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704B1 -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 Google Patents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704B1
KR101997704B1 KR1020190040633A KR20190040633A KR101997704B1 KR 101997704 B1 KR101997704 B1 KR 101997704B1 KR 1020190040633 A KR1020190040633 A KR 1020190040633A KR 20190040633 A KR20190040633 A KR 20190040633A KR 101997704 B1 KR101997704 B1 KR 10199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ubble
wastewater
supply pipe
water
waste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재왕
김두현
원성희
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Priority to KR102019004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7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part having a partition wall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The apparatus does not use high power consumption devices such as pressurizing pumps, compressors, and pressurizing tanks, as well as branch and/or multiple nozzles which cause pressure loss and coagulation of microbubbles, and supplies the microbubble water to the microbubble contact part without pressure loss and coagulation of microbubbles and brings a uniform distribution of the microbubbles in the microbubble contact part, thereby having low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st and power requirements.

Description

하폐수 유입구 폭이 조절되고 오목 홈이 형성된 격벽이 구비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장치, 특히 하폐수 유입구 폭이 조절되고 오목 홈이 형성된 격벽이 구비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treatment apparatus, in particular a floating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having a partition wall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therein with a controlled width of the wastewater inlet.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하수 또는 폐수와 같은 분산매질 중의 부유상 오염물질을 미세기포에 부착시켜 분산매질과 공기가 접하고 있는 수면까지 부상시켜 수면에서 오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수처리 장치이다.Floating sewag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ttaches floating contaminants in dispersing medium such as sewage or waste water to the microbubbles to float to the surface where the dispersing medium and ai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move contaminants or sludges attached to the water surface.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하폐수 처리장치에 이용되는 부상분리방법에는, 기계부상법, 가압부상법, 전해부상법, 미생물학적 부상법 등이 있다. 상기 기계부상법은 난류가 심해 부유물(floc)이 파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수원수, 2차 처리된 하폐수 등의 부상분리에는 부적합하며, 전해부상법의 경우에는 전기를 이용 전극판에서 물을 전기분해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전력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며,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극판에 스케일이 발생하여 부착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2차 처리된 하폐수 또는 상수원수의 경우에는 대다수가 침전 및 가압부상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flotation separation method us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mechanical injury method, a pressurized injury method, an electrolytic injury method, a microbiological flotation method and the like. The mechanical flotation method is not suitable for floating separation of purified water, secondary treated sewage water, etc. because of the high turbulent flow, which may cause the floc to be destroyed. The method of generating fine bubbles decomposes, and consumes a lot of power,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scale is generated and attached to an electrode plate for electrolyzing water. Therefore, the sewage and pressurization methods are used in the majority of secondary treated sewage or drinking water.

가압부상법은 100 ㎛ 이하의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오염물에 부착시킴으로써 오염물의 전체 비중을 감소시켜 부력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압펌프, 컴프레서 및 가압탱크 등 전력소비가 큰 부속설비를 요구하며, 압력을 4 내지 6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전력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매우 떨어진다. Pressurized flotation method removes contaminants by buoyancy by generating micro bubbles of less than 100 μm and attaching them to contaminants, and removes contaminants by buoyancy. It requires a lot of power to maintain the pressure at 4 to 6 atm, so the economy is very poor.

한편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미세기포 접촉부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노즐에서 미세기포를 토출함으로써, 미세기포 접촉부 내에 균일하게 미세기포가 상승되도록 하여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플록을 부상시키는 것이었으나, 고압에 의해 용해된 공기를 분기관을 거쳐 토출구 직경이 좁은 다수의 노즐을 통해 토출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의 융합으로 기포의 직경이 증가하면서 압력손실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전력 소요에 의한 유지비가 증가되는 한계가 있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flot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discharges microbubbles from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thereby allowing the microbubble to rise uniformly in the microbubble contact part to float the flocs flowing together with the wastewater. However,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dissolved by high pressure through the branch pipe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a narrow discharge port diameter, pressure loss occurs as the diameter of the bubble increases due to the fusion of microbubbles, resulting in power consumption. There was a limit to increase maintenance costs.

한국등록특허 제105408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54087 한국등록특허 제1722099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722099

본 발명은 가압펌프, 컴프레서 및 가압탱크 등 전력소비가 큰 부속설비는 물론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을 초래하는 분기관 및/또는 다수의 노즐을 사용하지 않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을 통해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 없이 미세기포수를 미세기포 접촉부에 공급하면서도, 미세기포 접촉부 내 미세기포의 균일한 분포를 가져옴으로써, 설치비 및 전력 소요에 따른 유지비가 적은, 하폐수 유입구 폭이 조절되고 오목 홈이 형성된 격벽이 구비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high power consumption accessory such as a pressure pump, a compressor and a pressurized tank, as well as a branch pipe and / or a plurality of nozzles, which cause pressure loss and agglomeration of micro bubbles, and the pressure loss through the micro bubble water supply pipe. By supplying the microbubble water to the microbubble contact without agglomeration of the microbubbles, bring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the microbubble i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the partition wall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with a controlled width of the wastewater inlet, which has a low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st and power consumption To provide a floating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provided.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0);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unit 10 for mixing the flocculant in the incoming wastewater to produce a floc in the wastewater; Agglomeration unit 20 for growing the floc in the wastewater by stirring and introducing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ing unit 10; A microbubble guide plate installed in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321,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ation portion 20 (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surrounded by 33;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ortion 40 for supplying microbubble water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let 31; The waste water flow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together with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rom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and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ed sludg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collected sludge; A float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sludge; A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In the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and a treated water storage tank 90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treated water,

상기 격벽(321)에는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 높이 위치부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 사이에 오목 홈이 형성되고, The partition 321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between the wastewater inlet 31 from the terminal height of the fine bubble water supply pipe 43,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상기 오목 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and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relates to a floating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clined in the concave groove direction.

