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064B1 -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064B1
KR101997064B1 KR1020190014906A KR20190014906A KR101997064B1 KR 101997064 B1 KR101997064 B1 KR 101997064B1 KR 1020190014906 A KR1020190014906 A KR 1020190014906A KR 20190014906 A KR20190014906 A KR 20190014906A KR 101997064 B1 KR101997064 B1 KR 10199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ion
surface modification
module
modification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영숙
Original Assignee
탁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영숙 filed Critical 탁영숙
Priority to KR102019001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9/00Machining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particular metal objects or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or results on metal objects
    • B23H9/14Making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 부품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엔진 부품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유닛(300)에 투입하는 단계(S120);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을 운용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셋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운용 안정화를 위하여 매설설비(40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매설되며,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전해조(301)와, 상기 전해조(301)과 연결되는 공급원(312)과, 상기 가공대상물이 가공되는 전해조(301)을 포함하며, 상기 매설설비(400)는, 복수의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이 거치되도록 수용하되, 상기 각 표면개질유닛(300)의 상기 전해조(301)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상부커버(401)와, 상기 공급원(312), 상기 전해조(3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부커버(402)를 포함하는 커버부(403)와, 상기 표면개질유닛(300)들을 수용하는 상기 커버부(403)가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몸체부(404)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기저부에 대한 천공 및 고정을 위하여 하부에 복수의 천공모듈(409)이 매트릭스 배열 구조로 구비되는 것인 차량용 엔진 부품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부품의 출고 전 가공단계에서 생산효율성 증대와 품질 신뢰성확보가 가능하며, 차량에 장착되어 동작되는 과정에서도 여러 외부의 해로운 영향(예: 부식 오염 등)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 가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VEHICLE ENGINE PROCESS METHOD, ENGINE}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부품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부품의 출고 전 가공단계에서 생산효율성 증대와 품질 신뢰성확보가 가능하며, 차량에 장착되어 동작되는 과정에서도 여러 외부의 해로운 영향(예: 부식 오염 등)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 소재 등은 엄격한 품질 관리와 대량 생산성이라는 니즈가 만족돼야 한다. 품질과 관련하여서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품질경영 글로벌규격(ISO/TS 16949, IATF 16949)과, 각 자동차 고객사의 별도 요구나 포상제도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운용효과는 제 3자의 인증기관이나 고객사에 의한 2자심사에 의하여 평가되고 있다. 품질부서위주의 품질관리나 보증활동만으로는 국제적인 품질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오래전부터 자동차 부품 소재 공급과 관련된 품질경쟁력강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정작 자동차 부품의 품질 강화방안은 부재하거나 또는 미흡한 수준에 이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품질 강화와 맞물려 자동차 부품의 생산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역시도 마찬가지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보면 현재로서 자동차 부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함께 개선시키기 온전한 차량 엔진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2584호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부품의 출고 전 가공단계에서 생산효율성 증대와 품질 신뢰성확보가 가능하며, 차량에 장착되어 동작되는 과정에서도 여러 외부의 해로운 영향(예: 부식 오염 등)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개질유닛(300)을 셋업(setup)하는 단계(S110);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유닛(300)에 투입하는 단계(S120);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을 운용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셋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운용 안정화를 위하여 매설설비(40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매설되며,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전해조(301)와, 상기 전해조(301)과 연결되는 공급원(312)과, 상기 가공대상물이 가공되는 전해조(301)을 포함하며, 상기 