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350B1 -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 Google Patents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350B1
KR101997350B1 KR1020170146640A KR20170146640A KR101997350B1 KR 101997350 B1 KR101997350 B1 KR 101997350B1 KR 1020170146640 A KR1020170146640 A KR 1020170146640A KR 20170146640 A KR20170146640 A KR 20170146640A KR 101997350 B1 KR101997350 B1 KR 10199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band
pressing member
attachment member
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231A (ko
Inventor
이진혁
정웅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350B1/ko
Priority to PCT/KR2018/012084 priority patent/WO2019088499A1/ko
Publication of KR2019005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6Shoulder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 삼각근오픈개구가 마련된 어깨착용부; 어깨착용부의 하단에 마련된 제1밴드; 어깨착용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제1부착부재와 어깨착용부의 상부 타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가 구비된 밴드결합부; 어깨착용부의 상부 일측에 내장된 제1압박부재; 및 일단이 제1부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밴드를 포함하고, 어깨착용부가 제1밴드에 의해 팔뚝에 밴딩되고, 제2밴드에 의해 어깨에 밴딩되면, 제1압박부재에 의해 어깨의 전방이 압박되고, 제2밴드에 의해 어깨의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동결견용 어깨보호대{frozen shoulder brace}
본 발명은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해부학적, 운동역학적으로 동결견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통증과 관절범위의 제한을 보정하여 동결견에 의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어깨관절은 팔과 몸통을 연결하며 손을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팔의 모든 부분은 손을 움직이기 위해 존재한다고 한다. 손을 제외한 팔의 모든 부분은 손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디와 지렛대로 생각할 수 있다.
어깨관절은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의 관절로 좁은 의미의 어깨라고 부르기도 한다. 견갑골의 접시오목과 상완골두가 접촉되면서 만들어진 윤활막성 관절이며 몸통에서 팔로 연결되는 핵심적인 부위이다.
여러 관절로 구성된 어깨는 우리 몸에서 운동 범위가 가장 크고 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어깨는 손을 광범위한 공간에 보내는 기능을 하여 여러 가지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손을 몸으로부터 멀리 보내거나 몸이나 머리 뒤로 보내는 데에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어깨관절에 이상이 생기면 작업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데 필요한 추친력이 약해지거나 정밀한 운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어깨 관절에 관련된 질병으로는 유착성 관절낭염 또는 경직증(동결견, 오십견), 석회성 건염, 충돌 증후군, 점액낭염, 회전근개 파열, 탈구 또는 불안정성, 관절순 파열 또는 SLAP 병변, 골절, 골 괴사, 연골 연화증, 골연골 손상, 관절염, 골연골종증 등 종양, 화농성 관절염 등이 있다.
이중, 유착성 관정낭염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어깨가 단단히 굳어져 어깨에 통증이 생기는 대표적인 관절 질환인데, 주로 50세 무렵에 발병한다고 하여 흔히 “오십견“ 또는, 어깨가 얼어붙은 것처럼 움직이기 힘들다 하여 ”동결견“이라 지칭한다. 오십견은 퇴행으로 인해 어깨 관절 주변 근육과 인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어깨가 굳어져 움직임에 제한이 오는 질환이다.
오십견이 발병하게 되면 팔을 들어 올리는 것이 어려워져, 선반 위의 물건을 집는 등 일상생활하는데 많은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운동 범위가 감소하여 혼자 세수를 하거나 옷을 입고 벗는 사소한 행동조차 힘들어지게 된다. 특히, 오십견은 누운 자세에서 통증이 더 악화되고 야간통이 심해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면장애와 만성피로로 고통을 호소한다.
오십견으로 인해 어깨가 굳은 상태를 오랜 시간 방치하면 어깨관절의 운동범위에 영구적 제한이 올 수 있다. 선행연구(Jain & Sharma. JBMR 2014)에 의하면, 오십견은 약 2년 정도 이러한 문제가 계속적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한편, 다른 선행연구(Manual Therapy 26 (2016) 38~46, Eva Barrett)에 의하면, 척추후만증 또는 불정확한 자세로 인해 등이 굽으면 어깨통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어깨통증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보조기는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는데 주력하여 만들어져 통증은 경감될지 모르지만, 장시간의 착용은 오히려 관절 범위의 제한을 가져와 염증기 이후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있다. 즉, 염증기일 때는 염증으로 인한 통증이 문제인데, 치료에 의해 염증이 제거된 후에는 견갑골들이 정상상태로 배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깨가 굳음으로 인해, 어깨가 움직일 때 발생되는 통증으로 인한 문제가 더 크다.
