초전송(new transmission)에 대한 스케쥴링과 재전송(retransmission)에 대한 스케쥴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에서 재전송이란 초전송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는 것으로 재전송의 전송형태(transmission format)는 초전송의 전송형태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한편,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초전송으로서 수신하는 것은 결합(combining)을 위한 소프트 버퍼(soft buffer)를 초기화하고 수신된 신호만으로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재전송으로서 수신하는 것은 소프트 버퍼에 저장된 이전에 수신된 신호와 새롭게 수신한 신호를 결합하여 복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송형태(transmission format)란 자원할당정보, 변조및코딩정보, 중복버전정보, 프리코딩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하나의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한다.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전송블록으로 구성될 경우, 위의 과정을 각 전송블록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1) 제 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 m1(630)에서 제 1 기지국(610)은 제 1 단말(611)에게 송신할당정보(63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32)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할당정보(631)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정보, 전송프리코딩행렬정보, 순환천이정보, 전력제어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정보, 새데이터지시자정보, 중복버전정보, 캐리어지시자정보, 주파수호핑지시자정보, 상향링크색인정보, 하향링크할당색인정보, 채널상태요청정보, 자원할당형태정보, 사운딩기준신호요청정보, 프리코딩행렬확정정보, 하향링크전력옵셋정보, 프리코딩정보, 스크램블링정보, 레이어개수정보, 안테나포트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송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와 같은 핵심적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은 시스템 구성 및 전송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32)는 ACK(positive 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링크로 이전에 전송한 데이터가 제 2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하향링크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재전송일 때, 제 1 기지국(610)은 제 1 단말(611)에게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최초의 초전송일 때, 제 1 기지국(610)은 제 1 단말(611)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전송블록으로 구성될 경우,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각 전송블록에 대해 ACK 또는 NACK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서브 프레임 m2(640)에서 제 2 기지국(620)은 제 2 단말(621)에게 수신할당정보(64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42)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할당정보(641)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정보, 전송프리코딩행렬정보, 순환천이정보, 전력제어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정보, 새데이터지시자정보, 중복버전정보, 캐리어지시자정보, 주파수호핑지시자정보, 상향링크색인정보, 하향링크할당색인정보, 채널상태요청정보, 자원할당형태정보, 사운딩기준신호요청정보, 프리코딩행렬확정정보, 하향링크전력옵셋정보, 프리코딩정보, 스크램블링정보, 레이어개수정보, 안테나포트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송신할당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와 같은 핵심적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은 시스템 구성 및 전송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재전송일 때, 제 2 기지국(620)은 제 2 단말(621)에게 수신할당정보(641)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최초의 초전송일 때, 제 2 기지국(620)은 제 2 단말(621)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42)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전송블록으로 구성될 경우,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각 전송블록에 대해 ACK 또는 NACK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면,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를 항상 전송한다.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면,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m1(630)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수신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m2(640)가 서로 다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은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 1 기지국(610)이 제 1 단말(611)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32)를 전송하면, 제 2 기지국(620)은 제 2 단말(621)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42)를 항상 전송한다. 이 때,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32)의 상태와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42)의 상태는 같다.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면,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m1(630)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m2(640)가 서로 다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은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상술된 송신할당정보와 수신할당정보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송신할당정보와 수신할당정보는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와 서로 다른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1 단말(611)은 서브 프레임 (m1+a1; 650)에서 제 2 단말에게 데이터(651)를 전송하는데, 이 때 전송하는 데이터는 서브 프레임 m1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32)의 상태와 송신할당정보(631)의 수신 및 성공적 복조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제 1 단말이 송신할당정보(631)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 m1에서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시자정보(NDI: New Data Indicator)가 초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예컨대, 후술될 토글(toggle) 방식으로 NDI를 사용할 경우로서,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가 서브 프레임 m1 전에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다를 경우),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에서 수신한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초전송으로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 m1에서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사자정보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예컨대, 토글 방식으로 NDI를 사용할 경우로서, 수신한 송신할당정보중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가 서브 프레임 m1 전에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같을 경우),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에서 수신한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적응적(adaptive) 재전송으로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 1 단말이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NACK일 경우, 제 1 단말은 데이터(651)를 비적응적(non-adaptive) 재전송으로서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비적응적 재전송은 서브 프레임 m1 전에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송신할당정보 중 중복버전정보 등의 일부만 변경하고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버전정보는 몇 번째 재전송인지에 따라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ACK일 경우, 제 1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에서 송신할당정보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뒤 a1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a1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a2; 660)에서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651)를 수신하는데, 이 때 데이터를 복조하는 방식은 서브 프레임 m2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와 수신할당정보의 수신 및 성공적 복조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제 2 단말이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했음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 2 단말이 서브 프레임 m2에서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시자정보가 초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예컨대, 후술될 토글(toggle) 방식으로 NDI를 사용할 경우로서,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가 서브 프레임 m2 전에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다를 경우),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에서 수신한 수신할당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초전송으로서 복조한다. 다음으로 제 2 단말이 서브 프레임 m2에서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사자정보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예컨대, 토글 방식으로 NDI를 사용할 경우로서, 수신한 수신할당정보중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가 서브 프레임 m2 전에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같을 경우),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에서 수신한 수신할당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적응적 재전송으로서 복조한다.
다음으로 제 2 단말이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NACK일 경우, 제 2 단말은 데이터를 비적응적 재전송으로서 복조한다. 일 실시예로 비적응적 재전송은 서브 프레임 m2 전에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수신할당정보 중 중복버전정보 등의 일부만 변경하고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버전정보는 몇 번째 재전송인지에 따라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ACK일 경우, 제 2 단말은 데이터를 복조하지 않는다.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에서 수신할당정보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뒤 a2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데이터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a2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a2; 660)에서 데이터를 복조한 뒤 b2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 (m2+a2+b2; 670)에서 제 2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b2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ACK, NACK,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의 세 가지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ACK이 되는 경우는 제 2 단말이 데이터의 복조를 성공할 때이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NACK이 되는 경우의 예로는, 복조기준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수신전력레벨이 제 1 문턱값(threshold)을 넘었지만, 데이터 복조를 실패할 때가 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NACK이 되는 경우로 데이터의 수신전력레벨이 제 2 문턱값을 넘었지만, 데이터 복조를 실패할 때가 될 수 있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DTX가 되는 경우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ACK도 아니고, NACK도 아닌 경우이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ACK 또는 NACK일 경우, 제 2 단말은 ACK 또는 NACK을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에 표시하여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DTX일 경우,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전송블록으로 구성될 경우,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각 전송블록에 대해 ACK 또는 NACK의 두 가지 상태와 추가적으로 DTX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기지국과 단말은 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1+a1)에서 c1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 (m1+a1+c1; 680)에서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68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82)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c1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이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2+a2+b2)에서 c2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 (m1+a2+b2+c2; 690)에서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69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692)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c2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제 1 단말은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새데이터지시자정보(652)를 통해서 제 2 단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에게 새데이터지시자정보(652)를 데이터(651)와 함께 전송한다. 데이터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동일 서브 프레임(650)에 전송된다. 새데이터지시자정보가 전송되는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알려주는 방식은 후술된다.