매설설비(400)는, 복수의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이 거치되도록 수용하되, 상기 각 표면개질유닛(300)의 상기 전해조(301)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상부커버(401)와, 상기 공급원(312), 상기 전해조(3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부커버(402)를 포함하는 커버부(403)와, 상기 표면개질유닛(300)들을 수용하는 상기 커버부(403)가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몸체부(404)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기저부에 대한 천공 및 고정을 위하여 하부에 복수의 천공모듈(409)이 매트릭스 배열 구조로 구비되는 것인 자동차 부품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부품의 출고 전 가공단계에서 생산효율성 증대와 품질 신뢰성확보가 가능하며, 차량에 장착되어 동작되는 과정에서도 여러 외부의 해로운 영향(예: 부식 오염 등)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엔진 부붐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차량용 엔진 부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가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부품 가공을 위한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정렬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부품 가공을 위한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2에 따른 표면개질유닛에 의하여 가공되는 대상물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부품 가공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가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표면개질유닛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동차 부품(예: 차량용 엔진 등) 가공방법(S100)은 표면개질유닛(300)을 셋업(setup)하는 단계(S110);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유닛(300)에 투입하는 단계(S120);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을 운용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셋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운용 안정화를 위하여 매설설비(40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매설되며,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전해조(301)와, 상기 전해조(301)과 연결되는 공급원(312)과, 상기 가공대상물이 가공되는 전해조(301)를 포함한다. 상기 매설설비(400)는, 복수의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이 거치되도록 수용하되, 상기 각 표면개질유닛(300)의 상기 전해조(301)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상부커버(401)와, 상기 공급원(312), 상기 전해조(3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부커버(402)를 포함하는 커버부(403)와, 상기 표면개질유닛(300)들을 수용하는 상기 커버부(403)가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몸체부(404)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기저부에 대한 천공 및 고정을 위하여 하부에 복수의 천공모듈(409)이 매트릭스 배열 구조(도 4 참조)로 구비된다. 상기 천공모듈(409)은, 상기 거치몸체부(404)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천공모듈(406)과, 상기 거치몸체부(404)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천공모듈(407)과, 상기 거치몸체부(404)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천공 모듈과 상기 제2 천공모듈(407)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모듈(40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천공모듈(406), 상기 제2 천공모듈(407) 및 상기 제3 천공모듈(408)은, 기저부를 천공하여 매설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상호 근접하는 밀집대형((도 4 참조))을 이루는 제1 모드로 유동거나, 기저부를 천공하여 매설되 상태에서 상호간에 상호 이격되는 산재대형을 이루는 제2 모드로 유동된다. 상기 제1 천공모듈(406) 내지 상기 제3 천공모듈(408)은 각각, 상기 거치몸체부(404)에 위치되어 직접 회전 구동되거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몸체부(BP)와, 상기 몸체부(BP)의 저면에서 기저부에 접촉하여 상기 몸체부(BP)로부터 천공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천공부(DP)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부(DP)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상기 몸체부(BP)에서 제1 천공부(DP1)과 제2 천공부(DP2)로 분리되는 분리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상기 분리모드에 기반하여 기저부에 대한 고정이 보강된다. 상기 제1 천공부(DP1)는, 상기 몸체부(BP)에 위치되며, 하부에 대한 천공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하방천공부(DP11)와, 상기 제1 하방천공부(DP11) 외측에 구비되어 (기저부 내부에서) 외측을 일정하게 천공하여 기저부의 내부 충진물을 쓸어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1 외곽천공부(DP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천공부(DP2)는, 상기 몸체부(BP)에 위치되며, 하부에 대한 천공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하방천공부(DP21)와, 상기 제2 하방천공부(DP21) 외측에 구비되어 (기저부 내부에서) 외측을 일정하게 천공하여 기저부의 내부 충진물을 쓸어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2 외곽천공부(DP22)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부(DP)는 기저부 하방을 천공하는 경우 상기 천공부(DP)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을 기반하여 천공을 수행한다. 