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553B1 -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553B1
KR101994553B1 KR1020170175738A KR20170175738A KR101994553B1 KR 101994553 B1 KR101994553 B1 KR 101994553B1 KR 1020170175738 A KR1020170175738 A KR 1020170175738A KR 20170175738 A KR20170175738 A KR 20170175738A KR 101994553 B1 KR101994553 B1 KR 10199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control unit
pipes
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주
허태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빗물이 몰려 도시의 일정구획 또는 전체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 인적손실을 없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 City Each compartment Sewer Pipe Control method during Heavy rainfall }
본 발명은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빗물이 몰려 도시의 일정구획 또는 전체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 인적손실을 없게 하는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지구온난화 때문에 도시에 일시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횟수가 많아지고 따라서 도시 전체나 일정구획이 일시적으로 불어난 빗물에 의해 침수되는 현상이 증가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3532호에는 분류식 하수시설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기간 하수관로로 이송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와; 혼합식 하수시설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기간 하수관로로 이송하는 혼합식 하수관거와; 합류식 하수시설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기간 하수관로로 이송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와; 상기 하수관거들로부터 이송된 하수를 하수 집하시설로 전달하는 기간 하수관로와; 각 하수관거들의 출구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하수관거 바닥과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면 상하 회전으로 기간 하수관로의 입구를 개폐시키며, 개폐된 각도에 따라 상기 기간 하수관로 또는 하천 측으로 하수가 배출되도록 하수의 수류방향과 양을 조절하는 수문과; 각 하수관거들의 출구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문의 개폐동작과 개폐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하수 집하시설에 유입되는 하수량이 처리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하수 집하시설 서버와; 각 지역 하수관거의 수질 및 수위정보를 계측하고 누적 통계치를 작성하여 통계치에 따라 각 지역 기간 하수관로의 수문에 오염부하량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한 후, 상기 하수 집하시설 서버로부터 보고되는 하수량이 하수처리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박스를 원격 제어하여 기간 하수관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조절하는 통제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107045호에는 하수가 흐르는 현장(맨홀 등)과 집중 감시 및 경보가 필요한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현장설비와; 중앙에서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현장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측정 데이터 및 중앙재해대책본부로부터 제공되는 수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장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하여 이후에 발생될 수 있는 재해의 상황을 미리 예측하는 한편, 상기 예측된 결과에 따라 단계별로 취해야할 조치를 선택하여 현장의 설비를 원격지에서 제어·조작하여 경보를 발령하거나 주민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주요지역에 설치된 현장의 카메라(영상장치)를 원격조작하여 필요한 장소의 침수상황에 대한 감시를 더욱 심도 있게 하는 한편, 중앙재해대책본부가 재해 상황 판단을 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침수지역의 상황을 중앙재해대책본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제어설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오수 및 하수집수관의 수위경보발령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09252호에는 도심지 도로나 주택가에서의 집중 호우로 인해 발생되는 저지대 하수관의 월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용량 빗물 처리설비로서, 상류측 및 하류측 하수관이 상호 연결되는 맨홀 내부에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할 수 있는 원호형의 차폐판을 설치하고, 상류측 하수관을 통해 흘러 내려오는 빗물이 상기 차폐판의 상단부를 넘어 단계적으로 하류측 하수관을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대용량 빗물 처리설비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릴때 도시전체 또는 호우가 집중되어 범람하는 일정구획의 하수배관들을 각각 유기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며 제어가 복잡하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어서 일시적으로 일정구획이 빗물이 늘어나서 하수관로를 넘쳐흐르게 되어 도시전체 또는 일정구획을 침수시키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빗물이 몰려 도시의 일정구획 또는 전체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 인적손실을 없게 하는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빗물이 몰려 도시의 일정구획 또는 전체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 인적손실을 없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펌프 파워코드 결합부 도면
도 2는 본발명의 고무링 단면도
