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72B1 -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 Google Patents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72B1
KR101990772B1 KR1020180158722A KR20180158722A KR101990772B1 KR 101990772 B1 KR101990772 B1 KR 101990772B1 KR 1020180158722 A KR1020180158722 A KR 1020180158722A KR 20180158722 A KR20180158722 A KR 20180158722A KR 101990772 B1 KR101990772 B1 KR 10199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bubble
fine
distribution con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필국
김두현
원성희
윤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Priority to KR102018015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7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ation separation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portion equipped with a horizontal distribution cone having a distribution cone hole. Through the distribution cone hole, sewage and floc can flow smoothl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microbubble water supply pipe, microbubble water is supplied to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without pressure loss and agglomeration of microbubbles, while bring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microbubbles i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Therefor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due to power consumption are low.

Description

분배콘 홀이 형성된 가로 분배콘을 장착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icro-bubble contact unit equipped with a horizontal distribution cone in which a distribution cone hole is formed,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장치, 특히 분배콘 홀이 형성된 가로 분배콘을 장착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separatio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ine bubble contact portion equipped with a horizont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a distribution cone hole.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하수 또는 폐수와 같은 분산매질 중의 부유상 오염물질을 미세기포에 부착시켜 분산매질과 공기가 접하고 있는 수면까지 부상시켜 수면에서 오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수처리 장치이다.The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loats floating oil pollutants in the dispersion medium such as sewage or wastewater to fine bubbles and floats up to the water surface where the dispersion medium and the air are in contact to remove the pollutant or the sludge adhering the pollutant from the water surface It is a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하폐수 처리장치에 이용되는 부상분리방법에는, 기계부상법, 가압부상법, 전해부상법, 미생물학적 부상법 등이 있다. 상기 기계부상법은 난류가 심해 부유물(floc)이 파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수원수, 2차 처리된 하폐수 등의 부상분리에는 부적합하며, 전해부상법의 경우에는 전기를 이용 전극판에서 물을 전기분해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전력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며,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극판에 스케일이 발생하여 부착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2차 처리된 하폐수 또는 상수원수의 경우에는 대다수가 침전 및 가압부상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Examples of the floating separation method us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 a mechanical floating method, a pressurized floating method, an electrolytic floating method, and a microbiological floating method. Since the mechanical floating method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floc may be destroyed due to severe turbulence, it is not suitable for flotation separation of the water source and secondary treated wastewater. In the case of the electrolytic floating method,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very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required to generate decomposed fine bubbles and a scale is generated on the electrode plate for electrolyzing water. Therefore, in the case of secondary treated wastewater or water source, the majority of sedimentation and pressurized flooding methods are used in the majority.

가압부상법은 100 ㎛ 이하의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오염물에 부착시킴으로써 오염물의 전체 비중을 감소시켜 부력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압펌프, 컴프레서 및 가압탱크 등 전력소비가 큰 부속설비를 요구하며, 압력을 4 내지 6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전력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매우 떨어진다.The pressurized flotation method removes contaminants by buoyancy by reducing the total specific gravity of the contaminants by attaching them to the contaminants by generating micro bubbles of 100 μm or less. And it takes a lot of power to maintain the pressure at 4 to 6 atmospheres, which is very economical.

한편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미세기포 접촉부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노즐에서 미세기포를 토출함으로써, 미세기포 접촉부 내에 균일하게 미세기포가 상승되도록 하여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플록을 부상시키는 것이었으나, 고압에 의해 용해된 공기를 분기관을 거쳐 토출구 직경이 좁은 다수의 노즐을 통해 토출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의 융합으로 기포의 직경이 증가하면서 압력손실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전력 소요에 의한 유지비가 증가되는 한계가 있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minute bubbles are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nute bubble contact portion, so that minute bubbles are uniformly raised in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dissolved by the high pressure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a narrow outlet diameter through the branch pipe, the diameter of the bubbles is increased due to the fusion of the minute bubbles, so that the pressure loss is generated. There was a limit to increase the maintenance cost.

한국등록특허 제1054087호Korean Patent No. 1054087 한국등록특허 제1722099호Korea Patent No. 1722099