제 1 실시예에서 a1, c1의 값은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고 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a1, c1의 값 각각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된 값을 통해 a1, c1의 값 각각을 도출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a2, b2, c2의 값은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고 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a2, b2, c2의 값 각각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된 값을 통해 a2, b2, c2의 값 각각을 도출될 수도 있다.
2)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710)이 제 1 단말(711)에게 송신할당정보(73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732)를 전송하는 것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기지국(720)이 제 2 단말(721)에게 수신할당정보(74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742)를 전송하는 것도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 1 단말(711)이 제 1 기지국(710)으로부터 수신한 송신할당정보(73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732)에 기초하여 제 2 단말(721)에게 데이터(751)를 전송하는 것도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단말(721)이 제 2 기지국(720)으로부터 수신한 수신할당정보(741)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742)에 기초하여 제 1 단말(711)이 전송하는 데이터(751)를 복조하는 것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단말(721)이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식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2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ACK라면,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DTX이라면,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 이후에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와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앞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반면, 제 2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이라면,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직접 전송하며(770),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에 따라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하는 주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전력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ACK인 경우,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전력은 제 2 단말과 제 2 기지국 링크에서 요구되는 수신전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인 경우,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전력은 제 2 단말과 제 2 기지국 링크에서 요구되는 수신전력과 제 2 단말과 제 1 단말 링크에서 요구되는 수신전력 중에서 보다 큰 값에 따라 결정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2 단말이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1+a1; 750)에서 b1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복조를 시도한다. 여기에서 b1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1 단말이 복조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NACK이 아닌 경우, 그 이후의 제 1 단말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반면 제 1 단말이 복조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가 NACK인 경우,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a1+b1+c1; 780)에서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비적응적 재전송으로서 전송한다. 여기에서 비적응적 재전송은 제 1 실시예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c1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이 아닌 경우, 그 이후의 제 2 단말의 동작은 제 1 스케줄링 방식과 동일하다. 반면 제 2 단말이 서브 프레임 (m2+a2+b2; 770)에서 전송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인 경우,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a2+b2+c2; 790)에서 데이터를 비적응적 재전송으로서 복조한다. 여기에서 비적응적 재전송은 제 1 실시예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c2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이후 기지국과 단말은 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b1, c1의 값은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고 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b1, c1의 값 각각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된 값을 통해 b1, c1의 값 각각을 도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에게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을 통해 알려줄 수 있고, b1, c1 값 각각은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의 1/2로 결정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b2, c2의 값은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고 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b2, c2의 값 각각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된 값을 통해 b2, c2의 값 각각을 도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을 통해 알려줄 수 있고, b2, c2의 값 각각은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의 1/2로 결정될 수 있다.
3)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 제 1 기지국(810)이 제 1 단말(811)에게 전송하는 송신할당정보(831)는 두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하나는 스케줄링의 시작을 나타내는 활성화(activation) 송신할당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스케줄링의 종료를 나타내는 해제(release) 송신할당정보이다.
제 1 단말(811)이 송신할당정보(활성화 또는 해제)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a1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32)를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a1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1 기지국은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한 후 a1개 서브 프레임 이후에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복조를 수행한다.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데이터(833)를 생성하여 제 2 단말(821)에게 전송한다. 만약, 제 1 단말이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이전에 받은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무시하고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정보, 전송프리코딩행렬정보, 순환천이정보, 전력제어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정보, 캐리어지시자정보, 주파수호핑지시자정보, 상향링크색인정보, 하향링크할당색인정보, 채널상태요청정보, 자원할당형태정보, 사운딩기준신호요청정보, 프리코딩행렬확정정보, 하향링크전력옵셋정보, 프리코딩정보, 스크램블링정보, 레이어개수정보, 안테나포트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제 1 실시예의 송신할당정보에 대해서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와 같은 핵심적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은 시스템 구성 및 전송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1 단말이 해제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해제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이후부터 더 이상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해제 송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정보, 전송프리코딩행렬정보, 순환천이정보, 전력제어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정보, 캐리어지시자정보, 주파수호핑지시자정보, 상향링크색인정보, 하향링크할당색인정보, 채널상태요청정보, 자원할당형태정보, 사운딩기준신호요청정보, 프리코딩행렬확정정보, 하향링크전력옵셋정보, 프리코딩정보, 스크램블링정보, 레이어개수정보, 안테나포트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정보들 중에 일부 정보들의 값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제 1 실시예의 송신할당정보에 대해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해제 송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와 같은 핵심적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은 시스템 구성 및 전송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2 기지국(820)이 제 2 단말(821)에게 전송하는 수신할당정보(841)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스케줄링의 시작을 나타내는 활성화(activation) 수신할당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스케줄링의 종료를 나타내는 해제(release) 수신할당정보이다.
제 2 단말(821)이 수신할당정보(활성화 또는 해제)를 수신하면, 제 2 단말은 a2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2)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a2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기지국은 수신할당정보(841)를 전송한 후 a2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2)의 복조를 수행한다.
제 2 단말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단말은 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복조한다. 제 2 단말이 새로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단말은 이전에 수신한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무시하고 새로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및코딩정보, 전송프리코딩행렬정보, 순환천이정보, 전력제어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정보, 캐리어지시자정보, 주파수호핑지시자정보, 상향링크색인정보, 하향링크할당색인정보, 채널상태요청정보, 자원할당형태정보, 사운딩기준신호요청정보, 프리코딩행렬확정정보, 하향링크전력옵셋정보, 프리코딩정보, 스크램블링정보, 레이어개수정보, 안테나포트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제 1 실시예의 수신할당정보에 대해서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와 같은 핵심적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은 시스템 구성 및 전송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2 단말이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이후부터 더 이상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복조하지 않는다.
