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850B1 -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850B1
KR101993850B1 KR1020160124759A KR20160124759A KR101993850B1 KR 101993850 B1 KR101993850 B1 KR 101993850B1 KR 1020160124759 A KR1020160124759 A KR 1020160124759A KR 20160124759 A KR20160124759 A KR 20160124759A KR 101993850 B1 KR101993850 B1 KR 10199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solar
unit
photovolta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921A (ko
Inventor
윤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피아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피아,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피아
Priority to KR102016012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8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보급용 태양광 시스템에 있어, 암/복호화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지능형 IoT 플랫폼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 통합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진단, 분석이 가능하고 A/S 체계를 능동적 자동화하는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형태의 매뉴얼 방식에 의한 A/S 요청 등의 관리 체계를 IoT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한 시공사업자, 제조사, 관공서에서 통합 관리하는 A/S 관리 센터에서 주택 보급용 태양광에서 발생한 장애 유형을 인공지능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실무 담당자에게 모바일/웹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빠른 A/S 요청과 이에 따른 조치가 이루어지게 하여 A/S 발생 상황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주택 보급용 태양광에서 발전 운영자 및 정보/지자체 차원에서의 공공성/공익성 측면에서 많은 기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Analytical System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House and Service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보급용 태양광 시스템에 있어, 암/복호화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지능형 IoT 플랫폼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 통합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진단, 분석이 가능하고 A/S 체계를 능동적 자동화하는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보급형 태양광 설치 후 운영에 있어 장애 발생 시 오프라인 형태의 매뉴얼에 의해 주택 보급형 태양광 운영자가 장애 상태를 직접 파악하고, 파악된 장애 유형에 맞는 적절한 A/S 조치가 가능한 주택 보급형 태양광을 설치한 시공업체 또는 제조사에 요청하거나, 또는 시공업체가 사업을 종료하거나 파산된 경우에는 정부에서 통합 관리하는 A/S 관리센터에 전화하여 A/S에 대한 요청사항을 접수시키고 조치 결과를 기다려야 하는 구조적인 시스템화로 A/S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많은 상황이었다.
이러한 과정은 주택 보급형 태양광 운영자가 태양광 설비 및 운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장애에 대한 진단이 정확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상태에서, A/S 요청이 진행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는 등 장애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과 소통에 어려움으로 A/S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어려웠다.
사전에 A/S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부족하고, 없는 상태에서의 A/S 요청으로 반복적인 현장 방문으로 인한 A/S 조치 지연 또는 많은 경제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등 비효율적으로 A/S가 조치될 뿐만 아니라, 주택 보급형 태양광 발전이 일부 또는 장시간 지연되는 등 개인 및 정부/지자체 등에서 많은 투자를 하여 추진하였고, 향후 지속적으로 진행중인 신 재생 사업에 있어 비효율적인 A/S 관리 체계로 발생하는 많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0018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형태의 매뉴얼 방식에 의한 A/S 요청 등의 관리 체계를 IoT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한 시공사업자, 제조사, 관공서에서 통합 관리하는 A/S 관리 센터에서 주택 보급용 태양광에서 발생한 장애 유형을 인공지능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실무 담당자에게 모바일/웹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빠른 A/S 요청과 이에 따른 조치가 이루어지게 하여 A/S 발생 상황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주택 보급용 태양광에서 발전 운영자 및 정보/지자체 차원에서의 공공성/공익성 측면에서 많은 기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에너지의 전력, 전압 및 전류 레벨을 추출하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수신한 전력 레벨 값, 전압 레벨 값 및 전류 레벨 값을 수신하는 태양광접속반과, 상기 태양광접속반으로부터 수집된 직류전력을 수신하여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암/복호화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 태양광접속반, 인버터와 연결되어 수집된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를 암호화하여 정형화시켜 사후처리부로 전달하는 데이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에 상기 태양광 발전 활동이 이루어질 때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가 상호 결합되어 저장되는 클라우드서버와,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현재의 기상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활동과,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 활동 중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복호화한 후 비교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부의 장애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후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태양전지모듈, 태양광접속반 및 인버터가 일체로 구성되고, 데이터연결부가 별도로 구성되거나 또는 태양전지모듈, 태양광접속반, 인버터 및 데이터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연결부는 인버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형화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후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연결부에는 API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가 암호화될 수 있다.