그러므로 조기에 퇴행으로 인해 약해지고 손상된 어깨 주변 근육과 인대의 기능을 회복 및 강화시켜 어깨 관절의 가동범위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8645호에는 어깨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어깨에 착용시 통증부위를 압박하는 동시에 상완골두의 전방밀림을 방지함으로써, 굽은 어깨가 바른자세가 되도록 하여 해부학적으로 어깨의 관절범위를 획득하고 어깨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부학적, 운동역학적으로 동결견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통증과, 바르지 못한 자세에서 어깨가 굳어지면서 어깨관절이 움직여지는 범위가 제한됨에 따라 발생되는 어깨 전방 밀림과 견갑골 전방 기울어짐을 보정하여, 어깨관절 통증와 더불어 견갑골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에 양 어깨에 착용되어 양 어깨가 뒤로 젖히는 어깨보조기와 달리, 본 발명은 통증이 발생한 어깨에 착용될 수 있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력이 있는 얇은 밴드에 의해 통증을 압박하는 구성품을 어깨에 고정할 수 있어, 실생활에서도 지속적으로 착용가능하여 재활 또는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 삼각근오픈개구가 마련된 어깨착용부; 어깨착용부의 하단에 마련된 제1밴드; 어깨착용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제1부착부재와 어깨착용부의 상부 타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가 구비된 밴드결합부; 어깨착용부의 상부 일측에 내장된 제1압박부재; 및 일단이 제1부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밴드를 포함하고, 어깨착용부가 제1밴드에 의해 팔뚝에 밴딩되고, 제2밴드에 의해 어깨에 밴딩되면, 제1압박부재에 의해 어깨의 전방이 압박되고, 제2밴드에 의해 어깨의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밴드와 어깨착용부에 연결되어, 제2밴드를 어깨의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제3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밴드에 연결되어, 어깨의 후방에서 견갑골을 압박하는 제2압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밴드는 제2압박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를 연결하는 제2a밴드와, 제2압박부재와 제1부착부재를 연결하는 제2b밴드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a밴드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에 대해 엑스(X)자형으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압박부재는 H형 또는 T형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압박부재는 어깨착용부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압박부재는 고무소재, 단단한 섬유소재, 실리콘소재, 핫팩, 또는 에어쿠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통증이 있는 어깨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기존에 물리치료사가 전방으로 쏠린 환자어깨를 바르게 펴는 수기요법(手技療法)을 대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 어깨 부위 안쪽에 제1압박부재를 넣어 상완골두의 앞쪽 밀림으로 인한 통증을 덜어주면서, 전방으로 쏠렸던 어깨가 바른자세로 되돌아게 하여, 해부학적으로 어깨관절범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부학적, 운동역학적으로 동결견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통증과 관절범위의 제한의 문제점인 어깨 전방 밀림과 견갑골 전방 기울어짐을 최소화시켜, 통증과 관절범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압박부재를 이용하여 견갑골의 전방 기울어짐을 보조하여 바른 자세 유지하고, 바른 자세의 지속적인 유지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어깨통증이 유발된 부분만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두께감이 얇아 일상생활에도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어, 재활 또는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어깨통증이 유발되는 부분이 표현된 어깨관절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의 어깨착용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형상을 가진 제2압박부재에 연결된 제2밴드의 연결구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상을 가진 제2압박부재에 연결된 제2밴드의 연결구조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서, 착용자의 전방에서 바라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의 착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서, 착용자의 후방에서 바라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의 착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에는 H형상을 가진 제2압박부재가 어깨의 후방에 착용된 상태이고, 도 9는 T형상을 가진 제2압박부재가 어깨의 후방에 착용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기존의 어깨밴드와 달리, 본 발명은 어깨통증이 발생된 어깨에만 착용되어, 어깨의 전방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통증점을 압박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두께감이 얇아 일상생활에도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어, 재활 또는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100)는, 어깨착용부(110), 밴드결합부(120), 제1밴드(130), 제2밴드(140), 제3밴드(150) 및 제1압박부재(16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착용부(110)는 어깨와 팔뚝(10)에 착용된다.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놓일 때, 어깨착용부(110)는 상부가 어깨에 놓이고, 하부가 팔뚝(10)에 위치된다. 어깨착용부(110)는 어깨의 형상에 따라 어깨에 착용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착용부(110)는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착용부(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어깨착용부(110)의 상부는 어깨부분에 놓이는 부분이고, 어깨착용부(110)의 하부는 팔뚝(10)에 놓이는 부분이다.
