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56B1 -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56B1
KR101997256B1 KR1020130104482A KR20130104482A KR101997256B1 KR 101997256 B1 KR101997256 B1 KR 101997256B1 KR 1020130104482 A KR1020130104482 A KR 1020130104482A KR 20130104482 A KR20130104482 A KR 20130104482A KR 101997256 B1 KR101997256 B1 KR 101997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ed
processing unit
repeater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099A (ko
Inventor
안용호
장병태
최종기
이남호
한정열
이유진
윤용범
문상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0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2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8Repeat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SV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SV외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SSLESS DATA PROCESSING}
본 발명은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수의 MU(merging unit)로부터 전송되는 SV(Sampled Value) 데이터를 손실 없이 처리할 수 있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변전시스템을 구성하는 IED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그 용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값의 수가 다르다. 예를 들어 모선보호를 위해 적용되는 IED의 경우에는 해당 모선에 연결된 각 회선으로부터 모두 전류값을 받아야 하며, 그 외에도 이중화된 모선 각각의 전압을 받아야 정상적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전력공사의 기준에 따르면 154kV 변전소 모선에는 최대 18개의 회선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process bus가 적용된 디지털 변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관점에서 보면 18개의 회선 각각에 MU가 설치되어 각 회선의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값으로 변환하여 SV 데이터로 전송하게 되고, 이중화된 모선 각각에 MU가 설치되어 각 모선의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SV 데이터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모선보호 IED는 20개의 MU가 각각 전송하는 총 20개 종류의 SV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로부터 디지털 전압 및 전류값을 추출하여 계측 및 보호 등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IED는 내부 성능으로 인한 SV 손실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IEC 61850에서는 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 신호 1cycle 당 80회의 디지털 변환을 실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가 60Hz임을 고려할 때, 1cycle 당 80회의 디지털 변환을 실행한다는 것은 곧 208.3μs마다 한 번씩 디지털 값이 생성되어 SV 데이터로 전송된다는 것이다. 이 때 20개의 MU가 각각 위와 같이 SV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면, 결국 IED 입장에서는 10.4μs마다 한 개씩 SV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해야 한다는 뜻이 된다.
또한, IED는 SV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전압 및 전류값을 추출한 이후에는 각 전압 및 전류값에 대해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크기 및 위상각을 가지는 phasor를 계산해야 한다. 일반적인 IED는 두 개의 MU가 전송하는 정도의 전압/전류값에 대해서만 phasor를 계산하면 되지만, 예를 든 모선보호 IED의 경우에는 최대 20개의 MU가 전송하는 전압/전류값에 대해서 phasor를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성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처럼, 기존에 발명되어 있는 process bus IED용 SV 처리 방법은 다수의 MU가 SV를 전송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거나,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네트워크 방식이 아닌 전용 1:1 방식의 process bus만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모선보호 IED와 같이 많은 수의 MU로부터 SV를 수신하여 처리해야 하는 기기에 적용할 경우 SV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5488호는 "전력 데이터 전송용 통신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SV 데이터 처리 회로를 다중화하여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SV 데이터 처리 회로에 SV 데이터를 분배하고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SV 데이터 처리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SV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SV외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피터는, process bus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로 분배하고,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각각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외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하는 제1 산출부; 산출된 상기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는 제2 산출부; 및산출된 상기 위상값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SV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제1 판별부;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2 판별부; 판별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판별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SV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는 GOOSE 메시지 또는 MMS 서비스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추출된 GOOSE 메시지와 MMS 서비스 메시지를 별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은 SV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SV외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피터에 의해, process bus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로 분배되고,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각각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외 데이터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위상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SV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SV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SV외 데이터가 GOOSE 메시지 또는 MMS 서비스 메시지 중 어느 종류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된 GOOSE 메시지와 MMS 서비스 메시지를 별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리피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SV 데이터 처리 회로와 SV외 데이터 처리 회로로 구분되는 데이터 