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609B1 - 접이식 수상 바이크 - Google Patents

접이식 수상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609B1
KR101996609B1 KR1020170127312A KR20170127312A KR101996609B1 KR 101996609 B1 KR101996609 B1 KR 101996609B1 KR 1020170127312 A KR1020170127312 A KR 1020170127312A KR 20170127312 A KR20170127312 A KR 20170127312A KR 101996609 B1 KR101996609 B1 KR 10199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ing
hinge
fix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706A (ko
Inventor
황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츠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츠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츠윙
Priority to KR102017012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5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하단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되는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상측으로 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는 수중날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수중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력 및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수상 바이크{foldable water craft}
본 발명은 접이식 수상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성이 개선된 접이식 수상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노 등을 이용한 인력에 의해 추진되거나 모터 등의 내연기관에 의해 추진되는 소형 배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보트는 수송 또는 낚시 등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레저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수상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수상 레저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수상 레저에 이용되는 보트는 수상 바이크, 요크 및 카약과 같은 소형 선박 형태로 구비되고 있으며, 수상스포츠를 편리하게 즐기도록 개인이 직접 상기 보트를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트는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운반이 까다롭고 보관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보트는 각 구성부품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보트로 구비되거나 선체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길이 내지 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보트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보트는 조립이 복잡하여 각 구성부품에 대한 분해 또는 조립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품을 별도로 관리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보트는 부피 감소가 미미하여 휴대 내지 보관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트를 사용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접이순서에 대응되도록 접히는 부분을 순차적으로 접거나 펼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보트에는 선체의 선저부에 수중익(hydrofol)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수중익이 구비된 선박은 활주시 상기 수중익에 의해 양력이 발생하여 선체가 물 위로 뜨게 되어 물의 점성과 유동에 의해 선저부가 받는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출력으로도 빠른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파랑의 영향이 감소되어 비교적 조용한 항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중익을 종래의 조립식 및 접이식 보트에 적용하여 조립하는 경우, 상기 수중익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선저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조립을 해야 하므로 선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466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성이 개선된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되는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상측으로 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는 수중날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수중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력 및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부력지지체는 하부에 구비된 수중날개부가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양력을 제공함에 따라 주행동안 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부상상태가 유지되므로 조파 및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추진수단의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메인날개부와, 메인날개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보조날개부와, 보조날개부와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날개고정부가 모두 접철식으로 구비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메인날개부는 타단부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부유체가 부상할 수 있도록 양력이 작용되는 양력분포영역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어 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독 또는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여 무게중심점이 이동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부상할 수 있어 수상 주행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날개고정부는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축회동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수중날개부와의 접촉이 미연에 방지되어 간섭에 의한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호 중첩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부피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날개고정부는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축 회동되지만 수중날개부가 주행을 위한 펼침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는 회동이 구속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날개고정부에 고정된 부력지지체가 수면과 이격된 후에도 주행 전 초기 형태인 수중날개와의 평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는 선체에 수중날개부를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수중날개부를 펼친 후 부유체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날개고정부를 결합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수중날개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수상에 부유중인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에서 수중날개부가 베이스부에 연결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수상에 부유중인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에서 수중날개부가 베이스부에 연결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베이스부(10), 수중날개부(20) 및 부력지지체(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강, 호수, 해안 등지에서 수상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설계에 따라 1인 내지 다수의 인원이 탑승 가능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각 구성부품을 접어서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10)는 외면 프로파일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는 경량성, 내식성, 내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 및 강도, 내식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단부에는 추진수단(11)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추진수단(11)은 후단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진수단(11)은 수중에 잠긴 상태로 구동되기 위해 내부로 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수단(11)은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식 축전기(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부(10)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진수단(11)은 후술되는 컨트롤러(60)를 통해 전원 연결 내지 회전량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는 