해제 수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정보, 전송프리코딩행렬정보, 순환천이정보, 전력제어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정보, 캐리어지시자정보, 주파수호핑지시자정보, 상향링크색인정보, 하향링크할당색인정보, 채널상태요청정보, 자원할당형태정보, 사운딩기준신호요청정보, 프리코딩행렬확정정보, 하향링크전력옵셋정보, 프리코딩정보, 스크램블링정보, 레이어개수정보, 안테나포트정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정보들 중에 일부 정보들의 값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제 1 실시예의 수신할당정보에 대해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해제 수신할당정보는 자원할당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와 같은 핵심적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은 시스템 구성 및 전송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1 기지국(810)이 제 1 단말(811)에게 송신할당정보(831)를 전송하면, 제 2 기지국(820)은 제 2 단말(821)에게 수신할당정보(841)를 항상 전송한다.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면,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은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복조 성공여부에 따라 제 1 단말에게 송신할당정보(활성화 또는 해제)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복조 성공여부에 따라 제 2 단말에게 수신할당정보(활성화 또는 해제)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단말은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833)의 복조 성공 여부에 따라 단말 대 단말 링크(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3)를 제 1 단말에게 직접 전송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ACK, NACK의 두 가지 상태가 있다.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833)를 제 2 단말이 복조에 성공하면,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3)는 ACK이 되며,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제 2 단말이 복조에 실패하면,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3)는 NACK이 된다.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전송블록으로 구성될 경우,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각 전송블록에 대해 ACK 또는 NACK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ACK일 경우, 제 1 단말은 초전송 데이터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일 경우, 제 1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재전송은 중복버전정보를 변경하고, 가장 최근에 수신한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복버전정보는 몇 번째 재전송인지에 따라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 있다.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의 수신 이후에 전송하는 첫 번째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으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또는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의 수신 이후에 전송하는 첫 번째 데이터는 제 1 단말이 초전송 또는 재전송을 결정하고, 이를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표시하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단말이 초전송 또는 재전송을 결정할 때, 제 1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해당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은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4)를 통해서 제 2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에게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4)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데이터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동일 서브 프레임에 전송된다.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통해 데이터가 초전송과 재전송을 구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토글(toggle)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데이터가 초전송일 때마다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토글하는 것이다. 데이터가 재전송일 때는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토글하지 않는다.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한 뒤 첫 번째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특정 값으로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단말이 0 또는 1의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두번째 방법은 할당(assignment)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0 또는 1 중 하나의 값은 초전송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재전송을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전송블록으로 구성될 경우,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각 전송블록에 대해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 2 단말은 먼저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4)를 복조한 뒤에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833)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판단한 뒤에 데이터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재전송은 중복버전정보를 변경하고, 가장 최근에 수신한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복버전정보는 몇 번째 재전송인지에 따라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m1에서 활성화 송신할당정보(831)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 m1에서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a1)에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32)를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제 1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b1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a1+b1))에 가장 최근에 수신한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833)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4)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b1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통해 데이터가 초전송과 재전송을 구별하는 방법은 토글(toggle)을 가정하였고, 활성화 송신할당정보 수신한 뒤 첫번째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0으로 가정하였다.
제 2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m2에서 활성화 수신할당정보(841)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단말이 서브 프레임 m2에서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a2)에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2)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b2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a2+b2))에 가장 최근에 수신한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4)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833)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b2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은 데이터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 (m2+a2+b2)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a2+b2+c))에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3)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c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여기에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3)의 상태는 NACK을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데이터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1+a1+b1)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a1+b1+c))에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3)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c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1 단말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 (m1+a1+b1+c)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a1+b1+c+d))에 데이터(835)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6)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d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 1 단말이 수신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NACK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토글하지 않고 데이터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제 2 단말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2+a2+b2+c)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a2+b2+c+d))에 데이터(835)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836)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d의 값은 특정한 값으로 미리 규정될 수도 있고,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은 데이터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수신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a2+b2+2c+d))에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844)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을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해제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가장 최근에 수신한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위의 과정(844, 837, 838, 845)을 반복한다. 제 2 단말은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가장 최근에 수신한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따라 위의 과정(837, 838, 845)을 반복한다.
제 3 실시예에서 a1, b1, c, d의 값은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고 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a1, b1, c, d의 값 각각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된 값을 통해 a1, b1, c, d의 값 각각을 도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에게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을 통해 알려줄 수 있고, a1, b1, c, d의 값 각각은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의 1/2로 결정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a2, b2, c, d의 값은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고 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a2, b2, c, d의 값 각각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된 값을 통해 a2, b2, c, d의 값 각각을 도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 2 기지국은 제 2 단말에게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을 통해 알려줄 수 있고, a2, b2, c, d의 값 각각은 데이터의 재전송 간격의 1/2로 결정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중복버전정보는 전송하지 않음을 가정했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로,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중복버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2 단말은 새데이터지사자정보에 따라 초전송과 재전송을 구별하고, 중복버전정보에 따라 재전송의 중복버전을 구별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한편, 제 1 단말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다시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이전에 받은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무시하고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제 2 단말에 대한 최초의 데이터 전송은 항상 초전송으로서 수행되도록 하거나, 항상 재전송으로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 2 단말에 대한 최초의 데이터 전송은 이전에 제 2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즉, 새로운 활성화 송신 할당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에, 이전에 받은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였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성공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이전에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성공여부 정보가 없을 경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는 초전송으로 전송될 수 있다.
4) 제 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제 4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3 실시예의 과정들을 따르므로, 제 4 실시예의 제 3 실시예와의 다른 점을 이하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단말은 미리 정해진 서브 프레임들(예컨대, 940, 950)에서만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은 활성화 송신할당정보(931)를 수신한 뒤 a1+b1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a1+b1; 940))에 초전송 데이터(941)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그 이후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 초전송 주기정보에 따라 초전송 서브 프레임(서브 프레임(m1+a1+b1+e; 950))에 초전송 데이터(951)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단말이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이 동일할 경우, 제 1 단말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 1 단말이 수신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인지 여부에 따라, 제 1 단말의 데이터 전송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제 1 단말이 수신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ACK일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면, 제 1 단말은 초전송 데이터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면, 제 1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1 단말이 수신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일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면, 제 1 단말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면, 제 1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 2 단말은 미리 정해진 서브 프레임(940, 950)에서만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한다. 제 2 단말은 활성화 수신할당정보(932)를 수신한 뒤 a2+b2개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a2+b2))에 제 1 단말이 전송한 초전송 데이터(941)를 복조한다. 그 이후 제 2 단말은 제 2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 초전송 주기정보에 따라 초전송 서브 프레임(서브 프레임(m2+a2+b2+e))에 제 1 단말이 전송한 초전송 데이터(951)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제 2 단말은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복조하지 않는다. 제 2 단말이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하는 서브 프레임과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동일할 경우, 제 2 단말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한다.
