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165B1 -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165B1
KR101998165B1 KR1020170138138A KR20170138138A KR101998165B1 KR 101998165 B1 KR101998165 B1 KR 101998165B1 KR 1020170138138 A KR1020170138138 A KR 1020170138138A KR 20170138138 A KR20170138138 A KR 20170138138A KR 101998165 B1 KR101998165 B1 KR 10199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wheel
trailer
power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483A (ko
Inventor
김병회
Original Assignee
김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회 filed Critical 김병회
Priority to KR102017013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1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9/00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 B62D59/02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driven from external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개시되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레저용 트레일러의 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퀴 접촉 부재와, 동력 부재와, 이동 부재와, 고정 프레임 부재와,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에서 바퀴의 크기 및 바퀴 장착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별도의 연결 지그 없이 일정 각도 조절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의 중심 및 상기 바퀴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해짐으로써, 상기 동력 부재의 동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거쳐 상기 바퀴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의 효율적인 견인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Angle adjustable tow apparatus of trailer for leisure}
본 발명은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용 트레일러는 캠핑카, 보트 트레일러 등 동력 없이 자동차 등 견인차에 연결하여 캠핑용 하우스, 캠핑용품, 보트 등을 실어나를 수 있는 것이고,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무동력의 레저용 트레일러가 견인차와 분리된 상태에서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저용 트레일러의 선단에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레저용 트레일러의 견인 장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아래 제시된 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의 바퀴와 접촉되는 바퀴 접촉 부재와,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구동시키는 동력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 부재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바퀴도 함께 구동됨으로써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퀴에 최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선 상기 바퀴 접촉 부재의 구동력 전달 방향이 상기 바퀴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레저용 트레일러에 결합되는 특성 상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설치 위치는 고정되는데 만약, 바퀴의 크기 및 바퀴 장착 위치가 상이한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때에는 바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와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지그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상기 연결 지그는 탈착의 불편함과 함께, 상기 연결 지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617365호, 등록일자: 2016.04.26., 발명의 명칭: 트레일러 견인장치 등록특허 제 10-1260794호, 등록일자: 2007.06.20., 발명의 명칭: 트레일러형 캠핑카
본 발명은 레저용 트레일러에서 바퀴의 크기 및 바퀴 장착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별도의 연결 지그 없이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구동력이 최대로 레저용 트레일어에 전달되어 레저용 트레일러의 효율적인 견인이 가능한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레저용 트레일러의 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바퀴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어 상기 바퀴가 구동되도록 하는 바퀴 접촉 부재; 상기 바퀴 접촉 부재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부재;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도록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이동시켜 주는 이동 부재;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 접촉 부재와 상기 동력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퀴 접촉 부재 사이에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와 연결된 상기 동력 부재가 결합된 이동 부재 몸체와, 상기 이동 부재 몸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을 밀거나 당기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는 이동 수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부재는 그 내부에 일정 길이 길게 관통된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 브래킷과,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평행 고정부와,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 고정부와,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평행 고정부와 상기 회전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이동 축과,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평행 고정부와 상기 회전 고정부에 고정되면서 자세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축이 관통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회동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 몸체가 상기 이동 수단을 밀어주면, 상기 이동 수단이 밀리면서 상기 이동 부재 몸체도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에 연결된 상기 동력 부재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 수단 몸체가 상기 이동 수단을 당겨주면, 상기 이동 수단이 당겨지면서 상기 이동 부재 몸체도 당겨지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에 연결된상기 동력 부재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 쪽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상기 이동 축이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회동 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평행 고정부에 고정되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부재 몸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대해 평행한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 축이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회동 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고정부에 고정되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부재 몸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의하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레저용 트레일러의 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퀴 접촉 부재와, 동력 부재와, 이동 부재와, 고정 프레임 부재와,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별도의 연결 지그 없이 일정 각도 조절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의 중심과 상기 바퀴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해짐으로써, 상기 동력 부재의 동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거쳐 상기 바퀴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의 효율적인 견인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의 일부와 고정 프레임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바퀴 접촉 부재와, 동력 부재 및 이동 부재가 전진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일정 각도 회전되어 레저용 트레일러 바퀴와 접촉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적용된 연성 축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의 일부와 고정 프레임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바퀴 접촉 부재와, 동력 부재 및 이동 부재가 전진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일정 각도 회전되어 레저용 트레일러 바퀴와 접촉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는 캠핑카, 보트(20) 트레일러 등 동력 없이 자동차 등 견인차에 연결하여 캠핑용 하우스, 캠핑용품, 보트 등을 실어나를 수 있는 레저용 트레일러(10)의 바퀴(15)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퀴 접촉 부재(110)와, 동력 부재(115)와, 이동 부재(130)와,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각도 조절 부재(141)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는 