본 발명은 가압펌프, 컴프레서 및 가압탱크 등 전력소비가 큰 부속설비는 물론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을 초래하는 분기관 및/또는 다수의 노즐을 사용하지 않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을 통해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 없이 미세기포수를 미세기포 접촉부에 공급하면서도, 미세기포 접촉부 내 미세기포의 균일한 분포를 가져옴으로써, 설치비 및 전력 소요에 따른 유지비가 적고, 분배콘 홀을 통해 하폐수 및 플록의 흐름을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분배콘 홀이 형성된 가로 분배콘을 장착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pressure loss and a pressure loss through a micro-catcher supply pipe without using a nozzle having a large power consumption, such as a pressurizing pump, a compressor and a pressurizing tan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power consumption by providing the fine bubble catcher with uniform distribution of the minute bubbles i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while supplying the fine bubble catcher without agglomeration of the fine bubbles, And to provide a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a fine bubble contact portion equipped with a horizontal distribution cone having a distribution cone hole capable of smoothly run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0);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unit (10) for mixing flocculant with an incoming wastewater to generate flocs in the wastewater; A flocculating portion (20) for flowing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portion (10) and stirring to grow flocs in the wastewater; A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a wastewater inlet port 31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locculation portion 20,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and a fine bubble guide plate 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micro bubble contact portion 30; A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for supplying fine particle catchers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together with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from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nd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A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communicating with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discharge the collected sludge; A floating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nd collecting floating sludge; A treatment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And a process water reservoir (90)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to store process water, the device comprising: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면(34)에 상기 길이방향이 좁고 폭방향이 긴 타원뿔 형상의 분배콘(35)이 형성되고, 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an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322 and 323 in the width direction. A cone-shaped distribution cone 35 having a narrow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ng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4,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0.5 내지 1:2이고,
상기 분배콘(35)의 격벽(321)쪽 옆면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쪽 옆면으로 분배콘 홀(3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and vertically installed to discharge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n the direction of the vert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an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322 and 323 in the width direction. The ratio of width to length is 1: 0.5 to 1: 2,
And a distribution cone hole (353)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distribution cone (35) on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321) toward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본 발명은 가압펌프, 컴프레서 및 가압탱크 등 전력소비가 큰 부속설비는 물론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을 초래하는 분기관 및/또는 다수의 노즐을 사용하지 않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을 통해 압력 손실 및 미세기포의 응집 없이 미세기포수를 미세기포 접촉부에 공급하면서도, 미세기포 접촉부 내 미세기포의 균일한 분포를 가져옴으로써, 설치비 및 전력 소요에 따른 유지비가 적고, 분배콘 홀을 통해 하폐수 및 플록의 흐름을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분배콘 홀이 형성된 가로 분배콘이 장착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pressure loss and a pressure loss through a micro-catcher supply pipe without using a nozzle having a large power consumption, such as a pressurizing pump, a compressor and a pressurizing tan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power consumption by providing the fine bubble catcher with uniform distribution of the minute bubbles in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while supplying the fine bubble catcher without agglomeration of the fine bubbles,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equipped with a horizontal distribution cone having a distribution cone hole capable of smoothly run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은 가압펌프, 컴프레서, 라인믹서 및 가압탱크를 구비하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에 분기관 및 다수의 노즐을 구비한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 접촉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미세기포수 복합펌프,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를 구비하고, 노즐이나 분기관 없이 미세기포수 공급관만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4a는 원뿔 형상의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4b는 기울어진 원뿔 형상의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며, 도 4c는 기울어진 타원뿔 형상의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4d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며, 도 4e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의 미세기포 안내판쪽에 미세기포수 가이드판이 설치된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4f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의 미세기포 안내판쪽에 미세기포수 가이드판이 설치되고, 격벽쪽에 미세기포수 방해판이 형성된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며, 도 4g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의 미세기포 안내판쪽에 미세기포수 가이드판이 설치되고, 격벽쪽에 미세기포수 방해판이 형성된 분배콘에, 격벽에서 미세기포 안내판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는 분배콘 홀이 형성된 분배콘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 미세기포 접촉부의 하부를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부분 미세기포 접촉부의 하부를 확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 접촉부에서 바닥면에 형성된 분배콘 및 미세기포수 공급관 부분을 미세기포수 접촉부 상부에서 바라볼 때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수 복합펌프의 정단면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explanatory view of a conventional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pump, a compressor, a line mixer, and a pressurizing tank, and having a branch pi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in a fine catcher feed pipe.
Fig. 2 is a plan view of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an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and only a fine particle catcher pipe without nozzles or branches.
FIG. 4A is a plan view (top) and a front view (bottom) of a conical distribution cone, FIG. 4B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bottom) (Top) and front view (bottom) of a cone-shaped distribution cone, FIG. 4d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bottom) of a distribution cone in which the busbars of an oblique ridge cone are concavely curved, (Upper) and a front view (lower) of a dispensing cone provided with a fine-gravity catcher guide plate on the fine bubble guide plate side of a dispensing cone having a concave curved bus bar of an inclined ridge cone, (Upper) and a front view (lower) of a distribution cone in which a fine catcher guide plate is provided on a fine bubble guide plate side of a distribution cone formed in a concavely curved shape and a fine catcher interference plate is formed on a partition wall side, This concave curved distribution cone (Top) and front view (top) and bottom view (bottom) of a distribution cone having a distributing cone having a distributor cone hol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from a partition cone to a distribution cone having a fine- to be.
5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portion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of Fig.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an enlarged bottom portion of the A-portion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of Fig. 3; Fig.
FIG. 7 is a plan view of the dispenser con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of the floating separabl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rtion of the fine grab catcher supply pipe when view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ne grab catcher.
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fine-grained-catcher complex pump of the floating separation-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설명도이고, 도 2는 미세기포 접촉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tructural explanatory view of a conventional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급속 교반기(11)가 구비된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하부로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완속 교반기(211)를 구비한 제1응집조(21), 및 제1응집조(21)와 상부로 연통되어 하강하면서 플록을 더욱 성장시키는 제2 응집조(22)를 구비한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4);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로서,1 and 2, the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admixture 10 having a rapid agitator 11 for mixing flocculant with incoming wastewater to generate flocs in the wastewater. A first flocculation tank 21 having a slow stirrer 211 for flowing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ing unit 10 to the bottom and stirring to grow flocs in the wastewater, And a second flocculation tank (22) communicating with the flocculation tank (12) and descending while further growing the flocs; A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a wastewater inlet port 31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locculation portion 20,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and a fine bubble guide plate 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micro bubble contact portion 30; A fine particle catching and discharging unit 44 for supplying fine particles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from the bottom of the fine bubble contacting unit 30;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together with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from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nd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A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communicating with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discharge the collected sludge; A floating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nd collecting floating sludge; A treatment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And a process water reservoir (90)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rocess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to store process water,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4)는, 임시 저장조(80)의 처리수를 흡입하는 유입관(441), 상기 유입관(441)에서 처리수를 흡입하여 높은 압력으로 토출하는 가압펌프(442), 가압된 처리수 이송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443), 상기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를 혼화하는 라인믹서(444),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가압하여 공기를 용해시키는 가압탱크(445), 상기 가압탱크에서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로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이송하는 혼화수 공급관(446), 상기 혼화수 공급관에서 분기된 다수의 분기관(4461, 4462), 상기 다수의 분기관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미세기포수 공급 노즐(4463, 4464)로 구성되어 있다.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4 includes an inflow pipe 441 for sucking treated water from the temporary storage tank 80, a pressurizing pump 442 for sucking treated water from the inflow pipe 441 and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at a high pressure, A line mixer 444 for mixing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with the compressed air, a pressurized mixed water of pressurized treated water and compressed air to dissolve the air , A mixed water supply pipe (446) for transferring mixed water of the treated water and compressed air pus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in the pressurizing tank, a plurality of minute branches (4461, 4462), and a plurality of fine-grained catcher supply nozzles (4463, 4464)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plurality of branch pipes.

상기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응집부(20)에서 성장된 플록이 미세기포 접촉부(30)와 부상 슬러지 분리조(50)로 하폐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부상하여 부상 슬러지 수집기(70)에 의해 제거된다.In the conventional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flocs grown in the flocculation portion 20 float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wastewater into the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nd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Removed.

그러나 상기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공기가 가압탱크(445) 내에서 처리수에 용해되는데 용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대용량의 가압탱크(445)가 필요하고, 또한 공기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컴프레서(443)가 추가로 필요하고, 고압에 의해 용해된 공기를 분기관을 거쳐 토출구 직경이 좁은 다수의 노즐을 통해 토출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의 융합으로 기포의 직경이 증가하면서 압력손실이 발생되므로 처리효율이 감소되고,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며, 높은 전력 소요에 의해 유지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air is dissolved in the treatment water in the pressurization tank 445, and a large-capacity pressurization tank 445 is required to increase the dissolution efficiency. Further, in order to accelerate dissolution of air, The diameter of the bubbles is increased due to the fusion of the minute bubbles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dissolved by the high pressure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a narrow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through the branch pipe, The efficiency is reduced,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high power consumption.

이하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G.