처리 회로에 분배하고, SV 데이터 처리 회로는 분배된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자신이 처리해야 할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SV 데이터 처리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버스가 적용된 모선보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SV 데이터 처리부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V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SV외 데이터 처리부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SV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SV외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출력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버스가 적용된 모선보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process bus가 적용된 디지털 변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관점에서 회선 각각에 MU가 설치되며, MU는 각 회선의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값으로 변환하여 SV 데이터로 전송하게 되고, 이중화된 모선 각각에 MU가 설치되어 각 모선의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SV 데이터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모선보호 IED는 20개의 MU가 각각 전송하는 총 20개 종류의 SV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로부터 디지털 전압 및 전류값을 추출하여 계측 및 보호 등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process bus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리피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데이터 처리 회로로 분배하고, 다수개의 데이터 처리 회로는 다수개의 SV 데이터 처리부(120) 및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로 구분되고 다수개의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최대 20개의 MU가 전송하는 20가지 종류의 SV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크게 리피터(110), SV 데이터 처리부(120), SV외 데이터 처리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리피터(110)는 process bus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SV 데이터 처리부(120) 및 SV외 데이터 처리부(130)에 분배한다.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리피터(110)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한다. 보다 자세하게,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SV 프레임 해석을 통해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크기와 위상각을 가지는 위상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SV 데이터 처리부(120)의 세부 구성 및 그에 따른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되는 도 3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는 리피터(110)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보다 자세하게,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된 경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해당 정보를 추출한다. 이러한 SV외 데이터 처리부(130)의 세부 구성 및 그에 따른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되는 도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40)는 SV 데이터 처리부(120)로부터 산출되는 위상값과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로부터 추출되는 SV외 데이터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SV 데이터 처리부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V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리피터(110)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한다.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process bus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절대 다수는 SV 데이터이며, SV 데이터는 수십μs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계속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rocess bus 내 데이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SV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SV 데이터 처리부(120)를 다중으로 구성하였다. 하나의 SV 데이터 처리부(120)가 처리할 수 있는 SV 종류의 수는 최대 5개 정도로 판단하고 있다. 즉,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다수개 구비되되,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각각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20개의 MU가 전송하는 20가지 종류의 SV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SV 데이터 처리부(12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SV 데이터 처리부(120)는 판단부(121), 제1 산출부(122), 제2 산출부(123) 및 제1 저장부(124)를 포함한다.
판단부(121)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는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토대로 하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사용하여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121)는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SV 데이터를 삭제한다.
제1 산출부(122)는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한다. 이때,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은 도 4에 도시된 SV 데이터 구조 내 'Value' 부분에 전압 및 전류값이 위치하고 있다.
제2 산출부(123)는 산출된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한다. 제2 산출부는 DFT 방법을 통해 위상값을 산출한다.
제1 저장부(124)는 산출된 위상값을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SV외 데이터 처리부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는 리피터(110)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는 앞서 설명한 SV 데이터 처리부(120)와는 다르게 1개로 구성된다. 이는 process bus 내 데이터의 SV외 데이터는 소수이며, SV외 데이터의 종류인 GOOSE 메시지나 MMS서비스 프레임의 경우에는 매우 긴 시간 간격을 가지고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는 제1 판별부(131), 제2 판별부(132), 추출부(133) 및 제2 저장부(13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판별부(131)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 제1 판별부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한다.
제2 판별부(132)는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한다. 이때, SV외 데이터의 종류는 GOOSE 메시지 또는 MMS 서비스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이다.
추출부(133)는 판별된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부는 GOOSE 메시지인가 아니면 MMS 서비스 메시지인가에 따라 적절히 정보를 추출한다.