어깨착용부(110)는 중앙에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 삼각근오픈개구(115)가 마련된다. 삼각근오픈개구(115)는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놓일 때, 삼각근(11)을 개방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는 어깨착용부(110)에 삼각근오픈개구(115)를 형성하여, 삼각근(11)이 위치된 뼈에 강한 압박을 주지 않아, 어깨관절의 움직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동결견 발생시 염증이 발생되는 주된 부위가 아닌 부분에서는 어깨근육을 압박하지 않아, 착용자가 어깨착용부(110)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어깨의 굳음을 최소화하여, 어깨의 굳음으로 인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어깨착용부(110)의 하부에는 제1밴드(130)가 연결된다.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놓일 때, 제1밴드(130)는 팔뚝(10)에 밴딩되어, 어깨착용부(110)의 하부를 팔뚝(10)에 고정한다. 제1밴드(130)에 의해, 어깨착용부(110)의 하부는 팔뚝(10)을 둘러싸여져, 암밴드 형식으로 팔뚝(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밴드(130)로는 벨크로타입의 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착용자가 손쉽게 어깨착용부(110)의 하부를 팔뚝(10)에 밴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밴딩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깨착용부(110)의 상부에는 밴드결합부(120)가 설치된다. 밴드결합부(120)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마련된다. 밴드결합부(120)는 제2밴드(140)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밴드결합부(120)는 제1부착부재(121)와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122)를 포함한다. 제1부착부재(121)와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122)는 제2밴드(140)에 의해 연결된다. 제2밴드(140)는 어깨착용부(110)를 착용자의 몸체에 고정하는 밴드이다.
제1부착부재(121)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일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어깨착용부(110)의 상부일측이란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놓일 때 어깨의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122)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타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어깨착용부(110)의 상부타측이란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놓일 때 어깨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122)는 제2a부착부재(122a)와 제2b부착부재(122b)로 이루어진다. 제2a부착부재(122a)와 제2b부착부재(122b)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2a부착부재(122a)는 어깨착용부(110)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배치된다. 제2b부착부재(122b)는 제1부착부재(121)와 제2a부착부재(122a)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밴드(140)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을 제2a부착부재(122a)와 제2b부착부재(122b)로 구분한 것은,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제2밴드(140)가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밴드(140)와 더불어 제3밴드(150)를 구비하여, 제2밴드(140)가 착용자에 고정되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밴드(140)와 제3밴드(150)는 일자형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밴드(140) 및/또는 제3밴드(15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밴드(140) 또는 제3밴드(150)는 벨크로타입의 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의 밴드 또는 벨트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놓일 때, 제2밴드(140)는 어깨의 전방에서 제1부착부재(121)에 연결되고, 어깨의 후방에서 제2a부착부재(122a) 또는 제2b부착부재(122b)에 연결되어, 어깨착용부(110)를 어깨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밴드(140)가 어깨착용부(110)를 잡아당기는 강도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제3밴드(150)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제3밴드(150)는 착용자의 어깨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밴드(150)는 일단이 제2b밴드에 부착되고, 타단이 제2밴드(140)의 외면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3밴드(150)는 어깨의 후방에서 제2밴드(140)를 잡아당겨, 제2밴드(140) 하나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강하게 어깨관절을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등이 굽으면서 어깨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해부학적으로 부정확한 자세에 의해 어깨통증이 발생된 경우, 어깨가 해부학적으로 바른 자세가 되도록 어깨관절을 보정하여, 어깨통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착용되면서 어깨가 바른자세가 되도록 어깨의 위치를 보정하는 동시에, 염증에 의한 통증점을 압박하여 어깨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견에 의한 염증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완골두에 인접한 부분에 주로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압박부재(160)를 이용하여, 동결견으로 인한 통증점을 압박할 수 있다. 제1압박부재(160)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삽입주머니(117)에 내장된다. 여기서, 삽입주머니(117)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일측에 해당된다. 삽입주머니(117)는 지퍼(118)가 설치된다. 지퍼(118)에 의해 삽입주머니(117)가 개폐되어, 제1압박부재(160)는 어깨착용부(110)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다.
