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228B1 -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228B1
KR101994228B1 KR1020170179480A KR20170179480A KR101994228B1 KR 101994228 B1 KR101994228 B1 KR 101994228B1 KR 1020170179480 A KR1020170179480 A KR 1020170179480A KR 20170179480 A KR20170179480 A KR 20170179480A KR 101994228 B1 KR101994228 B1 KR 10199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emperature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일
문창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가 온수모드로 작동하고 정해진 순환횟수 경과 후 외장형 온수탱크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로 감지한 온수온도변화량이 환수온도센서로 감지한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여 산출한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한 다음 온수온도변화량이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한 경우 정해진 온수온도 측정시간 경과 후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작동 시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짐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종래의 보일러 과열 작동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 외장형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과열되어 비등됨에 따라 온수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있는 문제점,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모드 작동이 지속됨에 따라 난방모드 사용이 불가하거나 지연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Method of sensing disengagement of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in heating boiler having an external hot water tank}
본 발명은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로 연소 지시가 있으면 제어기(110)에 의해 온수모드로 먼저 작동하여 사용자가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온수를 사용하게 하고,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기(110)에 의해 온수모드 작동을 정지하고, 이후 사용자의 난방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제어기(110)에 의해 난방모드로 작동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기(110)는 온도조절기(12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로 연소 지시가 있음을 확인하면 순환펌프(130)를 구동하여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열교환기(140)로 공급함으로써 버너(15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삼방밸브(160)와 온수관(170)을 통해 외장형 온수탱크(200)로 공급되게 하는 온수모드로 먼저 난방 보일러(100)를 작동하여 사용자가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온수를 사용하게 한다.
도 1에서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샤워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110)는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210)의 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한 온수모드로 난방 보일러(100)를 작동하고, 상기 온수온도센서(210)의 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난방 보일러(100)의 온수모드 작동을 정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기(110)는 상기 온도조절기(120)를 통해 사용자의 난방 요구가 있음을 확인하면 상기 버너(15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삼방밸브(160)와 난방수관(180)을 통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된 난방회로(190)로 공급되게 하는 난방모드로 난방 보일러(100)를 작동하여 건물의 실내를 난방한다.
상기와 같이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어기(110)는 순환펌프(130)를 통해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온도센서(141)와 열교환기(14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출온도센서(142)에 의해 감지되는 물의 온도 변화를 근거로 상기 버너(150)의 화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온수온도센서(210)는 외장형 온수탱크(200)와 접촉한 상태에서 외장형 온수탱크(200)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데, 만약 상기 외장형 온수탱크(200)와 온수온도센서(210)를 연결하는 전선의 단선, 단락 등으로 인해 온수온도센서(210)가 외장형 온수탱크(200)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기(110)가 온수온도센서(210)의 단선, 단락 등의 고장을 판별한다.
하지만, 상기 외장형 온수탱크(200)와 온수온도센서(210) 사이의 전선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지면 온수온도센서(210)가 외장형 온수탱크(200)와 비접촉되어 외장형 온수탱크(200) 내부의 물 온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하지 못한다.
이처럼, 상기 외장형 온수탱크(200)와 온수온도센서(210) 사이의 전선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짐에 따라 온수온도센서(210)가 외장형 온수탱크(200)와 비접촉되어 외장형 온수탱크(200) 내부의 물 온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110)가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210)의 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를 무리하게 계속 작동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어기(110)가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210)의 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를 무리하게 계속 작동하게 되면, 과열 작동에 기인하여 보일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짐에 기인하여 상기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과열되어 비등하면 온수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는 먼저 온수모드로 작동한 후 난방 요구가 있을 때 난방모드로 작동하게 되는데,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짐에 기인하여 온수모드 작동이 지속되면 난방모드 사용이 불가하거나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06176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가 온수모드로 작동하고 정해진 순환횟수 경과 후 외장형 온수탱크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로 감지한 온수온도변화량이 환수온도센서로 감지한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여 산출한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한 다음 온수온도변화량이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한 경우 정해진 온수온도 측정시간 경과 후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은,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제어기가 온도조절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로 연소 지시가 있음을 확인하면 순환펌프를 구동하여 외장형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열교환기로 공급함으로써 버너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삼방밸브와 온수관을 통해 외장형 온수탱크로 공급되게 하는 온수모드로 난방 보일러를 작동시키고, 정해진 순환대기시간 경과 후, 외장형 온수탱크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의 감지온도를 초기 온수온도로 확인하고 순환펌프를 통해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온도센서의 감지온도를 초기 환수온도로 확인한 다음,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여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하고,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정해진 순환횟수 경과 후 환수온도와 초기 환수온도의 차이를 환수온도변화량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고 이 환수온도변화량을 기준으로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한 다음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한 것으로 판별되면 정해진 온수온도 측정시간 경과 후 재차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재차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를 판별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고, 온수모드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작동 시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짐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종래의 보일러 과열 작동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 외장형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과열되어 비등됨에 따라 온수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있는 문제점,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모드 작동이 지속됨에 따라 난방모드 사용이 불가하거나 지연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의 제어기(110)에 의해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S100)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S100)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기(110)는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의 온도조절기(12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로 연소 지시가 있음을 확인하면 순환펌프(130)를 구동하여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열교환기(140)로 공급함으로써 버너(15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삼방밸브(160)와 온수관(170)을 통해 외장형 온수탱크(200)로 공급되게 하는 온수모드로 난방 보일러(100)를 작동시킨다(S110).
