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736B1 -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736B1
KR101995736B1 KR1020130006806A KR20130006806A KR101995736B1 KR 101995736 B1 KR101995736 B1 KR 101995736B1 KR 1020130006806 A KR1020130006806 A KR 1020130006806A KR 20130006806 A KR20130006806 A KR 20130006806A KR 101995736 B1 KR101995736 B1 KR 10199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luetooth
bluetooth device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252A (ko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36B1/ko
Priority to US14/108,515 priority patent/US10045190B2/en
Publication of KR2014009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는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한다.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는 미리 정의된 정보 마크 데이터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로 송신한다.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는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정보 마크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로 저장한다. 저장된 링크 정보가 설명서 링크 및 애플리케이션 링크인 경우, 설명서 링크 및 애플리케이션 링크는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와 타겟 블루투스 기기가 페어링된 후,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설명서 보기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각각 사용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METHOD AND BLUETOOTH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LUETOOTH DEVICE}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 기기들 각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기술은 통신 기기들이 근거리에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블루투스 기술은 사용 허가가 필요없는 2.4GHz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무선 대역을 사용한다. 블루투스 시스템은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기기들 간에 일-대-일 및 일-대-다중 연결을 지원한다.
블루투스 기술은 프린터, 키보드, 마우스 등을 케이블 없이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와 같은 각종 모바일 단말들 간에 데이터 전송에도 이용된다. 또한 헤드셋, 이어폰, 스피커 등을 모바일 단말에 무선 연결하는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블루투스 기기들 간에 통신을 위해서는 페어링(pairing)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가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는 인콰이어리(inquiry) 과정이 수행된다. 인콰이어리 과정에 따라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는 블루투스 기기, 즉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가 마스터 기기가 되고, 마스터 기기의 검색에 응답하는 블루투스 기기, 즉 타겟 블루투스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가 된다.
마스터 기기는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한다. 마스터 기기 주변의 슬레이브 기기는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마스터 기기로 송신한다.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는 슬레이브 기기의 블루투스 기기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마스터 기기는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기기의 리모트 이름을 요청하는 리모트 이름 요청 메시지를 슬레이브 기기로 송신한다. 리모트 이름은 블루투스 기기의 이름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기의 모델 명이 될 수 있다. 슬레이브 기기는 리모트 이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리모트 이름을 포함하는 리모트 이름 응답 메시지를 마스터 기기로 송신한다.
마스터 기기는 상기한 인콰이어리 과정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면, 검색된 하나 또는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들의 이름을 나타내는 블루투스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 리스트를 보고 페어링 가능한 블루투스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블루투스 기기 리스트의 블루투스 기기들 중에서 페어링을 원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선택하면, 마스터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블루투스 기기로 페어링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후 마스터 기기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블루투스 기기의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한편 블루투스 기능은 프로파일(profile) 별로 다양한데, 통상적으로 블루투스 기기 사용자들은 블루투스 기능들에 대해 숙지하기 곤란하다. 이뿐만 아니라 같은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기기들이더라도, 각 기기별로 사용법이 달라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 TV(television), 카 키트(Car-kit)와 같은 기기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거나 사용법이 더 어렵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블루투스 기기를 페어링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블루투스 기기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앱 마켓', '앱 스토어' 등으로 불리우는 상점에서 해당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설명서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설명서를 보거나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앱 마켓, 앱 스토어 등은 이동 통신사나 모바일 단말 제조사가 운영한다.