상기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는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예측진단부는 데이터연결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예측진단부는 태양광 발전부의 현재의 발전 효율에 대한 진단을 하고, 미래에 발전 가능한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진단부는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발전 효율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예측진단부는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장애 판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A/S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미리 지정된 해당 업체 서버로 태양광 발전부의 A/S 신청을 하며, 상기 업체 서버로부터 A/S 완료 통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A/S 완료 통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a) 태양전지모듈과, 태양광접속반과, 인버터와, 데이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태양광 발전부를 통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를 암호화된 데이터로 수신받아, 상기 태양광 발전 활동이 이루어질 때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가 상호 결합되어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는 제1단계; (b)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현재의 기상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활동과,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 활동 중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복호화한 후 예측진단부에서 비교 분석하는 제2단계 및 (c)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현재의 태양광 발전 활동과,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하여 예측진단부에서 태양광 발전부의 장애 여부를 예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데이터연결부에서 인버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형화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데이터연결부에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가 암호화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가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진단부에서는 데이터연결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예측진단부에서 태양광 발전부의 현재의 발전 효율에 대한 진단을 하고, 미래에 발전 가능한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예측진단부에서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발전 효율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예측진단부에서 태양광 발전부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장애 판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A/S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리 지정된 해당 업체 서버로 태양광 발전부의 A/S 신청을 하는 단계와, 상기 업체 서버로부터 A/S 완료 통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A/S 완료 통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a2)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태양광 발전부의 설치자 단말기로부터 통신사로 전송하고,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통신사로부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사후처리부에서 실시간 전송받아 위치 확인이 완료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위치확인단계; (b2) A/S 조치할 협력업체 또는 제휴업체에서 사후처리부의 클라우드서버로 A/S 조치가 필요한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요청단계; (c2) 사후처리부의 클라우드서버에서 A/S 조치할 협력업체 또는 제휴업체로 A/S 조치가 필요한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제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확인단계에서는 태양광 발전부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통신용 단말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공단계에서는 사후처리부의 클라우드서버에서 A/S 조치할 협력업체 또는 제휴업체로 태양광 발전부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통신용 단말, 태양광 발전부 또는 발전(운영)자의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 형태의 매뉴얼 방식에 의한 A/S 요청 등의 관리 체계를 IoT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한 시공사업자, 제조사, 관공서에서 통합 관리하는 A/S 관리 센터에서 주택 보급용 태양광에서 발생한 장애 유형을 인공지능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실무 담당자에게 모바일/웹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빠른 A/S 요청과 이에 따른 조치가 이루어지게 하여 A/S 발생 상황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주택 보급용 태양광에서 발전 운영자 및 정부/지자체 차원에서의 공공성/공익성 측면에서 많은 기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협력업체라고 하면, 태양광시설 설치업체 또는 태양광시설 제조업체 등을 통칭하고, 제휴업체라고 하면 통신사, 금융기관, 케이블 또는 위성TV 사업자, 광고/홍보기관 또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부가사업 등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관을 통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부(100), 관공서 서버(200), 사후처리부(300), 관리자 단말(500), 제휴업체 서버(710) 및 협력업체 서버(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양광 발전부(100)는 태양전지모듈(110), 태양광접속반(130), 인버터(150) 및 데이터연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양전지모듈(110)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에너지의 전력, 전압 및 전류 레벨을 추출한다.
태양광접속반(130)은 상기 태양전지모듈(110)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며,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수신한 전력 레벨 값, 전압 레벨 값 및 전류 레벨 값을 수신한다.
인버터(150)는 상기 태양광접속반(130)으로부터 수집된 직류전력을 수신하여 교류전력으로 변환한다.