상기 베이스부(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면에 구비된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 전력원로부터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력원이라 함은 상업용 내지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별도의 설치작업 없이도 사용자가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를 충전하기만 하면 수상에서 이용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는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다수의 전기식 축전기를 구비하여 예비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는 후술되는 부력체(32)에 의해 수면(S)에 부유된 상태로 하단부측 일부분이 수중에 잠길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추진수단(11)의 구동에 따라 수상 이동시 전단부측 유선형 외면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유체에 의한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주행이 시작되면 상기 부력체(32)가 수면(S)과 이격되어 상기 부력체(32)로 인한 유체의 저항력이 사라져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추력에도 빠른 수상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측은 상기 추진수단(11)에 의해 추진되는 방향으로, 후측은 전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중날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각 수중날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 하부라 함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기 추진수단(11)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중날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측부에 일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일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중날개부(20)의 일단부가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연결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수중날개부(20)는 메인날개부(21)와 보조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외면 프로파일이 유선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중 이동시 유체의 흐름을 상측 및 하측으로 유도하고 하면부에 유체에 의한 양력(f)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중날개부(20)는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상기 양력(f)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부력체(32)가 주행동안 수면(S)으로부터 이격되어 부상상태가 유지되어 조파 및 마찰저항이 감소되므로 상기 추진수단(11)의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타단부를 향해 전측 및 후측 중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날개부(21)가 타단부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측방향의 수평기준선(h1)과 중첩되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로 갈수록 제1각도(θ1)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각도(θ1)는 상기 수평기준선(h1)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상기 부력체(32)에 상기 양력(f)이 작용하는 상기 양력분포영역(L)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력분포영역(L)이라 함은 상기 부력체(32)가 부상할 수 있도록 상기 양력(f)이 작용되는 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상기 수평기준선(h1)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면 상기 양력분포영역(L)의 전후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코드(c), 즉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가 타단부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면 상기 양력분포영역(L)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어 상기 양력(f)이 작용될 수 있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32)의 후단부측이 전단부측보다 물속에 더 깊게 잠기는 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32)의 후단부측이 물에 가라앉는 면적이 감소되어 유체의 저항력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단독 또는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여 무게중심점이 이동하게 되더라도 후단부 측이 상기 양력(f)에 의해 안정적으로 부상할 수 있어 수상 주행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양측, 즉 상기 추진수단(11)의 양측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접철식으로 구비된다라 함은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연결된 후술되는 날개힌지축(21c)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인접하도록 접혀지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펴질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접힘 상태로 구비되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의 전체 부피가 축소될 수 있어 사용자의 휴대성 및 보관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어 수중에 잠긴 상태로 수상 이동시 하면부에 상기 양력(f)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펼침 상태라 함은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를 사용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이 펼쳐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접힘 상태라 함은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각 구성부품이 접혀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에는 힌지회전부(14)가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회전부(14)가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며, 이를 위해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는 고정홈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부(13)는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부(13)는 상기 추진수단(11) 측부의 어느 일측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진수단(11)의 중심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상기 고정홈부(13)에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13)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회전부(14)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부(13)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11)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힌지회전부(1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슬롯홀(14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슬롯홀(14a)은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상기 고정홈부(13)의 전후방향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각 힌지회전부(14) 사이에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일단부에는 조립돌기(21b)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홈부(13)에 대응되는 전후방향 폭을 갖는 형합홈부(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형합홈부(21a)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립돌기(21b)는 일단부가 상기 형합홈부(21a)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형합홈부(21a)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돌기(21b)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형합홈부(21a)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메인날개부(21)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돌기(21b)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삽입홀은 상기 날개힌지축(21c)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형합홈부(21a)의 중앙부, 즉 상기 각 힌지회전부(14) 사이에 개구된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힌지회전부(14) 사이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설정되어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각 힌지회전부(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돌기(21b)에는 상기 날개힌지축(21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힌지축(21c)은 단면 프로파일이 원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힌지축(21c)은 각 힌지슬롯홀(14a) 및 상기 