제 2 단말이 전송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인지 여부에 따라, 제 2 단말의 데이터 복조는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제 2 단말이 전송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ACK일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하는 서브 프레임이면, 제 2 단말은 제 1 단말이 전송한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하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면, 제 2 단말은 데이터를 복조하지 않고 이후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제 2 단말은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고,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ACK으로 하여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2 단말이 전송한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가 NACK일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면, 제 2 단말은 초전송 데이터를 복조한다.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가 초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면, 제 2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를 복조한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에서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중복버전정보는 전송하지 않음을 가정했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로,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중복버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2 단말은 새데이터지사자정보에 따라 초전송과 재전송을 구별하고, 중복버전정보에 따라 재전송의 중복버전을 구별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5) 제 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5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상황(제 1 D2D 링크를 통한 단말 대 단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링크(제 2 D2D 링크)가 추가로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5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3 실시예의 과정들을 따르므로, 제 5 실시예의 제 3 실시예와의 다른 점을 이하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기지국에 전송하고,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 D2D 링크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 2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기지국에 전송하고,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도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 D2D 링크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 D2D 링크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 2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 및 상태 결정은 제 3 실시예의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2 단말이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에 따른 제 2 데이터의 초전송 내지 재전송의 결정 및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의 상태 결정은 제 3 실시예의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통해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구별하는 것과 중복버전정보를 적용하는 것도 제 3 실시예의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D2D 링크의 동작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제 2 D2D 링크가 추가로 활성화될 경우에, 제 1 D2D 링크의 동작이 수행되는 서브 프레임들과 제 2 D2D 링크의 동작이 수행되는 서브 프레임들이 겹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또는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동작이 수행되는 서브 프레임(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또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는 상황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먼저,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거나, 제 2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경우, 제 2 D2D 링크 및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 12를 통해 설명한다.
도 12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제 2 D2D 링크의 새테이터지시자정보는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제 1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m1+2d+c-a1; 1201)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m1+2d+c-a1; 1201)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2d+c; 1202)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때, 서브 프레임(m1+2d+c; 1202)이 앞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과 겹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면, 제 2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보다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한다.
제 1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1202)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2d+2c); 1203)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2 단말이 전송한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한편, 제 2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m2+2d+c-a2; 1204)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단말이 서브 프레임 (m2+2d+c-a2; 1204)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2d+c; 1205)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때, 서브 프레임(m2+2d+c; 1205)이 앞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수신 프레임과 겹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2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면,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보다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 수신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1205)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2d+2c); 1206)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따라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때, 제 2 단말이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단말에게 최초로 전송하는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서브프레임(m2+2d+c; 1206)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는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제 2 단말이 새로운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응하여 최초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으로 전송되거나 항상 재전송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 전송이 초전송에 의한 것인지 재전송에 의한 것인지 여부는 제 2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이전에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가 없을 경우,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는 초전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초전송을 나타내는 0으로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 (m1+2d+2c; 1203)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3d+2c); 1207)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을 가정하였다. 아울러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3d+2c; 1207)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때, 제 1 단말이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보를 전송한 이후에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제 1 D2D 링크의 최초 데이터 전송(first data transmission; 즉, 서브 프레임 1207의 데이터 전송)은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제 1 단말이 새로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한 경우, 그 이후에 제 2 단말로 최초로 전송되는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서브프레임(m1+3d+2c; 1207)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으로 전송되거나 항상 재전송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이 새로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최초로 수행되는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전송이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는 제 1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예컨대, 서브프레임(m1+d+c; 1208)에서 수신한 수신성공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재전송을 나타내는 1로 가정하였다.
제 2 단말은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m2+2d+2c; 1206)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3d+2c; 1209)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복조한다. 아울러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3d+2c; 1209)에 제 1 D2D 링크의 새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제 2 단말은 제 2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2+3d+2c; 1209)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2+3d+3c; 1210))에서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 단말이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제 2 단말은 초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0으로 하여,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아울러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3d+3c; 1210)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정보의 상태는 ACK으로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1+3d+2c; 1207)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서브 프레임(m1+3d+3c; 1211))에서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2 단말이 전송한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아울러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3d+3c; 1211)에서 제 1의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복조한다. 제 1 단말은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1+3d+3c)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서브 프레임(m1+4d+3c; 1212))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을 가정하였다. 아울러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4d+3c; 1212)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초전송을 나타내는 0으로 가정하였다.
이후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제 1 D2D 링크 또는 제 2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 또는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다음으로,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거나, 제 2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경우, 제 2 D2D 링크 및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 13을 통해 설명한다.
도 13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제 2 D2D 링크의 새테이터지시자정보는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제 1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m1+d+c-a1; 1301)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m1+d+c-a1)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d+c; 1302)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때, 서브 프레임(m1+d+c; 1302)이 앞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여야 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를 통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면, 제 2 단말로부터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수신보다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 전송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d)에서 제 2 단말에게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 정보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 1 단말은 전력낭비를 막기 위해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2d+c; 1303)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2d+2c)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이후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정보를 기반으로 서브 프레임 (m1+3d+2c)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2d+c; 1303)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단말이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최초로 전송되는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즉, 서브 프레임(1303)의 데이터 전송)는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제 1 단말이 새로운 활성화 수신할당정보(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최초로 전송되는 제 1 D2D 링크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으로 전송되거나 항상 재전송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이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최초의 제 1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이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는 제 1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재전송을 나타내는 1로 가정하였다.
제 2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m2+d+c-a2; 1304)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d+c; 1305)에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때, 서브 프레임(m2+d+c; 1305)이 앞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전송 서브 프레임과 겹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2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면, 제 1 단말에게 수신성공여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한다.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2+2d+c; 1306)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할 수도 있다. 또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m1+2d+c)에서 제 2 단말에게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2d+c; 1306)에서 제 1 단말이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하지 않는 서브 프레임(m2+2d+c; 1306)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2+2d+2c; 1307)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때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는 제 2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복조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NACK을 가정하였다. 아울러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2d+2c; 1307)에서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때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으로서 전송되거나 항상 재전송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는 제 2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이전에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가 없을 경우,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는 초전송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초전송을 나타내는 0으로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는 서브 프레임(m1+2d+c; 1303)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2d+2c; 1308)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복조한다. 아울러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2d+2c; 1308)에서 제 2 D2D 링크의 새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2 단말이 전송한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1+2d+2c; 1308)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3d+2c; 1309)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1 단말이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NACK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1으로 하여,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아울러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3d+2c; 1309)에서 제 2의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의 D2D 링크 수신성공여정보의 상태는 ACK으로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1+2d+2c; 1308)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3d+2c; 1309)에서 제 2의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을 가정하였다. 아울러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3d+2c; 1309)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때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전송이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는 제 1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재전송을 나타내는 1로 가정하였다.
