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37B1 -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37B1
KR101998037B1 KR1020180159798A KR20180159798A KR101998037B1 KR 101998037 B1 KR101998037 B1 KR 101998037B1 KR 1020180159798 A KR1020180159798 A KR 1020180159798A KR 20180159798 A KR20180159798 A KR 20180159798A KR 101998037 B1 KR101998037 B1 KR 10199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attribute
color
psychological
col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진
정상철
Original Assignee
황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진 filed Critical 황영진
Priority to KR102018015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37B1/ko
Priority to PCT/KR2019/015794 priority patent/WO2020122445A1/ko
Priority to CN201980008129.8A priority patent/CN11165514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Image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는 미술 수업에서 아동이 그린 그림에 배경 이미지와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여 그림의 완성도를 높이거나 그림에 특정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는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심리(성격) 유형이나 심리 상태를 파악하여 아동이나 선생님이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는 심리(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을 단순화하여 미리 결정해두고, 그림에서 추출된 색과 비교하므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심리(성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Method and Smart device for matching character type with user based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강현실 모듈이 실행되는 중에 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속성색을 추출하고, 심리 유형을 결정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 대상 그림에 매칭되는 심리유형을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육환경이 디지털 환경으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교과서가 보급되는가 하면,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교육환경도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더불어, 단순한 이차원 그림과 텍스트로 구성된 과거의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하는 학습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한 학습 방식도 일방적 학습 방식이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나 몰입을 이끌어 내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단순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하는 학습 방식에서 나아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학습 방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한다. 현실 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이라고도 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 방식은 학습자와 학습 콘텐츠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객체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세계가 합쳐진 학습콘텐츠로, 기존의 학습 자료보다 현실감이 있으며, 학습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이음새 없이(seamless)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는 학생들에게 몰입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20051호에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이 개시되고, 한국공개특허 10-2017-0015261호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드 상에 부착된 기호나 숫자 등을 촬영하여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아직도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특히, 그림을 그리는 등의 미술 수업 시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미술 수업 관련 교육 콘텐츠는 거의 없다.
본 발명은 미술 수업 시 아동이나 유아의 몰입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심리 유형을 분석하는 스마트 기기에 있어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심리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배경 이미지와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실행 모듈 ;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림 이미지 중 속성 대상에 해당하는 색(이하, 속성색)을 추출하는 색 추출 모듈 ;
추출된 하나 이상의 속성색(추출 속성색)과 이에 대응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N개의 심리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심리유형을 결정하는 심리 유형 판단 모듈 ; 및
상기 증강현실 모듈, 색 추출 모듈,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을 실행하고, 결정된 심리유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에 관련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통신부(11), 프로세서(12), 저장부(13), 카메라부(14), 디스플레이부(15)를 구비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심리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배경 이미지 또는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실행 단계 ;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림 이미지 중 속성 대상에 해당하는 색(이하, 속성색)을 추출하는 색 추출 단계 ;
추출된 i 개의 속성색(추출 속성색)과 이에 대응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N개의 심리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심리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
추출 속성색과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기준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는 미술 수업에서 아동이 그린 그림에 배경 이미지와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여 그림의 완성도를 높이거나 그림에 특정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는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심리(성격) 유형이나 심리 상태를 파악하여 아동이나 선생님이나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는 심리(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을 단순화하여 미리 결정해두고, 그림에서 추출된 색과 비교하므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심리(성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증강현실 실행 후에 입체 캐릭터가 그림 상에 중첩된 화면을 보여준다.
