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473B1 -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 Google Patents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473B1
KR101996473B1 KR1020170165774A KR20170165774A KR101996473B1 KR 101996473 B1 KR101996473 B1 KR 101996473B1 KR 1020170165774 A KR1020170165774 A KR 1020170165774A KR 20170165774 A KR20170165774 A KR 20170165774A KR 101996473 B1 KR101996473 B1 KR 10199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ir
mold
actuating ro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6238A (en
Inventor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Priority to KR102017016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4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6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있는 금형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를 통해 실린더를 가압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고자 스트로크가 다른 2개의 작동로드를 사용하되,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작동로드를 큰 스트로르크를 가지는 작동로드에 운동가능하게 삽입한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for a mold air plug, and is configured to press a cylinder through an operating ro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mold.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apparatus, two operation rods Wherein an operating rod having a small stroke is inserted into an operating rod having a large stroke in a movable manner.

Description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본 발명은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금형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벤트용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고, 플러그의 가압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er for confirming and pressurizing a mold air plug, and a cylinder capable of pressing a plug for an air vent provided in a mold and confirm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plug.

다양한 제품들이 사출, 프레스, 압출 등의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때 필수적으로 금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금형 내부에서 혼합물이 중합되는 과정에서 금형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스 및 공기를 배출시키지 못하면 제품 내에 보이드(void)가 형성되어 제품의 질을 떨어트리게 된다.Various products are manufactured by injection, press, extrusion, etc. At this time,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a desired shape by a mold. However, when the mixture is polymerized in the mold, gas may be generated inside the mold, or air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f such gas and air are not discharged, voids are formed in the product, It becomes a tre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금형에 형성된 벤트홀에 가스 배출 플러그 핀이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onventional gas discharge apparatus for a mold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mold is composed of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nd a gas discharge plug pin is installed in a vent hole formed in the upper mold.

이와 관련된 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801064호가 개시된 적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의 가스배출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상부금형에 형성된 벤트홀, 벤트홀에 체결되어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압력강하부 및 압력강하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피스톤 로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0801064 has been disclosed as a related document. The gas discharging device of the prior art includes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 vent hole formed in the upper mold, a piston rod for vertically moving the pressure lower portion and the pressure lower portion, which are connected to the vent hole, And the like.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과 같은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는 플러그(압력강하부)와 피스톤 로드를 직접 결합하도록 하고 있어, 이미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금형 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gas-discharging device for a mold such as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an existing mold apparatus in which a plug is already installed, because the plug (pressure lower portion) is directly coupled with the piston rod.

또한, 플러그의 일단과 피스톤로드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어, 작업 스트로크가 크며 장치의 부피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since one end of the plug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ston r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stroke is large and the volume of the apparatus is increased.

또한, 상기 선행문헌과 같은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압력강하부는 금형용 가스 배출장치 내부에서 동작하므로 작업자가 압력강하부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drop portion of the gas discharge device for a mold as in the preceding document operates inside the gas discharge device for a mold,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pressure drop por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 discharge device for a mold can not be grasp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 벤트 플러그만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금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비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 air pressure check and pressure cylinder which can be applied to an existing mold having only an air vent plug, It has its purpose.

또한, 플러그의 가압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for a mold air plug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a pressurized state of a plu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는 에어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작동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작동 공간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 공간을 제1 구동 공간 및 제2 구동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1 피스톤, 일단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 플러그를 가압하는 제1 작동 로드, 일단이 상기 제1 피스톤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및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제1 피스톤의 움직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 작동 로드의 스트로크보다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제2 작동 로드, 상기 제2 작동 로드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피스톤, 상기 작동 공간 내주면에 상기 제2 피스톤과 마주보고 설치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압 확인 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 for confirming and pressurizing a mold air plug, comprising: a housing which is inserted into an upper mold or a lower mold so as to press an air plug, A first piston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operating space and which divides the operating space into a first driving space and a second driving space, the first piston being formed b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iston, A first actuating rod protruding outside of the first piston to press the air plug, one end being slidably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and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iston, A second actuating rod having a stroke smaller than the stroke of the actuating rod, a second actuating ro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ctuating rod A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to face the second piston and sens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a second piston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operation rod, And a second air inle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driving space and a second air inle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for supplying air to the second driving space. do.

이때, 상기 제1 피스톤의 타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작동로드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왕복운동 하되, 상기 제2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 입구와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slid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to reciprocate, and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ro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is engaged with the inlet.

한편, 상기 가압 확인 센서는 접촉식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중에서 하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may be selected from a contact type sensor or an infrared ray sens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는 작동로드를 통해 실린더를 가압하므로 에어 벤트 플러그만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금형에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of the mold air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cylinder through the operation rod, it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mold having only an air vent plug.