이처럼 블루투스 기기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검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설명서를 본다고 해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해야 하는지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공받도록 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를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설명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미리 정의된 정보 마크 데이터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상기 정보 마크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된 후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설정이 선택되면, 설명서 보기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 중에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설명서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설명서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설명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가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는,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유니트와, 상기 블루투스 유니트와 연결되고,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하며, 미리 정의된 정보 마크 데이터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상기 정보 마크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된 후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설정이 선택되면 설명서 보기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 중에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설명서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설명서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설명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가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는 타겟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링크 정보가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설명서 링크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설명서를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링크 정보가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링크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는 타겟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받는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가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링크인 경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타겟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수동으로 검색 및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블록도,
도 2는 블루투스 스펙에 따른 EIR 데이터 포맷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IR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마크 데이터의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처리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검색 화면 예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설정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와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정 상세들이 포함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에 관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하에 설명된 실시 예들의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들 및 단어들은 서지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가 가능하도록 발명자에 의해 사용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과 블루투스 헤드셋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은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을 의미하고, 블루투스 헤드셋은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을 의미한다. 또한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이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가 되고, 블루투스 헤드셋이 타겟 블투투스 기기가 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다른 장치들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장치라면, 모바일 단말 이외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무선 스피커, 무선 이어폰 등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블루투스 기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블록도이다. 블루투스 헤드셋(100)은 후술하는 도 6의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과 같은 블루투스 기기와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블루투스 헤드셋(100)은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 송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헤드셋(100)은 제어부(102), 메모리(104), 블루투스 유니트(106), 오디오 입/출력부(108)를 포함한다. 메모리(104)는 제어부(102)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부(102)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블루투스 유니트(106)는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한다. 오디오 입/출력부(108)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 송신하며,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102)는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인콰이어리 메시지가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수신되면 미리 정의된 정보 마크 데이터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하는 마스터 기기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이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가 된다. 이후 제어부(102)는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부터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과 페어링한다.
제어부(102)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정보 마크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관련 정보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에 관한 정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될 수 있다. 관련 정보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링크 정보는 설명서 링크를 포함한다. 설명서 링크는 해당 설명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링크를 의미한다. 관련 정보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링크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링크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링크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관련 정보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에 관한 정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링크 정보가 설명서 링크와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하지만 관련 정보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정보라면 설명서에 관한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링크 정보는 필요에 따라 설명서 링크와 애플리케이션 링크 중에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102)는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의 EIR(Extended Inquiry Response)을 사용하여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에 정보 마크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EIR은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다.
도 2는 블루투스 스펙에 따른 EIR 데이터 포맷도이다. 도 2의 EIR 데이터 포맷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스펙 버전 4.0 [Vol 3]의 "Figure 8.1 Extended Inquiry Response data format"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EIR은 240옥텟의 길이를 가지며, 다수의 EIR 데이터 구조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EIR 데이터 구조는 해당 EIR 데이터 구조의 길이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는 길이 필드와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필드는 EIR 데이터 타입 필드와 EIR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EIR 데이터 구조들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의미있는 부분(significant part)이고 나머지 부분이 무의미한 부분(non-significant part)이다.
블루투스 스펙에 따르면 EIR에 포함되는 EIR 데이터 타입들은, 서비스 클래스(service class) UUIDs(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 로컬 이름(local name), 제조 업체 특정 데이터(manufacturer specific data) 등이 있다. 블루투스 기기의 제조 업체는 2옥텟 이상의 데이터를 제조 업체 특정 데이터로서 EIR 데이터에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스펙은 제조 업체 특정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을 '0xFF'로 규정하고 있고, 제조 업체 특정 데이터 중의 앞의 2옥텟은 제조 업체를 나타내는 회사 식별 코드(company identifier code)를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IR 예시도로서, 도 2의 EIR 데이터 포맷에 기초하여 구현한 EIR(300)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EIR(300)은 로컬 이름(302), 송신 전력 레벨(304), 서비스 클래스 UUIDs(306), 정보 마크 데이터(308)를 포함한다. 로컬 이름(302), 송신 전력 레벨(304), 서비스 클래스 UUIDs(306), 정보 마크 데이터(308)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도 2의 의미있는 부분에 해당되고, 참조 부호 310으로 나타낸 부분은 도 2의 무의미한 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도 3은 로컬 이름(302), 송신 전력 레벨(304), 서비스 클래스 UUIDs(306), 정보 마크 데이터(308) 각각의 사이즈가 15바이트, 3바이트, 14바이트, 71바이트인 예를 보인다. 그러면 EIR(300)의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전체 사이즈 240바이트(옥텟) 중에 103바이트가 의미있는 부분이 되고 137바이트가 무의미한 부분(310)이 된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EIR(300)에는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EIR 데이터로 포함된다. 정보 마크 데이터(308)는 도 4의 예처럼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마크 데이터의 구성 예시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서 링크와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마크 데이터(308)의 사이즈는 71바이트로서, 정보 마크 데이터(308)의 필드들은 연속되는 1바이트의 길이(400), 1바이트의 타입(402), 2바이트의 회사 식별 코드(404), 1바이트의 타입(406), 1바이트의 길이(408), 38바이트의 값(410), 1바이트의 타입(412), 1바이트의 길이(414), 25바이트의 값(416)으로 이루어진다. 값들(410, 416)에는 각각 설명서 링크 및 애플리케이션 링크가 포함된다. 즉, 값(410)은 설명서 링크를 나타내는 값을 가지며, 값(416)은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나타내는 값을 가진다.