도 3은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를 구비하고, 노즐이나 분기관 없이 미세기포수 공급관(43)만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며, 도 4a는 원뿔 형상의 분배콘(35)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4b는 기울어진 원뿔 형상의 분배콘(35)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며, 도 4c는 기울어진 타원뿔 형상의 분배콘(35)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4d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35)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며, 도 4e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35)의 미세기포 안내판(33)쪽에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51)이 설치된 분배콘(35)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4f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35)의 미세기포 안내판(33)쪽에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51)이 설치되고, 격벽(321)쪽에 미세기포수 방해판(352)이 형성된 분배콘(35)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며, 도 4g는 기울어진 타원뿔의 모선이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분배콘(35)의 미세기포 안내판(33)쪽에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51)이 설치되고, 격벽(321)쪽에 미세기포수 방해판(352)이 형성된 분배콘(35)에,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는 분배콘 홀(353)이 형성된 분배콘(33)의 평면도(상) 및 정면도(하)이고, 도 5는 도 3의 A 부분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를 확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 부분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를 확대한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 접촉부(30)에서 바닥면(34)에 형성된 분배콘(35) 및 미세기포수 공급관(43) 부분을 미세기포수 접촉부(30) 상부에서 바라볼 때의 평면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of a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41 and an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 and having only a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without nozzles or branches. 4A is a plan view (top) and a front view (bottom) of a conical distribution cone 35, and FIG. 4B is a plan view (top) and a front view of a tilted conical distribution cone 35. FIG. FIG. 4C is a plan view (upper) and a front view (lower) of the tilted cone-shaped distribution cone 35, and FIG. 4D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cone 4E is a plan view (top) and a front view (bottom)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n which the busbars of the inclined ridge cone are concavely curved, (Upper) and a front view (lower) of the distribution cone 35 provided with the tilted cone, and FIG. 4 A top view (top view)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n which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51 is provided on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side of the formed distribution cone 35 and the fine bubble trap plate 352 i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321 side and FIG. 4G is a front view (lower) of FIG. 4A. FIG. 4G shows a fine bubble guide plate 33 of the dispensing cone 35 in which the busbars of the tapered cone are concavely curved, A distributing cone 35 in which a distribution cone 353 gradually wide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from the partition wall 321 is formed in the distribution cone 35 on which the fine particle trap interfering plate 352 is formed, Fig.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portion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30 of Fig. 3, and Fig. 6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A- 7 is a side view of the microbubble contact portion 30 of the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4 Micropores distribution cone 35 and the micropores catcher supply pipe 43 is a plan view of the portion when seen from the upper contact catcher 30.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의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정단면도이다.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e particle catcher composite pump 41 of the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0);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The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mixture portion (10) for mixing flocculant into inflow wastewater to generate flocs in the wastewater; A flocculating portion (20) for flowing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portion (10) and stirring to grow flocs in the wastewater; A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a wastewater inlet port 31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locculation portion 20,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and a fine bubble guide plate 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micro bubble contact portion 30; A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for supplying fine particle catchers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together with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from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nd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bubbl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A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communicating with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discharge the collected sludge; A floating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nd collecting floating sludge; A treatment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And a process water reservoir (90)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to store process water, the device comprising: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면(34)에 상기 길이방향이 좁고 폭방향이 긴 타원뿔 형상의 분배콘(35)이 형성되고, 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an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322 and 323 in the width direction. A cone-shaped distribution cone 35 having a narrow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ng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4,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and is vertically installed so that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vert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종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와는 미세기포 접촉부(30) 및 미세기포수 배출부(40)에서 기술적 구성에 주로 차이가 있다.There is a major difference in the technical construction between the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nd the micro-catcher discharging portion 40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이하 미세기포 접촉부(3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는 상기 격벽(321)의 하부에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기 격벽(321)으로 차단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격벽(321) 하부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응집부(20)에서 유입되는 하폐수와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통해 공급되는 미세기포수의 접촉을 늘리기 위해 상기 격벽(321)의 하부에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의 폭을 상기 격벽(321)의 하부 전체 폭의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폭이 너무 좁을 경우 응집부(20)에서 형성된 플록 파괴되거나 하폐수의 유입량이 제한되어 처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The wastewater inflow port 31 is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that is not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321 from the bottom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locculation portion 20, And 323, as shown in FIG.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cculation portion 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321 to increase the contact between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flocculation portion 20 and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ied through the microfissure catcher supply pipe 43 May be 50 to 100%, preferably 60% or more, more preferably 70% or more of the entire wid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321. If the width is too narrow, flocs formed in the flocculating portion 20 may be destroyed or the inflow amount of wastewater may be limited, which may reduce the treatment efficiency.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는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이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가면서 점점 넓어지는 것이 미세기포수와 하폐수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때 격벽(321)과 측면 격벽(322 또는 323) 사이의 각도는 1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0°로 할 수 있다. 상기 각도가 너무 좁을 경우 하폐수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각도가 너무 클 경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 면적이 좁아져 처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동일한 처리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서 설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의 폭을 상기 소정의 각도로 넓힌 다음 혼화부, 응집부 또는 처리수 저장조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widths of the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are smaller than the widths of the fine bubble introducing ports 31 from the wastewater inflow port 31 when the widths of the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ar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micro-catcher and the wastewater.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barrier ribs 321 and the side barrier ribs 322 or 323 may be 10 ° to 50 °, preferably 20 ° to 40 °. If the angle is too narrow,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tact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can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If the angle is too large, the bottom area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becomes narrow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can be reduced.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s 33 is increased and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increased. More preferably, the width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can be widen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kept constant at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admixture, the flocculation portion, or the process water reservoir.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0.5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0.55 내지 1:1.5인,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 내지 1:1인 것이다. 상기 범위에서 폭이 너무 길 경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배출된 미세기포수가 2개의 측면 격벽(322, 323)까지 도달하지 않아 미세기포 접촉부(30) 내에 죽은 영역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에서 길이가 너무 길 경우 하폐수와 함께 플록을 상승시키는 압력이 손실되어 하폐수 처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an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322 and 323 in the width direction. The ratio of the width to the length is 1: 0.5 to 1: 2, preferably 1: 0.55 to 1: 1.5, more preferably 1: 0.6 to 1: 1. If the width is too long in the above range,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d from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does not reach the two side wall partitions 322 and 323, so that a dead area is generated in the minute bubble contact part 30, Is too long, the pressure for raising the flocs may be lost together with the wastewater, which may lower the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이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내경 길이의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만큼 이동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이동 거리가 너무 짧을 경우에는 격벽(321) 쪽으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가 너무 많아 하폐수 유입구(31)에서 유입되는 하폐수에 와류가 생겨 플록이 파괴되는 비율이 높아 플록의 상승 효율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이동 거리가 너무 길 경우 플록과 미세기포수의 혼합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ne-grab catcher supply pipe 43 coincides with a virtual line vertically penetrating the ap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or a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ne- Line can be set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by 5 to 50%, preferably 15 to 45%, more preferably 25 to 40% of the inner diameter length of the fine-grained catcher supply pipe 43 . If the moving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is too short, the number of fine grains discharged to the partition wall 321 is too large to cause a vortex in the wastewater flowing in from the wastewater inlet 31, The mixing efficiency of the flock and the fine particle catcher can be reduced if the moving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s too long.

상기 분배콘(35)은 도 4a의 원뿔 형상, 또는 도 4b의 기울어진 원뿔형상 보다는 도 4c 내지 도 4g의 기울어진 타원뿔 형상이 바람직하다. The distribution cone 35 is preferably a conical shape of FIG. 4A, or a tilted conical shape of FIGS. 4C-4G rather than a tilted conical shape of FIG. 4B.

원뿔 형상의 경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지름이 동일하므로, 상기 원뿔의 꼭지점에서 바닥면(34)까지 측면 격벽(322, 323) 방향으로 모선을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토출된 미세기포수가 안내되는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하려면, 길이방향의 모선의 길이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길이에 비해 폭이 긴 미세기포 접촉부(30)에서 미세기포수의 분배가 고루지 않을 수 있으므로 폭방향이 길고 길이방향이 짧은 타원뿔 형상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conical shape, whe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on which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is formed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is the width direction, The length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d from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s guided along the bus bar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from the vertex of the cone to the bottom surface 34 is long And the length of the bus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increases together, the distribution of the micro-bubble catchers may not be uniform in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which is relatively long in comparison with the length. desirable.

또한 동일한 장반경, 단반경 및 높이를 가진 타원뿔의 경우라 할 지라도, 상기 타원뿔의 꼭지점이 상기 격벽(321) 방향으로 치우쳐진 기울어진 타원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어진 정도는 상기 꼭지점의 위치가,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꼭지점에서 상기 격벽(321) 방향으로의 장반경의 길이를 100이라 할 때, 20 내지 95까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위치에 꼭지점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울어진 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꼭지점에서 바닥면(34)까지 미세기포수 안내판(33) 방향으로 모선을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토출된 미세기포수가 안내되는 유로의 길이가 짧아지고 동시에 유로의 경사가 급해 미세기포의 응집에 의한 하폐수 처리 효율이 감소하고, 상기 기울어진 정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분배콘(35)에서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하폐수와 플록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플록의 상승 효율 및 하폐수 처리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Also, although it is the case of the other cone having the same major axis, minor axis, and he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apex of the cone is inclined conical shape shifted toward the partition 321.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preferably from 20 to 95, preferably from 40 to 90, more preferably from 20 to 95 when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from the vertex when the position of the vertex is not tilted is 100 So that a vertex is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60 and 85 degrees.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length of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micro-catcher discharged from the micro-catcher feed pipe 43 is guided along the bus bar in the direction of the micro catch guide plate 33 from the vertex to the bottom surface 34 is shortened,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due to the aggregation of minute bubbles is reduced. When the degree of tilting exceeds the above range, the number of micro-particles trapped in the distribution cone 35 toward the wastewater water inlet 31 becomes relatively large It may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wastewater and the floe, thereby reducing the floc rising efficiency and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상기 타원뿔 밑면 타원의 단반경과 장반경의 비는 1:1.5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3.8,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5이다. 상기 범위에서 장반경이 너무 작으면 꼭지점에서 바닥면(34)까지 측면 격벽(322, 323) 방향으로 모선을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토출된 미세기포수가 안내되는 유로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범위에서 장반경이 너무 크면 측면 격벽(322, 323) 방향으로 분배되어 측면 격벽(322, 323)에 부딪치는 미세기포수의 흐름이 강해져 미세기포의 응집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하폐수 처리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The ratio of the minor axis to the major axis of the elliptical cone bottom is 1: 1.5 to 1: 4, preferably 1: 1.8 to 1: 3.8, more preferably 1: 2 to 1: 3.5. The length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ne particles trapped in the fine particle catcher feed pipe 43 is guided along the bus bar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from the vertex to the bottom surface 34 is shortened, The flow of the fine particles trapped in the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toward the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is strengthened and the fine bubbles are agglomera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can be reduced .