본 발명은 가압펌프, 컴프레서 및 가압탱크 등 전력소비가 큰 부속설비는 물론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을 초래하는 분기관 및/또는 다수의 노즐을 사용하지 않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을 통해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 없이 미세기포수를 미세기포 접촉부에 공급하면서도, 미세기포 접촉부 내 미세기포의 균일한 분포를 가져옴으로써, 설치비 및 전력 소요에 따른 유지비가 적은 하폐수 유입구 폭이 조절되고 오목 홈이 형성된 격벽이 구비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high power consumption accessory such as a pressure pump, a compressor and a pressurized tank, as well as a branch pipe and / or a plurality of nozzles, which cause pressure loss and agglomeration of micro bubbles, and the pressure loss through the micro bubble water supply pipe. By supplying the microbubble water to the microbubble contact without agglomeration of the microbubbles, the uniform distribution of the microbubble in the microbubble contact is achieved, so that the width of the wastewater inlet with low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st and power consumption is controlled, and the partition wall having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ating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provided.

도 1은 가압펌프, 컴프레서, 라인믹서 및 가압탱크를 구비하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에 분기관 및 다수의 노즐을 구비한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 접촉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미세기포수 복합펌프,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를 구비하고, 노즐이나 분기관 없이 미세기포수 공급관만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를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 접촉부에서 하폐수 유입구가 격벽의 일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방사형 홈이 형성된 격벽 및 미세기포수 공급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시도를 미세기포 안내판에서 격벽 방향을 바라볼 때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수 복합펌프의 정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pressure pump, a compressor, a line mixer, and a pressure tank, and having a branch pi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in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of the conventional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of FIG.
3 is a configu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microbubble complex pump, a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and only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without a nozzle or branch pip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and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portion in which a wastewater inlet is installed at a portion of a partition wall and a radial groove is formed o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of the floating sew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perspective view of FIG. 5 when looking at the partition wall direction from the microbubble guide plate. FIG.
Figure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complex pump of the floating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설명도이고, 도 2는 미세기포 접촉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lotatio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microbubble contact uni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급속 교반기(11)가 구비된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하부로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완속 교반기(211)를 구비한 제1응집조(21), 및 제1응집조(21)와 상부로 연통되어 하강하면서 플록을 더욱 성장시키는 제2 응집조(22)를 구비한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4);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로서,1 and 2, a conventional flot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mixing unit 10 having a rapid stirrer 11 for mixing flocculant with incoming wastewater to generate flocs in the wastewater; The first flocculation tank 21 having a slow stirrer 211 for flowing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ing unit 10 to the lower side and agitating to grow flocs in the wastewater, and the first aggregation tank 21 and the upper portion. An agglomeration portion 20 having a second agglomeration tank 22 which communicates with and descends to further grow the floc; A microbubble guide plate installed in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321,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ation portion 20 (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surrounded by 33; A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art 44 for supplying microbubble wat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microbubble contact part 30 to the sewage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let 31; The waste water flow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together with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rom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and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ed sludg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collected sludge; A float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sludge; A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And a treated water storage tank (90)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treated water.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4)는, 임시 저장조(80)의 처리수를 흡입하는 유입관(441), 상기 유입관(441)에서 처리수를 흡입하여 높은 압력으로 토출하는 가압펌프(442), 가압된 처리수 이송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443), 상기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를 혼화하는 라인믹서(444),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가압하여 공기를 용해시키는 가압탱크(445), 상기 가압탱크에서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로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이송하는 혼화수 공급관(446), 상기 혼화수 공급관에서 분기된 다수의 분기관(4461, 4462), 상기 다수의 분기관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미세기포수 공급 노즐(4463, 4464)로 구성되어 있다.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unit 44 is an inlet pipe 441 for sucking up the treated water of the temporary storage tank 80, a pressure pump 442 for sucking up the treated water from the inlet pipe 441 and discharging it at a high pressure; Compressor 443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conveying pipe, a line mixer 444 for mixing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and compressed air, and pressurized mixed water of the treated water and compressed air to dissolve air Pressurized tank 445, a mixed water supply pipe 446 for transporting the mixed water of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and the compressed air from the pressure tank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a plurality of minutes branched from the mixed water supply pipe The engines 4451 and 4462 and a plurality of microbubble water supply nozzles 4446 and 4464 provided at the plurality of branch pip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응집부(20)에서 성장된 플록이 미세기포 접촉부(30)와 부상 슬러지 분리조(50)로 하폐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부상하여 부상 슬러지 수집기(70)에 의해 제거된다.The flotatio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is floc grown in the flocculation unit 20 is floated in the process of the wastewater flows to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and the flotation sludge separation tank 50 by the flotation sludge collector 70 Removed.

그러나 상기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공기가 가압탱크(445) 내에서 처리수에 용해되는데 용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대용량의 가압탱크(445)가 필요하고, 또한 공기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컴프레서(443)가 추가로 필요하고, 고압에 의해 용해된 공기를 분기관을 거쳐 토출구 직경이 좁은 다수의 노즐을 통해 토출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의 융합으로 기포의 직경이 증가하면서 압력손실이 발생되므로 처리효율이 감소되고,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며, 높은 전력 소요에 의해 유지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requires a large-capacity pressurized tank 445 to increase dissolution efficiency in order that air dissolves in the treated water in the pressurized tank 445, and also a compressor to promote dissolution of air. 443 is additionally required, an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air dissolved by high pressure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through a branch pipe,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a narrow diameter of the outlet, the pressure loss is generated while the diameter of the bubble increases due to the fusion of microbubbles. Efficiency is reduced, installation costs are hig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s are also required by high power requirements.

이하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를 구비하고, 노즐이나 분기관 없이 미세기포수 공급관(43)만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를 확대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 접촉부(30)에서 하폐수 유입구(31)가 격벽(321)의 일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방사형 홈(3211)이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시도를 미세기포 안내판(33)에서 격벽(321) 방향을 바라볼 때의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floating air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micro 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a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and only a micro bubble water supply pipe 43 without a nozzle or branch pipe. 4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a lower portion of the A part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FIG. 3, and FIG. 5 is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of the flot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n which the wastewater inlet 31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partition wall 321 and a radial groove 3211 is formed thereon, and FIG. A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정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complex pump 41 of the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0);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것으로,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unit 10 to mix the flocculant in the incoming wastewater to generate a floc in the wastewater; Agglomeration unit 20 for growing the floc in the wastewater by stirring and introducing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ing unit 10; A microbubble guide plate installed in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321,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ation portion 20 (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surrounded by 33;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ortion 40 for supplying microbubble water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let 31; The waste water flow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together with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rom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and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ed sludg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collected sludge; A float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sludge; A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And a treatment water storage tank 90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to store the treatment water.