제1압박부재(160)는 고무소재, 단단한 섬유소재, 실리콘소재, 핫팩, 또는 에어쿠션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압박부재(160)는 상완골두 부분을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상완골두를 완만히 감싸는 블럭형 구조, 예컨대, 상완골두와 맞닿는 부분은 상완골두의 형상을 고려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완골두의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에 의해, 제1압박부재(160)가 평평한 블럭구조가 사용될 경우 상완골두와 맞닿는 부분이 불균형하여 특정부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완골두의 둥근 부위를 충분히 감싸서 상완골두로 균등한 압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1압박부재(160)는 통증부위를 압박하는 강도에 따라 두께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이 약한 경우, 얇은 두께의 제1압박부재(160)를 이용하여 통증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반면, 통증이 심한 경우에, 두꺼운 두께의 제1압박부재(160)를 이용하여 통증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여, 착용자의 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1압박부재(160)는 동결견과 같은 어깨 통증환자들의 가장 문제점인 상완골두 전방 밀림을 후방으로 압박하여, 상완골두의 전방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동결견용 어깨보호대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착용부(110)는 삼각근(11) 부분이 개방되게 어깨에 놓이고, 제1밴드(130)에 의해 어깨착용부(110)의 하부가 팔뚝(10)에 밴딩된다. 그리고, 제2밴드(140)가 착용자의 몸체를 둘러싸면서, 어깨착용부(110)의 상부일측와 어깨착용부(110)의 상부타측에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제2밴드(140)는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밀착되게 잡아당기면서, 어깨착용부(110)를 어깨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가 후방으로 더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제3밴드(150)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제3밴드(150)는 일단이 제2b접착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밴드(140)에 연결된다. 제3밴드(150)는 제2밴드(140)에 연결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제3밴드(150)가 제2밴드(140)를 잡아당기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밴드(150)가 제2밴드(140)를 강하게 잡아당기는 힘이 강할수록, 어깨가 후방으로 강하게 펴지게 된다. 다만, 이는 착용자의 어깨상태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며, 무조건 제2밴드(140)를 강하게 잡아당긴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3밴드(150)가 제2밴드(140)에 연결되는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동결견용 어깨보호대가 어깨에 착용되면, 어깨의 전방에서 제1압박부재(160)에 의해 상완골두 부분에 발생된 통증점이 압박되고, 제2밴드(140) 및/또는 제3밴드(150)가 어깨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어깨가 바른 자세로 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방 어깨 부위 안쪽에 압박부재를 넣어 상완골두의 앞쪽 밀림으로 인한 통증을 덜어주며, 해부학적으로 어깨의관절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통증이 유발된 부분만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두께감이 얇아 일상생활에도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어, 재활 또는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착용자가 어깨 전방의 상완골두 부분과 어깨 후방의 견갑골 부분에 통증이 발생된 경우에 착용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100)는, 어깨착용부(110), 밴드결합부(120), 제1압박부재(160), 제2압박부재(170a, 170b),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a, 14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깨착용부(110), 제1압박부재(160)와 제1밴드(13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122)는 제2a부착부재(122a), 제2b부착부재(122b), 제2c부착부재(122c)와 제2d부착부재(122d)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상호 간에 마름모꼴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c부착부재(122c)와 제2d부착부재(122d)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c부착부재(122c)와 제2d부착부재(122d)는 제2밴드(140a, 140b)의 일단이 엑스(X)형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밴드(140a, 140b)에는 제2압박부재(170a, 170b)가 연결된다. 제2압박부재(170a, 170b)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타측에 인접하게 위치에서, 제2밴드(140a, 140b)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착용부(110)가 어깨에 착용될 때, 제2압박부재(170a, 170b)는 어깨의 후방에서 견갑골을 압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박부재(170a)는 H형 형상을 가진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박부재(170b)는 T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압박부재(170a, 170b)는 고무소재 또는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압박부재(170a, 170b)는 어깨의 후방에서 견갑골 부분에 밀착되어, 제2밴드(140a, 140b)가 잡아당지는 힘에 의해 견갑골 부분을 압박하여, 견갑골에 발생되는 통증점을 지속적으로 눌러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밴드(140a, 140b)는 제2a밴드(141a, 141b)와 제2b밴드(142a, 142b)로 이루진다.