제 2 단말은 제 1의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 (m2+2d+2c; 1307)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2+3d+2c; 1310)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아울러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3d+2c; 1310)에서 제 2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복조한다. 제 2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2+3d+2c; 1310)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2+3d+3c; 1311)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을 가정하였다. 아울러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3d+3c; 1311)에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초전송을 나타내는 0으로 가정하였다.
이후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제 1 D2D 링크 또는 제 2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 또는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제 5 실시예에서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중복버전정보는 전송하지 않음을 가정했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로,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제 2 D2D 링크의 중복버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단말은 제 2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사자정보에 따라 초전송과 재전송을 구별하고, 제 2 D2D 링크의 중복버전정보에 따라 재전송의 중복버전을 구별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6) 제 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중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타이밍도이다. 도 14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와 제 2 D2D 링크의 새테이터지시자정보는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제 6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와 같이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제 1 D2D 링크),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제 2 D2D 링크) 상황에서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 송수신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제 1 D2D 링크와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황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송수신을 해제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 송수신을 해제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3 실시예와 제 5 실시예의 과정들을 따르므로, 제 6 실시예의 제 3 실시예와 제 5 실시예의 다른 점을 이하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제 2 단말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은 제 3 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다. 또 제 2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제 2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제 1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도 제 3 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다. 또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제 2 기지국이 제 2 단말에게 해제 송신할당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제 3 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다.
제 1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m1+2d+2c-a1; 1401)에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 (m1+2d+2c-a1; 1401)에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2d+2c; 1402)에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때, 서브 프레임(m1+2d+2c; 1402)이 앞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여야 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제 1 D2D 링크를 통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겹치면, 제 2 단말로부터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수신보다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 전송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2d+c)에서 제 2 단말에게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 1 단말은 전력낭비를 막기 위해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3d+2c; 1403)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3d+3c)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이후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정보를 기반으로 서브 프레임 (m1+4d+3c)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제 1 단말은 서브 프레임(m1+3d+2c; 1403)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3d+2c; 1403)에서 전송되는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으로서 전송되거나 항상 재전송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3d+2c; 1403)에서 전송되는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는 제 1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가 초전송인지 재전송인지 여부를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는 재전송을 나타내는 1로 가정하였다.
제 2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m2+2d+2c-a2; 1404)에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 (m2+2d+2c; 1405)에서 제 2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에 대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2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제 2 단말은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2+3d+2c; 1406)에서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에 따라 제 1 단말이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이 서브 프레임 (m1+3d+2c)에서 제 2 단말에게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제 2 단말은 서브 프레임(m2+3d+2c; 1406)에서 제 1 단말이 전송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복조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2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2+3d+2c; 1406)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2+3d+3c; 1407)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때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는 제 2 단말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 복조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을 가정하였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m1+3d+2c; 1403)에서 c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3d+3c; 1408)에서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복조한다. 제 1 단말은 제 1 D2D 링크의 수신성공여부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m1+3d+3c; 1408)에서 d개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m1+4d+3c; 1409)에서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1 단말이 수신한 제 1의 D2D 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의 상태는 ACK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초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0으로 하여,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와 제 1 D2D 링크의 새데이터지시자정보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후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각각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할당정보와 제 1 D2D 링크의 해제 수신할당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위에서 기술한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서 언급된 각 정보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한다. 3GPP에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이 될 수 있다. 송신할당정보와 수신할당정보는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3GPP에서 송신할당정보와 수신할당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가 될 수 있고,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은 PDCCH 또는 E-PDCCH(Enhanced PDCCH)가 될 수 있다. 데이터는 상향링크 물리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3GPP에서 상향링크 물리데이터채널은 PUSCH가 될 수 있다.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하향링크 HARQ 지시자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3GPP에서 하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HI(HARQ Indicator)가 될 수 있고, 하향링크 HARQ 지시자채널은 PHICH 또는 E-PHICH(Enhanced PHICH)가 될 수 있다.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 또는 상향링크 물리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3GPP에서 상향링크 수신성공여부정보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HARQ-ACK이 될 수 있고,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은 PUCCH가 될 수 있다.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에게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D2D 버퍼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제 2 단말은 제 2 기지국에게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D2D 버퍼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D2D 버퍼상태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단말에서 제 1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D2D 버퍼상태정보는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의 링크에 대한 D2D 버퍼상태정보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D2D 버퍼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D2D 버퍼상태정보는 이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제 1 단말이 D2D 버퍼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제 1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경우,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에게 자원요청을 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의 자원요청을 수신한 뒤, 제 1 기지국은 제 1 단말에게 상향링크 할당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제 1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할당정보에 따라 D2D 버퍼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제 1 단말은 D2D 버퍼상태정보 타이머를 관리한다. D2D 버퍼상태정보 타이머 값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제 1 기지국이 제 1 단말에게 전송한다. D2D 버퍼상태정보 타이머는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초기화된다. D2D 버퍼상태정보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단말은 D2D 버퍼상태정보를 트리거하고, D2D 버퍼상태정보의 값은 0으로 설정한다.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전력 제어
다음으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의 전력제어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D2D-PCCH(Physical Control Channel)는 단말 대 단말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채널을 의미하며, D2D-PSCH(Physical Shared Channel)는 단말 대 단말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의미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는 전송하지 않고 D2D-PSCH만 전송할 경우,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SCH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1
[dBm]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2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3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4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5
, MPR, A-MPR, P-MPR, P_PowerClass, delta TC 를 고려해 UE가 결정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6
는 서빙 셀 c의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7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8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SCH로 할당된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09