본 발명은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수가 하수배관중 메인배관에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배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구획에 유량계가 설치되어, 제어부는 유량이 위험수위에 도달하면 경보신호를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배관이 막히는 경우에 내시경 청소도구로 막힌 배관을 뚫을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발명의 펌프 파워코드 결합부 도면, 도 2는 본발명의 고무링 단면도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일정구획의 하수가 들어오는 입구에는 다수 개의 배관이 설치되고, 일정구획에서 하수가 나가는 출구에는 배수배관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도시에는 하수 유입배관과 배수배관이 각각 다수 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입배관을 통과한 하수는 어느 하나의 배수배관을 거쳐 메인배관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하수가 메인배관에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배관을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관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밸브를 제어함에 따라 하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밸브는 전기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는 것이며, 예를들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어부가 밸브에 신호를 보내어 밸브에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게 되며, 반대로 제어부가 밸브에 신호를 보내지 않아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으로, 즉, 제어부는 밸브를 제어하여 하수를 통과하게 하거나, 하수를 통과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일정구획에 유량계가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보내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유량을 통해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유량계에서 측정한 유량이 위험수위에 도달하면 경보신호를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일정구획에는 유량계가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여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유량이 미리 설정된 위험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에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경보신호를 보내며, 상기 스마트폰은 경보신호를 받아 화면에 출력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유량이 위험수위 이상이 되었다는 것을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특히,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모듈 등의 직접적인 통신방식을 사용하거나, 네트워크통신부 등의 서버를 통한 간접적인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통신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관용의 기술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는 배관이 막히는 경우에 내시경 청소도구로 막힌 배관을 뚫을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통보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도시에 설치된 각각의 배관에는 검침기가 설치되며, 상기 검침기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해당 배관에 하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문제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러므로 상기 스마트폰은 신호를 받아 문제가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며, 관리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나타난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배관을 내시경 청소도구를 통해 뚫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이 유량이 위험수위 이상인 배관이나, 막힌 배관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에 출력하는 실시예로서,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화면이 출력되며, 상기 메인화면에는 해당 도시에서 하수가 흐르는 길과, 배관을 지도 등에 이미지로 나타내며, 각각의 배관을 나타내는 아이콘에는 중심에 색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확인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문제확인용 공간에는 배관이 열려있을 경우 흰색이 출력되며, 배관이 닫혀있을 경우 검은색이 출력되되, 유량이 위험수위 이상인 경우 붉은 색 테두리가 출력되며, 배관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힌 경우 회색의 'X'표시가 출력된다.
이때, 관리자가 배관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배관의 위치와, 유량의 수치와, 최근 관리한 일시가 팝업(Pop-up)창으로 나타나게 되며, 열림버튼, 닫힘버튼, 자동관리버튼 등의 개폐용 버튼들과, 길찾기 버튼이 나타나게 되어, 개폐용 버튼들을 통해 배관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막힌 배관의 아이콘을 눌렀을 경우에는 개폐용 버튼들이 비활성화 되며, 막혀 있는 배관을 뚫기 위한 방법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길찾기 버튼을 누르면, 현재위치와 해당 배관의 위치값을 통해 가는 길을 판단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본발명에 사용되는 펌프에 대해 기재하면, 특히 본발명 펌프는 기계실에 위치한 펌프에 압력센서를 직접 부착한 제어모듈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곧 펌프배관이 아닌 펌프자체에 압력센서모듈을 직접설치하여 압력센서모듈의 제어부에서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값을 직접읽고 이값을 방재실 중앙제어반에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관에 센서가 설치될 경우보다 더 정확하고 설치비가 절약된다.