상기와 같이 난방 보일러(100)가 온수모드로 작동 개시하면 이때부터 정해진 순환대기시간 경과 후(S120), 상기 제어기(110)는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210)의 감지온도를 초기 온수온도로 확인하고 순환펌프(130)를 통해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온도센서(141)의 감지온도를 초기 환수온도로 확인한다(S130).
참고로, 상기 순환대기시간은 난방 보일러(100)가 온수모드로 작동 개시함에 따라 순환펌프(130)에 의해 난방 보일러(100) 내부에 있던 물이 밖으로 배출된 후 다시 난방 보일러(100)로 돌아오는 시간으로, 이 시간 동안에는 배관의 상태, 기온에 따라 배관에 멈춰 있던 물로 인해 온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환수온도센서(141)의 오검출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설정한 시간이고, 난방 보일러(100)와 외장형 온수탱크(200)의 용량 혹은 크기, 배관의 설치 규모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초기 온수온도와 초기 환수온도가 확인되면, 이어서 상기 제어기(110)는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고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한다(S140).
이때, 상기 환수온도변화량은 정해진 순환횟수 경과 후 환수온도와 초기 환수온도의 차이로 확인하고,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는 상기 환수온도변화량을 기준으로 자동 산출한다.
참고로, 상기 순환횟수는 상기 순환대기시간 간격을 1주기로 정하여 필요한 횟수만큼 미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순환횟수가 3회로 정해졌다면 상기 환수온도변화량은 상기 순환대기시간×3으로 구한 시간 경과 후 환수온도센서(141)에 의해 감지되는 환수온도와 초기 환수온도의 차이로 확인된다.
또한,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는 상기 환수온도변화량 미만의 온도 값 중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를판별하기 위하여 적합한 온도 값으로 자동 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최저온수변화온도가 산출되고 나면, 상기 제어기(110)는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 판별한다(S150).
이때, 온수온도변화량은 온수온도센서(210)가 감지하는 현재 온수온도와 초기 온수온도의 차이로 확인한다.
만약,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하고,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 판별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기(110)는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고 온수모드 작동을 정지시킨다(S180).
경보장치로는 점등 혹은 점멸하여 경보하는 경보등(예컨대, LED)이나 경보음이나 경보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나 버저(buzze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하고,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 판별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기(110)는 정해진 온수온도 측정시간 경과 후(S160), 재차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를 판별한다(S170).
상기 온수온도 측정시간은 난방 보일러(100)가 온수모드로 작동 시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의 설정온도 보다 낮은 적정치의 온도로 데울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난방 보일러(100)와 외장형 온수탱크(200)의 용량 혹은 크기, 배관의 설치 규모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온수온도 측정시간 경과 후(S160) 재차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 판별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기(110)는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고 온수모드 작동을 정지시킨다(S180).