상기 분리모드 동작시에는 상기 제1 외곽천공부(DP12) 및 상기 제2 외곽천공부(DP22)가 외곽 전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천공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부(BP)는, 분리모드로 동작 상태에서 토출수단(TP)이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기저부의 천공 영역으로 충진물(예: 몰타르, 합성수지 등)을 충진시켜 매설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천공모듈(406) 및 상기 제3 천공모듈(408) 사이에는 제1 서브천공모듈(4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천공모듈(407) 및 상기 제3 천공모듈(408) 사이에는 제2 서브천공모듈(41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서브천공모듈(411)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천공모듈(406) 및 상기 제3 천공모듈(408)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서브천공모듈(412)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천공모듈(407) 및 상기 제3 천공모듈(408)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서브천공모듈(411) 및 상기 제2 서브천공모듈(412)은 각각, 상기 거치몸체부(404)에 위치되는 서브몸체부(SBP)와, 상기 서브몸체부(SBP)의 저면에서 기저부에 접촉하여 천공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서브천공부(SDP)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천공부(SDP)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상기 서브몸체부(SBP)에서 제1 서브천공부(SDP1)와 제2 서브천공부(SDP2)로 분리되는 서브분리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상기 분리모드 이후 상기 서브분리모드에 기반하여 기저부에 대한 고정이 보강되는 것이다. 상기 서브분리모드는, 상기 서브천공부(SDP)가 상기 서브몸체부(SBP)에서 삼각형상의 상기 제1 서브천공부(SDP1)와 상기 제2 서브천공부(SDP2)로 이격되어 분리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서브천공부(SDP1)와 상기 제2 서브천공부(SDP2)가 각각 상기 서브몸체부(SBP)에서 좌우방향으로 대칭회전 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브몸체부(SBP)가 제1 서브몸체부(SBP1)와 제2 서브몸체부(SBP2)로 상호 이격되도어 분리되는 제3 단계로 동작된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서브천공부(SDP1) 및 상기 제2 서브천공부(SDP2)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는 삼각형상으로서 밑변이 상호 대향하고 빗변이 외측을 향하는 상태이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서브천공부(SDP1) 및 상기 제2 서브천공부(SDP2)는 빗변이 내측을 향하고 밑변이 외측을 향하는 상태인 것이다.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상기 커버부(403)들 중 제1 커버부(403)와 제2 커버부(403')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커버부(403)와 제2 커버부(403')를 고정하기 위한 가압패널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널부는, 상기 제1 커버부(403)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1-1 가압체(414)로 상기 제1 커버부(403)를 가압하는 제1-1 패널(415)과, 상기 제1 커버부(403)의 타측에 위치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1-2 가압체(416)로 상기 제1 커버부(403)를 가압하는 제1-2 패널(417)과, 상기 제1-1 패널(415)과 상기 제1-2 패널(417)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1-3 가압체(418)로 상기 제1 커버부(403)의 상측을 가압하는 제1-3 패널(419)과, 상기 제1-1 패널(415)과 상기 제1-2 패널(417) 사이에 결속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1-4 가압체(420)로 상기 제1 커버부(403)의 하측을 가압하는 제1-4 패널(421)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패널부는 상기 제2 커버부(403')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2-1 가압체(422)로 상기 제2 커버부(403')를 가압하는 제2-1 패널(423)과, 상기 제2 커버부(403')의 타측에 위치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2-2 가압체(424)로 상기 제2 커버부(403')를 가압하는 제2-2 패널(425)과, 상기 제2-1 패널(423)과 상기 제2-2 패널(425)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2-3 가압체(426)로 상기 제2 커버부(403')의 상측을 가압하는 제2-3 패널(427)과, 상기 제2-1 패널(423)과 상기 제2-2 패널(425) 사이에 결속되며, 내부로부터 진퇴되는 제2-4 가압체(428)로 상기 제2 커버부(403')의 하측을 가압하는 제2-4 패널(429)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가압체(414) 내지 상기 제1-4 가압체(420)는 컨베이어 유동 방식으로 상기 제1 커버부(403)를 진퇴유동시키며, 상기 제2-1 가압체(422)) 내지 상기 제2-4 가압체(428)는 컨베이어 유동 방식으로 상기 제2 커버부(403')를 진퇴유동시킨다. 상기 제1-1 가압체(414) 내지 상기 제1-4 가압체(420)는 상기 제1 커버부(403)를 향하면 영역에 상기 제1 커버부(403)에 끼움 결속되는 제1 장착돌기(TH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가압체(414) 내지 상기 제1-4 가압체(420)의 구동에 따른 연동을 보강하며, 상기 제2-1 가압체(422)) 내지 상기 제2-4 가압체(428)는 상기 제2 커버부(403')를 향하면 영역에 상기 제1 커버부(403)에 끼움 결속되는 제2 장착돌기(TH2)가 구비되어, 상기 제2-1 가압체(422)) 내지 상기 제2-4 가압체(428)의 구동에 따른 연동을 보강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대상물은 전술한 가공 방법으로 가공된 차량용 엔진과 기타 차량용 부품역시 포함한다.