상기 분배콘(35)의 모선의 기울기가 꼭지점에서 바닥면(34) 방향으로 갈수록 완만해지는 것, 바람직하게는 꼭지점에 위치한 모선의 접선의 각도는 6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이고, 바닥면에 접하는 모선의 접선 각도는 0° 내지 50°이고, 바닥면에 접하는 모선에서도 격벽(321) 방향의 모선의 접선은 2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이며,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의 모선의 접선은 0°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선의 단면이 오목하게 곡선을 이룬 형상의 분배콘이 미세기포수의 충돌에 의한 응집을 최소화하면서 바닥면(34)까지 미세기포수의 흐름을 가져갈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bus bar of the distribution cone 35 gradually becomes gradually from the vertex toward the bottom surface 34, preferably the angle of the tangent of the bus bar located at the vertex is 60 ° to 90 °, preferably 70 ° to 85 ° °, the tangential angle of the bus bar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0 ° to 50 °, and the tangent of the bus bar in th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is 25 ° to 50 °, preferably 30 ° to 45 °, , And the tangential line of the busbars in the direc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s 0 ° to 35 °, preferably 10 ° to 25 °. As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ion cone having a concave curved cross section of the bus can take the flow of the micro catcher to the bottom surface 34 while minimizing the coagulation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micro catcher.

상기 분배콘(35)의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쪽 옆면에 꼭지점에서 바닥면(34) 방향으로 모선을 따라 다수개의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51)이 형성되는 것이 미세기포 접촉부(30)의 구석까지 미세기포수를 방사상으로 고루 분배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은 꼭지점에서 모선을 따라 바닥면(34)까지 또는 그 사이 소정의 지점까지 모선의 접면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21)의 높이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내경을 100이라 할 때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정도의 높이로 형성한다.A plurality of microcylinder guide plates 351 are formed along the busbar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34 from the vertex to the side of the distribution cone 35 side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It is advantageous to distribute the fine grabber uniformly in a radial manner. The microcylinder catcher guide plate 321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busbars from the vertex to the bottom surface 34 along the busbars or to a predetermined point therebetwe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ly pipe 43 is 100, it is formed at a height of 20 to 100, preferably 30 to 90, and more preferably 40 to 80.

상기 분배콘(35)의 상기 격벽(321)쪽 옆면에 모선에 수직이 되는 다수개의 미세기포수 방해판(352)을 설치하는 것이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하폐수 유입구(31) 방향으로 일부 토출되는 미세기포수를 측면 격벽(322, 323) 방향으로 분배하여, 유입되는 하폐수의 와류를 방지하고 플록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기포수 방해판은 모선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하방으로 15° 내지 45°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수 방해판(322)의 높이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내경을 100이라 할 때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정도의 높이로 형성한다.A plurality of microcavity catcher plates 352 perpendicular to the busbars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321 side of the distribution cone 35 to be partially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water inlet 31 from the microcavity catcher supply pipe 43 It is preferable to distribute the fine catchers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to prevent swirling of the incoming wastewater and to maintain the flocs. The microcavity trap plate may be perpendicular to the busbars, but may be inclined 15 to 45 degrees below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The height of the micro catch trapping plate 322 is set to a height of 10 to 60, preferably 15 to 50, and more preferably 20 to 40,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micro catch catcher supply pipe 43 is 100.

상기 분배콘(35)의 격벽(321)쪽 옆면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쪽 옆면으로 분배콘 홀(353)이 형성되므로써,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배콘(35)에 의한 하폐수 및 플록의 흐름을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배콘 홀(353)은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도록 격벽(321)쪽 옆면에 형성된 분배콘 홀(353)의 입구는 미세기포 안내판(33)쪽 옆면에 형성된 분배콘 홀(353)의 출구에 비해, 그 폭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작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콘 홀(353)의 입구나 출구의 하단은 바닥면(34)에 접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형성되고,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폭 및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A distribution cone hole 35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321 side of the distribution cone 35 at the side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side so that the flow of the wastewater and the floc by the distribution cone 35, Can be smoothly ma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ribution cone hole 353 is formed so as to be wider in the direc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from the partition wall 321. The entrance of the distribution cone hole 353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partition wall 32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At least one of the width and the height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let of the formed distribution cone hole 353. More 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distribution cone 353 is in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bottom surface 34, and the width and heigh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 위치는 상기 폭방향의 중앙이고,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부터 미세기포 안내판(33)까지의 길이를 100이라 할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은 10 내지 30 위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위치이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의 높이를 100이라 할 때, 상기 분배콘(35)의 높이는 80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이고, 상기 분배콘(35)의 높이를 100이라 할 때,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부의 바닥에서부터의 높이는 10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5인 것아다.When the length from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to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al end position of the microfeiter catcher supply pipe 43 is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s 10 to 30 positions, preferably 15 to 25 positions. When the height of the wastewater inlet 31 is 100,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distal end of the micropore catcher supply pipe 43 is 100 to 120, preferably 105 (when the height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100), the height is 80 to 100, preferably 85 to 95, Lt; / RTI >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의 높이는 300 내지 800 mm이고, 상기 분배콘(35)의 높이는 250 내지 750 mm이며,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 높이는 바닥면(34)에서 300 내지 900 mm 높이에 구비되며, 이때 상기 바닥부터 격벽(321, 322, 323)의 높이가 2 내지 4.5 m 정도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dispensing cone 35 is 250 to 750 mm and the height of the distal end of the micro-catcher supply pipe 43 is 300 to 900 mm at the bottom surface 34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artitions 321, 322, and 323 from the bottom may be about 2 to 4.5 m.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은 바닥에서 30°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내지 55°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은 바닥부터 말단까지 일정한 각도로 형성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 내에서 바닥부분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말단부분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곡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종래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의 넓은 면적에 분기관 및 다수의 노즐을 형성한 도 2의 미세기포수 배출부(44)의 경우 미세기포 접촉부(30) 바닥에서 노즐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하폐수 및 플록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의 경사가 60°를 초과하거나 나아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플록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바닥 방향으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가 미세기포 안내판(33)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가면서 플록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한치 이하로 각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다만 미세기포 안내판(33)의 각도가 너무 낮아지면 수면까지의 거리가 너무 길어져 오히려 플록의 상승이 어려워질 수 있다.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30 ° to 60 °, preferably 40 ° to 55 ° inclined from the bottom.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ottom to the distal end. Preferably, the angle of the bottom portion is relatively high and the angle of the distal portion is relatively low within the above range,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in the above range. In the case of the fine emitter discharging portion 44 of FIG. 2 in which a branch pi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in a wide area of the bottom of the conventional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The flocs can be easily raised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exceeds 60 ° or further vertical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angle below the upper limit value so that the floc can be raised while easily riding on the guide plate 33. However, if the angle of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is too low, the distanc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becomes too long,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raise the flocs.

