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470B1 -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 Google Patents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470B1
KR101993470B1 KR1020180154690A KR20180154690A KR101993470B1 KR 101993470 B1 KR101993470 B1 KR 101993470B1 KR 1020180154690 A KR1020180154690 A KR 1020180154690A KR 20180154690 A KR20180154690 A KR 20180154690A KR 101993470 B1 KR101993470 B1 KR 10199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rail
girder
coupled
sad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봉호
Original Assignee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4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crane device capable of being installed in a non-parallel rail. The crane device comprises: a first saddl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first rail; a second saddl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second rail dispos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addle; and a girder wherein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saddl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saddle. The girder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on the basis of a pivot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Description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rane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장치인 천장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rane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to move along a pair of rail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building to lift a heavy object.

크레인은 일정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 장소로 운반하는 장치다. 크레인은 공장, 항만, 물류창고 등에서 원자재 등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 된다.A crane is a device that lifts a certain weight and moves it up and down and horizontally to a predetermined place. Cranes are used to transport heavy materials such as raw materials at factories, ports, warehouses, etc.

이러한 크레인 장치 중 천장 크레인은 건물 천장 부분에 설치되어 일정 작업 범위 내에서 중량물을 상하, 좌우, 전후로 운반한다. 천장 크레인은 설치 방식에 따라 오버헤드 크레인, 서스펜션 크레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천장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조립공장 등의 내부의 천장에 설치된다. 천장 부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주행 레일을 따라 각각 주행하는 새들(saddle)이 설치되고 그 새들을 연결하며 새들에 고정된 거더(girder)가 설치된다. 상기 거더에는 권상 및 횡행장치가 구비된다.Among these crane devices, the ceiling cran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carries heavy objects up, down, left, right, back and forth within a certain working range. Ceiling cranes can be divided into overhead cranes and suspension cran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Ceiling cranes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inside the assembly plant. A saddle that runs along a pair of running rails provided on the ceiling portion is provided, and a girder which is connected to the saddle and fixed to the saddle is installed. The girders are provided with hoisting and traversing devices.

이러한 천장 크레인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39253호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a ceiling cran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439253.

그런데 종래의 천장 크레인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중량물의 인양 가능 지역이 평면도 상에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로 한정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로 지어지지 않으며 예컨대 평면도 상에서 사다리꼴 형태로 지어진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건축물이 지어진 경우 종래의 천장 크레인은 중량물의 인양이 불가능한 지역(dead space)이 많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ceiling cranes are configured to move along a pair of rail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Due to such a structure, the lifting area of the heavy object is limited to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on a plan view. Generally, a building is not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le or a square on a plan view, and is often formed, for example, in a trapezoidal shape on a plan view. When the building is constructed in a trapezoidal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eiling crane has a problem in that a dead space can not be lift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장 크레인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는 물론 사다리꼴 형태의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더라도 인양 불가능 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 천장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 ceiling crane so as to minimize an inaccessible area even if it is installed inside a square or rectangular structure or a trapezoida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iling cran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n a non-parallel ra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는, 제1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새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iling crane capable of installing on a non-parallel rail, including: first saddle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first rail;

상기 제1새들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새들; 및Second saddle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a second rai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addles; And

일단부가 상기 제1새들에 결합 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새들에 결합 된 거더를 포함한 크레인 장치로서,A crane device including a gir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addl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addle,

상기 거더는 상기 제1새들 및 상기 제2새들에 대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피봇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점에 특징이 있다.The girder is characterized by being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a pivot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거더가 상기 제1새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거더와 상기 제1새들은 회전장치를 매개로 결합 되며,The girder and the first saddle are coupled via a rotating device so that the girde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addle,

상기 회전장치는,The rotating device includes:

상기 거더의 말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더에 고정되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거더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피봇축; 및A pivot shaft disposed at a distal end of the girder and fixed to the girder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gir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상기 제1새들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물을 포함하며,A bearing structure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saddle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pivot shaft,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The bearing structure comprises:

상기 제1새들에 삽입 고정된 원통형의 지지 바디;A cylindrical support body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saddle;

상기 지지 바디의 하부에 결합 되며 상기 피봇축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 및A lower bear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nd rotatably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pivot shaft; And

상기 지지 바디의 상부에 결합 되며 상기 피봇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an upper bear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nd rotatably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pivot shaft.