제2a밴드(141a, 141b)는 어깨착용부(110)의 상부타측과 제2압박부재(170a, 170b)를 연결한다. 제2a밴드(141a, 141b)는 엑스(X)형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2a밴드(141a, 141b)의 일단은 제2c부착부재(122c)와 제2d부착부재(122d)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제2a밴드(141a, 141b)의 타단은 제2압박부재(170a, 170b)에 연결된다.
제2a밴드(141a, 141b)는 상부 승모근과 견갑대 내측연까지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쓰이는 밸크로로써, 제2압박부재(170a)가 견갑골 내측연과 척추에 동일한 압박을 주어 견갑골의 전방 기울어짐을 예방할 수 있다.
제2b밴드(142a, 142b)는 제2압박부재(170a, 170b)와 제1부착부재(121)에 연결된다. 제2b밴드(142a, 142b)는 제2압박부재(170a, 170b)의 형상에 따라 Y형 또는 일자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박부재(170a)가 H형 형상일 때, 제2b밴드(142a)는 Y형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박부재(170b)가 T형일때, 제2b밴드(142b)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제2밴드(140)와 같이 일자형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100)가 어깨에 착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착용부(110)는 삼각근(11) 부분이 개방되게 어깨에 놓이고, 제1밴드(130)에 의해 어깨착용부(110)의 하부가 팔뚝(10)에 밴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견용 어깨보호대(100)의 착용방법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 1 실시예와 제2밴드(140a, 140b)의 구조가 상이하여, 동결견용 어깨보호대(100)가 어깨 후방에 착용된 상태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의 제2압박부재(170a)는 어깨후방에서 견갑골 부분에 위치된다. 제2a밴드(141a)는 어깨 후방에서 엑스(X)형으로 어깨착용부(110)와 제2압박부재(170a, 170b)에 연결된다.
제2b밴드(142a)는 H형의 제2압박부재(170a)를 안정적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Y형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b밴드(142a)는 제1부착부재(121)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몸체를 둘러싸면서, 어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2압박부재(170a)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압박부재(170a)는 제2a밴드(141a)와 제2b밴드(142a)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서, 견갑골을 압박한다. 그리고, 어깨착용부(110)는 제2b밴드(142a)에 의해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제1압박부재(160)가 상완골두 부분을 압박토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의 제2압박부재(170b)는 어깨후방에서 견갑골 부분에 위치된다. 이때, T형의 제2압박부재(170b)는 제2a밴드(141b)의 엑스(X)자 연결구조 및 견갑골을 압박하는 부위의 증대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제2a밴드(141b)는 어깨 후방에서 엑스(X)형으로 어깨착용부(110)와 제2압박부재(170b)에 연결된다. 제2b밴드(142b)는 T형의 제2압박부재(170b)를 안정적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일자형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b밴드(142b)는 제1부착부재(121)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몸체를 둘러싸면서, 어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2압박부재(70b)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압박부재(170b)는 제2a밴드(141b)와 제2b밴드(142b)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서, 견갑골을 압박한다. 그리고, 어깨착용부(110)는 제2b밴드(142b)에 의해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제1압박부재(160)가 상완골두 부분을 압박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압박부재(160)에 의해 상완골두를 압박하는 동시에 제2압박부재(170a, 170b)가 견갑골을 압박토록 하여, 어깨의 전방쏠림과 견갑골의 전방기울어짐으로 인한 자세불균형의 예방, 및 통증점 압박으로 인한 통증완화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해부학적, 운동역학적으로 동결견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통증과 관절범위의 제한의 문제점인 어깨 전방 밀림과 견갑골 전방 기울어짐을 최소화시켜, 통증과 관절범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통증이 유발된 부분만에 착용할 수 있고, 착용두께감이 얇아 일상생활에도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어, 재활 또는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110: 어깨착용부
115: 삼각근오픈개구 120: 밴드결합부
121: 제1부착부재 122: 제2부착부재
130: 제1밴드 140, 140a, 140b: 제2밴드
150: 제3밴드 160: 제1압박부재
170a, 170b: 제2압박부재

Claims (9)

  1.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 삼각근오픈개구가 마련된 어깨착용부;
    상기 어깨착용부의 하부에 마련된 제1밴드;
    상기 어깨착용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제1부착부재와 상기 어깨착용부의 상부 타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가 구비된 밴드결합부;