상기 바퀴(15)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어 상기 바퀴(15)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는 일정 길이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퀴(15)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구동되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접촉된 상기 바퀴(15)가 함께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의 외주는 상기 바퀴(15)와 접촉될 때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요철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부재(115)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에 공급되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구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상기 동력 부재(115) 사이에서 양 측 말단부가 각각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 및 상기 동력 부재(115)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 부재에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는 각 기어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이가 서로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는 원동 기어와 종동 기어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는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직교되는 두 축 사이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베벨 기어 또는 웜 기어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는 케이스(121)와, 공급측 회전축(123)과, 공급측 기어 수단(122)과, 전달측 기어 수단(124)과, 전달측 회전축(125)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1)는 상기 동력 부재(115)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 부재(115)를 고정시키고, 그 내부는 빈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의 구성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측 회전축(123)은 상기 동력 부재(115)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공급측 기어 수단(122)은 상기 공급측 회전축(123)의 일측 말단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에는 복수 개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측 회전축(123)과 상기 공급측 기어 수단(122)은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에 의해 상기 동력 부재(115)의 회전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달측 기어 수단(124)은 상기 공급측 기어 수단(122)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그 외주에 기어 이가 형성되어 상기 공급측 기어 수단(122)과 맞물리되, 상기 전달측 기어 수단(124)과 상기 공급측 기어 수단(12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이 상기 동력 부재(115)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전달측 회전축(125)은 상기 전달측 기어 수단(124)의 일측 면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을 필요한 대상체에 전달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측 회전축(125)에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은 상기 동력 부재(115)의 회전축과 직각된 형태로 위치된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에 전달된다.
상기 이동 부재(1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상기 바퀴(15)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도록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를 이동시켜 주는 것으로, 이동 부재 몸체(131)와, 이동 수단(132)과, 이동 수단 몸체(13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연결된 상기 동력 부재(115)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이동 수단(132)은 일정 길이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는 내부가 빈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수단(132)을 밀거나 당기는 동력을 제공하고 후술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이동 수단(132)을 밀어주면, 상기 이동 수단(132)이 밀리면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도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결합된 상기 동력 부재(115)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상기 바퀴(15) 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이동 수단(132)을 당겨주면, 상기 이동 수단(132)이 당겨지면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도 당겨지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결합된 상기 동력 부재(115)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상기 바퀴(15) 쪽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이동 수단(132)을 밀어주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결합된 상기 동력 부재(115)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상기 바퀴(15) 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이동 수단(132)을 당겨주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결합된 상기 동력 부재(115)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상기 바퀴(15) 쪽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 및 상기 동력 부재(115)와 연결되므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 및 상기 동력 부재(115)와 함께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는 일정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가 일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서로 마주보며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한 쌍의 측벽(111)과, 한 쌍의 상기 측벽(111)의 저면이 일정 면적의 저면 플레이트(112)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전체 형상은 'ㄷ'자가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이동 수단(132)과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에는 이동 수단용 고정부(116)와, 이동 축 관통 홀(137)과, 후측 이동 축 관통 홀(139)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수단용 고정부(116)는 상기 이동 수단(132)의 전방 말단부에 형성된 이동 수단측 홀(134)을 관통한 이동 수단 고정 축(136)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동 수단 고정 축(136)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한 쌍의 상기 측벽(111) 중 하나의 측벽을 관통한 다음, 상기 이동 수단측 홀(134)을 관통하고,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한 쌍의 상기 측벽(111) 중 관통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측벽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132)이 이동될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이동 수단(13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 수단측 홀(134)을 관통한 상기 이동 수단 고정 축(136)은 상기 이동 수단용 고정부(116)에 나사산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 수단 고정 축(136)의 양 끝 말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한 쌍의 상기 측벽(111)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축 관통 홀(137)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 중 상대적으로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가까운 쪽에서 한 쌍의 상기 측벽(111)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고, 후술될 이동 축(147)이 한 쌍의 상기 측벽(111)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 축(147)은 한 쌍의 상기 측벽(111)의 이격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외곽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이동 축(147)의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후측 이동 축 관통 홀(139)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 중 상대적으로 상기 동력 부재(115)와 가까운 쪽에서 한 쌍의 상기 측벽(111)에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길이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후측 이동 축(138)이 한 쌍의 상기 측벽(111)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은 한 쌍의 상기 측벽(111)의 이격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외곽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의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면 번호 135는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 고정 홀이고, 도면 번호 148은 일정 길이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135)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축(148)이다.