축삽입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측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고정홈부(13)에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날개부(21)를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날개힌지축(21c)이 상기 각 힌지슬롯홀(14a)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고정홈부(13)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날개힌지축(21c)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13)에 삽입되고 상기 각 힌지회전부(14)는 상기 형합홈부(2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돌기(21b) 및 상기 각 힌지회전부(14)가 상기 고정홈부(13) 및 상기 형합홈부(21a)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회동이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측방향을 향해 펼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날개부(21)는 별도의 부재 필요없이 간단한 회동 및 가압 조작만으로도 펼침 상태를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분실 우려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외면 프로파일이 유선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측에 구비되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날개부(22)의 일단부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에는 상호 형합되는 형합접촉면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날개부(22)가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동되면 각 형합접촉면이 상호 접촉되어 상기 보조날개부(22)의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펼쳐지며 후술되는 날개고정부(31)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 측에서 발생하는 와류 형태의 유체흐름이 중앙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날개부(21)에 작용하는 유체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날개부(22)의 일단부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는 상술한 상기 베이스부(10)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힌지 연결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장폭 간격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상기 보조날개부(22)가 중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측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타단부로 갈수록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펼침 상태에서 상하방향의 수직기준선(h2)과 중첩되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를 향해 제2각도(θ2)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날개부(22)의 경사각은 상기 메인날개부(21)와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각도(θ2)는 상기 제1각도(θ1)에 대응되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0)와의 대향면이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면부에 중첩되도록 접힌다. 이때,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0)와의 대향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면부에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와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중첩되도록 접힐 수 있으며, 접힘 상태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소형화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인접하게 접힐 수 있어 사용자의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지지체(30)는 상기 날개고정부(31)와 상기 부력체(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베이스부(10)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보조날개부(22) 및 상기 베이스부(10) 사이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발판이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중날개부(20)의 타단부, 즉 상기 보조날개부(22)의 타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상기 날개고정부(31)에 의해 상기 보조날개부(22) 및 상기 베이스부(10) 사이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보조날개부(22)가 구속되어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에는 다축회동부(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축회동부(33)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일측에는 상하힌지축(33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전후힌지축(33b)이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에 상하힌지축(33a)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전후힌지축(33b)이 구비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에는 중앙측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제1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삽입홈에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힌지부(15)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힌지부(15)는 상기 베이스부(10) 전단부의 측부에 상기 수중날개부(20)의 접힘 상태에서 상호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힌지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삽입홈에 의해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분할된 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에 연통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힌지삽입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홀 및 각 제1힌지삽입홀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고정힌지부(15)가 삽입되면 상기 상하힌지축(33a)은 제1힌지관통홀 및 각 제1힌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축회동부(33)는 상기 상하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축회동부(33)의 타단부에는 중앙측에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힌지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홈에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분할된 각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힌지삽입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힌지축(33b)은 상기 제2삽입홈에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힌지관통홀 및 각 제2힌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전후힌지축(33b)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어 다축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고정부(31)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22)에 결합되면 회동이 구속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날개고정부(31)의 타단부에는 결합돌기(31a)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보조날개부(22)의 타단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끼움홀(22a)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31b)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날개고정부(31)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1b)에는 상기 나사산에 형합되는 나사홀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날개고정부(31)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일단부가 상기 다축회동부(33)에 의해 다축 회동되더라도 상기 수중날개부(20)가 주행을 위한 펼침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22)와 결합되어 회동이 구속되므로 수상 이동시에도 상기 부력체(32)가 수면(S)과 이격된 후에도 주행 전 초기 형태인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평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31a) 및 상기 고정부재(31b)는 억지 끼움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날개부(22)와 상기 날개고정부(31)가 착탈식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수중날개부(20)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상하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전후힌지축(33b)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날개부(21) 및 상기 보조날개부(22)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전측을 향해 회동되므로 접힘 상태에서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접촉이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간섭에 