상기 격벽(321)에는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 높이 위치부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 사이에 오목 홈이 형성되고, The partition 321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between the wastewater inlet 31 from the terminal height of the fine bubble water supply pipe 43,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상기 오목 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와는 미세기포 접촉부(30) 및 미세기포수 배출부(40)에서 기술적 구성에 주로 차이가 있다.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e concave groove direction, microbubble with the conventional floating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There is a major difference i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ortion 30 and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ortion 40.

이하 미세기포 접촉부(3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는 상기 격벽(321)의 하부에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기 격벽(321)으로 차단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격벽(321) 하부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응집부(20)에서 유입되는 하폐수와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통해 공급되는 미세기포수의 접촉을 늘리기 위해 상기 격벽(321)의 하부에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의 폭을 상기 격벽(321)의 하부 전체 폭의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폭이 너무 좁을 경우 응집부(20)에서 형성된 플록 파괴되거나 하폐수의 유입량이 제한되어 처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폭이 너무 넓을 경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으로 공급되는 미세기포수와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플록이 형성된 하폐수의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wastewater inlet 31 is a portion which is not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321 from a bottom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communicate with a lower portion of the agglomeration part 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 323 may be formed on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Alternatively, the wastewater inlet 31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agglomeration part 2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to increase the contact of the sewage water flowing from the agglomeration part 20 and the microbubble water supplied through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 20 to 100%, preferably 30 to 80%, more preferably 40 to 60% of the total wid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If the width is too narrow, the floc breakage formed in the flocculation unit 20 or the inflow of the wastewater may be limited, thereby reducing the treatment efficiency. If the width is too wide, the microbubble water and the wastewater inlet are supplied to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Contact of the sewage with the floc which flows into 31 may not be made sufficiently.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는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이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가면서 점점 넓어지는 것이 미세기포수와 하폐수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때 격벽(321)과 측면 격벽(322 또는 323) 사이의 각도는 1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0°로 할 수 있다. 상기 각도가 너무 좁을 경우 하폐수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각도가 너무 클 경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 면적이 좁아져 처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동일한 처리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서 설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을 상기 소정의 각도로 넓힌 다음 혼화부, 응집부 또는 처리수 저장조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is a microbubble guide plate at the wastewater inlet 31 It may be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contact efficiency of microbubble water and sewage waste in the direction toward (33). 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side partition wall 322 or 323 may be 10 ° to 50 °, preferably 20 ° to 40 °. If the angle is too narrow,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tact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If the angle is too large, the bottom area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may be narrowed, thereby reducing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the same treatment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i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n the partition wall 321 is increased,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widened. More preferably,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and 323 may be widen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kept constant at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mixing section, the aggregation section or the treatment water reservoir.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1.2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인 것이다. 상기 범위에서 폭이 너무 넓을 경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배출된 미세기포수가 2개의 측면 격벽(322, 323)까지 도달하지 않아 미세기포 접촉부(30) 내에 죽은 영역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에서 길이가 너무 길 경우 하폐수와 함께 플록을 상승시키는 압력이 손실되어 하폐수 처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on which the wastewater inlet 31 is formed, and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and 323,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The ratio of width to length is 1: 1.2 to 1: 3, preferably 1: 1.5 to 1: 2.5. When the width is too wide in the above range, the microbubble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does not reach the two side partitions 322 and 323, and thus a dead area is generated in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and the length is in the above range If too long, the pressure that raises the flocs together with the wastewater may be lost, resulting in poor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이 수직선과 10°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5°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의 θ2는 10°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5°이다. 상기 각도가 너무 작을 경우 바닥 방향으로 수직으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에 의해 하폐수의 유입과 반대방향의 흐름을 발생시켜 바닥 부분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플록이 파괴되는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가 너무 클 경우 미세기포수가 오목 홈에 부딪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미세기포수의 상호 응집이나 압력 손실에 의해 플록의 상승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from 10 ° to 30 °, preferably 15 ° to 25 ° with a vertical line. That is, θ2 in FIG. 4 is 10 ° to 30 °, preferably 15 ° to 25 °. If the angle is too small,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flow of the wastewater by the microbubble discharged vertically in the bottom direction may cause a vortex in the bottom portion and increase the rate of floc destruction. In addition, when the angle is too large, the rate at which the microbubble hits the concave groove is relatively high, thereby increasing the floc's rising efficiency due to mutual coagulation or pressure loss of the microbubble water.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60 내지 90 정도,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정도의 위치까지는 오목 홈의 깊이가 깊어지다가, 다시 홈의 깊이가 얕아지는 것이 미세기포 공급관(43)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미세기포수와 플록의 접촉을 효율적으로 시키는데 바람직하다.When the distance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is about 100 to 60, preferably in the direction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becomes deeper to the position of about 65 to 80, and then the depth of the groove becomes shallow again, thereby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of the micro bubble water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supply pipe 43 and efficiently contacting the microbubble water with the floc. desirable.

상기 오목 홈은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에서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넓어지는 방사형 홈(3211)인 것이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통해 단면이 좁은 면적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넓은 하폐수 유입구(31)과 접촉하는 부분을 넓히기 위해 바람직하다.The concave groove is a radial groove 321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at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and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d in a narrow cross section through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provided. It is desirable to wide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latively very wide wastewater inlet 31.

상기 방사형 홈(3211)의 깊이는 수직 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가장 깊고 그 주변부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사형 홈의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에서 바닥 방향으로 중심을 지나는 c선, 방사형 홈(3211)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a선 및 그 사이를 지나는 b선의 길이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할 경우, a선은 안으로 깊게 홈이 형성되어야 하고, c선은 얕은 홈이, b선은 그 중간 정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배출되는 미세기포수가 동일 압력으로 방사상으로 토출되면서 거의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여 거의 같은 시간에 하폐수 유입구(31)의 상단에 도달하게 되므로 하폐수 유입구로 유입되는 플록에 고루 접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radial groove 3211 is the deepest in the vertical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epth becomes lower toward the periphery thereof.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length of the c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of the radial groove, a line passing through the edge of the radial groove 3211 and b line passing therebetween In the case of setting substantially the same, the a line should be deeply formed in the groove, the c line may be the shallow groove, and the b line may be the middle groove. At this time,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discharged radially at the same pressure and travels about the same distance to reach the upper end of the wastewater inlet 31 at about the same time, so that it contacts the floc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let evenly. You can do it.