한편, 표면개질유닛(300)은 전해조(301) 및 공급원(312)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조(301)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지고 알칼리성 전해질(303)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물품(304, 전술한 가공대상물)이 전해질에 침지되어 있는 배스(302)를 포함한다. 배스(302)에는 이송 펌프(305) 및 전해질의 거친 세정을 위한 필터(306)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배스(302)의 하부에는 공기역학적 발생기(307)가 내장되어 있다. 전해질(303)의 압력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음향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308)가 설치되어 있다. 조절 밸브(308) 및 압력계(309)가 발생기(307)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발생기(307)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밸브(310)가 설치되어 있다. 전해질 순환 시스템은 산화 과정에서 전해질(303)에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열교환기 또는 냉각기(311)를 포함한다. 공급원(312)은 산화 공정의 전기적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4)가 장착된 3상 펄스 발생기(313)를 포함한다.

자동차 부품 엔진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재킷(16a,16b)이 형성되고 엔진의 골격을 이루는 실린더 블록(1)을 포함한다. 실린더 블록(1)은 피스톤 장착을 위한 복수의 실린더(18)와, EGR쿨러(30)가 삽입되는 EGR 쿨러삽입부(20)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 본체(10)가 구비된다. 실린더 블록 본체(10)은 실린더 블록 본체(10)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복수의 실린더(18)가 형성된다. 실린더 블록(1)에는 차량의 배기가스가 워터재킷(16a,16b)과 열교환되도록 EGR쿨러(30)가 설치된다. EGR쿨러(30)는 EGR쿨러사입부(20)에 삽입된다. EGR 쿨러삽입부(20)는 실린더 블록 본체(10)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실린더 블록 본체(10)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블록 본체(10)는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를 EGR쿨러삽입부(20)로 공급하는 공급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블록 본체(10)에는 상, 하로 왕복하는 복수의 실린더(18)를 냉각시키도록 워터재킷(16a,16b)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구(12)는 후술할 순환유로(16b)와 직접유로(16a)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구(12)는 EGR쿨러(3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냉각수를 토출하게 관통된다. 워터재킷(16a,16b)은 유입구(14)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어 순환된다. 워터재킷(16a,16b)에 유입된 냉각수의 일부는 공급구(12)를 통해 순환유로(16b)로 토출된다. 워터재킷(16a,16b)은 열교환하는 복수의 실린더(18)의 외주연을 감싸는 호(arc)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직접유로(16a)의 중심각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16b)는 복수의 실린더(18) 모두와 열교환하도록 복수의 실린더(18)의 외부에서 흐른다. EGR 쿨러삽입부(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EGR쿨러삽입부(20)는 실린더 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EGR 쿨러삽입부(20)는 EGR쿨러(3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EGR 쿨러삽입부(20)은 실린더 블록 본체(10)에 공급구(12)의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EGR쿨러삽입부본체(22)가 형성된다. 따라서, EGR 쿨러삽입부본체(22)는 EGR 쿨러(30)를 감싸 고정 지지되게 삽입된다. EGR 쿨러삽입부(20)에는 EGR 쿨러(30)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토출구(24)는 EGR 쿨러삽입부본체(2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24)는 공급구(14)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EGR쿨러(30)는 EGR쿨러삽입부(20)를 덮는 쿨러커버와 쿨러커버에 냉각수와 열교환되게 설치되는 가스튜브를 포함한다. 쿨러커버(미도시)는 복수의 관통홀(32,34)이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홀(32,34)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 1관통홀(32)과 제 1관통홀(32)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제 2관통홀(34)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제 1관통홀(32)에는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고, 제 2관통홀(34)은 흡기 매니폴드가 연결된다. 제 1관통홀(32)과 제 2관통홀(34)은 가스튜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스튜브는 실린더 블록 본체(10)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