상세히, 상기 고정 축(148)은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축(148)이 상기 고정 홀(13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고정부(149)에 나사 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가 상기 고정 축(148)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수단(132)이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면, 상기 이동 수단(132)과 연결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밀리거나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결합된 상기 동력 부재(115)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함께 상기 바퀴(15) 쪽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바퀴(15) 쪽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는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상기 동력 부재(115)와 상기 이동 부재(130)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가 일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1 측벽(151)과 마주보며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 1 측벽(15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제 2 측벽(152)과 상기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2 측벽(152)의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2 측벽(152)의 저면을 연결하는 저면 연결 플레이트(1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전체 형상은 'ㄷ'자가 세워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후방 말단부에는 상기 고정 축(148)이 연결되는 상기 고정부(149)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149)는 상기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2 측벽(152)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축이 상기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2 측벽(152)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149) 중 하나를 관통하고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의 고정홀을 관통한 다음, 상기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2 측벽(152)의 상기 고정부(149) 중 상기 고정 축이 관통되지 않은 상기 고정부(149)에 연결되고, 그로 인해 상기 이동 수단 몸체(133)를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149)는 한 쌍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축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축이 상기 고정부(149)에 나사산의 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축의 양측 말단부가 상기 고정부(149)에 용접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후방 말단부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긴 후측 가이드 홀(146, 156)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에 형성된 상기 후측 이동 축 관통 홀(139)을 관통한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의 일부가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에 걸려,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이 형성된 길이와 동일하게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은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측벽(151)에는 제 1 측벽 후측 가이드 홀(146)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측벽(152)에 제 2 측벽 후측 가이드 홀(156)을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은 상기 후측 이동 축 관통 홀(139)을 관통한 다음 양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고,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의 돌출된 양 측 부분이 각각 상기 제 1 측벽 후측 가이드 홀(146)과, 상기 제 2 측벽 후측 가이드 홀(156)에 걸리게 되고,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이 연결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제 1 측벽 후측 가이드 홀(146)과, 상기 제 2 측벽 후측 가이드 홀(156)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선형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 조절 부재(141)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 사이에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각도 조절 부재(141)는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과, 평행 고정부(144, 154)와, 회전 고정부(145, 155)와, 고정 수단(164, 169)과, 이동 축(147)과, 회동 홀(143, 153)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은 그 내부에 일정 길이 길게 관통된 가이드 홀(163, 168)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는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는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수단(164, 169)은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와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축(147)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홀(163, 168)을 관통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 홀(143, 153)은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와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에 고정되면서 자세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축(147)이 관통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축(147)이 상기 가이드 홀(163, 168)과 상기 회동 홀(143, 153)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고정 수단(164, 169)에 의해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에 고정되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 및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대해 평행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이동 축(147)이 상기 가이드 홀(163, 168)과 상기 회동 홀(143, 153)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고정 수단(164, 169)에 의해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에 고정되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 및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가 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과,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와,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와, 상기 고정 수단(164, 169)과, 상기 회동 홀(143, 153)은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의 용이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 1 측벽(151)과, 상기 제 2 측벽(152)에 각각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과,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 및 제 1 측벽측 회전 고정부(145)와,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과, 제 1 측벽측 회동 홀(143)은 상기 제 1 측벽(151)에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것이고,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과, 제 2 측벽측 평행 고정부(154) 및 제 2 측벽측 회전 고정부(155)와,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과, 제 2 측벽측 회동 홀(153)은 상기 제 2 측벽(152)에서 상기 제 1 측벽측(151)의 각각 형성된 위치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거나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일정 길이 길게 관통된 제 1 측벽측 가이드 홀(163)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은 일정 면적의 넓은 플레이트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 측벽측 몸체(161)와, 상기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이 관통되는 제 1 측벽측 관통 홀(16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벽측 관통 홀(162)은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는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이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을 관통한 후 연결되어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과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가 