상기 제1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새들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 모터가 구비되며,A first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상기 제2새들은 상기 제1새들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addles may be configured to move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saddles.

상기 제1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새들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제1새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encoder)가 구비된 제1구동 모터; 및A first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saddle and generating an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and an encoder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And

상기 제2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새들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제2새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가 구비된 제2구동 모터;를 포함하며,And a second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second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econd rail and an encoder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

상기 제1새들의 위치와 상기 제2새들의 위치의 직선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제1구동 모터 또는 제2구동 모터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거더가 상기 제1레일 또는 상기 제2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range,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or the second driving motor is changed so that the gird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제1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새들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 모터; 및A first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And

상기 제2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새들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 모터;를 포함하며,And a second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second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econd rail,

상기 제1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새들이 통과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위치감지 센서; 및 상기 제2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2새들이 통과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A first position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rail and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first saddle passes;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mounted on the second rail and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two saddles are passed,

상기 제1새들과 상기 제2새들 중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의 신호와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의 신호 중 먼저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새들을 제동시키며 나머지 센서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동된 새들의 제동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braking saddl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among the signals of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and when the signal of the remaining sensor is sensed, And can be controlled to release the braking state.

상기 제1새들은 상기 제1레일의 측면을 구름 지지하는 제1이탈 방지 롤러를 구비하며,The first saddle has a first anti-departure roller for rolling the side of the first rail,

상기 제2새들은 상기 제2레일의 측면을 구름 지지하는 제2이탈 방지 롤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saddle includes a second release preventing roller for rolling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il.

본 발명에 따른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는, 비평행 레일에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공간을 가지는 건축물과 사다리꼴 공간을 가지는 건축물에도 설치되어 인양 불가능 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Since the ceiling crane apparatus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non-parall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non-parallel rail, it is also installed in a building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space and a building having a trapezoidal spac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space us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평면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크레인 장치의 정면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방향에서 본 천장 크레인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크레인 장치의 우측면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평면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방향에서 본 천장 크레인 장치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Ⅷ - 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가 비평행 레일에 설치되어 작동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lan layout structure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rontal arrangement of the ceiling crane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viewed in the direction of III shown in Fig.
Fig. 4 is a right side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crane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lan layout structure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the ceiling crane apparatus viewed in the direction VI shown in Fig.
7 is a plan view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shown i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ing on a non-parallel rai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평면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크레인 장치의 정면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방향에서 본 천장 크레인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크레인 장치의 우측면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평면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방향에서 본 천장 크레인 장치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Ⅷ - 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가 비평행 레일에 설치되어 작동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lan layout structure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rontal arrangement of the ceiling crane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viewed in the direction of III shown in Fig. Fig. 4 is a right side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crane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lan layout structure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the ceiling crane apparatus viewed in the direction VI shown in Fig. 7 is a plan view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shown i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ing on a non-parallel rail.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10, 이하 "천장 크레인 장치"라 함)를 상세히 설명한다.1 to 4, a ceiling crane apparatus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iling crane apparatus") which can be installed on a non-parallel r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천장 크레인 장치(10)는 제1새들(20)과, 제2새들(30)과, 거더(40)와, 회전장치(50)와, 제1구동 모터(26)와, 제2구동 모터(36)를 포함한다.The ceiling crane device 10 includes a first saddle 20, a second saddle 30, a girder 40, a rotating device 50, a first driving motor 26, (36).

상기 제1새들(20)은 제1레일(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새들(20)은 예컨대 2개의 주행용 휠을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새들(20)은 아이들 휠(22)과 구동 휠(24)을 구비한다. 상기 아이들 휠(22)은 상기 제1새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레일(11) 위를 굴러 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휠(24)은 상기 제1새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 휠(22)과 이격 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 휠(24)은 상기 아이들 휠(22)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saddle 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rail 11. The first saddle 20 has, for example, two traveling wheels.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addle 20 has an idle wheel 22 and a driving wheel 24. The idle wheel (2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saddle (20) and configured to roll over the first rail (11). The driving wheel 2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addle 20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dle wheel 22. The driving wheel 24 is installed to be in line with the idle wheel 22.