도 3 내지 도 5는 그림 이미지와 색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심리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과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들의 예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증강현실 실행 후에 입체 캐릭터가 그림 상에 중첩된 화면을 보여주고, 도 3 내지 도 5는 그림 이미지와 색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6은 심리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과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들의 예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는 통신부(11), 프로세서(12), 저장부(13), 카메라부(14), 디스플레이부(15), 증강현실(AR) 실행모듈(16), 색 추출 모듈(17), 심리유형 판단 모듈(18)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0)는 관리서버(도면 미표시)로부터 증강현실 교육 에이전트(어플)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이다. 상기 스마트 기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안경 등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비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증강현실 교육 에이전트(어플)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교육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증강현실(AR) 실행모듈(16), 색 추출 모듈(17), 심리유형 판단 모듈(18)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실행 모듈 및 음성 인식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모듈로서 WiFi, 지그비, 적외선 통신, NFC, 블루투스 등 통한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는 배경이미지, 입체 캐릭터, 유형별 속성색 및 기준색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교육 콘텐츠가 외국어 회화인 경우 교재나 교재 목차에 따른 가상현실 배경화면이나 기타 교재나 교재 목차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 또는 응답하는 음성이 저장된 교육 내용 음성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4)는 프로세서(12)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인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카메라부(14)에 의해서 촬영되는 교재를 포함한 피사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2)에 전달할 수 있다.
증강현실 실행모듈(16)은 심리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배경 이미지와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현실 실행모듈(16)은 그림이 그려진 교구(스케치북 등)에 부착된 마커(marker)가 인식되면,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교구(예를 들면, 밑그림이 그려진 스케치북)를 확인하는 단계, 해당 교재 페이지에 해당하는 3D 캐릭터와 배경 이미지를 DB에서 불러와 사용자 단말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배경 이미지나 3D 캐릭터의 위치는 교구상에 미리 부착되거나 표시해둔 위치자(locator)를 기준으로 분석 대상 그림 상에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그림 상에 3D 캐릭터뿐만 아니라 특정 물체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실행모듈은 배경 이미지나 3D 캐릭터를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거나 시간 설정을 통해 순차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현실 실행모듈은 배경 이미지를 아침, 점심, 저녁, 한밤중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변경하거나 도 2와 같이, 캐릭터나 대상물(성곽)을 3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실행모듈은 중첩되는 3D 캐릭터나 배경 이미지의 중첩과 전환을 통해 아이들이 그린 그림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그림에 특정 스토리를 부여할 수 있다.
색 추출 모듈(17)은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림 이미지 중 속성 대상에 해당하는 색(이하, 속성색)을 추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그림 이미지와 색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색 추출 모듈은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추출된 이미지 전체의 색(RGB)을 보정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영역(분석대상 영역)에서의 색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영역에서의 색인 속성색을 선정하는 단계, 속성색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색 추출 모듈은 증강현실이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테두리 내의 그림만을 추출하여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도 3의 b).
색 추출 모듈은 추출된 이미지 전체의 색(RGB)을 공지된 색 보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색에 가깝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도 3의 c).
본 발명의 색 추출 모듈은 이미지 내의 모든 색의 RGB를 추출하고, 이를 필터링하여 심리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대상 영역의 색(심리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만을 추출하여 심리 유형을 결정한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일예로서, 속성색은 고양이 코, 고양이 얼굴과 돼지의 3가지 대상에 대한 색이다. 한편, 그림에 따라 심리 특징이 다르므로, 본 발명은 분석대상 그림과 색(속성색)을 추가하여 심리 유형을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다.
색 추출 모듈은 미리 지정된 분석대상 영역(좌표범위)에서의 색을 추출할 수 있다.
색 추출 모듈은 추출된 영역에서 색 평균을 산출하거나 가장 많이 사용된 색을 추출하여 속성색을 선정할 수 있다.