또한, 스트로크가 다른 2개의 작동로드를 사용하되,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작동로드를 큰 스트로크를 가지는 작동로드에 운동가능하게 삽입함으로 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apparatus can be minimized by using two operation rods having different strokes, and by movably inserting the operation rod having a small stroke into the operation rod having a large stroke.

또한, 내부에 작동로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도 플러그의 가압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rod is provided in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ing state of the plug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로드가 동작할 때의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의 단면도.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as discharge device for a mold.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of the mold air plug when the opera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로드가 동작할 때의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는 하우징(100), 제1 피스톤(200), 제1 작동 로드(300), 제2 작동 로드(400), 제2 피스톤(500), 가압 확인 센서(600), 제1 공기 유입구(700), 제2 공기 유입구(800)를 포함한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of the mold air plug when the opera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shown in FIG. 2, the pressuriz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of the mold air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first piston 200, a first actuating rod 300, a second actuating rod 400, 2 piston 500, a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a first air inlet 700, and a second air inlet 800.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외형으로 에어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피스톤 및 작동로드가 동작할 수 있도록 작동 공간(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00)에서 작동 로드가 돌출되어 에어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도록 작동 공간(110)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using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mold or the lower mold so as to press the air plug in the outer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orking space 110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piston and the operation rod can operat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operation space 110 is opened so that the operation rod protrudes from the housing 100 to press the air plug.

제1 피스톤(200)은 작동 공간(110)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공간(110)을 제1 구동공간(111) 및 제2 구동공간(112)으로 분할한다. 이때, 제1 피스톤(200)은 제1 구동공간(111) 및 제2 구동공간(112)으로 주입되는 공기 또는 기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제1 구동공간(111)은 하우징(100) 내주면 측과 가까운 공간이고, 제2 구동공간(112)은 개구된 측과 가까운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iston 200 is vertically movably installed in the operating space 110 and divides the operating space 110 into a first driving space 111 and a second driving space 112. At this time, the first piston 2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air or gas injected into the first driving space 111 and the second driving space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rive space 111 is a space nea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drive space 112 is a space near the opened side.

제1 작동 로드(300)의 일단은 제1 피스톤(20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피스톤(200)의 일단은 작동 공간(110)이 개구된 측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작동 로드(300)의 타단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제1 작동 로드(300)는 피스톤과 함께 작동 공간(110)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돌출된 제1 작동 로드(300)의 타단은 에어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작동 로드(300)의 타단에는 고무 패킹이 덧씌워져 있어, 에어 플러그 가압 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제1 작동 로드(300) 및 에어 플러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플러그만 가압하면 되므로 기존에 에어 플러그가 설치된 금형에는 에어 플러그의 설계 변형없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One end of the first actuating rod 30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piston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first piston 200 is a side where the working space 110 is opene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orking rod 3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actuating rod 300 reciprocates vertically in the working space 110 together with the pist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rotruded first actuating rod 300 can press the air plug. On the other hand, a rubber packing is overlai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ctuating rod 300, so that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air plug is pressed can be minimized to prevent breakage of the first actuating rod 300 and the air plug. Accordingly, since only the air plug is required to be pressuriz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ld having an air plug in the prior art without any design modification of the air plug.

제2 작동 로드(400)는 일단이 제1 피스톤(200)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피스톤(200)의 타단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작동 로드(400)의 일단에는 걸림턱(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피스톤(200)의 타단에는 제2 작동 로드(400)가 동작할 수 있는 슬라이딩 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 홈(210)의 입구 직경은 제2 작동로드(400)의 걸림턱(4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 홈(210)의 길이는 제2작동 로드(400)의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200)과 제2 작동 로드(400)가 걸림 결합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스톤(20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2작동 로드(400)가 제1 피스톤(200)의 타단에 걸려 함께 하측으로 이동된다.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rod 40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200 and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200. More specifically, a locking protrusion 4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and a sliding groove 2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200 to allow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to operat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inlet diameter of the sliding groove 2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tching step 410 of the second operating rod 400.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210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3, when the first piston 200 is moved to the lower side, the second operating rod 40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1 piston 200 and is moved down together.

또한, 제2 작동 로드(400)는 제1 작동 로드(300)보다 작은 스트로크 즉, 작은 작동 길이를 가지며 제1 작동 로드(300)의 스트로크를 줄여 제2 피스톤(50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has a smaller stroke, that is, a smaller actuating length than the first actuating rod 300, and can reduce the stroke of the first actuating rod 300 to be delivered to the second piston 500.