상기 제2새들(30)은 제2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일(12)은 상기 제1레일(11)에 이격 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레일(11)과 상기 제2레일(12)은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레일(11)과 상기 제2레일(12)은 평면도 상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빗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새들(30)의 구조는 상술한 제1새들(20)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The second saddle (3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rail (12). The second rails 12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ils 11. The first rail 11 and the second rail 12 may not be paralle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rail 11 and the second rail 12 may be arranged in a trapezoidal diagonal shape as shown in FIG. 9 on a plan view.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addle 3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addle 20 described above.

상기 거더(40)는 상기 제1새들(20)과 상기 제2새들(3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거더(40)는 직선 형태의 하중 지지 구조물이다. 상기 거더(40)는 지면에 평행인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거더(40)의 일단부는 상기 제1새들(20)에 결합 된다. 상기 거더(40)의 타단부는 상기 제2새들에 결합 된다. 상기 거더(40)의 일단부는 상기 제1새들(20)의 상부에 결합 된다. 상기 거더(40)의 타단부는 상기 제2새들(30)의 상부에 결합 된다.The girder (40) is arranged to cross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The girder 40 is a linear load supporting structure. The girders 40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ground. One end of the girder (40) is coupled to the first saddle (20). The other end of the girder 40 is coupled to the second saddle. One end of the girder 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addle 20. The other end of the girder 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addle 30.

상기 거더(40)는 상기 제1새들(20) 및 상기 제2새들(30)에 대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피봇축(52)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거더(40)가 상기 제1새들(20) 및 상기 제2새들(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것이다.The girder 40 i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with reference to a pivot axis 5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girder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더 구체적으로 상기 거더(40)와 상기 제1새들(20)은 회전장치(50)를 매개로 결합 된다. 상기 회전장치(50)는 상기 거더(40)가 상기 제1새들(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장치다.More specifically, the girder (40) and the first saddle (20) are coupled via a rotating device (50). The rotating device (50) is a device that rotatably couples the girder (40) to the first saddle (20).

상기 회전장치(50)는 상기 거더(40)와 상기 제2새들(30)의 결합 구조도 매개 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 거더(40)와 상기 제1새들(20)의 결합 구조를 매개하는 회전장치(50) 만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하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otating device 50 is also provided with a pair to mediat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irder 40 and the second saddle 30. Only the rotating device 50 that mediate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girder 40 and the first saddl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other one will have the same structure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회전장치(50)는 피봇축(52)과, 베어링 구조물을 포함한다.The rotating device 50 includes a pivot shaft 52 and a bearing structure.

상기 피봇축(52)은 상기 거더(40)의 말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피봇축(52)은 상기 거더(40)에 고정된 기둥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피봇축(52)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피봇축(52)은 상기 거더(4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피봇축(52)은 상기 거더(40)에 용접되거나 볼트와 같은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pivot shaft (52)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girder (40). The pivot shaft (52) is a columnar structure fixed to the girder (40). The pivot shaft 52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pivot shaft 52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girder 40. The pivot shaft 52 may be welded to the girder 40 or fixed by means such as bolts.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상기 제1새들(2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상기 피봇축(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bearing structure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saddle 20. The bearing structure rotatably supports the pivot shaft 52.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지지 바디(54)와, 하부 베어링(56)과, 하부 하우징(57)과, 상부 베어링(58)과, 상부 하우징(59)을 포함한다.The bearing structure includes a support body 54, a lower bearing 56, a lower housing 57, an upper bearing 58, and an upper housing 59.

상기 지지 바디(54)는 상기 제1새들(20)에 삽입 고정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상기 지지 바디(54)는 상기 제1새들(20)에 형성된 구멍의 내 측벽에 억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54 is a cylindrical member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saddle 20. The support body 54 may be fixed to the inner sidewall of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saddle 20 to prevent interference.