상기 격벽(321)에서 방사형 홈(3211)이 형성된 단면은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60 내지 90 정도,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의 위치까지는 수직선에 대하여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경사진 직선이고,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가면서 원호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 in which the radial grooves 3211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21 has a distance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at 100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60 to 90, preferably 65 to 80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is a straight line inclined 5 ° to 30 °, preferably 10 ° to 25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circular arc while going.

상기 방사형 홈(3211)에는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5 내지 50 정도의 위치에 상기 미세기포수를 분배하는 방사형으로 돌출 설치된 다수개의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2)이 구비되는 것이 미세기포수를 방사상으로 고루 분배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2)의 길이는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이고, 상기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2)의 높이는 오목 홈의 깊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오목 홈의 깊이보다 10 내지 50% 더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2)은 방사형 홈(3211)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adial groove 3211 has a distance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as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A plurality of microbubble water guide plates 3212 protruding radially to distribute the microbubble water at a position of about 50 to 50 are preferably provided to evenly distribute the microbubble water. The length of the microbubble water guide plate 3212 is 10 to 30, preferably 15 to 25 when the distance from the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is 100, and the microbubble water The height of the guide plate 3212 may be equal to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and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10 to 50%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if necessary. The microbubble water guide plate 3212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such that the height increases as the depth of the radial groove 3211 increases.

상기 방사형 홈(3211)의 하폐수 유입구(31)와 접하는 단면에서 원호의 단부의 가상의 접선은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면과 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로 형성되어야 미세기포수가 바닥 방향으로 경사지게 흐름이 형성되어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와 접촉하여 플록을 상승시키기 용이하다.The imaginary tangent of the end of the arc at the section in contact with the wastewater inlet 31 of the radial groove 3211 is 5 ° to 45 °, preferably 15 ° to 40 °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bubble contact 30. To be formed, the flow of the microbubble is inclined in the bottom direction is easily formed to contact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let 31 to raise the floc.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보다 방사형 홈(3211)의 각도가 2° 내지 10° 더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것, 즉 도 4의 θ2가 θ1에 비해 2° 내지 10°더 경사진 것이 미세기포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할 수 있다.The angle of the radial groove 3211 is inclined 2 ° to 10 ° more than the angle between the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and the vertical line, that is, θ2 of FIG. 4 is compared with θ1. A further inclination of 2 ° to 10 ° may reduce the pressure loss of the microbubble water.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의 높이는 300 내지 800 mm이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은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의 상단부에서 200 내지 600 mm 상부에 구비되며, 이때 상기 바닥부터 격벽(321, 322, 323)의 높이가 2 내지 4.5 m 정도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wastewater inlet 31 is 300 to 800 mm, and the end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at 200 to 600 mm, wherein the bottom walls 321, 322 and 323 may have a height of about 2 to 4.5 m.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은 바닥에서 30°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내지 55°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은 바닥부터 말단까지 일정한 각도로 형성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 내에서 바닥부분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말단부분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곡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종래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의 넓은 면적에 분기관 및 다수의 노즐을 형성한 도 2의 미세기포수 배출부(44)의 경우 미세기포 접촉부(30) 바닥에서 노즐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하폐수 및 플록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의 경사가 60°를 초과하거나 나아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플록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바닥 방향으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가 미세기포 안내판(33)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가면서 플록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한치 이하로 각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다만 미세기포 안내판(33)의 각도가 너무 낮아지면 수면까지의 거리가 너무 길어져 오히려 플록의 상승이 어려워질 수 있다.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30 ° to 60 °, preferably 40 ° to 55 ° from the bottom. In addition,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may be formed at a constant angle from the bottom to the end, preferably in the above range the angle of the bottom portion is relatively high, the angle of the end portion may be formed relatively low,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in the above range. In the case of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art 44 of FIG. 2, which has a branch pi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on a large area of the bottom of the conventional microbubble contact part 30, the wastewa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microbubble contact part 30 are upwards through the nozzle. Since the floc is raised,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exceeds 60 ° or is vertically formed, the floc can be easily rai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microbubbles discharged in the bottom direction is fin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angle below the upper limit so that the floc can be raised while easily riding the guide plate 33. However, if the angle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s too low, the distance to the surface may be too long, and thus the rise of the floc may be difficult.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의 높이는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폐수 높이의 50 내지 70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s preferably 50 to 70% of the height of the wastewater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이하 미세기포수 배출부(4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icro bubble water discharge unit 40 will be described.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상기 처리수와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부(411), 상기 유입부(4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처리수와 공기가 유동하는 분할부(412), 상기 분할부(412)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분할판(4131)으로 상기 처리수와 공기를 혼화하면서 분할하여 미세기포수를 형성하는 회전격자(413), 및 상기 분할부(4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4143), 상기 내부 공간(4143)의 직경이 감소된 말단부에 형성된 배출구(4141), 및 상기 배출구(4141) 둘레로 하측으로 돌출된 차단판(4142)을 포함하는 배출부(414);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art 40 is an inlet 411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and air are supplied, a splitter 412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and the ai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let 411 flow, and the powder The rotating grid 413 provided in the installment part 412 and divided by mixing and dividing the treated water and air into a split plate 4131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rotating, and from the divided part 412. It extends upwards, the inner space (4143) formed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the discharge port (4141) formed i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4143) is reduced, and downward around the outlet (4141) A microbubble complex pump 41 including a discharge part 414 including a protruding blocking plate 4142;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상기 배출구(4141)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기포수 및 응집기포수의 혼합수가 공급되는 혼합수 공급관(421), 및 압력조절밸브(422) 및 압력초과공기 배출관(423)이 구비된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 및The mixed water supply pipe 421 to which the mixed water of the microbubble water and the agglomerated bubbl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4141 of the micro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is supplied,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and the excess pressure air discharge pipe 423.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is provided; And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로부터 소정 압력 및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수를 배출하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포함한다.It includes; and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for discharging the microbubble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상기 유입부(411)에서 공기는 공기 유입관(4111)을 통해 처리수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공기 유입관에서 분할부(412) 입구까지 공기 유입 인입관(4112)를 설치할 수 있다.Air in the inlet 411 may be introduced together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air inlet pipe (4111). Furthermor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ntroduce the air, an air inlet pipe 4112 may be installed from the air inlet pipe to the inlet of the splitter 412.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는 분할판(4131)이 형성된 회전격자(413)의 회전에 의해 유입부(411)보다 좁은 유로를 가진 분할부(412)로 처리수와 공기가 흡입되고, 처리수와 공기가 혼화하면서 분할되며, 이로 인해 생성된 미세기포수가 고압으로 배출부(414)로 이송된다.The micro-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sucks the treated water and air into the partition 412 having a narrower flow path than the inlet 411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grid 413 having the partition plate 4131. The water and the air are divided while mixing, and the resulting microbubble water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art 414 at high pressure.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생성된 미세기포수는 내부 공간(4143) 및 차단판(4142)를 구비한 배출부(414)를 통해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와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기포가 각각 분리된 유로를 거친 후 배출구(4141)로 함께 배출되고,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에서 압력조절밸브(422)에 의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공기는 기체상으로 배출되고, 소정 압력 이하의 처리수에 용해된 미세기포수만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는 별도의 분기관이나 다수의 노즐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한 미세기포의 응집이나 압력손실 없이 미세기포수가 수중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water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has a microbubble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microbubb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separat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414 having an internal space 4143 and a blocking plate 4414, respectiv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and discharged together to the discharge port 4141, the air exceeding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in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is discharged to the gas phase, the treated water below a predetermined pressure Only the microbubble water dissolved in is discharged through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n this case, since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does not additionally include a separate branch pipe or a plurality of nozzles, the microbubble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water without agglomeration or pressure loss of the microbubbles.