평행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상기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측벽측 관통 홀(162)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벽측 회전 고정부(145)는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측벽측 회전 고정부(145)는 상기 제 1 측벽(151)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이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을 관통한 후 연결되되, 상기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에 비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벽측 고정 수단(164)은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상기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와 상기 제 1 측벽측 회전 고정부(145)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볼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측 회동 홀(143)은 상기 제 1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0)이 제 1 측벽측 평행 고정부(144)와 상기 제 1 측벽측 회전 고정부(145)에 고정되면서 자세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축(147)이 관통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측벽측 회동 홀(143)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 쪽의 외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면서 원주가 길어지는 방사형의 부채꼴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로 인해 상기 이동 축(147)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간섭 없이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일정 길이 길게 관통된 제 2 측벽측 가이드 홀(168)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은 일정 면적의 넓은 플레이트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2 측벽측 몸체(166)와, 상기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이 관통되는 제 2 측벽측 관통 홀(167)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벽측 평행 고정부(154)는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측벽측 평행 고정부(154)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이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을 관통한 후 연결되어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고정되되,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과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가 평행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상기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측벽측 회전 고정부(155)는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측벽측 회전 고정부(155)는 상기 제 2 측벽(152)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이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을 관통한 후 연결되되, 상기 제 2 측벽측 평행 고정부(154)에 비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벽측 고정 수단(169)은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이 상기 제 2 측벽측 평행 고정부(154)와 상기 제 2 측벽측 회전 고정부(155)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볼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벽측 회동 홀(153)은 상기 제 2 측벽측 각도 조절 브래킷(165)이 상기 제 2 측벽측 평행 고정부(154)와 상기 제 2 측벽측 회전 고정부(155)에 고정되면서 자세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축(147)이 관통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측벽측 회동 홀(153)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 쪽의 외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면서 원주가 길어지는 방사형의 부채꼴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로 인해 상기 이동 축(147)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간섭 없이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 축(147)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그 일부가 걸려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이동 축(147)은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전방 말단부에 형성된 상기 이동 축 관통 홀(137)을 관통한 다음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양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고, 상기 이동 축(147)의 돌출된 부분 중 일 측은 후술되는 제 1 측벽측 회동 홀(143)을 관통한 다음, 상기 제 1 측벽측 가이드 홀(163)에 그 일부분이 걸리게 되고, 상기 이동 축(147)의 돌출된 부분 중 타 측은 상기 제 2 측벽측 회동 홀(153)을 관통한 다음, 제 2 측벽측 가이드 홀(168)에 그 일부분이 걸리게 되고, 상기 이동 축(147)이 연결된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제 1 측벽측 가이드 홀(163)과 상기 제 2 측벽측 가이드 홀(168)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축(147)이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과,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에 형성된 이동 축 관통 홀(137)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그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걸려 상기 이동 축(147)과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함께 상기 가이드 홀(163, 168)을 따라서 선형 이동되고,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고정 수단(164, 169)에 의해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에 고정되면, 상기 가이드 홀(163, 168)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가이드 홀(163, 168) 내에서 상기 이동 축(147)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평행하게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도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상기 고정 수단(164, 169)에 의해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에 고정되면, 상기 가이드 홀(163, 168)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일정 각도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경사진 상기 가이드 홀(163, 168) 내에서 상기 이동 축(147)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도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을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와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만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바퀴(15)의 크기에 따라 경사각이 다른 복수 개의 회전 고정부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이 복수 개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는 견인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양측의 상기 바퀴(15)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01은 양 측의 상기 바퀴(15)에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를 장착할 때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의 장착 방향이 동일하게 하고, 상기 바퀴(15) 구동 시 상대적으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 측의 상기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는 상기 동력 부재(115)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17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3)는 상기 동력 부재(115)에 동력 공급 및 동력 공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명령 전달부(174)와, 상기 명령 전달부(174)에서 일정 길이 긴 전원 케이블(175)이 연장되고, 상기 전원 케이블(175)의 일 측 말단부에는 상기 동력 부재(115)의 수신 커넥터(171)와 연결될 수 있는 발신 커넥터(176)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72는 상기 동력 부재(115)와 상기 수신 커넥터(171)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 케이블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3)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의 견인 시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근거리에서 작동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에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를 장착한다.