상기 하부 베어링(56)은 상기 지지 바디(54)의 하부에 결합 된다. 상기 하부 베어링(56)은 예컨대 내륜과 외륜 사이에 다수의 볼이 배치된 볼 베어링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베어링(56)은 상기 피봇축(52)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부 베어링(56)은 하부 하우징(57)을 매개로 상기 지지 바디(5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57)은 상기 하부 베어링(56)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 바디(54)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제1새들(20)에 고정된다.The lower bearing 56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54. The lower bearing 56 may be, for example, a ball bearing in which a plurality of balls are disposed between an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The lower bearing (56) rotatably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pivot shaft (52). The lower bearing 56 may be fixed to the support body 54 via a lower housing 57. The lower housing 57 is fixed to the first saddle 20 while being pressed toward the support body 54 so that the lower bearing 56 is not released.

상기 상부 베어링(58)은 상기 지지 바디(54)의 상부에 결합 된다. 상기 상부 베어링(58)은 예컨대 볼 베어링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베어링(58)은 상기 피봇축(52)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상부 베어링(58)은 상부 하우징(59)에 의해 상기 지지 바디(54)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59)은 상기 상부 베어링(58)이 상기 지지 바디(5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upper bearing 58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54. The upper bearing 58 may be, for example, a ball bearing. The upper bearing 58 rotatably supports the side surface of the pivot shaft 52. The upper bearing 58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54 by an upper housing 59. The upper housing 59 prevents the upper bearing 58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support body 54.

상술한 회전장치(50)는 상기 거더(40)와 상기 제2새들(30)의 결합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rotating device 5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girder 40 and the second saddle 30.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상기 제1새들(20)에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예컨대 기어드 모터(geared motor)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상기 제1새들(20)에 구비된 구동 휠(24)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상기 제1새들(20)이 상기 제1레일(1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한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상기 제1새들(20)의 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encoder,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상기 제1새들(2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구동 모터(26)의 위치와 상기 제1새들(20)의 위치는 개념적으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엔코더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1구동 모터(26)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 모터(26)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제1구동 모터(26)의 위치를 산출해 낼 수 있다.The first drive motor 26 is installed in the first saddle 20. The first drive motor 26 may be, for example, a geared motor. The first driving motor 26 is installed to rotate the driving wheel 24 provided on the first saddle 20. The first driving motor 26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2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11. The first driving motor 26 may include an encode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20. Since the first drive motor 26 is fixed to the first saddle 20, the posi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26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20 can be considered to be conceptually the same. The posi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26 can be calculated from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26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drive motor 26 from the signal of the encoder.

상기 제2구동 모터(36)는 상기 제2새들(30)에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 모터(36)는 예컨대 기어드 모터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 모터(36)는 상기 제2새들(30)에 구비된 구동 휠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 모터(36)는 상기 제2새들(30)이 상기 제2레일(1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한다. 상기 제2구동 모터(36)는 상기 제2새들(30)의 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 모터(36)는 상기 제2새들(3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2구동 모터(36)의 위치와 상기 제2새들(30)의 위치는 개념적으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에 구비된 엔코더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2구동 모터(36)의 위치를 산출해 낼 수 있다.And the second drive motor 36 is installed in the second saddle 30. The second drive motor 36 may be a geared motor, for example. The second driving motor 36 is installed to rotate a driving wheel provided on the second saddle 30. The second drive motor 36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addle 3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econd rail 12. The second driving motor 36 may include an encode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30. Since the second driving motor 36 is fixed to the second saddle 30, the posi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36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30 can be considered to be conceptually the same. The posi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36 can be calculated from the signal of the encoder provided to the first drive motor 26. [