는 서빙 셀 c에서 셀별 설정 정보인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0
과 단말별 설정 정보인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1
의 합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2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3
는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여기에서 j는 0, 1, 2 값을 갖는데, j=0은 D2D-PSCH가 SPS 일 때를 나타내고, j=1은 D2D-PSCH가 동적 스케줄링 일 때를 나타내고, j=2는 D2D-PSCH가 RACH Message3 일 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4
는 D2D 링크의 경로 손실 추정 값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5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6
는 PM-SRS의 송신 전력으로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7
는 PM-SRS의 D2D-RSRP로 L3 필터링한 값이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8
는 경로 손실 보상 값으로 0에서 1사이의 값을 갖는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19
는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0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SCH의 MCS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1
는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는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2
를 D2D-PSCH 전력제어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3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TPC 명령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UE이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와 D2D-PSCH를 동시에 전송할 경우,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SCH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4
[dBm]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5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6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7
의 선형 값(linear value)이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8
Figure 112013006634849-pat00029
의 선형 값으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0
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SCH를 전송하지 않을 경우, TPC 명령의 누적을 위해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SCH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1
[dBm]은 하기 수학식 3과 같다고 가정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2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를 전송할 경우,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CCH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3
[dBm]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4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5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6
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7
는 서빙 셀 c에서 셀별 설정 정보인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8
과 단말별 설정 정보인
Figure 112013006634849-pat00039
의 합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0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1
는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2
는 D2D-PCCH 포맷 F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3
는 서빙 셀 c에서의 셀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D2D-PCCH 포맷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4
는 UE가 두 개의 안테나 포트로 D2D-PCCH를 전송할 때만 적용된다. UE가 하나의 안테나 포트로 D2D-PCCH를 전송할 때,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5
=0 이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6
는 서빙 셀 c의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7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TPC 명령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CSI-SRS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8
[dBm]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49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0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1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2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3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4
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5
는 서빙 셀 c에서 D2D-PSCH와의 전력 옵셋을 나타내는 값이다. 여기에서 m은 0, 1의 값을 갖는데, m=0은 CSI-SRS 트리거 타입 0을 나타내고, m=1은 CSI-SRS 트리거 타입 1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6
는 서빙 셀 c의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CSI-SRS 트리거 타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7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CSI-SRS로 할당된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PM-SRS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8
[dBm]는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59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0
는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1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2
, MPR, A-MPR, P-MPR, P_PowerClass, delta TC 를 고려해 UE가 결정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3
는 서빙 셀 c의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4
는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PM-SRS로 할당된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5
는 서빙 셀 c에서 셀별 설정 정보인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6
과 단말별 설정 정보인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7
의 합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8
Figure 112013006634849-pat00069
는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eNB가 UE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UE는 eNB에게 D2D-PHR를 전송한다. D2D-PHR은 UE가 자신의 최대 송신 전력에서 D2D 물리 채널을 전송하고 남은 전력을 의미한다.
D2D-PHR에는 주기적 D2D-PHR과 비주기적 D2D-PHR이 있다. 먼저 주기적 D2D-PHR에 대해서 설명한다. eNB는 UE에게 주기적 D2D-PHR의 주기 및 서브 프레임 옵셋을 RRC 시그널링으로 알려줄 수 있다. UE는 이 RRC 시그널링에 따라 주기적 D2D-PHR을 PUCCH를 통해 eNB에게 전송한다.
다음으로 비주기적 D2D-PHR에 대해서 설명한다. eNB는 UE에게 TX grant를 통해 비주기적 D2D-PHR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비주기적 D2D-PHR 요청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6 서브 프레임 뒤에 UE는 비주기적 D2D-PHR을 PUSCH를 통해 eNB에게 전송한다.
D2D-PHR에는 Mode1과 Mode2의 두 가지 모드가 있다. eNB가 UE에게 Mode2를 설정하면, UE는 Mode2의 D2D-PHR을 eNB에게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UE는 Mode1의 D2D-PHR을 eNB에게 전송한다. Mode2의 설정 정보는 단말별 설정 정보로 eNB가 UE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다.
D2D-PHR에는 두 가지 타입이 있다. 먼저 D2D-PHR 타입 1은 D2D-PSCH의 송신 전력만 고려한 것이다. 다음으로 D2D-PHR 타입 2은 D2D-PSCH와 D2D-PCCH의 송신 전력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D2D-PSCH와 D2D-PCCH의 동시 전송이 설정되면 UE는 D2D-PHR 타입 2를 eNB에게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UE는 D2D-PHR 타입 1을 eNB에게 전송한다.
D2D-PHR을 보고하는 서브 프레임 i에서 UE는 D2D-PSCH도 전송하지 않고, D2D-PCCH도 전송하지 않는다. 먼저 Mode1의 D2D-PHR 타입 1과 D2D-PHR 타입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1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0
[dBm]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1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2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2
[dBm]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3
다음으로 Mode2의 D2D-PHR 타입 1과 D2D-PHR 타입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D2D-PHR 타입 1에 대해서 설명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와 D2D-PSCH 중 가장 최근에 전송한 것이 D2D-PSCH만 있는 경우,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1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4
[dBm]는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5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6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7
에는 서브 프레임 i에서 가장 최근에 전송한 D2D-PSCH의 값을 적용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와 D2D-PSCH 중 가장 최근에 전송한 것이 D2D-PCCH와 D2D-PSCH의 동시 전송인 경우,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1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8
[dBm]는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79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0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1
에는 서브 프레임 i에서 가장 최근에 전송한 D2D-PSCH의 값을 적용한다.
다음으로 D2D-PHR 타입 2에 대해서 설명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와 D2D-PSCH 중 가장 최근에 전송한 것이 D2D-PCCH와 D2D-PSCH의 동시 전송인 경우,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2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2
[dBm]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3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4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5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6
에는 서브 프레임 i에서 가장 최근에 전송한 D2D-PSCH와 D2D-PCCH의 값을 적용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와 D2D-PSCH 중 가장 최근에 전송한 것이 D2D-PSCH만 있는 경우,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2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7
[dBm]는 하기 수학식 12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8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89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0
에는 서브 프레임 i에서 가장 최근에 전송한 D2D-PSCH의 값을 적용한다.
UE가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CCH와 D2D-PSCH 중 가장 최근에 전송한 것이 D2D-PCCH만 있는 경우, 서빙 셀 c의 서프프레임 i에서 D2D-PHR 타입 2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1
[dBm]는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2
여기에서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3
에는 서브 프레임 i에서 가장 최근에 전송한 D2D-PCCH의 값을 적용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4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5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6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7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8
,
Figure 112013006634849-pat00099
,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0
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1
,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2
,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3
,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4
는 위에서 설명한다.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5
는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D2D-PSCH만 전송됨을 가정하고
Figure 112013006634849-pat00106
, MPR, A-MPR, P-MPR, P_PowerClass, delta TC 등을 고려해 UE가 결정한다.