제2 저장부(134)는 추출된 정보를 저장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SV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SV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SV 데이터 처리부(120)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리피터(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600)
다음,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S610, S620, S630) 이때,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SV 데이터를 삭제한다.(S615)
다음,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한다.(S640)
다음, 산출된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한다.(S650)
마지막으로, 후속처리를 위해 산출된 위상값을 저장한다.(S66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SV외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SV외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SV외 데이터 처리부(130)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리피터(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700)
다음,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S710) 이때, 데이터가 상기 SV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한다.(S715)
다음,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 그 종류가 GOOSE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다음, 판별된 SV외 데이터의 종류가 GOOSE 메시지인지 경우 GOOSE 메시지를 처리하고 정보를 추출한다.(S730)
그 다음, 판별된 SV외 데이터의 종류가 GOOSE 메시지가 아닌 MMS 서비스 메시지인 경우 MMS 서비스 메시지를 처리하고 정보를 추출한다.(S740)
다음, 추출된 정보들을 저장한다.(S750)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리피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SV 데이터 처리 회로와 SV외 데이터 처리 회로로 구분되는 데이터 처리 회로에 분배하고, SV 데이터 처리 회로는 분배된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자신이 처리해야 할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SV 데이터 처리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110 : 리피터 120 : SV 데이터 처리부
130 : SV외 데이터 처리부 140 : 통신부

Claims (16)

  1.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SV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SV외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피터는,
    process bus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로 분배하고,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각각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외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하는 제1 산출부;
    산출된 상기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는 제2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위상값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SV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제1 판별부;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2 판별부;
    판별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별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SV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는 GOOSE 메시지 또는 MMS 서비스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추출된 GOOSE 메시지와 MMS 서비스 메시지를 별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10. SV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SV외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피터에 의해, process bus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로 분배되고,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SV 데이터의 종류별로 각각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SV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SV외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된 데이터에서 자신이 처리해야 할 SV외 데이터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Sampled Value)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상기 SV 데이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전압 및 전류값을 토대로 위상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위상값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 주소 또는 ID를 분석하여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SV 데이터가 처리해야 할 SV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SV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 경우, 상기 SV외 데이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SV외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SV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SV외 데이터가 GOOSE 메시지 또는 MMS 서비스 메시지 중 어느 종류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SV외 데이터의 종류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된 GOOSE 메시지와 MMS 서비스 메시지를 별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30104482A 2013-08-30 2013-08-30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7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482A KR101997256B1 (ko) 2013-08-30 2013-08-30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482A KR101997256B1 (ko) 2013-08-30 2013-08-30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99A KR20150026099A (ko) 2015-03-11
KR101997256B1 true KR101997256B1 (ko) 2019-07-08

Family

ID=5302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482A KR101997256B1 (ko) 2013-08-30 2013-08-30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2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753B1 (ko) * 2011-05-26 2017-04-19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및 변전소 감시 데이터 획득 방법
KR101341805B1 (ko) * 2011-11-15 2014-0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ec 61850 규격에 따른 패킷 분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99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965B2 (en) Smart device to detect faults in primary substation power feeders
EP0551337B1 (en) Monitoring gas insulated substations
KR101402887B1 (ko)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이 연계된 분석 기능을 가지는 gis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로컬 장치
US10018666B2 (en)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system and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method
KR101452980B1 (ko) 전력계통 축소형 고장 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고장 기록 시스템
CN108919061A (zh) 一种数字化小电流接地选线方法
CN111512168B (zh) 用于分析电力传输网络的故障数据的系统和方法
US20190094290A1 (en) Traveling wave identification using distortions for electric power system protection
JP2014054081A (ja) 変電所自動化システム
KR101560573B1 (ko)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7256B1 (ko) 무손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4215819A (zh) 一种用于gis雷电侵入过电压的监测装置
KR102009993B1 (ko) 지능형 화재 예방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3905B1 (ko) 전압 전류 분석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WO2021069878A1 (en)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 substation asset provided with a voltage presence indication system (vpis)
CN205581192U (zh) 高压换流站直流场暂态电压监测装置
CN105759105B (zh) 高压换流站直流场暂态电压监测装置及方法
KR10057734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의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JP4373963B2 (ja) 端末装置、解析装置及び電力系統情報解析システム
KR101309400B1 (ko) 주파수보호 기능을 가진 머징유닛
Perera et al. Design and hardware implementation of a modular transient directional protection scheme using current signals
CN104166076A (zh) 一种高压开关柜内局部放电检测装置
EP42951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fault in a cable
CN112798894A (zh) 超高压变电站用瞬态事件触发录波测试方法
CN106772019A (zh) 三相断路器电磁波信号相别检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