제2 피스톤(500)은 제2 작동 로드(40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2 작동 로드(400)의 움직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피스톤(500)의 직경은 제2 작동 로드(400)의 직경과 제1 피스톤(200)의 슬라이딩 홈(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피스톤(200)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 피스톤(200)의 타단에 의해 제 2 피스톤을 상측으로 밀어주기 위한 것이다. The second piston 50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and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The diameter of the second piston 500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and the diameter of the sliding groove 210 of the first piston 200. This is for pushing the second piston upward by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200 when the first piston 200 moves upward.

그리고 가압 확인 센서(600)는 작동 공간(110) 내주면에 설치되되, 제2 피스톤(500)과 마주보고 설치되어 제2 피스톤(5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가압확인 센서(600)는 접촉식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가압 확인 센서(600)가 접촉식 센서일 경우, 제1 피스톤(200)의 동작 전에는 제2 피스톤(500)이 가압 확인 센서(600)를 가압하고 있으며, 제1 피스톤(200)이 하측으로 움직이면, 제2 피스톤(50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가압 확인 센서(60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접촉식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가압센서(600)가 적외선 센서일 경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적외선 센서와 제2 피스톤(5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제2 피스톤(500)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금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에어 플러그의 가압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space 110 and faces the second piston 500 to detect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500. At this time,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may be a contact type sensor or an infrared ray sensor. When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is a contact type sensor, the second piston 500 presses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before the first piston 200 is operated, and when the first piston 200 moves downward And the second piston 500 are also moved downwar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and the contact type sensor senses the pressure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or. When the pressure sensor 600 is an infrared sensor, the infrared sensor emits infrared rays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frared sensor and the second piston 500. The second sensor 50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iston 500 is moving, do.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air plug inserted in the mold can be confirmed.

추가적으로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소리센서, 광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소리센서 및 광센서는 가압 확인 센서(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가압 상태를 소리 또는 빛 형태로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에어 플러그의 가압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sound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ound sensor and the optical sens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so that the pressurized state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sound or light hav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intuitively confirm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air plug.

제1 공기 유입구(700) 및 제2 공기 유입구(80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작동 공간(110)과 연통되어 있다. 제1 공기 유입구(700)는 제1 구동 공간(111)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제2 공기 유입구(800)는 제2 구동 공간(11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유입구(700)는 작동 공간(110)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공기 유입구(800)는 작동 공간(110)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공기 유입구(700)에 공기가 공급되면 제1 피스톤(200)은 하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2 공기 유입구(800)로 공기가 공급되며 제1 피스톤(200)은 상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200)은 수직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되며, 에어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air inlet 700 and the second air inlet 80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communicate with the operating space 110. The first air inlet 700 supplies air to the first driving space 111 and the second air inlet 800 supplies air to the second driving space 112. 2 to 3, the first air inlet 7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space 110, and the second air inlet 8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space 110,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inlet 700, the first piston 200 moves downward,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air inlet 800, and the first piston 200 moves upward. Thereby, the first piston 200 is allow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ess the air plug.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의 구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 중 에어 플러그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0030] In detail, the pressurization confirmation of the mold air plug and the driving of the pressurizing cylinder according to the above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n air plug pressurization check and pressurizing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mold or the lower mold. have.

금형 내부공간에 가스 나 공기가 가득 채워지면, 제1 공기 유입구(700)로 공기 또는 기체가 공급되고 제1 피스톤(200)은 하측으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제1 작동로드(300)가 에어 플러그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에어 플러그를 통해 금형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 작동로드(300)에 걸려있는 제2 작동로드(40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2 피스톤(500)이 가압 확인 센서(6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가압확인 센서(600)는 이를 감지한 후 작업자에게 전달하게 된다.When the space inside the mold is filled with gas or air, air or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700 and the first piston 200 moves downward. As a result, the first operating rod 300 pressurizes the air plug, and the gas inside the mol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essurized air plug. At this time, the second actuating rod 400 attached to the first actuating rod 300 is also moved downward so that the second piston 500 is separated from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 Detects this and sends it to the worker.

금형 내부공간의 가스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제2 공기 유입구(800)로 공기가 공급되고, 제1 작동로드(300)가 다시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피스톤(200)의 타단이 제2 피스톤(500)을 밀어주게 되어 제2 피스톤(500)과 가압확인 센서(600)는 맞닿게 되고 가압확인 센서(600)는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When all of the gas in the mold internal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air inlet 800, and the first operation rod 300 is moved upward again.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200 pushes the second piston 500, so that the second piston 500 and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600 senses the pressure, .