EGR쿨러(30)는 제 1관통홀(32)에서 유입된 배기가스가 제 2관통홀(34)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 과정에서 냉각된다. EGR쿨러(30)는 EGR쿨러삽입부(20)에 'U'자형 관으로 삽입되어 일측에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 1관통홀(32)와 타측에는 냉각수와 열교환된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2관통홀(34)가 배치될 수 있다. EGR밸브(미도시)는 제 2관통홀(34)에 설치되어 공전 및 워밍업 이외의 회전에서만 EGR 밸브의 제어에 의해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배치된다. EGR쿨러(30)는 EGR쿨러삽입부(20)에 삽입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 및 그 냉각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의 배기가스 및 냉각수의 순환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의 실린더 블록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투영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 냉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차량용 엔진의 작용에 대하여 도 7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린더 블록 본체(10)은 엔진 시동 중 고온의 연소가스열을 직접 받게되어 고온이 되므로 열전도율이 높고, 냉각효과가 높은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연소열에 의해 소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 블록 본체(10)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냉각수는 워터펌프로 실린더 블록 본체(10)의 워터재킷(16a,16b)으로 이동시킨다(S10). 이때, 냉각수는 실린더 블록 본체(10)내의 워터재킷(16a,16b)으로 통하는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다. 냉각수는 분기된 워터재킷(16a,16b)의 순환유로(16b)로 흐른다. 이에 따라, 냉각수는 실린더헤드(미도시)의 일부와 열교환된 후 공급구(12)로 배출된다. 순환유로(16b)를 통해 실린더 헤드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실린더 블록 본체(10) 외부로 배출되어 흐른다. 냉각수는 EGR쿨러(30)와 열교환된 냉각수와 함께 워터펌프에 의해 워터재킷(16a,16b)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된다. 한편, 워터재킷(16a,16b)로 유입된 냉각수는 직접유로(16a)로 흐르게 된다. 냉각수는 직접유로(16a)를 통해 순환유로(16b)보다 빠르게 공급구(12)로 유입된다. 공급구(12)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EGR쿨러(30)와 열교환된다. EGR쿨러(30)와 열교환 된 냉각수는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된다.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워터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순환유로(16b)를 통과한 냉각수와 함께 워터재킷(16a,16b)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직접유로(16a)를 통과한 냉각수는 EGR쿨러(30)의 제 1관통홀(32)를 통해서 엔진에서 연소되어 높아진 배기가스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각수는 EGR쿨러(30)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낮아진 배기가스는 EGR밸브를 통해 다시 제 2관통홀(34)로 보내진다. 상기와 같이 EGR 쿨러(30)를 실린더 블록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EGR 쿨러의 장착을 위한 공간(Layout)을 줄일 수 있다. 또, EGR쿨러삽입부(20)에 EGR쿨러(30)가 삽입됨으로 차량의 진동 또는 엔진 등의 주변부품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줄이고, 구성부품간 접합(Brazing)에 따른 조립공수가 줄어든다. 또, 실린더 헤드(CylinderHead)와 EGR 쿨러(30)를 각각 냉각시키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P : 토출수단
T1: 제1 노즐
T2: 제2 노즐
T3: 제3 노즐
1 : 실린더 블록
10 : 실린더 블록 본체
12 : 공급구
14 : 유입구
16a,16b : 워터재킷
18 : 복수의 실린더
20 : EGR 쿨러 삽입부
22 : EGR쿨러삽입부본체
24 : 토출구
30 : EGR 쿨러
32 : 제 1관통홀
34 : 제 2관통홀

Claims (6)

  1. 차량용 엔진 부품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표면개질유닛(300)을 셋업(setup)하는 단계(S110);
    차량용 엔진 부품에 해당되는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유닛(300)에 투입하는 단계(S120);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을 운용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표면개질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셋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운용 안정화를 위하여 매설설비(400)에 의해 일부가 매설되며,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은,
    전해조(301)와, 상기 전해조(301)과 연결되는 공급원(312)과, 상기 가공대상물이 가공되는 전해조(301)을 포함하며,
    상기 매설설비(400)는,
    복수의 상기 표면개질유닛(300)이 거치되도록 수용하되,
    상기 각 표면개질유닛(300)의 상기 전해조(301)를 둘러싸는 상부커버(401)와, 상기 공급원(312), 상기 전해조(301)를 둘러싸는 하부커버(402)를 포함하는 커버부(403)와, 상기 표면개질유닛(300)들을 수용하는 상기 커버부(403)가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몸체부(404)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기저부에 대한 천공 및 고정을 위하여 하부에 복수의 천공모듈(409)이 매트릭스 배열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천공모듈(409)은,
    상기 거치몸체부(404)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천공모듈(406)과,
    상기 거치몸체부(404)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천공모듈(407)과,
    상기 거치몸체부(404)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천공 모듈과 상기 제2 천공모듈(407)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3 천공모듈(408)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천공모듈(406), 상기 제2 천공모듈(407) 및 상기 제3 천공모듈(408)은,