의한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호 중첩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부피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고정부(31)에는 상기 부력체(32)가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는 기체가 충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는 팽창형(inflatable) 구조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력체(32)는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도록 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테르, 강화폴리비닐 등의 유연한(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날개고정부(31)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초기 수상 이동시 유체 저항력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32)의 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면, 상기 베이스부(10)와 대향되는 상기 보조날개부(22)의 내면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면의 내측에는 양력 발생을 위한 수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되 가능한 얕은 흘수(draft)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로부터 상기 양력(f)이 발생하면 보다 빠르게 수면(S)으로부터 이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32)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 또는 배출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에 내삽된 공기주입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은 외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에어펌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은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체(32)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되거나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32)는 공기가 주입되면 전측 및 후측을 향해 기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팽창될 수 있으며, 상부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32)는 일측이 상기 날개고정부(31)에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가 상기 날개고정부(31) 에 부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된 기체를 배출한 후 상기 부력체(32)를 상기 날개고정부(31)의 하면부측으로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32)는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됨에 따라 제품의 운반, 휴대 및 보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러(60)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으로 공기가 충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중날개부(20)를 펼친 후 상기 부유체(32)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날개고정부(31)를 상기 수중날개부(20)에 결합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상기 수중날개부(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는 좌석지지부(40)와 컨트롤러지지부(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석지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 후측에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지지연장부(41) 및 좌석부(4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일단부는 일측에 구비된 좌석힌지축(41a)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연장부(41)는 상측으로 회동되어 펼침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일단부 타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4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는 좌석고정돌기(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일단부가 돌기힌지축(12a)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끼움홈(41b)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기힌지축(12a)은 상기 좌석힌지축(41a)으로부터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전후방향 폭을 초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상기 끼움홈(41b)에 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타단부측 외면 프로파일이 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41b)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고정돌기(12)의 타단부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좌석지지부(40)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상기 끼움홈(41b)에 상기 좌석고정돌기(12)를 삽입하기만 해도 회동이 구속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좌석고정돌기(12) 및 상기 좌석지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각 구성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어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연장부(41)의 타단부에는 좌석부(42)가 구비되되, 상기 좌석부(42)는 전후방향으로 분할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좌석부(42a,42b)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확장힌지부(42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좌석부(42a,42b)의 상호 대향단부가 상기 확장힌지부(42c)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힌지부(42c)는 상기 각 좌석부(42a,42b)의 상호 대향단부가 연결된 힌지축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지지연장부(41)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좌석부(42a,42b)는 상기 확장힌지부(42c)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전후측을 향해 각각 힌지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좌석부(42a,42b)의 대향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회동이 제한되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전후측을 향해 수평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좌석부(42)의 상측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좌석부(42a,42b)가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실질적으로 연장된 상태이므로 추가적인 사용자의 동반 탑승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좌석부(42a,42b)는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중첩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좌석지지부(40)는 상기 좌석힌지축(41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힘 상태시 상기 각 좌석부(42a,42b)가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측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간섭없이 상기 베이스부(10)와 연결된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연장부(41)는 펼침 상태에서 상하방향의 수직기준선(h2)과 중첩되는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를 향해 제3각도(θ3)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연장부(41)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각도(θ3)는 상기 제2각도(θ2)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좌석부(42)는 상기 부력체(32)의 중앙부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하여 정지된 상태에도 안정적인 부유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좌석부(42)에 착석시 상기 양력분포영역(L)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변화로 인해 하중 중심점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메인날개부(21)의 받음각이 커지도록 조절하여 상기 양력(f)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상기 부력체(32)를 수면(S)으로부터 이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부력체(32)가 상기 수중날개부(20)로부터 작용되는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양력(f)에 의해 부상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허리 내지 하체의 힘을 이용하거나 자세를 조정하여 상기 추진수단(11)의 추진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부(10) 및 상기 보조날개부(22)의 전방 각도를 변화시켜 상하운동 없이 좌우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상기 제3각도(θ3)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단부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지지연장부(41)의 대향단부와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형합될 수 있으므로 부피가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컨트롤러힌지축(51)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의 일단부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단부 일측에는 상술한 상기 베이스부(10)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힌지 연결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의 타단부에는 별도의 상기 컨트롤러(60)가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 타단부에 구비된 접속단자와 결합되어 유선으로 상기 추진수단(11) 및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의 상기 추진수단(11) 및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6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11) 및 공기주입수단(미도시)이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상기 메인날개부(21), 상기 보조날개부(22), 상기 좌석지지부(40) 및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가 모두 접철식으로 구비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베이스부 11: 추진수단