만약,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가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을 상기 고정 수단(164, 169)을 이용하여 상기 평행 고정부(144, 154)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 부재(130)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3)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수단(132)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이동 수단(132)과 연결된 상기 이동 부재(130)와, 상기 동력 부재(115)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 축(147)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걸려 있음으로 인해 상기 이동 수단(132)이 이동될 때 상기 이동 부재(130)도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150)와 평행하게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이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에 걸린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130)는 상기 가이드 홀(163, 168)과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 두 지점에서 가이드 되어 상기 이동 부재(130)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는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의해 제한되는 거리까지 이동하거나,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의해 제한되는 거리까지 이동하기 전에 상기 바퀴(15)와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이동 수단(132)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런 다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3)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 부재(115)에 동력 공급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를 통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에 전달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가 견인 가능하게 된다.
만약, 상기 바퀴(15)의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야 될 경우엔, 상기 고정 수단(164, 169)을 이용하여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160, 165)을 상기 회전 고정부(145, 155)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걸린 상기 이동 축(147)이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 축(147)과 연결된 상기 이동 부재(130)와, 상기 동력 부재(115)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0)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가 함께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 축(147)이 상기 이동 부재 몸체(131)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홀(163, 168)에 걸려 있음으로 인해 상기 이동 수단(132)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선형 이동될 때 상기 이동 부재(130)도 함께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후측 이동 축(138)이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에 걸린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130)는 상기 가이드 홀(163, 168)과 상기 후측 가이드 홀(146, 156) 두 지점에서 가이드 되어 상기 이동 부재(130)는 일정 각도 회전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의 견인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3)에 상기 이동 부재(13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명령을 인가하면, 상기 이동 부재(130)는 상기 바퀴(15)가 위치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와 상기 바퀴(15)는 접촉 해제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를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에서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에서 바퀴의 크기 및 바퀴 장착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100)가 별도의 연결 지그 없이 일정 각도 조절되어 상기 이동 부재(130)의 이동 방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의 중심 및 상기 바퀴(15)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해짐으로써, 상기 동력 부재(115)의 동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110)를 거쳐 상기 바퀴(15)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의 효율적인 견인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적용된 연성 축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200)는 레저용 트레일러(10)의 바퀴(15)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퀴 접촉 부재(210)와, 이동 부재(230)와, 고정 프레임 부재(250)와, 동력 부재(215)와, 연성 축 부재(28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200)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와 상기 동력 부재(215)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접촉 부재에 상기 동력 부재(215)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는 상기 바퀴(15)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어 상기 바퀴(15)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 부재(230)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가 상기 바퀴(15)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도록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를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250)는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와 상기 이동 부재(230)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 부재(215)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축 부재(285)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와 상기 동력 부재(215)의 이격된 거리를 연결시키되, 그 자체가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성 축 부재(285)는 상기 연성 축 부재(285)가 임의로 휘어지더라도 상기 동력 전달 부재(220)와, 상기 동력 부재(215)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성 축 부재(285)의 양 측에 분리 방지용 연성체(281)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가 상기 동력 전달 부재(220)와 