색 추출 모듈은 추출된 속성색을 색 보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색에 가깝도록 가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색 추출 모듈은 속성색 1 RGB(255,0,2), 속성색 2 RGB(255,149,0), 속성색3 RGB(255,0,11)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 추출 모듈은 이미지 내의 모든 색의 RGB를 추출하고, 이를 필터링하여 심리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대상 영역의 색(심리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만을 추출하므로 색 추출 모듈과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교육 에이전트(어플)의 용량과 처리 프로세스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심리 유형 판단 모듈(18)은 추출된 i 개의 속성색(추출 속성색)과 이에 대응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N개의 심리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심리유형을 결정한다. N은 2 이상이고, i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추출된 i개의 속성색을 불러오고(추출 속성색), DB에 저장된 N개 유형별 i 개의 속성색(유형 속성색)을 불러오고, i 개의 추출 속성색과 i 개의 속성색과의 RGB 차이(유형 속성차)를 각각 유형별로 산출하고, 각 유형별(N개 유형)로 i 개의 유형 속성차의 절대치 합을 산출하고, i 개의 유형 속성차 절대치 합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유형 속성차를 선정하고, 유형 속성차의 해당 유형을 심리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기 표 1 내지 표 3, 도 6은 색 추출 모듈과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색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i개의 속성색을 불러올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색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추출 속성색이다. 표 1에서 속성색의 개수 i는 3이다.
추출 속성색 1 속성색 2 속성색 3 속성색
고양이 코 색
Ex1(R,G,B)
고양이 얼굴
Ex2(R,G,B)
돼지
Ex3(R,G,B)
RGB 255,0,2 255,149,0 255,0,11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DB에 저장된 N개 유형별 i 개의 속성색(유형 속성색)을 각각 불러온다. 하기 표 2, 3과 도 6은 유형별 속성색과 세부 속성색의 예이다.
유형 A유형(소심한 성격) B유형(대범한 성격)
속성색
RGB
고양이코색
(A1)
A1(R,G,B)
고양이 얼굴색(A2)
A2(R,G,B)
돼지색
(A3)
A3(R,G,B)
고양이코색
(B1)
B1(R,G,B)
고양이 얼굴색(B2)
B2(R,G,B)
돼지색
(B3)
B3(R,G,B)
255,0,0 255,150,100 255,0,255 0,176,240 112,173,71 255,0,255
유형 속성차 0.0026 0.132 0.318 0.874 0.311 0.318
유형별 속성차 합 0.4526 1.5045
유형 C 유형(냉철한 성격) N유형
속성색
RGB
고양이코색
(C1)
C1(R,G,B)
고양이 얼굴색(C2)
C2(R,G,B)
돼지색
(C3)
C3(R,G,B)
고양이코색
(N1)
N1(R,G,B)
고양이 얼굴색(N2)
N2(R,G,B)
돼지색
(N3)
N3(R,G,B)
85,255,85 255,255,0 0,0,255
유형 속성차 0.664 0.231 0.652
유형별 속성차 합 1.5477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i 개의 추출 속성색과 i 개의 속성색과의 RGB 차이(유형 속성차)를 각각 유형별로 산출할 수 있다(추출 속성색 - 유형별 속성색 = 유형 속성차)
추출 고양이 코 색(Ex1(R,G,B)) - A유형 고양이 코 색(A1(R,G,B)) = A/Ex1속성 차
추출 고양이 얼굴색(Ex2(R,G,B)) - A유형 고양이 얼굴색(A2(R,G,B)) = A/Ex2속성 차
추출 돼지색(Ex3(R,G,B)) - A유형 돼지색(A3(R,G,B)) = A/Ex3속성 차
추출 고양이 코 색(Ex1(R,G,B)) - B유형 고양이 코 색(B1(R,G,B)) = B/Ex1속성 차
추출 고양이 얼굴색(Ex2(R,G,B)) - B유형 고양이 얼굴색(B2(R,G,B)) = B/Ex2속성 차
추출 돼지색(Ex3(R,G,B)) - B유형 돼지색(B3(R,G,B)) = B/Ex3속성 차
추출 고양이 코 색(Ex1(R,G,B)) - C유형 고양이 코 색(C1(R,G,B)) = B/Ex1속성 차
추출 고양이 얼굴색(Ex2(R,G,B)) - C유형 고양이 얼굴색(C2(R,G,B)) = B/Ex2속성 차
추출 돼지색(Ex3(R,G,B)) - C유형 돼지색(C3(R,G,B)) = B/Ex3속성 차