상기 배출부(414)의 내부 공간(4143)은 상기 분할부(4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형성된 것으로 내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인 것이다. 분할판(4131) 및 회전격자(413)의 회전에 의해 처리수와 공기가 혼화하면서 분할되며, 이로 인해 생성된 미세기포수가 내부 공간(4143)으로 토출될 때,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기포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격자(413)의 회전 방향, 즉 도 7의 좌측 반구쪽으로 토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4143) 내벽을 따라 이동하다 회전하면서 상기 차단판(4142)에 부딪치면서 서로 응집하고,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는 상기 분할부(412)에서 토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414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다가 배출구(4141)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부(412)에서 토출된 미세기포수는 미세기포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출부(414)의 내부 공간(4143)에서 각각 분리된 유로를 통해 이동하다가 배출구(4141)로 함께 배출된다. 즉, 배출구(4141)로 배출되는 미세기포수는 내부 공간(4143)의 중앙부로 이동하는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와 내부 공간(4143)의 내벽으로 회전하면서 응집하여 더욱 커진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기포가 함께 배출된다.The inner space 4143 of the discharge portion 414 extends upward from the dividing portion 412 and is formed to increase in diameter and decrease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414 has a curved surface, and is preferably spherical. The treatment water and the air are mixed by the rotation of the partition plate 4131 and the rotating grid 413, and when the microbubbles generated are discharged into the internal space 4143, the microbubb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re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7 is discharged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grating 413, that is, to the left hemisphere of FIG. 7 and moves along an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to rotate and agglomerate with each other while colliding with the blocking plate 4142, and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micro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dividing unit 412, mov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4143, and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4141. Therefore,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viding unit 412 moves through the flow path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space 4143 of the discharge unit 41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icrobubbles, and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port 4141. That is,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4141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microbubb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moving to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4143 and the microbubb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at is increased by agglomeration while rotating to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4143. do.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는 상기 구형 내부 공간(4143) 지름의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인 것이다.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내부 공간(4143)의 내벽을 회전하면서 충분히 응집되기 전에 중앙부로 이동하는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내부 공간(4143)의 내벽을 회전하면서 소정 크기 이상으로 응집된 미세기포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많아지므로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생성 효율 및 전력 소요 절감 효과가 감소한다.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5 to 40%, preferably 10 to 30% of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inner space 4143. If 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422 is too low,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a microbubb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oving to the center portion before being sufficiently aggregated. If 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too high, the amount of the fine bubbles aggreg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relatively too large while rotating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4143) fin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fine 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Microbubble generation efficiency and power consumption saving effect is reduced.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는 회전격자(413)의 회전방향의 높이가 높고, 그 반대방향의 높이가 낮은 잘린 원기둥 형상인 것이,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생성 효율 및 전력 소요 절감 효과를 높이는데 더욱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a truncated cylindrical shape having a high heigh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grid 413, 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micro bubbles and power requirements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is more desirable to increase the savings.

상기 구형 내부 공간(4143)의 지름은 상기 회전격자(413)의 둘레로 형성된 분할부(412)의 유로 내경의 3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5 배인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생성 효율 및 전력 소요 절감 효과가 감소한다.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inner space (4143) is 3 to 6 times, preferably 4 to 5.5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of the divided portion 412 formed around the rotary grating 413, the fine bubbles if out of the range The microbubble generation efficiency and power consumption saving effect is reduced.