결합되므로, 상기 연성 축 부재(285)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가 연결된 상기 동력 전달 부재(220)와 상기 동력 부재(215)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성 축 부재(285)는 상기 연성 축 부재(285)가 임의로 휘어지더라도 상기 동력 전달 부재(220)와, 상기 동력 부재(215)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성 축 부재(285)의 양 측에 분리 방지용 연성체(281)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동력 부재(215)가 상기 연성 축 부재(285)를 이용해 원거리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강이나 바다 등의 물이 있는 장소에서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를 견인할 때 상기 동력 부재(215)가 상기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보트 등의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강이나 바다 등에 입수하게 되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 및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까지 함께 입수하게 되는데, 이는 전기 모터 등의 동력 원재가 고장나거나, 사용자가 상기 동력 원재 전기로 인해 감전되는 인명 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부재(215)를 상기 물에 닿지 않도록 수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동력 부재(215)를 보호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동력 부재(215)의 동력은 상기 연성 축 부재(285)를 통하여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도면 번호 50은 상기 보트(20)를 이동할 때 용이하도록 상기 보트(20)의 측벽에 설치되는 이동용 프레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 부재(215)를 상기 이동용 프레임(50)에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력 부재(216)를 상기 보트(2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성 축 부재(285)는 그 내부에 전기 신호선(286)이 위치되고, 상기 전원 연결 선의 외주에 복수 개의 보호용 케이블을 대각선 방향으로 둘러싸되, 그 대각선 방향이 서로 교차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호용 케이블(287)은 우측 상방의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전기 신호선(286)을 감싸게 되고, 제 2 보호용 케이블(288)은 상기 제 1 보호용 케이블(287)의 외곽을 감싸되, 좌측 상방의 대각선 방향으로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보호용 케이블(287)이 감긴 방향과 상기 제 2 보호용 케이블(288)이 감가니 방향이 서로 교차되면서 감기게 되면, 상기 연성 축 부재(285)는 휘어짐이 발생할 때, 휘어지는 방향 외의 다른 방향에서는 상기 전기 신호선(286)을 받쳐 주게 되어 탄성력이 형성된 탄성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손상 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200)를 구성하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210)와 상기 동력 부재(215)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연성 축 부재(285)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강이나 바다의 입수 시에도 상기 동력 부재(215)의 손상 없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10)를 안정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37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373)는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신호 발신체(374)와, 신호 수신체(375)와 발신 커넥터(376)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발신체(374)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입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블루투스 리모콘 및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체(375)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블루투스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발신 커넥터(376)는 상기 신호 수신체(375)와 결합되고,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구성하는 동력 부재(315)에 형성된 수신 커넥터(371)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수신체(375)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 부재(315)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번호 372는 상기 동력 부재(315)와 상기 수신 커넥터(371)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 케이블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전진을 위해 전진 방향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신호 발신체(374)로부터 발신되고 상기 신호 수신체(375)에 수신된 후 상기 발신 커넥터(376)와 상기 수신 커넥터(371)를 거쳐 상기 동력 부재(315)에 그 신호가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동력 부재(315)는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의하면, 레저용 트레일러에서 바퀴의 크기 및 바퀴 장착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가 별도의 연결 지그 없이 일정 각도 조절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의 중심 및 상기 바퀴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해짐으로써, 상기 동력 부재의 동력이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거쳐 상기 바퀴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의 효율적인 견인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레저용 트레일러
15 : 바퀴
20 : 보트
100 :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110 : 바퀴 접촉 부재
115 : 동력 부재
120 : 동력 전달 부재
130 : 이동 부재
141 : 각도 조절 부재
150 : 고정 프레임 부재

Claims (5)

  1. 레저용 트레일러의 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바퀴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어 상기 바퀴가 구동되도록 하는 바퀴 접촉 부재;
    상기 바퀴 접촉 부재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부재;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도록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이동시켜 주는 이동 부재;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 접촉 부재와 상기 동력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퀴 접촉 부재 사이에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바퀴 접촉 부재와 연결된 상기 동력 부재가 결합된 이동 부재 몸체와,
