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814B1 -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814B1
KR101993814B1 KR1020190068148A KR20190068148A KR101993814B1 KR 101993814 B1 KR101993814 B1 KR 101993814B1 KR 1020190068148 A KR1020190068148 A KR 1020190068148A KR 20190068148 A KR20190068148 A KR 20190068148A KR 101993814 B1 KR101993814 B1 KR 10199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streetlight
eav
setting
light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열
김홍주
김용준
권기태
Original Assignee
박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열 filed Critical 박준열
Priority to KR102019006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전에는 광속 유지율(MF)은 1로 설정하여 고정하고, 가로등의 광속을 조절하여 가로등의 평균 조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가 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시점에 불필요하게 조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Control system for smart street light and control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 조도를 설정값이 되도록 광속 유지율은 고정하고 가로등의 광속만을 변화시킴으로써, 최적의 도로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경우, 도로의 종류나 예측되는 교통량에 따라 도로 조명 등급이 설정되고,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도로에 설치되어야 할 가로등의 개수나 밝기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어떤광원이든 시간이 지나면 처음의 밝기보다 밝기가 감소하게 되며, 그 정도를 표현하는 것을 광속 유지율(MF, Maintenance Factor) 또는 보수율이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조명 등급은, 교통량이 최대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또한, 사용 시간 경과에 따라 가로등의 밝기 성능이 저하될 것을 미리 고려하여 상기 광속 유지율을 1보다 낮은 값으로 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도로의 초기 사용시 도로 밝기가 평균적으로 요구되는 밝기 보다 과도하게 밝게 설정되므로,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과다하게 사용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85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에 따른 가로등의 광속을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은, 도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의 설계 또는 시공시 관리자나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설정 조도(Es)가 설정된 복수의 가로등들과; 상기 가로등들마다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장치와; 상기 전류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 Flux)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점이 상기 가로등의 설치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등의 성능이 저하되기 이전까지의 시점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내라고 판단되면, 광속 유지율(MF)은 1로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와 비교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의 관계식인
Figure 112019059077215-pat00001
으로부터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증감시키고, 상기 관계식에서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 조명율(CU,Coefficien t of Utilization),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간격(S) 및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의 폭(W)은 상기 도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들이고,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은 상기 가로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변화시키고,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라고 판단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보다 작게 설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상기 설정 조도(Es)로 설정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의 설계 또는 시공시 관리자나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설정 조도(Es)가 설정된 복수의 가로등들과, 상기 가로등들마다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시스템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류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 Flux)을 제어하되, 현재 시점이 상기 가로등의 설치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등의 성능이 저하되기 이전까지의 시점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내라고 판단되면, 광속 유지율(MF)은 1로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와 비교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의 관계식인
Figure 112019059077215-pat00002
으로부터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증감시키고, 상기 관계식에서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 조명율(CU,Coefficien t of Utilization),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간격(S) 및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의 폭(W)은 상기 도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들이고,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은 상기 가로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변화시키고,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라고 판단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보다 작게 설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상기 설정 조도(Es)로 설정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는,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전에는 광속 유지율(MF)은 1로 설정하여 고정하고, 가로등의 광속을 조절하여 가로등의 평균 조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가 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시점에 불필요하게 조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평균 조도와 종래 기술의 평균 조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은, 도로 위에 설치된 복수의 가로등들(미도시), 조도 센서(10), 제어부(20) 및 전류 공급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 센서(10)는, 상기 가로등(미도시)마다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lm/m2])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가로등(미도시)마다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가로등들과 통신하며 상기 가로등들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도 센서(10)에서 측정된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와 비교하고, 그 차이에 따라 상기 가로등의 광속(F[lm], Flux)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류 공급장치(30)를 제어한다.