데이터연결부(170)는 지능형 IoT 플랫폼으로써 암/복호화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110), 태양광접속반(130), 인버터(150)와 연결되어 수집된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를 암호화하여 정형화시켜 사후처리부(30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연결부(170)는 인버터(150)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출력되는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받아, 업무의 시스템화가 가능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형화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후처리부(300)로 전달되어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연결부(170)는 인버터(150)와 사후처리부(300)를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에 유/무선 통신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한다.
인버터(150)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의 방식 및 형태가 서로 다르나, 사후처리부(300)에서 일관된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식에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태의 전문으로 변환하여, 사후처리부(300)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연결부(170)는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정전 등으로 외부의 상용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운영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장애 등에 대한 알림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조치로 태양광 발전에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연결부(170)에는 API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가 암호화되어,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100)는 태양전지모듈(110), 태양광접속반(130) 및 인버터(150)가 일체로 구성되고, 데이터연결부(170)가 별도로 구성된 독립형 형태이거나 또는 태양전지모듈(110), 태양광접속반(130), 인버터(150) 및 데이터연결부(170)가 일체로 구성된 일체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사후처리부(300)는 클라우드서버(310)와 지능형 예측/진단 모듈인 예측진단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라우드서버(310)는 태양광 발전부(100)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 발전량 등의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에 상기 태양광 발전 활동이 이루어질 때의 온도, 일사량 등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기상 정보가 상호 결합되어 저장된다(S110, S120).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와,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는 상호 결합하여 시계열, 목적별 정보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예측진단부(350)는 현재의 일사량 등의 환경적 요소와 현재의 온도 등의 기상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활동과, 상기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 활동 중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복호화한 후 비교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부(100)의 장애 여부를 예측/관리하고, 발전효율 및 발전금액 정보 등을 심충 분석하여 데이터화 한다(S130).
상기 예측진단부(350)는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발전 효율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140).
상기 예측진단부(350)는 태양광 발전부(10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장애 판단 정보를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의 관리자 단말(500)로 실시간으로 팝업 형태로 통보한다(S150).
관리자 단말(500)을 통하여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자는 소재지에 구애됨이 없이 태양광 발전 설비의 발전량 및 관리/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500)에서 확인 후, 장애 정보를 분석하여 통지된 제반 데이터와 현재 상황을 확인하고, 태양광 발전 설비의 운영상 A/S와 관련된 조치가 필요한 경우, 관리자 단말(500)의 화면에서 A/S 요청 버튼을 클릭하는 등 온라인으로 사후관리부(300)로 A/S 요청을 한다.
이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A/S 요청 정보를 수신한 사후관리부(300)(S160)는, 클라우드서버(31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시공 사업자나 제조 업체를 포함하여 통신사, 금융기관, 광고업체 등 제휴업체 서버(710) 또는 인버터 제조업체, 태양광 설치업체 등 협력업체 서버(750) 또는 해당 제휴업체 또는 협력업체들이 경영상의 이유로 없어진 경우에는 등록된 통합관제센터 등의 관공서 서버(200)로 직접 온라인 자동화 방식으로 태양광 발전부(100)의 A/S 신청을 한다(S170).
이어서, A/S 조치를 할 제휴업체 또는 협력업체에서는 이러한 A/S 요청 정보가 각각의 서버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조회되고, A/S 요청에 대해 즉각 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제휴업체 또는 협력업체를 통하여 A/S 조치가 이루어지고, A/S 요청에 대한 완료통보 결과가 제휴업체 서버(710) 또는 협력업체 서버(750) 등으로부터 수신되어 사후처리부(300)로 등록되면(S180), A/S 완료통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 전달한다(S190).
예를 들어, 현재의 일사량 또는 태양광모듈(110)의 설정에 의한 일사각에 따라 발전되는 태양광 발전량과, 이전 발전량 정보 즉,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되어 빅데이터화 되어 있는 계절별, 일별, 시간별 일사량 중에서 현재와 유사한 일사량 등의 조건하에서의 발전된 최대 발전량과 상호 비교하여 분석을 하면, 태양광 발전 효율을 예상해 볼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 분석은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한 장애 유무를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전의 태양광 발전량이 적절하지 못한 이유를 태양광 발전 설비 또는 발전 장비의 변동으로 인한 것인지 등 시스템적으로 분석하고,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장애 진단/분석과 필요한 경우 A/S 요청/조치를 제휴업체와 협력업체와 연계하여 온라인 처리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설비에 에 대한 A/S 절차를 효율적으로 시스템화하고,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예측진단부(350)는 태양광 발전부(100)의 현재의 발전 효율에 대한 진단을 하고, 미래에 발전 가능한 발전량을 예측한다.