. 일예로서, A/Ex1 속성 차는 Ex1(RGB)(255,0,2)-A1(RGB)(255,0,0)으로서, (│255-255│+│0-0│+│2-0│)/765=0.0026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된 유형 속성차를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유형 속성차의 절대치 합을 각각 구할 수 있다. 즉,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각 유형별(N개 유형)로 i 개의 유형 속성차의 절대치 합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형 속성 차(절대치)의 합을 하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A/Ex1속성 차│+│A/Ex2속성 차│+│A/Ex2속성 차│ = A유형 속성차 합
│B/Ex1속성 차│+│B/Ex2속성 차│+│B/Ex2속성 차│ = B유형 속성차 합
│C/Ex1속성 차│+│C/Ex2속성 차│+│C/Ex2속성 차│ = C유형 속성차 합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산출된 유형 속성차의 절대치 합(유형 속성차 합)을 표 2와 3에 나타낼 수 있다.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유형 속성차 절대치 합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유형 속성차를 선정하고, 유형 속성차의 해당 유형을 심리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2와 3에서, A유형의 속성 차(절대치)의 합이 가장 작으므로,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A 유형을 심리 유형으로 선정한다.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N개의 유형 중 어느 하나로 심리 유형을 결정한 후,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을 추가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DB로부터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들을 불러오고, 세부 속성에 대응되는 추출된 속성색을 불러오고(추출 세부 속성색), 기준색과 추출 세부 속성색의 RGB 차이(세부 속성차)를 각 기준색별로 산출하고, 세부 속성차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기준색을 선정한 후, 상기 기준색의 세기값을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DB로부터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들을 불러온다. 표 4와 도 6에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들의 예를 나타내었다.
유형 A유형(소심한 성격)
세부속성 attr:prefix(속성 세기) attr:action(행동 세기)
조건 대상 고양이 코 고양이 코 코양이 코 돼지 돼지 돼지
기준색 RGB 255.0.0 237,125,49 255,51,153 169.208.142 0,112,192 255,217,102
세기값 아주 조금 약간 아주 조금 약간
세부 속성차 0.0026 0.24833 0.2640 0.5555 0.7163 0.4026
세부 속성은 심리유형(예를 들면, A 유형의 소심한 성격)의 성격 강도(속성 세기)와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의 행동 유형(행동세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세부 속성은 추가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A 유형의 세부 속성인 속성 세기와 행동 세기를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이 표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세부 속성에 대응되는 추출 속성색을 DB(표 1 참고)에서 불러올 수 있다.
고양이 코 색(Ex1) : Ex1(R,G,B)(255, 0, 2)
돼지 색(Ex3) : Ex3(R,G,B)(255, 0, 11)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기준색과 추출 세부 속성색의 RGB 차이(세부 속성차)를 각 기준색별로 산출할 수 있다(표 5 참고).
예를 들면, “아주”에 해당하는 세부 속성차는 ((255, 0, 2)-(255, 0, 0)}/765이고, (│255-255│+│0-0│+│2-0│)/765=0.0026이다.
예를 들면, “조금”에 해당하는 세부 속성차는 ((255, 0, 2)-(237, 125, 49)}/765이고, (│255-237│+│0-125│+│2-49│)/765=0.2483이다.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세부 속성차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기준색을 선정한 후, 상기 기준색의 세기값을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표 4를 참고하면,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속성세기로 “아주”를 선정하고, 행동세기로는 “약간”을 선정할 수 있다.