상기 미세기포 안내판(33)의 높이는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폐수 높이의 50 내지 70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is preferably 50 to 70% of the height of the wastewater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이하 미세기포수 배출부(4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ing unit 40 will be described.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상기 처리수와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부(411), 상기 유입부(4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처리수와 공기가 유동하는 분할부(412), 상기 분할부(412)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분할판(4131)으로 상기 처리수와 공기를 혼화하면서 분할하여 미세기포수를 형성하는 회전격자(413), 및 상기 분할부(4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4143), 상기 내부 공간(4143)의 직경이 감소된 말단부에 형성된 배출구(4141), 및 상기 배출구(4141) 둘레로 하측으로 돌출된 차단판(4142)을 포함하는 배출부(414);를 포함하는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includes an inflow unit 411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and air are supplied, a divided water supply unit 412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flow unit 411 flows, A rotating lattice 413 provided in the replenishing section 412 for dividing the processing water and air while mixing them to form a fine particle collector by a partition plate 4131 rotating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inner space 41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4143 an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and decreasing toward the upper side and an inner diameter 41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4143; And a discharge section (414) including a protruding blocking plate (4142);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상기 배출구(4141)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기포수 및 응집기포수의 혼합수가 공급되는 혼합수 공급관(421), 및 압력조절밸브(422) 및 압력초과공기 배출관(423)이 구비된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 및A mixed water supply pipe 421 for supplying the mixed water of the fine catcher and the coagulated foam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4141 of the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41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422 and an overpressure air discharge pipe 423, An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And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로부터 소정 압력 및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수를 배출하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포함한다.And a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for discharging a fine pressure catch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

상기 유입부(411)에서 공기는 공기 유입관(4111)을 통해 처리수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공기 유입관에서 분할부(412) 입구까지 공기 유입 인입관(4112)를 설치할 수 있다.The air in the inlet 411 may be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suction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air inlet pipe 4111. Furthermore, an air inflow inlet pipe 4112 may be installed from the air inflow pipe to the inlet of the partitioning part 412 to more effectively introduce the air.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는 분할판(4131)이 형성된 회전격자(413)의 회전에 의해 유입부(411)보다 좁은 유로를 가진 분할부(412)로 처리수와 공기가 흡입되고, 처리수와 공기가 혼화하면서 분할되며, 이로 인해 생성된 미세기포수가 고압으로 배출부(414)로 이송된다.The fine particulate composite pump 41 sucks the treated water and air into the divided part 412 having a flow path narrower than the inflow part 411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lattice 413 formed with the partitioning plate 4131, The water and the air are divided while being mixed, and the resulting fine particle gun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ion 414 at a high pressure.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생성된 미세기포수는 내부 공간(4143) 및 차단판(4142)를 구비한 배출부(414)를 통해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와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기포가 각각 분리된 유로를 거친 후 배출구(4141)로 함께 배출되고,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에서 압력조절밸브(422)에 의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공기는 기체상으로 배출되고, 소정 압력 이하의 처리수에 용해된 미세기포수만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는 별도의 분기관이나 다수의 노즐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한 미세기포의 응집이나 압력손실 없이 미세기포수가 수중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ne particle collector generated by the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41 is divided into fine bubble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fine bubbl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by a discharge unit 414 having an inner space 4143 and a blocking plate 4142 The air exceeding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gas by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in the excess 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 Only the micro-particles trapped in the micro-particle trap feed pipe 43 is discharged. At this time, since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branch pipe or a plurality of nozzles, the fine particle catcher can be supplied into the water without agglomeration of the minute bubbles or pressure loss.

상기 배출부(414)의 내부 공간(4143)은 상기 분할부(4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형성된 것으로 내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인 것이다. 분할판(4131) 및 회전격자(413)의 회전에 의해 처리수와 공기가 혼화하면서 분할되며, 이로 인해 생성된 미세기포수가 내부 공간(4143)으로 토출될 때,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기포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격자(413)의 회전 방향, 즉 도 7의 좌측 반구쪽으로 토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4143) 내벽을 따라 이동하다 회전하면서 상기 차단판(4142)에 부딪치면서 서로 응집하고,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는 상기 분할부(412)에서 토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414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다가 배출구(4141)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부(412)에서 토출된 미세기포수는 미세기포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출부(414)의 내부 공간(4143)에서 각각 분리된 유로를 통해 이동하다가 배출구(4141)로 함께 배출된다. 즉, 배출구(4141)로 배출되는 미세기포수는 내부 공간(4143)의 중앙부로 이동하는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와 내부 공간(4143)의 내벽으로 회전하면서 응집하여 더욱 커진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기포가 함께 배출된다.The inner space 4143 of the discharge portion 414 extends upward from the partitioning portion 412 and in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o be decreased. The inner surface is curved and preferably spherical. When the processed water and air are mixed while being split by the rotation of the partitioning plate 4131 and the rotation grid 413 and the generated fine particle catche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4143, 7, and mov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while being hit by the blocking plate 4142 while being cohe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luid is mix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The fine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partitioning part 412,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4143, and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4141. Therefore, the micro-sized catcher discharged from the partitioning part 412 moves through the flow path separated from the internal space 4143 of the discharge part 41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inute bubbles, and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port 4141. That is,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4141 coagulates while rotating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and the minute bubble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moving to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4143, do.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는 상기 구형 내부 공간(4143) 지름의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인 것이다.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내부 공간(4143)의 내벽을 회전하면서 충분히 응집되기 전에 중앙부로 이동하는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내부 공간(4143)의 내벽을 회전하면서 소정 크기 이상으로 응집된 미세기포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많아지므로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생성 효율 및 전력 소요 절감 효과가 감소한다.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5 to 40%, preferably 10 to 30% of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inner space 4143. If 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too low,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a minute particle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which moves to the center before sufficiently agitating and rotating. If 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too high, the amount of fine bubbles agglomerat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s relatively increased while rotati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4143, The efficiency of generation of micro-bubbles to generate bubbles and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 are reduced.

상기 차단판(4142)의 높이는 회전격자(413)의 회전방향의 높이가 높고, 그 반대방향의 높이가 낮은 잘린 원기둥 형상인 것이, 소정 크기 미만의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생성 효율 및 전력 소요 절감 효과를 높이는데 더욱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4142 is a truncated cylindrical shape with a high height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lattice 413 and a low he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increase the saving effect.