상기 전류 공급장치(30)는,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류 공급장치(30)에서 상기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광속(F)이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마다 도로 조명 등급이 설정된다. 상기 도로 조명 등급은 도로의 설계 또는 시공시 미리 설정되는 것이며, 도로의 형태, 용도, 사용량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상기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상기 설정 조도(Es)가 다르게 설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현재 시점이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내인지 판단한다.(S1)
상기 설정 기간은, 상기 가로등의 설치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등의 성능이 저하되기 이전까지의 시점까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설정 기간은 관리자나 설계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설정 기간 이전이면, 광속 유지율(MF)을 1로 설정한다.(S2)
상기 조도 센서(10)가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를 측정한다.(S3)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도 센서(10)가 측정한 상기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와 비교한다.(S4)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 상기 설정 범위는 오차 범위내로 설정된다.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를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S5)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를 초과하면,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로 낮아지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감소시킨다.(S6)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의 관계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9059077215-pat00003
여기서,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 조명율(CU, Coefficient of Utilization),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간격(S) 및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의 폭(W)은 상기 도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고정값이다.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는, 상기 가로등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경우는 1로 설정되고, 상기 가로등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된 경우 2로 설정된다.
상기 조명율(CU)은, 상기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간격(S)과 상기 도로의 폭(W)은 상기 도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광속 유지율(MF)은 1로 고정하여 설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에 따라 밝기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기 위한 변수인 광속 유지율(MF)을 1로 설정하고,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와 같아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가로등의 광속(F)만을 변화시킨다.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를 초과하면, 상기 평균 조도(Eav)를 감소시켜야 하는 바, 상기 평균 조도(Eav)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감소시킨다.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은 상기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 후,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를 비교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
따라서,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증가시킨다.(S7)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와 같아지도록 상기 평균 조도(Eav)를 증가시켜야 하는 바, 상기 평균 조도(Eav)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증가시킨다.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은 상기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 후,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를 비교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
따라서,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유지한다.(S8)
한편,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이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미리 설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로 설정한다.(S9)
상기 광속 유지율(MF)의 설정값은, 상기 가로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다. 상기 광속 유지율(MF)의 설정값은 1보다 작은 값이다.
또한, 상기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설정 조도(Es)로 설정한다. 즉,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이면, 상기 조도 센서(10)에서 평균 조도를 측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광속 유지율(MF)과 상기 평균 조도(Eav)를 설정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산출할 수 있다.(S10)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산출하면, 상기 산출된 광속(F)이 되도록 상기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전에는, 상기 광속 유지율(MF)을 1로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10)에서 측정된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에는, 상기 광속 유지율(MF)을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상기 설정 조도(Es)로 설정하고,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평균 조도와 종래 기술의 평균 조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B)에는 광속 유지율을 1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고 가로등의 광속(F)을 요구 광속보다 높게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 초기에는 평균 조도가 설정 조도에 비해 불필요하게 높게 설정되어, 에너지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A)에서는 광속 유지율은 1로 고정하여 설정하고,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계속해서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를 상기 설정 조도(Es)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시점에 성능 저하를 고려하여 불필요하게 가로등의 광속이나 조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A)과 종래(B)는 평균 조도(Eav)의 차이(W)만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도 센서 20: 제어부
30: 전류 공급 장치

Claims (4)

  1. 도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의 설계 또는 시공시 관리자나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설정 조도(Es)가 설정된 복수의 가로등들과;
    상기 가로등들마다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장치와;
    상기 전류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 Flux)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점이 상기 가로등의 설치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등의 성능이 저하되기 이전까지의 시점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내라고 판단되면, 광속 유지율(MF)은 1로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와 비교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의 관계식인
    Figure 112019059077215-pat00004
    으로부터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증감시키고,
    상기 관계식에서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 조명율(CU,Coefficien t of Utilization),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간격(S) 및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의 폭(W)은 상기 도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들이고,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은 상기 가로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변화시키고,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라고 판단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보다 작게 설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상기 설정 조도(Es)로 설정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유지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는, 상기 가로등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경우는 1로 설정되고, 상기 가로등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된 경우 2로 설정되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4. 도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의 설계 또는 시공시 관리자나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로 조명 등급에 따라 설정 조도(Es)가 설정된 복수의 가로등들과, 상기 가로등들마다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의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시스템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류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 Flux)을 제어하되,
    현재 시점이 상기 가로등의 설치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등의 성능이 저하되기 이전까지의 시점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 이내라고 판단되면, 광속 유지율(MF)은 1로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평균 조도(Eav)를 미리 설정된 설정 조도(Es)와 비교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설정 조도(Es)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평균 조도(Eav)와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의 관계식인
    Figure 112019059077215-pat00005
    으로부터 상기 평균 조도(Eav)가 상기 설정 조도(Es)가 되도록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증감시키고,
    상기 관계식에서 상기 가로등의 배열 지수(N), 조명율(CU,Coefficien t of Utilization), 상기 가로등의 설치 간격(S) 및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의 폭(W)은 상기 도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들이고,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은 상기 가로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변화시키고,
    상기 현재 시점이 상기 설정 기간 이후라고 판단되면, 상기 광속 유지율(MF)은 1보다 작게 설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평균 조도(Eav)를 상기 설정 조도(Es)로 설정하여,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가로등의 광속(F)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용 제어장치.