상기 유입부(411)의 유로 내경은 상기 회전격자(413)의 둘레로 형성된 분할부(412)의 유로 내경의 2 내지 4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배인 것으로,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의 토출 압력 상승에 한계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펌프에 부하가 발생하여 펌프의 크기나 용량을 더욱 키워야 할 수 있다.The flow path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portion 411 is 2 to 4 times, preferably 2.5 to 3.5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of the divided portion 412 formed around the rotary grating 413, the microbubble complex below the lower limit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41, and if the upper limit is exceeded, a load may be generated in the pump to increase the size or capacity of the pump.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상기 유입부(411)로 처리수는 0.1 내지 0.6 bar,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bar의 압력으로 흡입 공급되고, 상기 공기는 유입 유량의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로 흡입되며, 상기 회전격자(413)의 회전수는 40 내지 60 Hz,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Hz인 것이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의 토출 압력 상승에 한계가 있고,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토출되는 압력을 2 내지 6 bar,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bar로 맞추기 어렵다.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411 of the microbubble complex pump 41 at a pressure of 0.1 to 0.6 bar, preferably 0.2 to 0.5 bar, and the air is 3 to 10% of the inflow flow rate. Preferably it is suctioned at 7.5 to 8.5%,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grating 413 is 40 to 60 Hz, preferably 50 to 60 Hz, if out of the range is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complex pump 41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microbubble water,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to 2 to 6 bar, preferably 3 to 5 bar.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의 압력조절밸브(422)는 2 내지 6 bar,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bar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는 분기관이나 다수의 노즐을 통한 압력 손실 없이 바로 미세기포 접촉부(30)로 토출되므로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의 압력조절밸브(422)에서 설정된 압력이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토출되는 압력과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다.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of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may be set to 2 to 6 bar, preferably 3 to 5 bar. Since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without pressure loss through a branch pipe or a plurality of nozzles, the pressure set in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of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is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은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한다.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은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에서 별도의 분기관이나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지 않고, 미세기포수를 바닥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관이다.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supplies the microbubble wat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to the bottom of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inlet 31.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a pipe for supplying the microbubble water in the bottom directio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branch pipe or a plurality of nozzles i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한편 부상 슬러지 배출부(60)의 바닥은 미세기포 안내판(33)에서 임시 저장조(80) 방향으로 가면서 바닥면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2°내지 5°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와 처리수 임시 저장조(80)에는 바닥면에 수직으로 침강 슬러지 차단벽(81)을 격벽(321) 높이의 5 내지 30 %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부상 후 일부 침강되는 슬러지의 유입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may be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while going in the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tank 80 in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The inclination is preferably 2 ° to 5 °. In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nd the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the settling sludge blocking wall 81 is installed at a height of 5 to 30% o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321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so that it partially settles after the injury. It is advantageous to block the inflow of sludg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궤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trajectory,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Example 1

도 3 내지 6의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도면을 참고하여,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3이고, 폭 1.8 m, 길이 4.2 m, 높이 2.2 m이고, 하폐수 유입구(31)는 격벽(321) 중앙에 설치하고 폭은 0.9 m, 높이 0.4 m로 하고, 미세기포 안내판(33)의 각도는 바닥면에서 중간까지 60°이다가 중간부터 45 °이며, 높이가 1.4 m인 미세기포 접촉부(30)에 도 7에 도시된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 및 미세기포수 공급관(43)으로 구성된 미세기포 배출부(40)을 설치하였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FIGS. 3 to 6, the ratio of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1: 3, and is 1.8 m wide, 4.2 m long and 2.2 m high, and the wastewater inlet. The 31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width is 0.9 m and the height is 0.4 m, and the angle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s 60 ° from the bottom to the middle, and 45 ° from the middle, and the height is 1.4. m the microbubble water composite pump 41,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shown in Figure 7 i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And a microbubble discharge part 40 composed of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유입부(411)로 처리수는 0.4 bar의 압력으로 125 L/분 흡입 공급되고, 상기 공기는 10 L/분으로 흡입되며, 상기 회전격자(413)의 회전수는 60 Hz이며,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의 압력조절밸브(422)는 4 bar로 설정되어, 미세기포수 공급관(43)으로 4 bar의 미세기포수가 토출되도록 하였다.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411 of the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41 at 125 L / min suction at a pressure of 0.4 bar, the air is sucked at 10 L / min,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grating 413 is performed. The number is 60 Hz,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of the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 is set to 4 bar, so that the microbubble water of 4 bar to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discharged.

또한 상기 미세기포 공급관(43)의 말단은 격벽(321)에서 10 cm 이격되게 바닥에서 0.85 m 높이에 수직선에 20 °기울어지게 설치하였고, 방사형 홈(3211)의 중앙은 바닥에서 0.55 m 높이까지는 수직선에서 25 °경사로 깊어지다가, 다시 하폐수 유입구(31) 상단까지 원호를 그리면서 얕아지고, 방사형 홈(3211)의 주변부로 갈수록 홈이 얕아지며, 원호의 단부의 가상의 접선은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면과 30°가 되도록 설치하였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micro-bubble supply pipe 43 is installed to be tilted 20 ° in a vertical line at a height of 0.85 m from the bottom 10 cm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 321, the center of the radial groove 3211 is a vertical line up to a height of 0.55 m from the bottom Deepens to 25 ° incline, becomes shallow again by drawing an arc to the top of the wastewater inlet 31, and becomes shallower toward the periphery of the radial groove 3211, and the tangential tangential of the end of the arc is the microbubble contact 30. It was installed to be 30 ° and the bottom surface of.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단 상기 방사형 홈(3211)에 방사형으로 5 개의 미세기포수 가이드판(52)을 설치하되, 미세기포수 가이드판(52)은 바닥부터 0.82 m에서 0.7 m 높이까지 오목 홈의 깊이에 비해 약 1cm 낮게 삼각형 형상으로 설치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ve microbubble water guide plates 52 are radially installed in the radial grooves 3211, and the microbubble water guide plate 52 is 0.82 from the bottom. It was installed in a triangular shape about 1 cm low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from m to 0.7 m height.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단 하폐수 유입구의 좌우 측단에 접한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이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가면서 45°각도로 점점 넓어지도록 하고,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이 1.8 m가 되면 그 폭을 일정하게 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and 323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wastewater inlet is 45 ° at an angle of 45 °. When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bulkheads 322 and 323 became 1.8 m, the width was made constant.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다만 원호의 단부의 가상의 접선은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maginary tangent at the end of the arc is horizont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다만 하폐수 유입구(31)의 폭을 1.8 m로 설치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idth of the wastewater inlet 31 is 1.8 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와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다만 격벽(321)에 방사형 홈(3211)은 형성되지 않고 미세기포 공급관(43)은 수직으로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말단부 위치가 1 m, 바닥에서 0.4 m 높이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바닥방향으로 설치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radial groove 3211 is not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crobubble supply pipe 43 is vertically formed in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n the partition wall 321.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l end position is 1 m and the height is 0.4 m from the bottom.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다만 미세기포 공급관(43)은 수직으로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말단부 위치가 0.5 m, 바닥에서 0.4 m 높이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바닥방향으로 설치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microbubble supply pipe 43 vertically has a distal end position of 0.5 m in the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and a height of 0.4 m from the bottom. Vertically installed in the bottom direction to be located in.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다만 미세기포 공급관(43)은 수직으로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말단부 위치가 1 m, 바닥에서 0.85 m 높이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바닥방향으로 설치하였다.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microbubble supply pipe 43 is vertically 1 m in the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from the partition 321 and 0.85 m in height from the bottom. Vertically installed in the bottom direction to be located in.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 규격의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비한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도 1과 같이 가압펌프(442), 가압된 처리수 이송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443), 상기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를 혼화하는 라인믹서(444),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가압하여 공기를 용해시키는 가압탱크(445), 상기 가압탱크에서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로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이송하는 혼화수 공급관(446), 상기 혼화수 공급관에서 분기된 2개의 분기관(4461, 4462), 상기 2개의 분기관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8개씩 미세기포수 공급 노즐(4463, 4464)로 구성된 미세기포 배출부(44)를 바닥에서 0.1 m 높이에 설치하였다.A compressor 443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a pressure separation pump 442 and a pressurized treated water conveying pipe as shown in FIG. 1 to a floating separ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line mixer 444 for mixing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and compressed air, a pressurized tank 445 for dissolving air by pressurizing the mixed water of the pressurized processed water and compressed air, and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n the pressurized tank.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mixed water supply pipe 446 for conveying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and the mixed water of the compressed air to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two branch pipes 4451 and 4462 branched from the mixed water supply pipe, and the two branch pip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microbubble discharge portion 44 including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nozzles 4446 and 4464 was installed at a height of 0.1 m from the bottom.