길이(400)는 길이(400)에 뒤이어지는 전체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값 '70'을 가진다. 타입(402)은 정보 마크 데이터(308)의 타입이 제조 업체 특정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값 '0xFF'을 가진다. 회사 식별 코드(4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의 제조 업체에 할당된 회사 식별 코드 값을 가진다. 타입(406)은 설명서 링크의 값(410)의 데이터 타입이 설명서 링크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0x01'을 가진다. 길이(408)는 길이(408)에 뒤이어지는 데이터 필드인 값(410)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값 '38'을 가진다. 설명서 링크의 값(410)은 예를 들어 'http://www.sec.com/manual/UN46D6900WFH'와 같은 링크를 나타내는 값을 가진다. 타입(412)은 애플리케이션 링크의 값(416)의 데이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링크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0x02'를 가진다. 길이(414)는 길이(414)에 뒤이어지는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값 '25'를 가진다. 애플리케이션 링크는 예를 들어 'com.sec.smarttv.remotecon'과 같은 링크를 나타내는 값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처리 흐름도로서, 도 1의 블루투스 헤드셋(100)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과 같은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실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500)단계에서 블루투스 모바일(600)로부터 인콰이어리 메시지가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02)는 (502)단계에서 링크 정보가 포함된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EIR 데이터로 포함된 EIR(300)을 가지는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검색 시도 블루투스 기기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 송신한다. 이후 (504)단계에서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부터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02)는 (506)단계에서 블루투스 유니트(106)를 통해 모바일 단말(600)과 페어링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은 제어부(602), 무선 통신부(604), 블루투스 유니트(606), 오디오 입/출력부(608), 메모리(610), 디스플레이(612), 키 입력부(61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604)는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모바일 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신호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송수신한다. 블루투스 유니트(606)는 전술한 블루투스 헤드셋(100)과 같은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한다. 오디오 입/출력부(608)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동작에 따른 각종 오디오를 입력 및 출력한다. 메모리(610)는 제어부(602)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부(602)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610)에는 외장형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스토리지 장치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2)는 제어부(602)의 동작에 따른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키 입력부(614)는 사용자로부터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키 입력을 제어부(602)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614)는 디스플레이(612) 상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602)는 무선 통신부(604), 블루투스 유니트(606), 오디오 입/출력부(608), 메모리(610), 디스플레이(612), 키 입력부(614)를 제어하여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602)는 키 입력부(61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블루투스 기기 검색 입력이 있는 경우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후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602)는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정보 마크 데이터(308)로부터 추출하여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로 메모리(61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기기인 블루투스 헤드셋(100)이 타겟 블루투스 기기가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602)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 즉 설명서 링크 및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정보 마크 데이터(308)로부터 추출하여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기기 정보로 메모리(61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602)는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과 페어링한다.
이처럼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기기 정보로 저장된 설명서 링크 및 애플리케이션 링크는 블루투스 헤드셋(100)과 페어링된 후,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설명서 보기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각각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처리 흐름도로서, 도 6의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사용자로부터 블루투스 기기 검색 입력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700)~(702)단계에서 제어부(602)는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블루투스 기기 검색을 한다. 이때 제어부(602)는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하고,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602)는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702)단계에서 (704)단계로 진행한다. 블루투스 기기 검색은 통상적으로 미리 설정된 검색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704)단계에서 제어부(602)는 수신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에 정보 마크 데이터(308)의 포함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헤드셋(100)으로부터 수신된 경우라면,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에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이처럼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에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포함되었다면, 제어부(602)는 (706)단계를 실행한다. 이와 달리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에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602)는 도 7의 처리를 종료하고, 통상적인 페어링 절차를 진행한다.