이러한 예측 정보를 활용하면, 최적의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 장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 정보는 새롭게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실수요자 또는 발전 설비 시공자들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시공 가능 정보를 즉시 제공함으로써, 여러 환경적인 요소를 분석하는데 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운영 처리가 수작업화 할 수밖에 없었던 업무를 자동 관리화하고, 필요 데이터(보고서)를 제휴업체의 서버(710)와, 협력업체의 서버(750) 및 관공서의 서버(200)로 온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공공적으로 유리한 효율을 기할 수 있다.
이는 정부/지자체 주도의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 보급에 있어 신 재성 에너지 발전에 최적지를 선정함으로써 신 재생 발전사업 확대에 있어 설치 환경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전력에서 독자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시스템에는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운영자별로 태양광 발전에 따른 발전 금액정보 또는 수전 계측정보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발전(운영)자 개별적으로 한국전력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적으로 발전(운영)자 별로 한국전력과 제휴하여 태양광 발전금액 또는 수전 계측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에 효율을 극대화 한다.
단, 전략적 제휴 이전에는 실시간 온라인 방식이 아닌 스크린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액 정보 및 수전 계측정보를 추출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발전(운영)자에게 발전량, 발전금액정보, 기상정보를 특정일 또는 일정기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주택용 태양광 발전 사업에 새로운 시각과 창의적인 생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측진단부(350)는 데이터연결부(17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와 비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연결부(170)에 설치된 API 프로그램이 제3자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경/조작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사 등의 제휴업체를 통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업무 제휴로써, 태양광 발전부(100)가 설치된 장소, 특히 데이터연결부(170)의 설치 위치 및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받아 관리하는 관리자인 고객의 거주지 위치 또는 거주지에 설치된 통신사의 통신장비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부(100)의 설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부(100)에 대한 A/S 요청 등 제반 서비스 요구가 있을 경우, A/S 관리 또는 운영/조치를 하는 협력업체 및 제휴업체에게 정확한 A/S 요청 장소에 대한 GPS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여, A/S가 필요한 장소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적인 낭비를 최소화하여, 신속한 A/S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위치 파악을 위하여 태양광 발전부(100)가 설치된 현재 위치에서 설치 시공자의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사 등의 제휴기관을 통해 인증하는 절차를 거쳐, 태양광 발전부(100)의 설치 장소에 대한 GPS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하는 설치 시공자가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하고, 태양광 발전을 위한 환경 설정 등을 완료한 후, 즉 지능형 IoT 기반의 Gateway인 데이터연결부(170)가 설치된 위치 1m 반경 이내에서 스마트 폰을 통한 설치 확인 및 인증을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서버(310)로 요청한다.