실험예 1: 미세기포 평균직경 및 평균기포수량Experimental Example 1: Microbubble average diameter and average number of bubbles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미세기포 접촉부의 격벽(321)의 양측 모서리 상부 수면, 미세기포 안내판(33)의 말단부 양측 모서리 상부 수면의 미세기포 직경 및 기포수량을 각각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In the floating sepa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upper surface of both edges of the partition wall 321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the microbubbl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both edges of the distal end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and The amount of bubbles was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ir average is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평균직경(㎛)Average diameter (㎛) 평균기포수량(개/ml)Average number of bubbles (pieces / ml) 실시예 1Example 1 2525 3,4253,425 실시예 2Example 2 2222 3,9433,943 실시예 3Example 3 2222 4,1104,110 실시예 4Example 4 3030 2,8522,852 실시예 5Example 5 3030 2,9662,96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525 2,0722,07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828 1,8891,889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525 1,9341,934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3030 2,3402,340

실험예 2: 하폐수 처리효율Experimental Example 2: Sewage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의 처리효율을 비교하였다. 유입되는 하폐수의 총인(T-P)는 0.807 mg/L이고, 부유물질은 4.4 mg/L이었다. 하폐수 처리효율은 유입되는 하폐수의 총인 또는 부유물질에서 하폐수 처리장치를 거친 처리수의 총인 또는 부유물질 감소 정도를 백분율로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The treatment efficiency of sewage water was compared using the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total phosphorus (T-P) of the incoming wastewater was 0.807 mg / L and the suspended solids was 4.4 mg / L. The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is shown in Table 2 below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phosphorus or suspended solids of the incoming wastewater and the total phosphorus or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ed 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구분division 총인 처리효율(%)Total Processing Efficiency (%) 부유물질 처리효율(%)Floating material treatment efficiency (%) 실시예 1Example 1 8888 4848 실시예 2Example 2 8989 5555 실시예 3Example 3 9090 5858 실시예 4Example 4 8686 4242 실시예 5Example 5 8585 3939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8080 151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7979 121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8080 111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7979 88

실험예 3: 전력 사용량Experimental Example 3: Power Consumption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7일 동안 전력사용량을 평균하여 1일 평균 전력사용량을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Using the floating sewage treatment system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average daily power consumption was calculated for 7 days, and the average daily power consumption was calculated.

구분division 1일 평균 전력사용량(kWh)Average daily power consumption (kWh) 실시예 1Example 1 8080 실시예 2Example 2 8080 실시예 3Example 3 8080 실시예 4Example 4 9090 실시예 5Example 5 909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09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010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0100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50150

10: 혼화부 11: 급속 교반기
20: 응집부 21: 제1 응집조 211: 완속 교반기
22:제2 응집조
30: 미세기포 접촉부 31: 하폐수 유입구 321: 격벽
3211: 방사형 홈 3212: 미세기포수 가이드판
322, 323: 측면 격벽 33: 미세기포 안내판
40, 44: 미세기포 배출부
41: 미세기포수 복합펌프 411: 유입부
4111: 공기 유입관 4112: 공기 유입 인입관
412: 분할부 413: 회전격자 4131: 분할판
414: 배출부 4141: 배출구 4142: 차단판
4143: 내부 공간
42: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 421: 혼합수 공급관
422: 압력조절밸브 423: 압력초과공기 배출관
43: 미세기포수 공급관
441: 유입관 442: 가압 펌프 443: 컴프레서
444: 라인믹서 445: 가압 탱크 446: 혼화수 공급관
4461, 4462: 분기관 4463, 4464: 노즐
50: 부상 슬러지 분리조
60: 부상 슬러지 배출부
70: 부상슬러지 수집기
80: 처리수 임시 저장조 81: 침강 슬러지 차단벽
90: 처리수 저장조
10: mixing section 11: rapid stirrer
20: flocculation part 21: first flocculation tank 211: slow stirrer
22: second flocculation tank
30: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1: wastewater inlet 321: partition
3211: radial groove 3212: microbubble guide plate
322, 323: side bulkhead 33: microbubble guide plate
40, 44: microbubble discharge part
41: microbubble complex pump 411: inlet
4111: air inlet pipe 4112: air inlet pipe
412: divider 413: rotary grid 4131: the divider
414: outlet 4141: outlet 4142: blocking plate
4143: interior space
42: pressure excess air separation tank 421: mixed water supply pipe
422: pressure control valve 423: pressure excess air discharge pipe
43: fine bubble water supply pipe
441 inlet pipe 442 pressure pump 443 compressor
444: line mixer 445: pressurized tank 446: mixed water supply pipe
4461, 4462: branch pipe 4463, 4464: nozzle
50: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60: floating sludge discharge
70: Sludge Sludge Collector
80: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1: sedimented sludge barrier wall
90: treated water reservoir