(706)단계에서 제어부(602)는 정보 마크 데이터(308)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 즉 설명서 링크 및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정보 마크 데이터(308)로부터 추출하여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기기 정보로 메모리(61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602)는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으로 페어링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710)단계에서 블루투스 유니트(606)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과 페어링한다.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블루투스 검색 상황을 보이는 검색화면을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페어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검색 화면 예시도이다. 도 8a에 보인 검색 화면(800)은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디스플레이(61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기기 명이 각각 'GT-B5330fffff', 'Samsung SBH500'인 2개의 블루투스 기기들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페어링되어 등록되어 있는 것을 보인다. 2개의 블루투스 기기 명들 중에 참조부호 802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기기명 'Samsung SBH500'을 나타낸다. 검색 화면(800)을 보고 사용자가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들 각각에 관한 설정을 선택하면,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당 블루투스 기기의 설정 상태를 확인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설정 버튼(804)을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설정 화면을 통해 설명서 보기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설정 화면 예시도이다. 도 8b에 보인 설정 화면(806)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설정 화면으로서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디스플레이(61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설정 화면(806)은 '메뉴얼'로 나타낸 설명서 보기 메뉴(808)와 '앱 다운로드'로 나타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설명서 보기 메뉴(808)를 선택하여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를 보거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를 선택하여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710)단계에서 블루투스 헤드셋(100)과 페어링된 후, 제어부(602)는 (71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대한 설정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614)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대한 설정을 선택하면, 제어부(602)는 (714)단계를 실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대한 설정을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602)는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714)단계에서 제어부(602)는 도 8b처럼 설명서 보기 메뉴(808)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806)을 디스플레이(612)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716), (720)단계에서 설명서 보기 메뉴(808) 또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에 대한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사용자가 설명서 보기 메뉴(808) 또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602)는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만일 사용자가 키 입력부(614)를 통해 설명서 보기 메뉴(808)를 선택하면, 제어부(602)는 (716)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718)단계를 실행한다. (718)단계에서 제어부(602)는 메모리(610)에 저장해 놓은 설명서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부(604)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61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사용자가 키 입력부(614)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를 선택하면, 제어부(602)는 (72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722)단계를 실행한다. (722)단계에서 제어부(602)는 메모리(610)에 저장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부(604)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페어링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관련 정보가 자동으로 블루투스 헤드셋(100)으로부터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설정 화면(806)에서 설명서 보기 메뉴(808)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설명서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한 설정 화면(806)에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의 제조사, 이동 통신사 등에 의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링크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 이름이 대응되게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미리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블루투스 헤드셋(100)은 애플리케이션 링크 대신에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을 정보 마크 데이터(308)에 포함하는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 송신한다. 그러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은 블루투스 헤드셋(100)으로부터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은 애플리케이션 링크에 비해 적은 사이즈의 데이터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블루투스 헤드셋(100)이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로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송신하는 대신에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을 송신하면, 송수신 및 처리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의 처리 흐름도로서, 도 6의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에 사용자로부터 블루투스 기기 검색 입력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도 9에서 (900)~(910)단계는 도 7의 (700)~(710)단계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900)~(910)단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910)단계에서 블루투스 헤드셋(100)과 페어링된 후, (912)단계에서 제어부(602)는 메모리(610)에 저장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부(604)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이후 (914)단계에서 제어부(602)는 사용자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대한 설정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614)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대한 설정을 선택하면, 제어부(602)는 (916)단계를 실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대한 설정을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602)는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916)단계에서 제어부(602)는 설명서 보기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612)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918)단계에서 설명서 보기 메뉴(808)에 대한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하는 설정 화면에는 도 8b와 달리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810)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912)단계에서 이미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였으므로, 사용자가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만일 사용자가 설명서 보기 메뉴(808)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602)는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만일 사용자가 키 입력부(614)를 통해 설명서 보기 메뉴(808)를 선택하면, 제어부(602)는 (918)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920)단계를 실행한다. (920)단계에서 제어부(602)는 메모리(610)에 저장해 놓은 설명서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부(604)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설명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61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헤드셋(100)으로부터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블루투스 모바일 단말(600)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이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된다면,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에 위치한 프로그램 제공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이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스톨되면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어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 판단, 사용자 인증 및 결재 정보 확인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부에 의해 블루투스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16)