D2D-CSI 보고 방법
이하에서는, 앞서 '적응전송을 위한 SRS 송수신 제어와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에서 설명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이하에서는, 채널상태정보로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단말 대 단말 링크의 채널상태정보라는 의미에서 D2D-CSI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며, D2D-CSI의 생성을 위하여 단말들간에 송수신되는 SRS에 대하여 CSI-SRS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010)은 CSI-SRS 설정 정보(1020, 1021)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 1 단말(1011)과 제 2 단말(1012)에게 전송한다. 이는 앞서 '적응전송을 위한 SRS 송수신 제어와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에서 설명된 사운딩기준신호 송신설정 정보 및 수신설정 정보의 전송과 동일한 절차이다. 즉, CSI-SRS 설정 정보는 사운딩기준신호 송신설정 정보 또는 사운딩기준신호 수신설정 정보일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추가적으로 채널상태정보 보고 설정 정보(1030)를(D2D-CSI 보고 설정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 2 단말에게 추가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SRS 송수신 제어 방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CSI-SRS 설정 정보(1020)를 이용해 CSI-SRS(1040)를 전송한다.
제 2 단말 또한 기지국으로 수신한 CSI-SRS 설정 정보(1021)를 이용해 제 1 단말이 전송한 CSI-SRS를 수신한다. 제 2 단말(1012)는 수신한 CSI-SRS를 이용하여 생성한 채널상태정보를 D2D-CSI 보고(1050)로서 기지국(1010)에게 전송한다.
도 10에서, 제 1 단말(1011)과 제 2 단말(1012)은 동일한 기지국(1010)으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동일한 기지국에게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서로 다른 기지국에게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단말을 기준으로 채널상태정보의 보고 방법을 설명하나 제 1 단말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제 2 단말는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CSI-SRS를 기반으로 D2D-CSI를 계산하고, D2D-CSI 보고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D2D-CSI 보고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먼저, CSI-SRS에는 주기적(periodic) CSI-SRS가 있고, 비주기적(aperiodic) CSI-SRS가 있다. 주기적 CSI-SRS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이고, 비주기적 CSI-SRS는 한 번만 전송하는 것이다. 예컨대, CSI-SRS 트리거 타입(trigger type) 0은 비주기적 CSI-SRS를 의미하고, CSI-SRS 트리거 타입 1은 주기적 CSI-SRS를 의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SI-SRS 설정 정보는 셀별 CSI-SRS 정보와 단말별 CSI-SRS 정보가 있을 수 있고, LTE에서 정의된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단말별 CSI-SRS 정보는 srs-Bandwidth, srs-HoppingBandwidth, freqDomainPosition, srs-ConfigIndex, cyclicShift, transmissionComb, duration, srs-AntennaPort 등이 될 수 있고, 셀별 CSI-SRS 정보는 srs-BandwidthConfig, srs-SubframeConfig, srs-MaxUpPts가 등이 될 수 있다. 주기적 CSI-SRS 설정 정보와 비주기적 CSI-SRS 설정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D2D-CSI 보고에도 주기적 D2D-CSI 보고가 있을 수 있고, 비주기적 D2D-CSI 보고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중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기적 D2D-CSI 보고 방식에서는 단말은 RI, PMI, CQI를 서로 다른 주기(P1, P2)를 가지고 PUCCH 또는 PUSCH를 통해서 전송한다.
예컨대, 먼저 단말은 기지국에게 RI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말은 가장 최근에 기지국에게 보고한 RI를 가정하고 CQI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D2D-PSCH의 전송모드가 TM1일 때는 CQI만 전송하고, D2D-PSCH의 전송모드가 TM2일 때는 CQI와 PMI를 전송한다.
주기적 D2D-CSI 보고 설정 정보에는 CQI 전송주기, CQI 옵셋, RI 전송주기, RI 옵셋이 포함된다.
도 11에서, CQI 전송주기, CQI 옵셋, RI 전송주기, RI 옵셋은 각각 P1, Offset_CQI, P2, Offset_RI 이다. CQI 옵셋은 SFN #0의 서브 프레임 #0을 기준으로 설정되고, RI 옵셋은 CQI 옵셋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RI는 long-term 정보이므로 RI의 전송주기 CQI의 전송주기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RI의 전송주기 P2는 CQI의 전송주기 P1의 배수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비주기적 D2D-CSI 보고에서 UE는 RI, PMI, CQI의 모든 정보를 PUSCH를 통해서 전송한다.
eNB는 UE에게 비주기적 D2D-CSI 보고를 전송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비주기적 D2D-CSI 보고 요청을 수신한 UE는 비주기적 D2D-CSI 보고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RI, PMI, CQI의 모든 정보를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통해서 전송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제 1 기지국 220: 제 2 기지국
211: 제 1 단말 221: 제 2 단말
230: 중앙 제어국

Claims (20)

  1.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제 1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n)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3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로부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o)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4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p)의 서브 프레임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가 초전송에 의한 것인지 재전송에 의한 것인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release)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해제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5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과 충돌(collision)할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의 전송이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의 수신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n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7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제 2 D2D 링크의 버퍼 상태(buffer status)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와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성공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이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한 최초의 전송일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은 항상 초전송 또는 항상 재전송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이 상기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한 최초의 전송일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 데이터 전송은 이전에 전송된 제 2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성공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5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6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과 충돌(collision)할 경우,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의 전송이 상기 제 1 D2D 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 정보 전송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6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n2)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7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활성화 송신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에게 제 2 D2D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제 1 D2D 링크를 통한 제 2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과 제 2 D2D 링크를 통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제 1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 할당 정보 또는 상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x)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해제 송신 할당 정보 또는 상기 해제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수신 또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 2 단말로의 수신성공여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서브 프레임이 충돌할 경우, 상기 상기 해제 송신 할당 정보 또는 해제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의 전송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2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2 링크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 또는 항상 재전송으로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D2D 링크의 해제 송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2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2 링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된 제 2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1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1 링크 데이터는 항상 초전송 또는 항상 재전송으로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D2D 링크의 해제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한 이후의 상기 제 1 D2D 링크를 통한 최초의 제 1 링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된 제 1 D2D 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초전송 또는 재전송으로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8.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을 위한 서브 프레임 주기 정보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제 1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m)의 서브 프레임 이후의 제 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수신 할당 정보와 상기 초전송을 위한 서브 프레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로부터 초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초전송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초전송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상기 초전송을 위한 서브 프레임 주기 정보에 기초한 초전송을 위한 서브 프레임인 경우, 상기 초전송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130007519A 2012-01-25 2013-01-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KR10199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48,110 US9185733B2 (en) 2012-01-25 2013-01-23 Method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7403 2012-01-25
KR1020120007403 2012-01-25
KR1020120023255 2012-03-07
KR20120023255 2012-03-07
KR20120051849 2012-05-16
KR1020120051849 2012-05-16
KR20120095549 2012-08-30
KR1020120095549 201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58A KR20130086558A (ko) 2013-08-02
KR101999094B1 true KR101999094B1 (ko) 2019-07-11