이어서,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서버(310)에 등록된 통신 제휴업체에서는 설치 시공자의 스마트폰으로 인증번호를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설치 시공자는 데이터연결부(170)의 환경 설정에서 수신한 인증번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 서버(310)에서는 데이터연결부(170)에 입력된 인증번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번호가 입력된 데이터연결부(170)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통신사에 실시간으로 요청하고, 통신사로부터 전송받은 태양광 발전부(100)의 설치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의 GPS 위치 정보를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는,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 받아 관리하는 고객의 거주지에 대한 GPS 위치 정보 또는 고객의 거주지에 설치된 통신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태양광 발전부(100)의 설치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 받은 고객은 통신사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구축을 하여 통신 장비를 설치받을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받은 고객의 거주지와, 통신사의 인터넷 서비스 등을 위한 통신 장비 설치 장소는 동일하므로, 해당 통신사는 통신 제휴업체로 설치된 통신 장비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설치 시공자는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받은 고객의 거주지 위치 정보까지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어서, 설치 시공자는 통신 장비에 대한 GPS 위치 정보 및 고객의 거주지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서버(31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추후, 태양광 발전부(100)를 보수 또는 수리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부(100)를 설치받은 고객은 A/S 조치 협력업체 또는 제휴업체로 태양광 발전부(100)에 대한 A/S를 요청할 수 있으며, A/S를 요청받은 A/S 조치를 할 협력업체 또는 제휴업체는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서버(310)로 태양광 발전부(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사후처리부(300)의 클라우드서버(310)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부(100)의 설치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통신 장비에 대한 GPS 위치 정보 또는 고객의 거주지 위치 정보를 A/S 조치할 협력업체 또는 제휴업체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부(100)의 설치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와, 통신 장비에 대한 GPS 위치 정보 또는 고객의 거주지 위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이 스마트폰 등으로 A/S를 받을 위치를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주택 보급형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한 정보 관리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A/S 정보 관리 체계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화하여 정보 관리의 절차를 명확하게 하고, 주택 보급형 태양광 발전 설비의 발전(운영)자 위주로 관리 감독 및 장애 조치가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 발전(운영)자가 이러한 설비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여 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판단이 어렵더라도, 이러한 전문성 부족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 상황에 대한 상태를 정확하게 시스템적으로 진단/분석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A/S가 온라인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워 질 수 있고, 이러한 처리 방법은 궁극적으로 발전량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A/S 처리를 오프라인방식에서 온라인방식으로 전환하면 시공사업자 또는 제조사 위주의 업무처리가 아닌 발전(운영)자 중심의 A/S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진일보한 업무 처리가 되고, 정부/지자체에서 많은 지원으로 진행되는 신재생 에너지관련 사업 관리에 많은 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10 내지 단계 S190에 따른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시디롬, 메모리, ROM, EEPROM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태양광 발전부 110: 태양광 모듈
130: 태양광접속반 150: 인버터
170: 데이터 연결부 300: 사후처리부
310: 클라우드서버 350: 예측진단부

Claims (19)

  1.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에너지의 전력, 전압 및 전류 레벨을 추출하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수신한 전력 레벨 값, 전압 레벨 값 및 전류 레벨 값을 수신하는 태양광접속반과, 상기 태양광접속반으로부터 수집된 직류전력을 수신하여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암/복호화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 태양광접속반, 인버터와 연결되어 수집된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를 암호화하여 정형화시켜 사후처리부로 전달하는 데이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에 상기 태양광 발전 활동이 이루어질 때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가 상호 결합되어 저장되는 클라우드서버와,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현재의 기상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활동과,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 활동 중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복호화한 후 비교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부의 장애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후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연결부는 인버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출력되는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받아, 업무의 시스템화가 가능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형화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후처리부로 전달되어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연결부는 인버터와 사후처리부를 유/무선 통신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연결부에는 API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가 암호화되고; 상기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는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예측진단부는 데이터연결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여 데이터연결부에 설치된 API 프로그램이 제3자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경/조작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예측진단부는 현재의 일사량과 현재의 온도에 따라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활동과,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 활동 중 현재의 일사량과 현재의 온도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복호화한 후 비교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부의 장애 여부를 예측/관리하고, 발전효율 및 발전금액 정보을 분석하여 데이터화하고; 현재의 일사량과 현재의 온도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발전 효율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태양전지모듈, 태양광접속반 및 인버터가 일체로 구성되고, 데이터연결부가 별도로 구성되거나 또는 태양전지모듈, 태양광접속반, 인버터 및 데이터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측진단부는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장애 판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A/S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미리 지정된 해당 업체 서버로 태양광 발전부의 A/S 신청을 하며, 상기 업체 서버로부터 A/S 완료 통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A/S 완료 통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9. (a1) 태양전지모듈과, 태양광접속반과, 인버터와, 데이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태양광 발전부를 통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를 암호화된 데이터로 수신받아, 상기 태양광 발전 활동이 이루어질 때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가 상호 