다른 실시례로서 펌프에 압력센서모듈을 직접설치하여 압력센서모듈에 별도로 설치된 제어부에서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 차이를 직접감지하며, 상기 압력차이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펌프온오프를 직접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본발명은 관용의 음향센서를 펌프에 부착하여 이상발생시 나타나는 소음을 센서로 확인하여 상기 센서는 제어부에 전송하고 펌프고장을 미연에 알 수 있다. 상기 소음은 종류별로 베어링마모, 축마모, 회전불량에 의한 진동 등을 주파수나 데시벨로 설정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상기 센서는 일정 주파수의 소음만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센서에서 신호가 오면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센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소음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상기 전송된 소음데이터와 설정소음을 비교하여 전송된 소음데이터가 설정소음과 같을 시 경보를 발송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음향센서를 펌프에 부착하여 이상발생시 나타나는 소음을 센서로 확인하여 펌프고장을 미연에 알 수 있어 신속한 조치를 함으로써 시스템 및 인명의 큰사고를 방지하고 에너지 절약이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 사용되는 펌프는 방재실 중앙제어반까지 선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선로를 건물내에 깔기 위한 설치제약조건이 없으며, 흡입, 토출배관 설치방법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실시례로서 본발명은 펌프케이싱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부싱커버가 상부에 씌워진 pp등의 합성고무 재질의 파워코드가 결합된다. 상기 중앙 구멍 사이로 파워코드가 통과된다. 상기 파워코드가 삽입되는 펌프케이싱의 구멍 사이 틈에 파우더를 삽입충진하여 파워코드의 케이블을 통한 누수가 방지되어 안전사고 사망원인이 되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파워코드가 삽입되는 펌프 케이싱의 전선인입부 사이, 또는 파워코드 부싱부와 부싱커버 사이의 틈, 파워코드와 펌프 케이싱 접촉부 사이의 틈에 파우더를 삽입 충진하는 것이다. 상기 파워코드의 하단은 펌프 커넥터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파우더는 수팽창고무재질로서 일부 누수되는 물이 흡입되면 팽창함으로써 틈을 더 밀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우더상부에는 고무링을 같이 설치하고 상기 고무링에는 하부에 경사지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파우더 일부가 고무링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물이 흡입되면 홈의 팽창에 의해 틈을 고무링의 밀폐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펌프 파워코드가 결합되는 케이싱의 구멍의 틈을 파우더로 충진함으로써 파워코드의 케이블을 통한 누수가 방지되어 안전사고 사망원인이 되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빗물이 몰려 도시의 일정구획 또는 전체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 인적손실을 없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파워코드 20 : 펌프케이싱
40 : 고무링
41 : 홈 60 : 부싱커버

Claims (3)

  1. 도시에 집중호우가 내려 일정구획에 하수가 집중되면 제어부가 다수 개의 배관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을 막아 하수가 일정구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며, 배수배관을 개방하여 하수가 일정구획에서 나가도록 제어하는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정구획의 하수가 들어오는 입구에는 다수 개의 배관이 설치되고, 일정구획에서 하수가 나가는 출구에는 배수배관이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도시에는 하수의 유입배관과 배수배관이 각각 다수 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입배관을 통과한 하수는 어느 하나의 배수배관을 거쳐 메인배관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하수가 메인배관에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배관을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배관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밸브를 제어함에 따라 하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기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는 것이며, 제어부가 밸브에 신호를 보내어 밸브에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게 되며, 반대로 제어부가 밸브에 신호를 보내지 않아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밸브를 제어하여 하수를 통과하게 하거나, 하수를 통과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일정구획에 유량계가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보내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유량을 통해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유량이 위험수위에 도달하면 경보신호를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은 경보신호를 받아 화면에 출력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유량이 위험수위 이상이 되었다는 것을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배관이 막히는 경우에 내시경 청소도구로 막힌 배관을 뚫을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으로, 상기 도시에 설치된 각각의 배관에는 검침기가 설치되며, 상기 검침기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해당 배관에 하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수 개의 배관중 일부배관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문제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보냄으로, 상기 스마트폰은 신호를 받아 문제가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며, 관리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에 나타난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배관을 내시경 청소도구를 통해 뚫을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상기 스마트폰이 유량이 위험수위 이상인 하수배관이나, 막힌 하수배관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화면이 출력되며, 상기 메인화면에는 해당 도시에서 하수가 흐르는 길과, 하수배관을 지도에 이미지로 나타내며, 