상기 제1새들(20)의 위치와 상기 제2새들(30)의 위치 간 직선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제1구동 모터(26) 또는 제2구동 모터(36)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거더(40)가 상기 제1레일(11) 또는 상기 제2레일(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새들(20)과 상기 제2새들(30)이 평행하지 않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거더(4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거더(40)가 상기 제1레일(11)이나 상기 제2레일(12)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상기 제1구동 모터(26)와 상기 제2구동 모터(36)의 상대적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구동 모터(26)와 상기 제2구동 모터(36)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changing the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26 or the second drive motor 36 when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20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30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It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the girder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rail 11 or the second rail 12. [ That is, when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are moved along a rail which is not parallel to the girder 40, when the girder 40 is subjected to an excessive force, The first driving motor 26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36 are fix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26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36 are kept constant, 26)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drive motor (36).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제1구동 모터(26)와 상기 제2구동 모터(36)가 엔코더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구동 모터(26)와 제2구동 모터(36)의 위치를 산출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레일(11)의 특정한 위치에 제1위치감지 센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레일(12)의 특정한 위치 제2위치감지 센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2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거더(40)가 길이 방향으로 외력을 받지 않는 거리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와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는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제1새들(20)과 상기 제2새들(30)의 움직임을 유기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는 상기 제1새들(20)이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를 통과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는 상기 제2새들(30)이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를 통과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the first drive motor 26 and the second drive motor 36 may not include an encoder.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first drive motor 26 and the second drive motor 36 can not be calculated. In this case, a first position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first rail 11. In addition, a specific position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not shown) of the second rail 12 may be provided.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are disposed at a distance such that the girder 40 does not receive an exter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pair each other to organical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generates a signal when the first saddle 20 passes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Meanwhile, the second position sensor generates a signal when the second saddle 30 passes the second position sensor.

상기 제1새들(20)과 상기 제2새들(30)은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의 신호와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의 신호 중 먼저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새들을 제동시키며 나머지 센서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동된 새들의 제동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제1새들(20)과 제2새들(30)의 특정 위치를 동일한 시각에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더(40)가 상기 제1새들(20) 또는 상기 제2새들(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brakes the saddl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And if so, control to release the braked state of the braked saddle. By this control, the specific positions of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can be pass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irder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addle (20) or the second saddle (30).

이와 같이 제1구동 모터(26)와 제2구동 모터(36)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지된 인버터, 피엘씨(PLC)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11) 및 상기 제2레일(1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에는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 및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를 여러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first drive motor 26 and the second drive motor 36 is a combination of known inverters, PLCs, etc.,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 If the lengths of the first rail 11 and the second rail 12 are relatively long, the first position sensor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이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5 to 6. Fig.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비하여 제2구동 모터가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엔코더와 위치감지 센서도 구비되지 않는다. 제1실시 예의 천장 크레인 장치(10)는 제1구동 모터(26)만을 구비한다. 상기 제1구동 모터(26)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기능만을 가지는 단순한 구조의 모터가 채용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10)는 제1구동 모터(26)가 제1새들(20) 설치된다. 제1구동 모터(26)는 제1새들(20)이 제1레일(1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 경우 제2새들(30)은 상기 제1새들(2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10)는 상기 거더(40)의 길이가 6m 이하로 구성된 경우에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는 상기 거더(40)의 길이가 6m를 초과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quipped with the second drive motor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neither an encoder nor a position sensing sensor is provided. The ceiling crane apparatus 1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only the first drive motor 26. [ The first drive motor 26 may have a simple structure having only a soft start function. In the ceiling crane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saddle 20 is installed with the first drive motor 26. [ The first drive motor 26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2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11. In this case, the second saddle 30 is configured to mov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saddle 20. The ceiling crane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preferably applied when the length of the girder 40 is 6 m or less.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when the length of the girder 40 exceeds 6 m.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7 and 8, a structure of a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10)는 상술한 제1실시 예나 제2실시 예와 같이 거더(40)가 제1새들(20) 및 제2새들(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점을 동일하다. 다만 제1새들(20)과 제2새들(30)에 물리적으로 상기 거더(40)가 제1레일(11) 또는 제2레일(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 방지 롤러(60)와 제2이탈 방지 롤러(65)가 구비된다.The ceiling crane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girder 4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physically separate the girders 40 from the first rail 11 or the second rail 12 by preventing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from being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rail 11 or the second rail 12. [ An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roller 65 are provided.