상기 구형 내부 공간(4143)의 지름은 상기 회전격자(413)의 둘레로 형성된 분할부(412)의 유로 내경의 3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5 배인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생성 효율 및 전력 소요 절감 효과가 감소한다.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inner space 4143 is 3 to 6 times, preferably 4 to 5.5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of the partition 412 formed around the rotation grating 413. When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inner space 4143 is out of the above range, And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상기 유입부(411)의 유로 내경은 상기 회전격자(413)의 둘레로 형성된 분할부(412)의 유로 내경의 2 내지 4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배인 것으로,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의 토출 압력 상승에 한계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펌프에 부하가 발생하여 펌프의 크기나 용량을 더욱 키워야 할 수 있다.The flow path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portion 411 is 2 to 4 times, preferably 2.5 to 3.5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of the partition 412 formed around the rotation grating 413, and below the lower limit, There is a limit to the increase of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fin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pump 41. When the upper limit is exceeded, a load is generated in the pump, so that the size and the capacity of the pump may be increased.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상기 유입부(411)로 처리수는 0.1 내지 0.6 bar,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bar의 압력으로 흡입 공급되고, 상기 공기는 유입 유량의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로 흡입되며, 상기 회전격자(413)의 회전수는 40 내지 60 Hz,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Hz인 것이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의 토출 압력 상승에 한계가 있고,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에서 토출되는 압력을 2 내지 6 bar,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bar로 맞추기 어렵다.The treated water is sucked and supplied to the inlet 411 of the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41 at a pressure of 0.1 to 0.6 bar, preferably 0.2 to 0.5 bar, and the air is supplied at a flow rate of 3 to 10%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grid 413 is 40 to 60 Hz, preferably 50 to 60 Hz.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grid 413 is out of the range,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fine particle catcher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41 to 2 to 6 bar, preferably 3 to 5 bar.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의 압력조절밸브(422)는 2 내지 6 bar,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bar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는 분기관이나 다수의 노즐을 통한 압력 손실 없이 바로 미세기포 접촉부(30)로 토출되므로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의 압력조절밸브(422)에서 설정된 압력이 미세기포수 공급관(43)에서 토출되는 압력과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422 of the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 may be set to 2 to 6 bar, preferably 3 to 5 bar. Since the micro-bubble catcher feed pipe 4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minute bubble contact unit 30 without any pressure loss through the branch pipe or a plurality of nozzles, the pressure set by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of the ov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fine-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은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한다.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은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에서 별도의 분기관이나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지 않고, 미세기포수를 바닥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관이다.The micro-catcher supply pipe 43 supplies micro-catchers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30. The fine-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s a pipe for supplying the fine-particle catcher in the bottom direction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branch pipe or a plurality of nozzles in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한편 부상 슬러지 배출부(60)의 바닥은 미세기포 안내판(33)에서 임시 저장조(80) 방향으로 가면서 바닥면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2°내지 5°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와 처리수 임시 저장조(80)에는 바닥면에 수직으로 침강 슬러지 차단벽(81)을 격벽(321) 높이의 5 내지 30 %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부상 후 일부 침강되는 슬러지의 유입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may be inclined from the bottom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tank 80. The inclination is preferably 2 DEG to 5 DEG. In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nd the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the settling sludge blocking wall 81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t a height of 5 to 30% o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321, It is advantageous to block the inflow of sludg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궤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Example 1

도 7의 미세기포 접촉부(30) 평면도를 참고하여,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1.3이고, 폭 2.4 m, 길이 3.2 m, 높이 2.2 m이고, 하폐수 유입구(31)의 높이는 0.4 m, 폭은 2.4 m, 미세기포 안내판(33)의 각도는 60°이며, 높이가 1.4 m인 미세기포 접촉부(30)에 도 8에 도시된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 및 미세기포수 공급관(43)으로 구성된 미세기포 배출부(40)을 설치하였다.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폐수의 높이는 2.1 m이었다.Referring to the plan view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of Fig. 7, the width to length ratio of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is 1: 1.3, the width is 2.4 m, the length is 3.2 m, 8, the fine-particle-containing complex pump 41 shown in Fig. 8, the pressure-exceeding valve 40 shown in Fig. 8, and the pressure- An air separation tank (42); And a fine-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The height of the wastewater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was 2.1 m.

상기 미세기포수 복합펌프(41)의 유입부(411)로 처리수는 0.4 bar의 압력으로 125 L/분 흡입 공급되고, 상기 공기는 10 L/분으로 흡입되며, 상기 회전격자(413)의 회전수는 60 Hz이며, 상기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42)의 압력조절밸브(422)는 4 bar로 설정되어, 미세기포수 공급관(43)으로 4 bar의 미세기포수가 토출되도록 하였다.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411 of the fine particle catcher complex pump 41 at a rate of 125 L / min at a pressure of 0.4 bar. The air is sucked at 10 L / min,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lattice 413 The pressure control valve 422 of the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 was set to 4 bar so that the microcavity catcher of 4 bar was discharged to the microcavity catcher supply pipe 43.

또한 상기 미세기포 배출관(43)은 내경은 40 mm, 격벽(321)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0.6 m, 바닥에서 0.41 m 높이에 수직으로 바닥방향으로 설치하였다.The fine bubble discharging pipe 43 was installed at an inner diameter of 40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at a height of 0.6 m from the partition wall 321 towar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and at a height of 0.41 m from the bottom.

또한 분배콘(35)은 도 4c의 형상으로 높이는 0.4 m, 장반경은 1.0 m, 단반경은 0.4 m이고, 꼭지점은 타원뿔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가상의 꼭지점에서 격벽(321)쪽 단반경 방향으로 0.3 m 이동된 위치에 오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였다.4c, the distribution cone 35 has a height of 0.4 m, a major axis of 1.0 m and a minor axis of 0.4 m, and the ap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0.3 in the direction of the minor axis of the partition wall 321 at the virtual vertex when the cone is not tilted. m was installed so as to come to the moved position.

또한 상기 미세기포 배출관(43)의 가상의 중심선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보다 15 mm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였다.Further,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fine bubble discharging pipe (43) is arrang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by 15 mm more than the vert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고, 다만 분배콘(35)은 도 4f의 형상으로 높이는 0.4 m, 장반경은 1.0 m, 단반경은 0.4 m이고, 꼭지점은 타원뿔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가상의 꼭지점이 격벽(321)쪽 단반경 방향으로 0.3 m 이동된 위치에 오도록 기울어지게 하고,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51)을 30 mm 높이로 모선의 접면에 수직 설치하였다.The distributing cone 35 has a height of 0.4 m in the shape of Fig. 4f, a major radius of 1.0 m, a minor radius of 0.4 m, and the apex of the distributing cone 35 is tilted The microcylindrical guide plate 351 is tilted so as to come to a position shifted by 0.3 m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crocylindrical guide plate 351 is radially moved toward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by 30 mm And installed vertically on the contact surface.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의 접선의 기울기는 80°이고, 바닥면(34)에 접하는 모선의 기울기는 미세기포 안내판(33)쪽은 20°, 격벽(321)쪽은 45°이었다.The inclination of the tangent to the vert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was 80 ° and the slope of the bus bar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34 was 20 ° for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and 45 ° for the partition 321.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와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고, 다만 분배콘(35)은 도 4g의 형상으로 높이는 0.4 m, 장반경은 1.0 m, 단반경은 0.4 m이고, 꼭지점은 타원뿔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가상의 꼭지점이 격벽(321)쪽 단반경 방향으로 0.3 m 이동된 위치에 오도록 기울어지게 하고, 미세기포 안내판(33)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미세기포수 가이드판(351)을 30 mm 높이로 모선의 접면에 수직 설치하였다.The distributing cone 35 has a height of 0.4 m in the shape of Fig. 4g, a major axis of 1.0 m, a minor axis of 0.4 m, and the ap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tilted The microcylindrical guide plate 351 is tilted so as to come to a position shifted by 0.3 m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and the microcylindrical guide plate 351 is radially moved toward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by 30 mm And installed vertically on the contact surface.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의 접선의 기울기는 80°이고, 바닥면(34)에 접하는 모선의 기울기는 미세기포 안내판(33)쪽은 20°, 격벽(321)쪽은 45°이었다.The inclination of the tangent to the vert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was 80 ° and the slope of the bus bar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34 was 20 ° for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and 45 ° for the partition 321.