각각의 하수배관을 나타내는 아이콘에는 중심에 색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확인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문제확인용 공간에는 하수배관이 열려있을 경우 흰색이 출력되며, 하수배관이 닫혀있을 경우 검은색이 출력되되, 유량이 위험수위 이상인 경우 붉은 색 테두리가 출력되며, 하수배관이 막힌 경우 회색의 ‘X'표시가 출력되며, 관리자가 하수배관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하수배관의 위치와, 유량의 수치와, 최근 관리한 일시가 팝업(Pop-up)창으로 나타나게 되며, 열림버튼, 닫힘버튼, 자동관리버튼을 포함한 개폐용 버튼들과, 길찾기 버튼이 나타나게 되어, 개폐용 버튼들을 통해 하수배관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막힌 하수배관의 아이콘을 눌렀을 경우에는 개폐용 버튼들이 비활성화 되며, 막혀 있는 하수배관을 뚫기 위한 방법이 출력되고, 상기 길찾기 버튼을 누르면, 현재위치와 해당 배관의 위치값을 통해 가는 길을 판단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의 펌프는 기계실에 위치한 펌프에 압력센서를 직접 부착한 제어모듈 펌프를 사용하는 것으로, 펌프배관이 아닌 펌프 자체에 압력센서모듈을 직접설치하여 압력센서모듈의 제어부에서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값을 직접읽고 입력값을 방재실 중앙제어반에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압력센서모듈에 별도로 설치된 제어부에서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 차이를 직접감지하며, 상기 압력차이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펌프온오프를 직접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펌프에 음향센서를 부착하여 이상발생시 나타나는 소음을 음향센서로 확인하여, 상기 음향센서는 제어부에 소음을 전송하여, 펌프고장을 미연에 알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소음은 종류별로 베어링마모, 축마모, 회전불량에 의한 진동을 주파수나 데시벨로 설정하는 것이며,
    상기 음향센서는 일정 주파수의 소음만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에서 신호가 오면 경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음향센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소음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된 소음데이터와 설정소음을 비교하여 전송된 소음데이터가 설정소음과 같을 시 경보를 발송하는 것으로,
    상기 음향센서를 펌프에 부착하여 이상발생시 나타나는 소음을 센서로 확인하여 펌프고장을 미연에 알 수 있어 신속한 조치를 함으로써 시스템 및 인명의 큰사고를 방지하고 에너지 절약이 되며, 상기 펌프는 방재실 중앙제어반까지 선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선로를 건물내에 깔기 위한 설치제약조건이 없으며, 흡입, 토출배관 설치가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175738A 2017-12-20 2017-12-20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KR10199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38A KR101994553B1 (ko) 2017-12-20 2017-12-20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38A KR101994553B1 (ko) 2017-12-20 2017-12-20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553B1 true KR101994553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738A KR101994553B1 (ko) 2017-12-20 2017-12-20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5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136A (ja) * 1993-12-07 1995-06-20 Kajima Corp 建物排水システム
JP2012072622A (ja) * 2010-09-29 2012-04-12 Sekisui Plastics Co Ltd 雨水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および管理方法
WO2016163129A1 (ja) * 2015-04-06 2016-10-13 株式会社 東芝 防災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136A (ja) * 1993-12-07 1995-06-20 Kajima Corp 建物排水システム
JP2012072622A (ja) * 2010-09-29 2012-04-12 Sekisui Plastics Co Ltd 雨水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および管理方法
WO2016163129A1 (ja) * 2015-04-06 2016-10-13 株式会社 東芝 防災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7B1 (ko)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725894B2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113070B1 (ko) 농수로의 실시간 물관리 감시 시스템
KR102313700B1 (ko)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KR101859669B1 (ko) 산업단지형 초기우수와 사고 유출수 분류시스템
KR101859666B1 (ko) 도시형 초기우수 분류시스템
US20130340836A1 (en) Overflow protection system for a fluid transfer system
KR101900678B1 (ko) 스마트 펌프일체형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29503A (ko) 도시통합운영센터와 유무선 통신망 기반 하수도 시설물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39194A (ko) 인버터 제어 방식을 이용한 펌프 일체형 수문 제어 시스템
KR101192702B1 (ko) 공동주택 누수감지장치
CN212905977U (zh) 一种用于工业园区的智联井盖排水监控系统
KR102148783B1 (ko) 무인 펌프장 운용을 위한 원격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08534A (ja) 雨水貯留施設、および雨水貯留施設の監視・管理システム
KR101994553B1 (ko) 집중호우시 도시 구획별 하수관 제어방법
KR20050078189A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자료해석 방법
KR102016232B1 (ko) 집중호우시 도시 하수배관 제어방법
KR101994552B1 (ko) 집중호우시 도시 하수관로 제어시스템
JP5361621B2 (ja) 降水異常検知方法、降水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マンホール用蓋
TWM607552U (zh) 下水道智能監測暨控制系統
KR102016233B1 (ko) 집중호우시 도시 하수배관의 Iot 형 제어방법
KR101659310B1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llan et al. Intelligent clogged sewer control system
US10094100B2 (en) Water backup prevention system
KR20050107045A (ko) 빗물하수관 수위경보발령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