상기 제1이탈 방지 롤러(60)는 제1새들(20)에 구비된다. 상기 제1이탈 방지 롤러(60)는 상술한 아이들 휠(22)이나 구동 휠(24)이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이탈 방지 롤러(60)는 상기 제1레일(11)의 측면을 구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이탈 방지 롤러(60)는 상기 제1레일(11)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The first release preventing roller 60 is provided on the first saddle 20. The first escape prevention roller 6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idle wheel 22 or the driving wheel 24 is not installed. The first escape prevention roller (60) is arranged to roll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ail (11). The pair of anti-departure rollers 60 are arranged symmetrically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11.

상기 제2이탈 방지 롤러(65)는 제2새들(30)에 구비된다. 상기 제2이탈 방지 롤러(65)는 상술한 아이들 휠(22)이나 구동 휠(24)이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2이탈 방지 롤러(65)는 상기 제2레일(12)의 측면을 구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이탈 방지 롤러(65)는 상기 제2레일(12)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roller 65 is provided on the second saddle 30.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roller 65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idle wheel 22 or the driving wheel 24 is not installed.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roller (65) is arranged to roll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il (12). The pair of anti-departure rollers 65 are disposed symmetrically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econd rail 12.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는 거더가 새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평행하지 않는 레일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는 사다리꼴 공간을 가지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인양 불가능 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는 새들과 거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새들과 거더의 각도가 수직으로 고정되지 않고 새들과 거더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비평행 레일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irder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addl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on a rail which is not parallel. Accordingly, the ceiling crane apparatus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non-parall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having a trapezoidal space, thereby minimizing the unreinforcing area,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space usability. That is, in the ceiling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saddle and the girder is not fixed vertically while the saddle and the girder mov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saddle and the girder is changed,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거더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하나의 구동 모터로 거더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달 실시 예에서와 같이 거더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2개의 구동 모터가 상호 위치에 따라 속도를 변경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 또는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비평행 레일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when the length of the girder is short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girder can be controlled by one driving mot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girder is long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driving motors can change the speed or turn the brake on or off according to the mutual position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m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non- Effect.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by the example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천장 크레인 장치
11 : 제1레일
12 : 제2레일
20 : 제1새들
22 : 아이들 휠
24 : 구동 휠
26 : 제1구동 모터
30 : 제2새들
36 : 제2구동 모터
40 : 거더
50 : 회전장치
52 : 피봇축
54 : 지지 바디
56 : 하부 베어링
57 : 하부 하우징
58 : 상부 베어링
59 : 상부 하우징
60 : 제1이탈 방지 롤러
65 : 제2이탈 방지 롤러
10: Ceiling crane device
11: first rail
12: second rail
20: First saddle
22: Idle wheel
24: driving wheel
26: First drive motor
30: The second saddle
36: second drive motor
40: Girder
50: Rotating device
52: Pivot axis
54: support body
56: Lower bearing
57: Lower housing
58: Upper bearing
59: upper housing
60: First release preventing roller
65: second departure prevention roller

Claims (6)