20: 수중날개부 21: 메인날개부
22: 보조날개부 30: 부력지지체
31: 날개고정부 32: 부력체
40: 좌석지지부 50: 컨트롤러지지부
100: 접이식 수상 바이크

Claims (10)

  1. 하단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되는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상측으로 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는 수중날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수중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력 및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날개부는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메인날개부와,
    상기 메인날개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보조날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날개부는 상기 부력지지체의 양력분포영역이 증가되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보조날개부는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메인날개부와 중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슬롯홀이 형성된 힌지회전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날개부의 일단부에는 힌지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조립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돌기에는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회전부와 힌지 연결되되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시 상기 힌지슬롯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날개힌지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지지체는 상기 보조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날개고정부와 상기 날개고정부에 연결되되 상기 메인날개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는 기체가 충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는 팽창형 구조체로 구비되되 상기 날개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고정부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타단부는 상기 보조날개부의 타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날개고정부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에 결합되면 회동이 구속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고정부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다축회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추진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식 축전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9. 하단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되는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상측으로 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는 수중날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수중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력 및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상단부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가 구비되는 좌석지지부와,
    전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별도의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컨트롤러지지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지지부의 일단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부 전측에 힌지연결되되 타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부에는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되어 상기 끼움홈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좌석고정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KR1020170127312A 2017-09-29 2017-09-29 접이식 수상 바이크 KR10199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312A KR101996609B1 (ko) 2017-09-29 2017-09-29 접이식 수상 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312A KR101996609B1 (ko) 2017-09-29 2017-09-29 접이식 수상 바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06A KR20190037706A (ko) 2019-04-08
KR101996609B1 true KR101996609B1 (ko) 2019-07-12

Family

ID=6616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312A KR101996609B1 (ko) 2017-09-29 2017-09-29 접이식 수상 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6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459B2 (ja) * 1996-11-13 2001-06-04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防ホース用ブ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9741B (it) * 1986-04-04 1988-02-04 Rodriguez Spa Aliscafo a geometria controllabile
KR19990046647A (ko) 1999-04-06 1999-07-05 최문호 절첩및분해조립식보트.
JP3172459U (ja) * 2011-08-10 2011-12-22 和広 野島 水中翼船型兼モ−タ−ボ−ト型船舶
KR101524194B1 (ko) * 2013-06-12 2015-06-01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인력 수중익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459B2 (ja) * 1996-11-13 2001-06-04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防ホース用ブリッ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245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06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668B2 (en) Self-propelling hydrofoil device
US6178905B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US4942838A (en) Inflatable watercraft with portable engine package
ES2748154T3 (es) Tabla para deportes acuáticos motorizada
CN116215822A (zh) 电动机动水路航行器和传动系系统
US20070125285A1 (en) Portable Personal Watercraft
WO2009048853A2 (en) Watercraft propelled by a water jet
US6539889B2 (en) Frame, inflatable skin and watercraft formed from same
KR101996609B1 (ko) 접이식 수상 바이크
KR101918169B1 (ko) 접이식 수상 바이크
US8973510B2 (en) Vessel
CN213566378U (zh) 一种防倾斜的船舶平衡装置
US7610870B1 (en) Interlocking platform boats
FR3103780A1 (fr) Engin nautique gonflable à motorisation électrique destiné à être piloté en position debout
US20020124783A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US4037557A (en) Hand-driven water craft
CN113120155B (zh) 一种船用翼桥及船舶
US6543378B1 (en) Personal watercraft
US20220281557A1 (en) Marine craft
KR101393541B1 (ko) 주행 성능이 향상된 보트
KR20140066619A (ko) 트렁크형 보트
CN110254604A (zh) 可折叠式水翼艇
US20200031430A1 (en) Multiple hull folding boat
CA3149316A1 (fr) Dispositif de deplacement d'un vehicule nautique
CN210634705U (zh) 水翼船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