    상기 이동 부재 몸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을 밀거나 당기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는 이동 수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부재는
    그 내부에 일정 길이 길게 관통된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 브래킷과,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평행 고정부와,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 고정부와,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평행 고정부와 상기 회전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이동 축과,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평행 고정부와 상기 회전 고정부에 고정되면서 자세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축이 관통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회동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 몸체가 상기 이동 수단을 밀어주면, 상기 이동 수단이 밀리면서 상기 이동 부재 몸체도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에 연결된 상기 동력 부재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 수단 몸체가 상기 이동 수단을 당겨주면, 상기 이동 수단이 당겨지면서 상기 이동 부재 몸체도 당겨지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몸체에 연결된상기 동력 부재 및 상기 바퀴 접촉 부재가 상기 바퀴 쪽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상기 이동 축이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회동 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평행 고정부에 고정되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부재 몸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대해 평행한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 축이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회동 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이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고정부에 고정되면, 상기 각도 조절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부재 몸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 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상기 동력 부재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5. 삭제
KR1020170138138A 2017-10-24 2017-10-24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KR10199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38A KR101998165B1 (ko) 2017-10-24 2017-10-24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38A KR101998165B1 (ko) 2017-10-24 2017-10-24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483A KR20190045483A (ko) 2019-05-03
KR101998165B1 true KR101998165B1 (ko) 2019-07-09

Family

ID=6658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138A KR101998165B1 (ko) 2017-10-24 2017-10-24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1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445A (ja) * 2001-11-15 2003-05-21 Bettcher Industris Inc フレキシブルシャフト駆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5003313D1 (de) * 2005-04-18 2008-04-30 Truma Geraetetechnik Gmbh & Co Hilfsantrieb für einen Fahrzeuganhänger mit einseitig gelagerter Antriebsrolle
DK2336011T3 (da) * 2009-12-18 2014-09-22 Carman Entpr Co Ltd Hjælpedrev til en anhænger
DE202012010078U1 (de) * 2012-10-22 2013-01-10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Rangierantrieb mit intelligenter Zentraleinheit
KR101260794B1 (ko) 2013-02-05 2013-05-06 주식회사 케이에스메탈 트레일러형 캠핑카
KR101617365B1 (ko) 2013-11-21 2016-05-02 (주)오토일렉스 트레일러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445A (ja) * 2001-11-15 2003-05-21 Bettcher Industris Inc フレキシブルシャフト駆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483A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887B1 (en) Winch for boat trailer
JP6347529B2 (ja) 乗物にトレーラーを連結または乗物からトレーラーを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5072962A (en) Front/rear mounted portable load-bearing winch
US7273207B2 (en) Bi-directional winch
US6945343B1 (en) Motorized trailer wheel with direct drive and trailer incorporating same
US3734539A (en) Apparatus for aligning the coupling on separate vehicles
US5571977A (en) Process and device for inspecting and/or servicing and repairing subsidiary canals branching off from a main drain
US864614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US20100187489A1 (en) Connector assembly for a trailer
USRE38999E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ateral sewer pipes
US6619671B1 (en) Power wheel for a trailer tongue jack
US7451841B2 (en) Mobile trailer hitching apparatus
KR101898273B1 (ko) 트레일러 견인장치
US20070145712A1 (en) Multi-compartmental winch device
CN106043143B (zh) 用于车辆的自行车装载系统
KR101998165B1 (ko) 각도 조절형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US4363590A (en) Power operated boat loading/unloading marine trailer
US11021349B2 (en) Utility vehicle having collapsible game hanger apparatus
KR101862103B1 (ko) 수륙양용 보트 견인용 트레일러
KR102007332B1 (ko) 견인프레임 수납 기능을 가진 카라반
EP1847436A1 (en) Pallet truck
GB2436824A (en) Leveller and frictional propulsion aid for trailers and caravans
KR101617365B1 (ko) 트레일러 견인장치
GB2566315A (en) Winch apparatus and vehicle
KR102107765B1 (ko) 카라반의 주차위치 미세조정 및 근거리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