한편, 제2 작동로드(400)는 제1 피스톤(200)의 타단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게 되므로 제1 작동 로드(300)의 작업 스트로크를 줄여 제2 피스톤(500)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 플러그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탄지되어 돌아오며, 다시 금형내부를 밀폐하고 있게 된다. Meanwhile, since the second operating rod 4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200 and reciprocates, the working stroke of the first operating rod 300 is reduced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piston 500, Can be minimized. Then,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air plug elasticity, and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mol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하우징
110: 작동 공간
111: 제1 구동공간
112: 제2 구동공간
200: 제1 피스톤
210: 슬라이딩 홈
300: 제1 작동 로드
400: 제2 작동 로드
410: 걸림턱
500: 제2 피스톤
600: 가압확인 센서
700: 제1 공기 유입구
800: 제2 공기 유입구
100: Housing
110: working space
111: first driving space
112: second driving space
200: first piston
210: Sliding groove
300: first working rod
400: second working rod
410: hanging jaw
500: Second piston
600: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700: first air inlet
800: Second air inlet

Claims (3)

에어 플러그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작동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작동 공간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 공간을 제1 구동 공간 및 제2 구동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1 피스톤;
일단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 플러그를 가압하는 제1 작동 로드;
일단이 상기 제1 피스톤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및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제1 피스톤의 움직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 작동 로드의 스트로크보다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제2 작동 로드;
상기 제2 작동 로드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피스톤;
상기 작동 공간 내주면에 상기 제2 피스톤과 마주보고 설치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압 확인 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의 타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작동로드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왕복운동 하되, 상기 제2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의 입구와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
A housing inserted into the upper mold or the lower mold so as to press the air plug and having a working space with one side opened;
A first piston movably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iston dividing the working space into a first driving space and a second driving space;
A first operating rod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iston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housing to press the air plug;
A second actuating rod having one end slidably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iston, the stroke of the second actuating rod being smaller than the stroke of the first actuating rod;
A second pist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ctuating rod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actuating rod;
A pressurization confirmation sensor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in opposition to the second piston and sensing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A first air inle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ly air to the first driving space; And
And a second air inle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supplying air to the second driving space
A slid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rod is inserted and reciprocated in the sliding groove and a hook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rod to engage with an inlet of the sliding groove. And a cylinder for pressuriz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확인 센서는 접촉식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중에서 하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confirmation sensor is selected from a contact type sensor or an infrared ray sensor.
KR1020170165774A 2017-12-05 2017-12-05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KR101996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774A KR101996473B1 (en) 2017-12-05 2017-12-05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774A KR101996473B1 (en) 2017-12-05 2017-12-05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38A KR20190066238A (en) 2019-06-13
KR101996473B1 true KR101996473B1 (en) 2019-07-03

Family

ID=6684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774A KR101996473B1 (en) 2017-12-05 2017-12-05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4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41A (en)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Pressurizing and stroke checking pist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64B1 (en) 2007-04-13 2008-02-04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Gas exhaust apparatus for mol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063B2 (en) * 1985-12-24 1990-08-28 Ube Industries KANAGATAYOGASUNUKISOCHI
JPH0623653U (en) * 1991-11-29 1994-03-2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Mold with degassing valve
KR101095248B1 (en) * 2009-08-12 2011-12-20 한일이화주식회사 Gas exhaust apparatus of foaming mou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64B1 (en) 2007-04-13 2008-02-04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Gas exhaust apparatus for mo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41A (en)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Pressurizing and stroke checking piston
KR102386772B1 (en) 2020-07-31 2022-04-14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Pressurizing and stroke checking pis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38A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473B1 (en) Mold Air Plug Checking and Pressurizing Cylinder
KR102195969B1 (en) Apparatus and method manufacturing dryice
DK3006736T3 (en) Improved air compressor
KR20150036848A (en) 3-stroke auto hydraulic
AU2019306305B2 (en) Compressed-air-operated expulsion device
US5040967A (en) Means for vertically moving a ram in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US3847321A (en) Nailing device
JP5245667B2 (en) Driving machine
JP2017104821A (en) Syringe pump
JP5006831B2 (en) Impact applying device
JP6861410B2 (en) Cylinder device
CN1861380B (en) Core action device for powder forming press
CN110260150B (en) Gas spring inflation pressure detection device
KR101848040B1 (en) Cylinder having output feedback function
CN103567975A (en) Driver
KR20150090228A (en) Air compressor construction
KR200489537Y1 (en) Air cylinder, eject-pin with it and molding device having eject-pin
JP4490241B2 (en) Powder molding equipment
CN205262432U (en) Automatic keep off handle stroke detection appearance
KR102386772B1 (en) Pressurizing and stroke checking piston
KR101801627B1 (en) Air compressor apparatus
CN106476129B (en) Cloth vehicle device capable of realizing bidirectional pressing
KR102125202B1 (en) Semi-automatic compression system and compression method using it
TWI724235B (en) Cylinder device with force multiplier
KR101801626B1 (en) Air compress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