상기 분배콘(35)의 격벽(321)쪽에 형성된 입구의 하단은 바닥면(34)에 접하고, 높이는 0.1 m, 폭은 0.3 m, 미세기포 안내판(33)에 형성된 출구의 하단은 바닥면(34)에 접하고, 높이는 0.18 m, 폭은 0.6 m 이었다.The lower end of the inlet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321 side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34 and has a height of 0.1 m and a width of 0.3 m and a lower end of the outlet formed in the micro- ), And the height was 0.18 m and the width was 0.6 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바닥면(34)에 분배콘(35)를 설치하지 않아 미세기포 공급관(43)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수는 바닥면(34)로 바로 토출되도록 하였다.The fine bubble contact unit 30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that the dispenser cone 35 is no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34 and the fine bubble catcher discharged from the fine bubble supply pipe 4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34 Respectively.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분배콘(35)은 도 4b의 형상으로 높이는 0.4 m, 반경은 0.4 m이고, 꼭지점은 원뿔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가상의 꼭지점에서 격벽(321) 방향으로 0.3 m 이동된 위치에 오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였다.4b, the height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0.4 m and the radius thereof is 0.4 m. The vertex point of the distributing cone 35 is the same as that of the imaginary vertex point when the cone is not inclined And was inclined so as to be located at a position shifted 0.3 m in th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또한 상기 미세기포 배출관(43)의 가상의 중심선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 중심에 오도록 설치하였다.And a virtual center line of the fine bubble discharging pipe (4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p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성하되, 분배콘(35)은 도 4b의 형상으로 높이는 0.4 m, 반경은 0.8 m이고, 꼭지점은 원뿔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가상의 꼭지점에서 격벽(321) 방향으로 0.3 m 위치에 오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였다.4b, the height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0.4 m, and the radius thereof is 0.8 m, and the vertex of the distributing cone 35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a virtual vertex point when the cone is not inclined And was inclined at a position of 0.3 m in th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321.

또한 상기 미세기포 배출관(43)의 가상의 중심선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 중심에 오도록 설치하였다.And a virtual center line of the fine bubble discharging pipe (4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p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 규격의 미세기포 접촉부(30)를 구비한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도 1과 같이 가압펌프(442), 가압된 처리수 이송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443), 상기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를 혼화하는 라인믹서(444),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가압하여 공기를 용해시키는 가압탱크(445), 상기 가압탱크에서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로 가압된 처리수와 압축공기의 혼화수를 이송하는 혼화수 공급관(446), 상기 혼화수 공급관에서 분기된 2개의 분기관(4461, 4462), 상기 2개의 분기관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8개씩 미세기포수 공급 노즐(4463, 4464)로 구성된 미세기포 배출부(44)를 바닥에서 0.1 m 높이에 설치하였다.1, a pressurizing pump 442, a compressor 443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conveying pipe, and a pressurizing pump 442 for pressurizing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conveying pipe are installed in the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of the same specification as Embodiment 1, A line mixer 444 for mixing the pressurized treated water with the compressed air, a pressurizing tank 445 for pressurizing the mixed water of pressurized treated water and pressurized air to dissolve air, a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 mixed water supply pipe 446 for transferring mixed water of the treated water and compressed air pus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ter supply pipe, two branch pipes 4461 and 4462 branched from the mixed water supply pipe, The fine bubble discharging portion 44 composed of eight fine catcher supplying nozzles 4463 and 4464 was installed at a height of 0.1 m from the bottom.

실험예 1: 미세기포 평균직경 및 평균기포수량Experimental Example 1: Microbubble mean diameter and average bubble quantity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미세기포 접촉부의 격벽(321)의 양측 모서리 상부 수면, 미세기포 안내판(33)의 말단부 양측 모서리 상부 수면의 미세기포 직경 및 기포수량을 각각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In the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e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water surface on both side edges of the partition wall 321 of the microbubble contacting portion, the microbubble diameter of the water surface on both side edges of the distal end of the microbubble guide plate 33, The bubble quantity was measured, and the average of these values was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평균직경(㎛)Average diameter (占 퐉) 평균기포수량(개/ml)Average number of cells (ml / ml) 실시예 1Example 1 2424 3,1053,105 실시예 2Example 2 2323 3,4123,412 실시예 3Example 3 2020 4,4554,45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828 1,9121,91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727 2,3232,323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030 1,8201,820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3030 2,3402,340

실험예 2: 하폐수 처리효율Experimental Example 2: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의 처리효율을 비교하였다. 유입되는 하폐수의 총인(T-P)는 0.807 mg/L이고, 부유물질은 4.4 mg/L이었다. 하폐수 처리효율은 유입되는 하폐수의 총인 또는 부유물질에서 하폐수 처리장치를 거친 처리수의 총인 또는 부유물질 감소 정도를 백분율로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the wastewater were compared using the floating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e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total wastewater entering (T-P) was 0.807 mg / L and the suspended material was 4.4 mg / L.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is shown in Table 2 below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phosphorus or suspended matter reduction in treated wastewater treated wastewater from treated wastewater or spent wastewater.

구분division 총인 처리효율(%)Total phosphorus treatment efficiency (%) 부유물질 처리효율(%)Effluent treatment efficiency (%) 실시예 1Example 1 8686 4242 실시예 2Example 2 8888 4949 실시예 3Example 3 9292 686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8080 1919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8383 2828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7979 111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7979 88

실험예 3: 전력 사용량Experimental Example 3: Power Consumption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7일 동안 전력사용량을 평균하여 1일 평균 전력사용량을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per day was averaged over seven days using the flot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e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the daily average power consumption was calculated and shown in Table 3.

구분division 1일 평균 전력사용량(kWh)Average daily power consumption (kWh) 실시예 1Example 1 9090 실시예 2Example 2 8080 실시예 3Example 3 808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1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010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0100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50150

10: 혼화부 11: 급속 교반기
20: 응집부 21: 제1 응집조 211: 완속 교반기
22:제2 응집조
30: 미세기포 접촉부 31: 하폐수 유입구 321: 격벽
322, 323: 측면 격벽 33: 미세기포 안내판 34: 바닥면
35: 분배콘 351: 미세기포수 가이드판 352: 미세기포수 방해판
353: 분배콘 홀
40, 44: 미세기포 배출부
41: 미세기포수 복합펌프 411: 유입부
4111: 공기 유입관 4112: 공기 유입 인입관
412: 분할부 413: 회전격자 4131: 분할판
414: 배출부 4141: 배출구 4142: 차단판
4143: 내부 공간
42: 압력초과공기 분리탱크 421: 혼합수 공급관
422: 압력조절밸브 423: 압력초과공기 배출관
43: 미세기포수 공급관
441: 유입관 442: 가압 펌프 443: 컴프레서
444: 라인믹서 445: 가압 탱크 446: 혼화수 공급관
4461, 4462: 분기관 4463, 4464: 노즐
50: 부상 슬러지 분리조
60: 부상 슬러지 배출부
70: 부상슬러지 수집기
80: 처리수 임시 저장조 81: 침강 슬러지 차단벽
90: 처리수 저장조
10: Admixture 11: Rapid agitator
20: agglomerating part 21: first agglomeration tank 211: slow agitator
22: Second coagulation tank
30: minute bubble contact portion 31: wastewater inlet 321: partition wall
322, 323: Lateral bulkhead 33: Fine bubble guide plate 34:
35: Distribution cone 351: Microscope catcher guide plate 352: Microscope catcher interferer plate
353: distribution cone hole
40, 44: minute bubble discharging portion
41: Micro-fine catcher complex pump 411:
4111: Air inlet pipe 4112: Air inlet inlet pipe
412: partitioning part 413: rotating lattice 4131: partition plate
414: discharge part 4141: discharge port 4142:
4143: Interior space
42: overpressure air separation tank 421: mixed water supply pipe
422: Pressure regulating valve 423: Excess pressure air outlet pipe
43: Micro-catcher feeder
441: Inflow pipe 442: Pressurizing pump 443: Compressor
444: Line mixer 445: Pressurizing tank 446: Mixed water supply pipe
4461, 4462: branch 4463, 4464: nozzle
50: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60: floating sludge discharge portion
70: Floating sludge collector
80: treated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1: settling sludge blocking wall
90: treated water storage tank