    기저부를 천공하여 매설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상호 근접하는 밀집대형을 이루는 제1 모드로 유동거나,
    기저부를 천공하여 매설되 상태에서 상호간에 상호 이격되는 산재대형을 이루는 제2 모드로 유동되되,
    상기 제1 천공모듈(406) 내지 상기 제3 천공모듈(408)은 각각,
    상기 거치몸체부(404)에 위치되어 직접 회전 구동되거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몸체부(BP)와,
    상기 몸체부(BP)의 저면에서 기저부에 접촉하여 상기 몸체부(BP)로부터 천공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천공부(DP)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부(DP)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상기 몸체부(BP)에서 제1 천공부(DP1)과 제2 천공부(DP2)로 분리되는 분리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거치몸체부(404)는 상기 분리모드에 기반하여 기저부에 대한 고정이 보강되는 것인 차량용 엔진 부품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14906A 2019-02-08 2019-02-08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KR10199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906A KR101997064B1 (ko) 2019-02-08 2019-02-08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906A KR101997064B1 (ko) 2019-02-08 2019-02-08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064B1 true KR101997064B1 (ko) 2019-07-05

Family

ID=6722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906A KR101997064B1 (ko) 2019-02-08 2019-02-08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366A (ja) * 2010-04-02 2011-10-27 Takenaka Komuten Co Ltd 根固め球根部の施工管理方法とそれに用いる拡大掘削装置
KR101416380B1 (ko) * 2012-12-17 2014-07-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린더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622584B1 (ko) 2012-09-26 2016-05-1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패널 부품 평가 방법, 패널 부품 평가 장치 및 자동차용 패널 부품의 제조 방법
CN207498490U (zh) * 2017-10-20 2018-06-15 成都电车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配件表面电泳器处理一体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366A (ja) * 2010-04-02 2011-10-27 Takenaka Komuten Co Ltd 根固め球根部の施工管理方法とそれに用いる拡大掘削装置
KR101622584B1 (ko) 2012-09-26 2016-05-1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패널 부품 평가 방법, 패널 부품 평가 장치 및 자동차용 패널 부품의 제조 방법
KR101416380B1 (ko) * 2012-12-17 2014-07-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린더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07498490U (zh) * 2017-10-20 2018-06-15 成都电车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配件表面电泳器处理一体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081B2 (ja) 調量弁を冷却する装置
EP2426332B1 (en) Fuel tank comprising an urea tank
EP2899380B1 (en)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JP4331679B2 (ja) 排ガス熱伝達体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方法
KR101836573B1 (ko) 차량용 엔진의 냉각장치 및 그 냉각방법
KR102412560B1 (ko) 전기에너지 저장 유닛 냉각 장치
US20170138320A1 (en) Apparatus for cooling vehicle engine
US20060000428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thermal storage device
US20160230708A1 (en) Integr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er
KR101997064B1 (ko) 차량 엔진 부품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하여 가공된 엔진
US20050268868A1 (en) Engine cooling device
US20060042567A1 (en) System for integrated coolant and oil reservoir
US201403386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of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unit
KR20170011151A (ko) 차량용 엔진 및 그 냉각방법
KR101906104B1 (ko) 차량용 엔진의 냉각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2720A (ko) 냉각수 가열식 히터 및 그 제조방법
US10844771B2 (en) Cooling apparatus of engine
JP5167986B2 (ja) めっき処理装置
CN218882326U (zh) 尿素箱及车辆
KR20170059849A (ko) 차량용 엔진의 냉각장치
KR101997056B1 (ko) 자동차 부품 가공방법, 듀레이션 장치, 듀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엔진
CN218581706U (zh) 用于发动机的缸盖及发动机
KR20170069976A (ko) 차량용 엔진 및 그 냉각방법
KR20170054356A (ko) 차량용 엔진의 냉각시스템 및 방법
JP5167983B2 (ja) めっき前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