Claims (5)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0);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321)에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 높이 위치부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 사이에 오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상기 오목 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이 수직선과 10°내지 30°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60 내지 90의 위치까지는 오목 홈의 깊이가 깊어지다가, 다시 홈의 깊이가 얕아지며,
상기 오목 홈은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에서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넓어지는 방사형 홈(3211)이고,
상기 격벽(321)에서 방사형 홈(3211)이 형성된 단면은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60 내지 90의 위치까지는 수직선에 대하여 5° 내지 30° 경사진 직선이고,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가면서 원호로 형성되며,
상기 방사형 홈(3211)에는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볼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말단 높이 위치부터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5 내지 50의 위치에 상기 미세기포수를 분배하는 방사형으로 돌출 설치된 다수개의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2)이 구비되고,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의 폭이 상기 격벽(321)의 폭의 3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A mixing unit 10 for mixing flocculant with the introduced wastewater to generate flocs in the wastewater; Agglomeration unit 20 for growing the floc in the wastewater by stirring and introducing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ing unit 10; A microbubble guide plate installed in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321,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ation portion 20 (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surrounded by 33; Microbubble water discharge portion 40 for supplying microbubble water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let 31; The waste water flow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together with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rom the microbubble contacting part 30, and the floc contacted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ed sludg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collected sludge; A float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collect the sludge; A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In the floating-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and a treated water storage tank 90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treated water.
The partition 321 has a concave groove formed between the wastewater inlet 31 from the terminal height of the fine bubble water supply pipe 43,
The microbubble water dischar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e concave groove direction,
The virtual lin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s installed to be inclined 10 ° to 30 ° with the vertical line,
When the distance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is 100, the concave groove is located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position of 60 to 90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Deepens the depth of the groove, agai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concave groove is a radial groove 3211 widening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at the terminal height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he cross-section in which the radial grooves 3211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21 has a distance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at 100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It is a straight line inclined 5 ° to 3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o the position of 60 to 90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and is formed in an arc while going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The radial groove 3211 has a distance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to the wastewater inlet 31 as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let 31 from the end height position of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43. A plurality of microbubble water guide plate 3212 is provided protruding radially to distribute the microbubble water at the position of 50 to 50,
Floating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wastewater inlet 31 is 30 to 80% of the width of the partition 3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이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가면서 점점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loating separ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is gradually widened in the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n the wastewater inlet (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21)과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loating separ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partition 321 and the side partitions (322, 323) is 10 ° to 50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이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가면서 점점 넓어지다가, 상기 혼화부(10), 응집부(20) 또는 처리수 저장조(9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323) is gradually widened in the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n the wastewater inlet 31, the mixing section 10, agglomeration section 20 or the treatment water storage tank Floating sewag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kept constant with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9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1.2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on which the wastewater inlet 31 is formed, and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s 322 and 323,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Floating sewage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width and length is 1: 1.2 to 1: 3.
KR1020190040633A 2019-04-08 2019-04-08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KR101997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33A KR101997704B1 (en) 2019-04-08 2019-04-08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33A KR101997704B1 (en) 2019-04-08 2019-04-08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76A Division KR101990769B1 (en) 2018-12-04 2018-12-04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concave groove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704B1 true KR101997704B1 (en) 2019-10-17

Family

ID=6842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33A KR101997704B1 (en) 2019-04-08 2019-04-08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70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1609A (en) * 2005-10-19 2007-05-10 Toyota Motor Corp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7136354A (en) * 2005-11-18 2007-06-07 Kurita Water Ind Ltd Pressure floatation separation apparatus
KR101054087B1 (en) 2011-01-28 2011-08-03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aratu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KR20160029272A (en) * 2014-09-05 2016-03-15 (주) 상원이엔씨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1722099B1 (en) 2016-11-23 2017-03-3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Water Processing Apparatus Used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for Stable Bubble Gene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1609A (en) * 2005-10-19 2007-05-10 Toyota Motor Corp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7136354A (en) * 2005-11-18 2007-06-07 Kurita Water Ind Ltd Pressure floatation separation apparatus
KR101054087B1 (en) 2011-01-28 2011-08-03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aratu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KR20160029272A (en) * 2014-09-05 2016-03-15 (주) 상원이엔씨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1722099B1 (en) 2016-11-23 2017-03-3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Water Processing Apparatus Used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for Stable Bubble Gen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68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1990772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KR100927673B1 (en) Dissolved air injection type flotation tank
KR20160029272A (en)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1602289B1 (en) Apparatus for pressure-floating using reverse vortex micro-bubble generator
KR20160032067A (en)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1140769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ank
KR101990771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longitudinal distribution cone
KR101997705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with seperated waterway
KR101997704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concave groove wall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KR101990769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concave groove wall
KR101870404B1 (en) Micro-algae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KR101990770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concave groove bottom
KR102019903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concave groove bottom and controlled location of microbubble water inlet
KR101130816B1 (en) Flotation tank for rotary injection of nano size bubble
KR102026325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distributing nozzle
KR101990776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guide panel for water containing microbubble
KR101997703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ongitudinal distribution cone and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2009959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ong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KR101990775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inclined eliptical cone for latitudinal distribution
KR102016049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baffle for water containing microbubble
KR101990774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and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1620261B1 (en) Freshwater algea removal system using the micro-bubble
CN109293079B (en) Low-energy-consumption aeration circulation clarification tank
CN109928539B (en) Air floatation sewag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super-oxygen nano micro-bub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