Claims (13)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상기 하폐수에 플록을 생성시키는 혼화부(10); 상기 혼화부(10)를 통과한 하폐수가 유입되고 교반하여 상기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응집부(20); 상기 응집부(20)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및 나머지 한 면에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안내판(3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미세기포 접촉부(30); 상기 하폐수 유입구(31)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하부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세기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 배출부(40);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로부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과 함께 하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부상 슬러지 분리조(5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와 연통되는 측의 타측 상부에 바닥에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상 슬러지 배출부(6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부상 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70); 상기 부상 슬러지 분리조(50)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임시 저장조(80); 및 상기 처리수 임시 저장조의 상부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조(90);를 포함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바닥면(34)에 상기 길이방향이 좁고 폭방향이 긴 타원뿔 형상의 분배콘(35)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배출부(40)는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이 상기 분배콘(35)의 꼭지점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폐수 유입구(31)가 형성된 격벽(321) 및 미세기포 안내판(33) 사이를 길이방향, 상기 2개의 측면 격벽(322, 323) 사이를 폭방향으로 할 때, 상기 미세기포 접촉부(30)의 폭과 길이의 비는 1:0.5 내지 1:2이고,
상기 분배콘(35)의 격벽(321)쪽 옆면에서 미세기포 안내판(33)쪽 옆면으로 분배콘 홀(3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10) for mixing flocculant into the incoming wastewater to produce flocs in the wastewater; A flocculating portion (20) for flowing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portion (10) and stirring to grow flocs in the wastewater; A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a wastewater inlet port 31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locculation portion 20, two side partition walls 322 and 323 and a fine bubble guide plate Bubble contact portion 30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micro bubble contact portion 30; A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for supplying fine particle catchers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to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inflow opening 31;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fine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together with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from the micro bubble contacting portion 30 and the flock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bubble floats up on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to form a sludge layer A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 floating sludge discharge unit 6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communicating with the minute bubble contacting unit 30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discharge the collected sludge; A floating sludge collector (70)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and collecting floating sludge; A treatment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80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sludge separation tank 50 to store treated water from which sludge has been removed; And a process water reservoir (90)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 water temporary storage tank to store process water, the device comprising:
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an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322 and 323 in the width direction. A cone-shaped distribution cone 35 having a narrow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ng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4,
The fine particle catcher discharge unit 40 is provided with a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and vertically installed to discharge the fine particle catcher supply pipe 43 in the direction of the vertex of the distribution cone 35,
Bubble contact portion 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21 form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 31 and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322 and 323 in the width direction. The ratio of width to length is 1: 0.5 to 1: 2,
Wherein a distribution cone (353) is formed on a side of the partition wall (321) side of the distribution cone (35) to a side of the minute bubble guide plate (33)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콘 홀(353)의 격벽(321)쪽 옆면에 형성된 입구는 미세기포 안내판(33)쪽 옆면에 형성된 출구에 비해, 그 폭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formed on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321) side of the distribution cone (351) is smaller in at least one of the width and height than the outlet formed on the side of the fine bubble guide plate (33) sid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폐수 유입구(31)의 높이는 300 내지 800 mm이고,
상기 분배콘(35)의 높이는 250 내지 750 mm이며,
상기 미세기포수 공급관(43)의 말단 높이는 바닥면(34)에서 300 내지 900 mm 높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of the wastewater inlet 31 is 300 to 800 mm,
The height of the distribution cone 35 is 250 to 750 mm,
Wherein a height of the distal end of the micro-catcher feed pipe (43) is 300 to 900 mm above the bottom surface (34).
삭제delete
KR1020180158722A 2018-12-11 2018-12-11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KR101990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22A KR101990772B1 (en) 2018-12-11 2018-12-11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22A KR101990772B1 (en) 2018-12-11 2018-12-11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070A Division KR102016049B1 (en) 2019-03-15 2019-03-15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baffle for water containing microbubble
KR1020190030069A Division KR101990774B1 (en) 2019-03-15 2019-03-15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and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20190032338A Division KR101990775B1 (en) 2019-03-21 2019-03-21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inclined eliptical cone for latitudinal distribution
KR1020190032342A Division KR101990776B1 (en) 2019-03-21 2019-03-21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guide panel for water containing microbub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772B1 true KR101990772B1 (en) 2019-06-19

Family

ID=6710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22A KR101990772B1 (en) 2018-12-11 2018-12-11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77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4267A (en) * 2020-06-18 2020-09-25 惠安双婉装修设计中心 Household small-sized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N112090930A (en) * 2020-09-08 2020-12-18 蔡国昌 Intelligent garbage treatment system
CN115921129A (en) * 2023-01-31 2023-04-07 徐州鼎成鑫包装制品股份有限公司 Waste metal flotation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876B1 (en) * 2006-09-28 2008-03-06 일현환경개발(주) The aparatus of activated native - microbe
KR101054087B1 (en) 2011-01-28 2011-08-03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aratu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KR20150100450A (en) * 2014-02-24 2015-09-02 (주) 지이오플랜트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lgae
KR20160029272A (en) * 2014-09-05 2016-03-15 (주) 상원이엔씨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1722099B1 (en) 2016-11-23 2017-03-3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Water Processing Apparatus Used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for Stable Bubble Gene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876B1 (en) * 2006-09-28 2008-03-06 일현환경개발(주) The aparatus of activated native - microbe
KR101054087B1 (en) 2011-01-28 2011-08-03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aratu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KR20150100450A (en) * 2014-02-24 2015-09-02 (주) 지이오플랜트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lgae
KR20160029272A (en) * 2014-09-05 2016-03-15 (주) 상원이엔씨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1722099B1 (en) 2016-11-23 2017-03-3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Water Processing Apparatus Used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for Stable Bubble Gene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TM Korean Ver. Catalog. [online], 2017.6.20., [2019년 3월 6일 검색], 인터넷:<URL: http://www.kemtech.co.kr/community/community_050100.html>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4267A (en) * 2020-06-18 2020-09-25 惠安双婉装修设计中心 Household small-sized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N112090930A (en) * 2020-09-08 2020-12-18 蔡国昌 Intelligent garbage treatment system
CN115921129A (en) * 2023-01-31 2023-04-07 徐州鼎成鑫包装制品股份有限公司 Waste metal flotation equipment
CN115921129B (en) * 2023-01-31 2023-12-29 中铝青岛轻金属有限公司 Waste metal flota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68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1990772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KR101722099B1 (en) Water Processing Apparatus Used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for Stable Bubble Generation
CN110776129B (en) Vertical flow type precipitation and air floa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0938770B1 (en) Installation for treating water by means of flotation
KR101990776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guide panel for water containing microbubble
KR101990775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inclined eliptical cone for latitudinal distribution
KR101997703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ongitudinal distribution cone and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1870404B1 (en) Micro-algae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KR101723161B1 (en) Flotation apparatus having circulation structure for treated water
KR101990771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longitudinal distribution cone
KR101369975B1 (en) Non-powered partition barrier type floc cohesion apparatus
CN109293079B (en) Low-energy-consumption aeration circulation clarification tank
KR102026325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distributing nozzle
EP0145612B1 (en) Fluidised bed reactor
KR101997705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with seperated waterway
CN215479958U (en) Self-circulation high-density suspended sludge filtering and settling tank and water treatment system
KR102016049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baffle for water containing microbubble
KR101990774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at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with hole and microbubble water complex pump
KR102009959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equipped with longitudinal distribution cone formed and varied width of wastewater inlet
KR102162015B1 (en) High-Rate dissolved air flotation with arch lateral(Hi-DAF)
KR102019903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concave groove bottom and controlled location of microbubble water inlet
KR101094188B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dissolved air flotation
KR101990770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bubble contacting part with concave groove bottom
JP5444031B2 (en) Solid-liquid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