제1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새들;
상기 제1새들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새들;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새들에 결합 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새들에 결합 된 거더를 포함한 크레인 장치로서,
상기 거더는 상기 제1새들 및 상기 제2새들에 대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피봇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제1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새들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제1새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encoder)가 구비된 제1구동 모터; 및
상기 제2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새들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제2새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가 구비된 제2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새들의 위치와 상기 제2새들의 위치의 직선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제1구동 모터 또는 제2구동 모터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거더가 상기 제1레일 또는 상기 제2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
First saddle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rail;
Second saddle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a second rai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addles; And
A crane device including a gir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addl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addle,
Wherein the gird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with respect to a pivot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first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saddle and generating an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and an encoder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And
And a second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second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econd rail and an encoder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
When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first saddl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addl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range,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or the second driving motor is changed so that the gird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ei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가 상기 제1새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거더와 상기 제1새들은 회전장치를 매개로 결합 되며,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거더의 말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더에 고정되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거더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피봇축; 및
상기 제1새들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상기 제1새들에 삽입 고정된 원통형의 지지 바디;
상기 지지 바디의 하부에 결합 되며 상기 피봇축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 및
상기 지지 바디의 상부에 결합 되며 상기 피봇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irder and the first saddle are coupled via a rotating device so that the girde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addle,
The rotating device includes:
A pivot shaft disposed at a distal end of the girder and fixed to the girder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gir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bearing structure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saddle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pivot shaft,
The bearing structure comprises:
A cylindrical support body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saddle;
A lower bear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nd rotatably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pivot shaft; And
And an upper bear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nd rotatably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pivot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새들;
상기 제1새들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새들;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새들에 결합 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새들에 결합 된 거더를 포함한 크레인 장치로서,
상기 거더는 상기 제1새들 및 상기 제2새들에 대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피봇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제1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새들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 모터; 및
상기 제2새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새들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새들이 통과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위치감지 센서; 및 상기 제2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2새들이 통과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새들과 상기 제2새들 중 상기 제1위치감지 센서의 신호와 상기 제2위치감지 센서의 신호 중 먼저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새들을 제동시키며 나머지 센서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동된 새들의 제동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
First saddle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rail;
Second saddle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a second rai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addles; And
A crane device including a gir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addl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addle,
Wherein the gird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with respect to a pivot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first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irst rail; And
And a second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second saddl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addle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econd rail,
A first position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rail and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first saddle passes;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mounted on the second rail and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two saddles are passed,
The first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braking saddl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among the signals of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and when the signal of the remaining sensor is sensed, And the braking state is controlled to release the braking stat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새들은 상기 제1레일의 측면을 구름 지지하는 제1이탈 방지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2새들은 상기 제2레일의 측면을 구름 지지하는 제2이탈 방지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평행 레일에 설치 가능한 천장 크레인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first saddle has a first anti-departure roller for rolling the side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saddle has a second anti-departure roller that rolls the side of the second rail. ≪ Desc / Clms Page number 19 >
KR1020180154690A 2018-12-04 2018-12-04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KR101993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90A KR101993470B1 (en) 2018-12-04 2018-12-04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90A KR101993470B1 (en) 2018-12-04 2018-12-04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470B1 true KR101993470B1 (en) 2019-06-27

Family

ID=6705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690A KR101993470B1 (en) 2018-12-04 2018-12-04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4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66A (en) * 1995-06-27 1997-01-14 Meidensha Corp Travel controller of overhead crane
KR19990032633U (en) * 1997-12-31 1999-07-26 이해규 Crane position indicator for waste incineration plant
JP2011255968A (en) * 2010-06-04 2011-12-22 Shimizu Corp Rail traveling cra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66A (en) * 1995-06-27 1997-01-14 Meidensha Corp Travel controller of overhead crane
KR19990032633U (en) * 1997-12-31 1999-07-26 이해규 Crane position indicator for waste incineration plant
JP2011255968A (en) * 2010-06-04 2011-12-22 Shimizu Corp Rail traveling cr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0699B (en) A wheeled object of the type adapted to be operated by a walking person
US5850928A (en) Arrangement for a vertical and horizontal goods hoist
KR101715423B1 (en) Travelling crane having a travelling trolley and hoisting winch
KR20140057756A (en) Self-propelled lift for transferring heavy structure
JP2834331B2 (en) Crane traverse device that moves on wheels with rubber tires
CN211000933U (en) Differential omnidirectional AGV trolley
KR101201878B1 (en) Lift for Transferring Heavy Structure
KR101993470B1 (en) Over head crane apparatus installable on non-parallel rails
KR20140052554A (en) Self-propelled lift for transferring heavy structure
US333975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7455188B2 (en) Load hoist arrangement
KR100516514B1 (en) Inclined elevator using a short distance
KR101994063B1 (en) Gantry crane having free driving and steering function
CA2140189C (en) Apparatus for correcting skew of a traveling crane
JP5862986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EP1601603B1 (en) Load transfer device
CN206219059U (en) A kind of double-layer trolley of crane
JPH03149157A (en) Quick feed speed control method for moving unit
JP2764561B2 (en) Truck traveling system
KR102508730B1 (en) Balancing device and Balancing system including same
JP4391500B2 (en) Self-driving vehicle with departure prevention device
JP2016068825A (en) Movable body and ramp device using the same
TW312681B (en) The cable car walking on skyframe
KR102533516B1 (en) control method for AGV caster with steering turn angle control function
JP7458060B2 (en) Cargo handling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