상기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의 작동 시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외장형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온도센서(2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짐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종래의 보일러 과열 작동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 외장형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과열되어 비등됨에 따라 온수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있는 문제점, 외장형 온수탱크(200)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100)의 온수모드 작동이 지속됨에 따라 난방모드 사용이 불가하거나 지연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난방 보일러 110: 제어기
120: 온도조절기 130: 순환펌프
140: 열교환기 141: 환수온도센서
142: 배출온도센서 150: 버너
160: 삼방밸브 170: 온수관
180: 난방수관 190: 난방회로
200: 외장형 온수탱크 210: 온수온도센서

Claims (6)

  1.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제어기가 온도조절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로 연소 지시가 있음을 확인하면 온수모드로 난방 보일러를 작동시키고, 정해진 순환대기시간 경과 후, 외장형 온수탱크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의 감지온도를 초기 온수온도로 확인하고 순환펌프를 통해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온도센서의 감지온도를 초기 환수온도로 확인한 다음,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여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하고,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산출한 다음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한 것으로 판별되면 정해진 온수온도 측정시간 경과 후 재차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정해진 순환횟수 경과 후 환수온도와 초기 환수온도의 차이를 환수온도변화량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환수온도변화량을 확인하고 이 환수온도변화량을 기준으로 최저온수변화온도를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재차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는지를 판별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변화량이 상기 최저온수변화온도 이상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외장형 온수탱크로부터 온수온도센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빠진 상태임을 경보하고, 온수모드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6. 삭제
KR1020170179480A 2017-12-26 2017-12-26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KR10199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80A KR101994228B1 (ko) 2017-12-26 2017-12-26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80A KR101994228B1 (ko) 2017-12-26 2017-12-26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28B1 true KR101994228B1 (ko) 2019-06-28

Family

ID=6706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480A KR101994228B1 (ko) 2017-12-26 2017-12-26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6252A (zh) * 2019-09-29 2020-01-2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热水器的控制方法及应用其的热水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515A (ja) * 2006-07-03 2008-01-24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給湯機
KR20110133074A (ko) * 2010-06-04 2011-12-12 최병국 전기히터와 기름 및 가스버너 통합 보일러 시스템 및 순환펌프제어 컨트롤러
KR101562241B1 (ko) * 2014-12-11 2015-10-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KR101706176B1 (ko) 2016-03-31 2017-02-15 (주)자광 대형온수공급탱크를 구비한 난방용 보일러
JP2017211128A (ja) * 2016-05-25 2017-11-30 株式会社ノーリツ 1缶2水型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515A (ja) * 2006-07-03 2008-01-24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給湯機
KR20110133074A (ko) * 2010-06-04 2011-12-12 최병국 전기히터와 기름 및 가스버너 통합 보일러 시스템 및 순환펌프제어 컨트롤러
KR101562241B1 (ko) * 2014-12-11 2015-10-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KR101706176B1 (ko) 2016-03-31 2017-02-15 (주)자광 대형온수공급탱크를 구비한 난방용 보일러
JP2017211128A (ja) * 2016-05-25 2017-11-30 株式会社ノーリツ 1缶2水型給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6252A (zh) * 2019-09-29 2020-01-2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热水器的控制方法及应用其的热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544B2 (en) Water heater with dry tank or sediment detection feature
CN108679848B (zh) 一种供热水装置的水流性质判断方法及燃气采暖热水炉
US7818095B2 (en) Water heater monitor/diagnostic display apparatus
JP4785927B2 (ja) 電気湯沸しポットの制御方法
JP4424554B2 (ja) 貯湯式給湯装置
US7996182B2 (en) Water heater monitor/diagnostic display apparatus
KR101703676B1 (ko) 튀김기용 온도조절장치
JP2019101948A (ja) 伝導加熱の検知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KR101388051B1 (ko) 보일러의 온수대기시간 자동 결정장치
KR101994228B1 (ko) 외장형 온수탱크를 구비한 난방 보일러의 온수온도센서 빠짐 검지 방법
CN107401840B (zh) 热水机及其校验水箱感温包位置的检测装置和方法
RU201911827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за нарушением циркуляции воды для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я
KR101551258B1 (ko) 1차 가스압력 검출스위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안전연소 제어방법
KR102104677B1 (ko) 온수 탱크를 외장형으로 구비하는 난방 보일러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0014372A (ja) ガステーブルの天ぷら火災防止装置
CN209978140U (zh) 一种带超温保护功能的套管式壁挂炉
JP6045108B2 (ja) 一缶二水路燃焼装置
JP2011106735A (ja) 浴室暖房装置における誤配管検知システム
JP2001324219A (ja) 電気温水器
KR200443166Y1 (ko) 고기구이기의 중앙집중식 온수순환장치
KR102522024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JPS59131829A (ja) 調理器
KR102475160B1 (ko) 보일러의 난방 배관 막힘 시 연소 제어 방법
KR20000032723A (ko) 가스 보일러의 3방향밸브 고장 감지방법
JPH11270900A (ja) 湯張り機能付き強制循環式風呂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