Family

ID=492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19A KR101999094B1 (ko) 2012-01-25 2013-01-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85733B2 (ko)
KR (1) KR101999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55B1 (ko) * 2012-03-22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2856797A1 (en) * 2012-05-31 2015-04-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to-device (d2d) link adaptation
US9554296B2 (en) * 2012-08-03 2017-01-24 Intel Corporation Device trigger recall/replace feature for 3GPP/M2M systems
US9526022B2 (en) 2012-08-03 2016-12-20 Intel Corporation Establishing operating system and application-based routing policies in multi-mode user equipment
US8913518B2 (en) 2012-08-03 2014-12-16 Intel Corporation Enhanced node 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US9036603B2 (en) 2012-08-03 2015-05-19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an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US9191828B2 (en) 2012-08-03 2015-11-17 Inte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distributed device-to-device (D2D) channel access
WO2014077745A1 (en) * 2012-11-14 2014-05-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direct mode communication between user|equipments
US9680522B2 (en) * 2013-05-09 2017-06-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reconfiguration of uplink transmission in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55467B2 (en) * 2013-06-27 2018-04-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B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UE, and method and UE for handling control information
WO2015005742A1 (ko) * 2013-07-12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83542B2 (en) * 2013-07-30 2018-0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link adap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183148B2 (ja) * 2013-10-24 2017-08-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GB2534786B (en) 2013-10-28 202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61527B1 (ko) * 2013-11-06 201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핑 시퀀스 기반의 d2d 통신 방법 및 장치
US9521629B2 (en) 2013-12-02 2016-12-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of terminal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3648103A (zh) * 2013-12-20 2014-03-19 上海交通大学无锡研究院 一种网络覆盖下有网络协助的d2d通信技术的信令控制方法
EP3105978B1 (en) * 2014-02-10 2019-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network assisted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itigation of d2d communications
CN104853339A (zh) * 2014-02-19 2015-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的方法及装置
CN106575994B (zh) * 2014-03-18 2020-12-11 夏普株式会社 无线接入节点及其方法、无线终端及其方法
JP6533529B2 (ja) 2014-03-18 2019-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装置および方法
US10237852B2 (en) 2014-03-19 2019-03-19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id method (as amended)
US9668288B2 (en) * 2014-03-19 2017-05-30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device-to-device ope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JP6483154B2 (ja) 2014-05-01 2019-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装置および方法
EP3141038B1 (en) 2014-05-08 2020-07-22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to devic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20170086238A1 (en) * 2014-05-15 2017-03-23 Lg Electronics Inc. As-nas interaction method for d2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67131B2 (en) * 2014-06-27 2018-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measurement by device-to-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702942B2 (ja) 2014-08-06 2020-06-0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d2d)プリエンプションおよびアクセス制御
AU2015301066B2 (en) 2014-08-06 2019-02-07 Sharp Kabushiki Kaisha Synchronization signal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5517159A (zh) * 2014-09-25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d2d处理的方法及装置
EP3217752B1 (en) * 2014-11-03 2020-08-05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of device to 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87370B1 (ko) 2014-12-23 2021-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및 그것의 자원 할당 방법
US9706524B2 (en) * 2014-12-24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scheduling for D2D multicas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60295627A1 (en) * 2015-04-01 2016-10-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porting for direct link quality assessment
US10630449B2 (en) * 2016-02-05 2020-04-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eer-to-peer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L3485597T3 (pl) * 2017-01-09 2020-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y i sposoby dla niezawodnego dynamicznego wskazywania dla półtrwałych CSI-RS
US10677386B2 (en) * 2017-08-30 2020-06-09 Crestron Electronics, Inc. Swivel mount for electronic devices
CN111279768B (zh) * 2017-09-28 2023-11-14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侧链路上的探测参考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CN110167123B (zh) * 2018-02-14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US11424793B2 (en) * 2018-07-13 2022-08-23 Lenovo (Beijing) Limited SRS configurations and SRS transmission
US11503589B2 (en) * 2018-07-20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Front loaded SRS
US11190248B2 (en) * 2019-03-18 2021-11-30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techniques in sidelink wireless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479B2 (en) 2007-07-1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estimation and rate feedback in a peer to peer network
US8331249B2 (en) 2007-07-10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peer to peer system where device communications may partially interfere with one another
US8744457B2 (en) * 2008-04-17 2014-06-03 Unwired Planet, Llc Unique radio bearer (RB) procedure
PL3179665T3 (pl) * 2008-11-04 2021-11-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osób w systemie komunikacji bezprzewodowej
US20100215011A1 (en) * 2009-02-26 2010-08-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 resource assignment mode for a plurality of component carriers
US9351340B2 (en) 2009-04-08 2016-05-2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1145857A2 (ko) * 2010-05-18 2011-1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연결 통신 및 단말 릴레이를 위한 단말간 직접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8929267B2 (en) * 2011-08-25 2015-0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in idle mode using identifier type
GB2497916B (en) * 2011-11-11 2014-06-25 Broadcom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monitoring for discovery signals
GB2497734B (en) * 2011-12-16 2014-11-26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to an uplink re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58A (ko) 2013-08-02
US9185733B2 (en) 2015-11-10
US20140004867A1 (en)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0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CN110291739B (zh) 侧链路资源信令的传输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介质
KR101863203B1 (ko)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516660B2 (en) Channel quality signaling for semi-persistent radio resource allocations
EP3723443B1 (en) Medium access control signalling for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EP3373680B1 (en) Resource scheduling in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systems
JP6054446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伴うack/nackフォーマットについての電力制御
US9699589B2 (en) Managing sessions for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US9414427B2 (en) Link adapt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ased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170508B (zh) 处理与ack/nack重复信号的调度请求冲突
KR102035402B1 (ko) 자동 재송신 요청(arq) 피드백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 무선 장치 및 그 방법들
WO2015114952A1 (ja) 基地局、送信方法、移動局及び再送制御方法
KR201201244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247385B1 (ko)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비, 및 단말 장비
JP6886399B2 (ja) 無線端末、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EP3123647B1 (en) Enhancing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CN111316750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无线电接入网络节点、无线设备、方法和软件
KR20180098611A (ko) 밀리미터파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CN111525988A (zh) 一种反馈方法及终端设备
CN114745793A (zh) 传输数据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