  1.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미리 정의된 정보 마크 데이터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상기 정보 마크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된 후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설정이 선택되면 설명서 보기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 중에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설명서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설명서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설명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가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설명서 링크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서 링크는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설명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링크이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는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링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마크 데이터는, 상기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의 EIR(Extended Inquiry Response)에 EIR 데이터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블루투스 기기에 있어서,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유니트와,
    상기 블루투스 유니트와 연결되고,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송신하며, 미리 정의된 정보 마크 데이터가 포함된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타겟 블루투스 기기의 관련 정보에 관한 링크 정보를 상기 정보 마크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된 후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설정이 선택되면 설명서 보기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 중에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설명서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설명서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설명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뉴가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설명서 링크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서 링크는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설명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링크이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는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링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타겟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13. 제9항,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마크 데이터는, 상기 인콰이어리 응답 메시지의 EIR(Extended Inquiry Response)에 EIR 데이터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06806A 2013-01-22 2013-01-22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KR10199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06A KR101995736B1 (ko) 2013-01-22 2013-01-22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US14/108,515 US10045190B2 (en) 2013-01-22 2013-12-17 Bluetooth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obtaining bluetooth devic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06A KR101995736B1 (ko) 2013-01-22 2013-01-22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252A KR20140094252A (ko) 2014-07-30
KR101995736B1 true KR101995736B1 (ko) 2019-10-01

Family

ID=5120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806A KR101995736B1 (ko) 2013-01-22 2013-01-22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5190B2 (ko)
KR (1) KR101995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4993B2 (en) * 2009-03-06 2012-08-28 Apple Inc. Remote messag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US10080121B2 (en) * 2012-07-18 2018-09-18 TBWA\RAAD Middle East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mmunication
TWI563859B (en) * 2015-04-23 2016-12-21 Airoha Tech Corp Bluetooth audio packet sharing method
CN105007561A (zh) * 2015-06-10 2015-10-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传输数据的方法、装置、系统和一种移动终端
US10848926B2 (en) * 2015-06-15 2020-11-24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6663309B2 (ja) * 2016-06-23 2020-03-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及びプログラム
US10027616B2 (en) 2016-07-18 2018-07-17 Plexus Meet, Inc. Proximity discovery system and method
US11301862B2 (en) * 2018-10-04 2022-04-12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transfer of tokens between devices
US11540136B2 (en) * 2019-03-05 2022-12-27 Fitbit, Inc. Device pairing
CN112469011A (zh) * 2019-09-06 2021-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蓝牙配对方法及相关装置
CN111464987B (zh) * 2020-03-11 2022-07-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蓝牙设备标识的方法及电子设备
CN111818498B (zh) * 2020-07-23 2024-04-19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蓝牙设备的连接方法、蓝牙设备及服务器
CN114125792A (zh) * 2020-09-01 2022-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连接建立方法、蓝牙耳机及可读存储介质
CN113660649A (zh) * 2021-08-13 2021-11-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设备的发现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7900A1 (en) * 2004-03-30 2005-12-01 Osman Ahmed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data relating to a home
US20060173974A1 (en) * 2005-02-02 2006-08-03 Victor Ta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ccess to personal media
US20120289157A1 (en) * 2011-05-13 2012-11-15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26B1 (ko) * 2011-08-19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US9258693B2 (en) * 2012-11-09 2016-02-09 Apple Inc. Device centric or interactive discov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7900A1 (en) * 2004-03-30 2005-12-01 Osman Ahmed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data relating to a home
US20060173974A1 (en) * 2005-02-02 2006-08-03 Victor Ta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ccess to personal media
US20120289157A1 (en) * 2011-05-13 2012-11-15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5190B2 (en) 2018-08-07
KR20140094252A (ko) 2014-07-30
US20140206290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736B1 (ko)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KR101981140B1 (ko) 블루투스 기기 페어링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
US11122392B2 (en) Provisioning wireless device profiles
JP6358796B2 (ja) 画面ロック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CN103916987B (zh) 用于提供集成的装置信息的设备和方法
KR1024875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KR20150082824A (ko)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12524474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ための外部タッチスクリーン
CN105163366A (zh) 无线网络连接方法和装置
CN105320616B (zh) 外部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5162889A (zh) 设备找回方法及装置
WO2015098162A1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US20150286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layer agnostic programming interface for use with smartphones
CN115175150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EP24796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thereof
US2018018436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092009B1 (ko)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
CN111194097A (zh) 移动终端以及蓝牙连接方法和存储装置
US201400297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output
KR20200141702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120074611A (ko) 블루투스 기기 간의 페어링 방법 및 장치
EP2579163A1 (en) Information appliance data connec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client appliance, information appliance data conn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550622B1 (ko) 인공지능 이동 단말기
JP2016054373A (ja) 近距離無線装置及びオーディオ機器
KR102176484B1 (ko)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