A 유형의 심리(성격)를 설명하는 문장(Plantext)이 [당신은 (attr:prefix, 속성세기) 소심한 성격이에요. (attr:action, 행동세기) 조심할 필요가 있어요]로 표시되고, 여기에 속성세기와 행동세기가 추가된 문장은 [당신은 아주 소심한 성격이에요. 약간 조심할 필요가 있어요]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는 심리(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속성색을 단순화하여 미리 결정해두고, 그림에서 추출된 색과 비교하므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심리(성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은 증강현실 실행 단계, 이미지 추출 단계, 속성색 추출단계, 심리 유형 판단 단계,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은 통신부(11), 프로세서(12), 저장부(13), 카메라부(14),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실행 단계는 심리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배경 이미지와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증강현실 실행 단계는 앞에서 상술한 증강현실 실행모듈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 추출 단계와 속성색 추출 단계는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림 이미지 중 속성 대상에 해당하는 색(이하, 속성색)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미지 추출 단계와 속성색 추출 단계는 앞에서 상술한 색 추출 모듈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단계는 추출된 i 개의 속성색(추출 속성색)과 이에 대응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N개의 심리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심리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을 추가로 선정하는 단계는 추출 속성색과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기준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단계와 세부 속성을 추가로 선정하는 단계는 앞에서 상술한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실행 단계, 이미지 추출 단계, 속성색 추출단계, 심리 유형 판단 단계,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 결정 단계는 증강현실 실행모듈, 색 추출 모듈,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이나 모듈을 구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콤팩트디스크, 플렉시블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디지털비디오디스크, 자기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와는 독립하여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배포 판매할 수 있다. 또, 상기 정보기록매체는 해당 컴퓨터와는 독립하여 배포 판매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4)

  1.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심리 유형을 분석하는 스마트 기기에 있어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심리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배경 이미지 또는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실행 모듈 ;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림 이미지 중 속성 대상에 해당하는 색(이하, 속성색)을 추출하는 색 추출 모듈 ;
    추출된 하나 이상의 속성색(추출 속성색)과 이에 대응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N개의 심리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심리유형을 결정하는 심리 유형 판단 모듈 ; 및
    상기 증강현실 실행 모듈, 색 추출 모듈,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을 실행하고, 결정된 심리유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로서,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추출된 i개의 속성색을 불러오고(추출 속성색) ;
    DB에 저장된 N개 유형별 i 개의 속성색(유형 속성색)을 불러오고 ;
    i 개의 추출 속성색과 i 개의 속성색(유형 속성색)과의 RGB 차이(유형 속성차)를 각각 유형별로 산출하고 ;
    각 유형별(N개 유형)로 i 개의 유형 속성차의 절대치 합을 산출하고 ;
    i 개의 유형 속성차 절대치 합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유형 속성차를 선정하고, 유형 속성차의 해당 유형을 심리유형으로 결정하는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 i는 1 이상의 정수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유형 판단 모듈은 심리 유형이 결정된 후,
    DB로부터 세부 속성을 결정하는 복수의 기준색들을 불러오고,
    세부 속성에 대응되는 추출된 속성색을 불러오고(추출 세부 속성색) ;
    기준색과 추출 세부 속성색의 RGB 차이(세부 속성차)를 각 기준색별로 산출하고 ;
    세부 속성차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기준색을 선정한 후, 상기 기준색의 세기값을 심리 유형의 세부 속성으로 결정하는 것을 증강현실 기반 심리 유형 분석 스마트 기기.
  4. 통신부(11), 프로세서(12), 저장부(13), 카메라부(14), 디스플레이부(15)를 구비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심리분석 대상 그림이 인식되면 배경 이미지 또는 입체 캐릭터를 그림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실행 단계 ;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심리분석 대상 그림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림 이미지 중 속성 대상에 해당하는 색(이하, 속성색)을 추출하는 색 추출 단계 ;
    추출된 하나 이상의 속성색(추출 속성색)과 이에 대응되는 유형별 속성색과의 RGB 차이를 구하여 N개의 심리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심리유형을 결정하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추출된 i개의 속성색(추출 속성색)을 불러오는 단계 ;
    DB에 저장된 N개 유형별 i 개의 속성색(유형 속성색)을 불러오는 단계 ;
    i 개의 추출 속성색과 i 개의 속성색(유형속성색)과의 RGB 차이(유형 속성차)를 각각 유형별로 산출하고 ;
    각 유형별(N개 유형)로 i 개의 유형 속성차의 절대치 합을 산출하는 단계 ;
    i 개의 유형 속성차 절대치 합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유형 속성차를 선정하고, 유형 속성차의 해당 유형을 심리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 i는 1 이상의 정수임.