KR1020190068148A 2019-06-10 2019-06-10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KR101993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48A KR101993814B1 (ko) 2019-06-10 2019-06-10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48A KR101993814B1 (ko) 2019-06-10 2019-06-10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771A Division KR101990549B1 (ko) 2019-01-14 2019-01-14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814B1 true KR101993814B1 (ko) 2019-06-27

Family

ID=6705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148A KR101993814B1 (ko) 2019-06-10 2019-06-10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12B1 (ko) 2019-12-09 2020-08-14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스마트 도시형 led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
KR102640111B1 (ko) 2023-08-07 2024-02-23 (주)알트온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행자 이동 경로 추적 기반의 가로등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69Y1 (ko) 2001-09-24 2001-12-29 이상현 교통자료에 따른 가로등 및 조명등 제어장치
KR101278947B1 (ko) * 2012-10-08 2013-06-26 (주)코맨텍 디밍제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방법
JP2013535084A (ja) * 2010-07-01 2013-09-09 ホエジョウ・ライト・エンジン・リミテッド 調節可能な白色方法およ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69Y1 (ko) 2001-09-24 2001-12-29 이상현 교통자료에 따른 가로등 및 조명등 제어장치
JP2013535084A (ja) * 2010-07-01 2013-09-09 ホエジョウ・ライト・エンジン・リミテッド 調節可能な白色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101278947B1 (ko) * 2012-10-08 2013-06-26 (주)코맨텍 디밍제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12B1 (ko) 2019-12-09 2020-08-14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스마트 도시형 led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
KR102640111B1 (ko) 2023-08-07 2024-02-23 (주)알트온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행자 이동 경로 추적 기반의 가로등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5877B1 (en) Demand response for networked distributed lighting systems
KR101993814B1 (ko)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장치
KR101130334B1 (ko) 주변 조도에 따라서 밝기가 가변하는 led 가로등
CN111654961A (zh) 用于路灯系统的路灯亮度监控方法
CN108901110A (zh) 节能型公路隧道等效照明控制系统
KR101990549B1 (ko)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6234111A (zh) 路灯亮度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611978A (zh) 路灯动态调光方法、路灯管理平台、移动终端和系统
JP6140894B2 (ja) 消費電力節減のための街灯の調光制御方法及びその街灯
CA2821798C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reetlight
CN111526629B (zh) 一种隧道led照明系统的色温控制方法
CN105208701A (zh) 一种led路灯智能控制系统
CN110708839A (zh) 基于车辆位置监测的隧道中间段节能照明控制方法及系统
Sędziwy et al. A new approach to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street lighting
CN110149749B (zh) 一种led灯具总功率控制系统和方法
CN104812147A (zh) 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led路灯远程测控方法
CN105072786A (zh) 一种路灯自动控制系统
CN206851072U (zh) 带有光衰补偿功能的路灯控制器
CN107295729A (zh) 一种路灯亮度自动控制方法
CN107172777A (zh) 一种路灯亮度自动控制系统
KR102124943B1 (ko) 스마트시티용 triple 출력 기능을 갖는 led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조명용 led등기구
CN103747580A (zh) 一种智能路灯按需照明的控制方法
US20240147598A1 (en) A method of evaluating lighting quality in a geographic region having a plurality of luminaires arranged therein and a road lighting system
Guo et al. Lighting control strategies for telemanagement road lighting control systems
CN117793989B (zh) 一种面向中间视觉的led路灯排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