결합되어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는 제1단계; (b1)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현재의 기상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활동과,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 활동 중 현재의 환경적 요소와 기상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복호화한 후 예측진단부에서 비교 분석하는 제2단계; 및 (c1)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현재의 태양광 발전 활동과,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하여 예측진단부에서 태양광 발전부의 장애 여부를 예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는 데이터연결부에서 인버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출력되는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받아, 업무의 시스템화가 가능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형화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된 후 사후처리부로 전달되어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연결부가 인버터와 사후처리부를 유/무선 통신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는 데이터연결부에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활동 정보가 암호화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는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가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진단부에서는 데이터연결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단계에서는 상기 예측진단부는 데이터연결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된 API 프로그램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여 데이터연결부에 설치된 API 프로그램이 제3자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경/조작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예측진단부를 통하여 현재의 일사량과 현재의 온도에 대응되는 조건에서의 이전의 태양광 발전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발전 효율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태양광 발전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예측진단부에서 태양광 발전부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장애 판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A/S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리 지정된 해당 업체 서버로 태양광 발전부의 A/S 신청을 하는 단계와, 상기 업체 서버로부터 A/S 완료 통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A/S 완료 통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9항 또는 청구항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124759A 2016-09-28 2016-09-28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99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59A KR101993850B1 (ko) 2016-09-28 2016-09-28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59A KR101993850B1 (ko) 2016-09-28 2016-09-28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921A KR20180034921A (ko) 2018-04-05
KR101993850B1 true KR101993850B1 (ko) 2019-09-30

Family

ID=6197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759A KR101993850B1 (ko) 2016-09-28 2016-09-28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851B1 (ko) * 2018-07-25 2023-08-17 상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광 모듈
KR102323412B1 (ko) * 2020-07-22 2021-11-09 안지영 태양광 발전소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953381B (zh) * 2021-02-04 2021-12-14 中国科学院微小卫星创新研究院 太阳电池阵驱动装置地面测试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060A (ja) * 2006-04-04 2007-10-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発電予測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53757B1 (ko) * 2007-09-28 2008-08-25 주식회사 대영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관리시스템
KR101391876B1 (ko) * 2013-09-25 2014-05-07 플러스이앤지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16B1 (ko) 2011-03-03 2013-02-19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저전력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태양광 어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060A (ja) * 2006-04-04 2007-10-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発電予測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53757B1 (ko) * 2007-09-28 2008-08-25 주식회사 대영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관리시스템
KR101391876B1 (ko) * 2013-09-25 2014-05-07 플러스이앤지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921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576B2 (en) Estimation of shading losses for photovoltaic systems from measured and modeled inputs
CN102725933B (zh) 动态分布式电网控制系统
JP5576498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US8600556B2 (en) Smart building manager
Aagri et al. Export and import of renewable energy by hybrid MicroGrid via IoT
KR101993850B1 (ko) 주택 보급용 태양광 발전의 활동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Sakib et al. A qualitative study on the United States internet of energy: a step towards computational sustainability
Fonteijn et al. Demonstrating a generic four-step approach for applying flexibility for congestion management in daily operation
Paleta et al. Polygeneration energy container: Designing and testing energy services for remote developing communities
CN108510405A (zh) 一种分布式光伏电站一站式管理平台
KR102148616B1 (ko)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Koch et al. Architecture concepts and technical issues for an open, interoperable automated demand response infrastructure
Kazman et al. Architecture evaluation without an architecture: Experience with the smart grid
Gellings Smart Gri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KR101565895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ejka et al. Planning and operating future energy communities
KR102405085B1 (ko) Usim을 이용한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에서의 개방형 무선환경 채널구성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43530A (ko) 태양광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ldegwi et al. Utilization of Mobile Agents for Building a Secure Decentralized Energy System with Remote Monitoring
EP3920371A1 (en) Power supply method and power management device
Lopes et al. From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local flexibility to low-voltage predictive grid management
Sauba et al. VIMSEN—Smart tool for energy aggregators
KR20170134246A (ko) Usim을 이용한 에너지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에서의 빅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 장치
Bai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ER-TO-PEER ENERGY TRADING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BLOCKCHAIN
KR20210017741A (ko) Open adr 표준에 기반한 adr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