KR1020180159798A 2018-12-12 2018-12-12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10199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98A KR101998037B1 (ko) 2018-12-12 2018-12-12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PCT/KR2019/015794 WO2020122445A1 (ko) 2018-12-12 2019-11-19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CN201980008129.8A CN111655148B (zh) 2018-12-12 2019-11-19 基于增强现实的心里类型分析方法及智能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98A KR101998037B1 (ko) 2018-12-12 2018-12-12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037B1 true KR101998037B1 (ko) 2019-07-08

Family

ID=6725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798A KR101998037B1 (ko) 2018-12-12 2018-12-12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98037B1 (ko)
CN (1) CN111655148B (ko)
WO (1) WO2020122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475A3 (ko) * 2021-06-11 2023-02-02 주식회사 유케어트론 심리분석 어플리케이션 및 심리분석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813A (ko) * 2005-12-15 2007-06-20 김성인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0026B1 (ko) * 2017-07-06 2018-05-21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KR101880159B1 (ko) *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856A (ja) * 2001-05-30 2002-12-06 Mitsuto Nagaya 最適化装置及び最適化装置を用いた最適化方法
JP2014071838A (ja) * 2012-10-01 2014-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ードゲーム具
JP2016045815A (ja) * 2014-08-26 2016-04-04 泰章 岩井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US10192258B2 (en) * 2016-08-23 2019-01-29 Derek A Devries Method and system of augmented-reality simulations
KR20180036156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레드로버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0703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언리얼파크 증강 현실 게임 제공 및 수행을 위한 서버, 단말 및 방법
CN108389623B (zh) * 2018-01-30 2022-01-25 重庆云日创心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历史发布图片的心理健康测评方法及测评系统
CN108389235A (zh) * 2018-02-06 2018-08-10 江苏风雷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智能儿童绘画娱乐系统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813A (ko) * 2005-12-15 2007-06-20 김성인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0026B1 (ko) * 2017-07-06 2018-05-21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KR101880159B1 (ko) *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475A3 (ko) * 2021-06-11 2023-02-02 주식회사 유케어트론 심리분석 어플리케이션 및 심리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445A1 (ko) 2020-06-18
CN111655148B (zh) 2023-04-04
CN111655148A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hulst et al. Do VR and AR versions of an immersive cultural experience engender different user experiences?
von Jan et al. mARble–augmented reality in medical education
CN103916621A (zh) 视频通信方法及装置
Chiu et al.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tourism using image-based recognition
Abu-Arqoub et al. Interactive Multimedia-Based Educational System for Children Using Interactive Book with Augmented Reality
Juan et al.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the treatment of phobia to small animals viewed via an optical see-through HMD: Comparison with a similar system viewed via a video see-through HMD
KR102620284B1 (ko) 메타버스 기반 교육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6780761A (zh) 基于增强现实技术的自闭症儿童兴趣点信息采集系统
CN111652983A (zh) 一种增强现实ar特效生成方法、装置及设备
KR101998037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CN111464859B (zh) 一种在线视频展示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752391A (zh) 一种虚拟互动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ark et al. Childar-bot: Educational playing projection-based ar robot for children
Cheung Integrating multimedia into autism intervention
KR100445846B1 (ko) 대인 공포증 치료를 위한 가상 연설 시뮬레이터
CN116434253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Alshi et al.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based system for traditional educational media using marker-derived contextual overlays
KR20150067653A (ko) 한자 부수를 이용한 증강현실 한자 학습 교구
Egusa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puppet show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people
US20220343783A1 (en) Content control system,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control program
Chen Small Leans into Big Steps: A Mixed-Reality Environment to Support Embodied, Ensembled Mathematics Learning
Chafiq et al. Navigating Virtual Worlds and the Metaverse for Enhanced E-Learning
Bozia Reviving Classical Drama: virtual reality and experiential learning in a traditional classroom.
Venter et al. Enhancing visitor awareness and experience to the South African Armour Museum through eMarketing and new media
Maciel et al. Visual and interactive concerns for vr applications: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