    상기 어깨착용부의 상부 일측에 내장된 제1압박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부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착용부가 상기 제1밴드에 의해 팔뚝에 밴딩되고, 상기 제2밴드에 의해 어깨에 밴딩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에 의해 상기 어깨의 전방이 압박되고, 상기 제2밴드에 의해 상기 어깨의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와 상기 어깨착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밴드를 상기 어깨의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제3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어깨의 후방에서 견갑골을 압박하는 제2압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는 상기 제2압박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를 연결하는 제2a밴드와, 상기 제2압박부재와 상기 제1부착부재를 연결하는 제2b밴드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a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부착부재에 대해 엑스(X)자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박부재는 H형 또는 T형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박부재는 상기 어깨착용부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박부재는 고무소재, 단단한 섬유소재, 실리콘소재, 핫팩, 또는 에어쿠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KR1020170146640A 2017-11-06 2017-11-06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KR10199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40A KR101997350B1 (ko) 2017-11-06 2017-11-06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PCT/KR2018/012084 WO2019088499A1 (ko) 2017-11-06 2018-10-15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40A KR101997350B1 (ko) 2017-11-06 2017-11-06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31A KR20190051231A (ko) 2019-05-15
KR101997350B1 true KR101997350B1 (ko) 2019-07-05

Family

ID=6633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40A KR101997350B1 (ko) 2017-11-06 2017-11-06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7350B1 (ko)
WO (1) WO201908849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2474B1 (de) 1985-04-19 1991-01-16 Peter Dr. Habermeyer Schultermanschette
US6152891A (en) 1999-08-19 2000-11-28 Carlson; Greg Human shoulder brace
JP2009112745A (ja) 2007-11-05 2009-05-28 Kiyoshi Sanao 肩こり防止具
JP4862197B2 (ja) * 2006-11-27 2012-01-25 有限会社シーシェル 肩サポ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462A (ko) * 2007-07-26 2007-08-16 조자희 어깨 보호대
KR20110008645A (ko) 2009-07-20 2011-01-27 이정문 어깨 밴드
EP3034052B1 (en) * 2014-12-17 2017-08-02 Tenortho S.r.l. Unipersonale Elastic shoulder br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2474B1 (de) 1985-04-19 1991-01-16 Peter Dr. Habermeyer Schultermanschette
US6152891A (en) 1999-08-19 2000-11-28 Carlson; Greg Human shoulder brace
JP4862197B2 (ja) * 2006-11-27 2012-01-25 有限会社シーシェル 肩サポーター
JP2009112745A (ja) 2007-11-05 2009-05-28 Kiyoshi Sanao 肩こり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31A (ko) 2019-05-15
WO2019088499A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527B2 (en) Orthotic device and segmented liner
WO2009144877A1 (ja) 骨盤帯
CN106535833B (zh) 膝关节矫形器
AU2016202904A1 (en) Bracing and electrostimulation for arthritis
CN105491979A (zh) 具有免荷功能的膝关节矫形器
US20110288611A1 (en) Bracing and electrostimulation for arthritis
KR102313736B1 (ko) Ems무릎보호대 및 무릎보조기
EP1302184B1 (en) Joint brace for the control and the regulation of the knee joint bending
US11278439B2 (en) Ankle-foot orthosis
US5645524A (en) Knee support
CN111714266A (zh) 一种膝关节矫形支具
KR102011203B1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CN107714254B (zh) 脊椎侧弯矫正衣
US20160296364A1 (en) Ice Wrap
KR101815274B1 (ko) 무릎보조기
KR101848639B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KR101997350B1 (ko) 동결견용 어깨보호대
US20140336553A1 (en) Active knee orthosis
CN212913498U (zh) 一种膝关节矫形支具
KR102340611B1 (ko) 관절 교정장치
JP4006071B2 (ja) 股関節症用装具
CN209916312U (zh) 椎骨矫正辅助器组合物
CN213666004U (zh) 一种可调的膝关节矫形器
KR102163678B1 (ko)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CN209033034U (zh) 一种胫内髓内钉手术用腿部托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